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뢰성 물리학 분석 기반 함정탑재 PBA 신뢰성 설계에 대한 연구
차종한,박경덕,이기원,박병호,김희언,권형안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2
The PBA of ship weapon system should be installed and operated under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so it should be highly reliable to endure the mission profiles during its entire lifetime. In the case of PBA failure during operation, rapid maintenance is highly likely to be difficult due to problems such as supply of parts, which can have a devastating effect on the mission. In order to validate the reliability of PBA, a series of tests are performed with PBA samples, but they require time, testing facilities, samples, expenses and failure analysis if failed. The reliability of PBA is predicted on the basis of specifications such as MIL-HDBK-217F, but this specification does not take into account failure mechanisms for specific design details, environment and usage, interconnects and its characteristics that drive many failures of PBA in the field. Therefore, this study predicts the reliability of PBA using an RPA tool and proposes the RPA methodology as a validation process at the design stage. With RPA, it is now possible to achieve design validation including inherent failure mechanism, identification of weakest link, alternative design options, and test plan development. 함정 무기체계에 탑재되는 회로카드조립체(Printed Board Assembly, 이하 PBA)는 해양 함상이라는 가혹한 환경 조건에서 운용되기 때문에 임무 수행의 중요성과 정비의 어려움 등을 고려하여 높은 신뢰성 확보가 요구된다. 운용 중 PBA 고장 발생 시 신속한 수리부속 보급이 어렵고 임무수행에 영향을 미친다. 개발단계에서 신뢰성 시험이 시제품 제작 이후에 수행되며, 시험 수행을 위해 시간, 장소, 시료, 비용의 확보와 고장부위 식별 등에 많은 노력과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고 MIL-HDBK-217F 규격 등을 토대로 한 신뢰도 예측은 부품단위 고장률에 근거하고 있어 설계(PCB층/재질, 전자부품 배치/상호관계), 사용 환경과 방법, 접합부 구조와 특성(패드 크기/솔더 재질) 등 부품 외적인 고장요인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고장물리(Physics of Failure, 이하 PoF) 기반 도구를 활용, 신뢰성 물리학 분석(Reliability Physics Analysis, 이하 RPA)을 수행하여 시제품 제작 전 열-기계적 측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한다. RPA 수행과 적용을 통해 PBA의 특화된 다양한 고장메커니즘을 고려한 신뢰성 점검, 신뢰성 취약부위 식별, 설계대안 도출, 설계반영 및 시험계획 수립 등 사전 검증을 수행하여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차종호(J.H. CHA),윤한삼(H.S. YOON),강윤구(Y.K. KANG),류청로(C.R. RYU)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2004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4 No.-
The hydraulic experimental results summerized in order to analyze the fluctuation characteristics of internal waterlevel of permeable breakwater. A numerical model, CADMAS-SURF. has been investigated for the permeable coastal structures to simulate hydraulic characteristics on the permeable slopes, which interact with internal flow field of the structures. The model includes hydraulics in the porous medium. The numerical results by the CADMAS-SURF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차종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6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6 No.12
경보설비 미작동에 대한 발화장소별 화재건수를 분석해 보면 주거시설 26%, 산업시설 23.5%, 생활서비스 16.7%의 순으로 미작동이 발생 하였다. 이는 주거시설, 산업시설, 생활서비스 장소에서 경보설비의 비화재보가 많이 발생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이를 비화재보라고 하며 본 연구에서는 감지기와 수신기, 기타로 나누어 비화재보가 발생하는 원인별 대책과 관련 기준의 개선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경보설비의 비화재보를 줄이기 위해 감기지에서는 감도조절장치, 차동식 감지기 유리봉형 리크구멍의 막힘, 광전식 감지기 플라스틱 정전기 방지, 경년변화에 따른 적외선 LED와 포토다이오드와 포토셀의 기능 저하 방지 방안, PCB기판의 수분 함유방지, 감지기의 현장시험기 중 유증기로 하는 시험기 문제 등의 개선과 수신기에서는 수신기의 전원차단 및 경보중지 방지에 대한 개선과 자동화재탐지설비 성능유지를 위한 화재안전기준 개선방향으로 성능위주 설계의 필요성과 지금의 감지기에 추가적인 기능과 감지기의 생산기법의 변경하여야 한다. 경보설비의 관리부실, 설치장소 환경변화에도 기능 및 성능 유지가 가능하도록 화재감지 방법 및 시스템을 건축대상별 폐쇄성을 고려하여 감지기별로 주소를 부여하여 발화지점을 명확히 알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일정기준에 의한 보수 관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이를 제도화하는 것을 제안하고 IoT 사물 인터넷 기반 경보설비관리 시스템의 연계에 따른 선행연구가 필요하다. The result of analyzing the frequency of fire accident caused by non-operation of fire alarm system by the location of ignition showed the frequency of cause in the following order: residential facility 26%, industrial facility 23.5% and life service 16.7%. The result shows that fire alarm malfunction occurred more frequently in residential facilities, industrial facilities and life service provider sites. This paper classified and analyzed fire alarm malfunction in three categories of detector, receiver and other equipment and proposed solutions by each cause as well as suggestions for enhancement of relevant standard. In terms of detection equipment, this paper suggested as solution an enhancement in the followings to reduce the frequency of fire alarm malfunction: sensor control device; automatic detector for detecting glass tube type leak holes; photoelectric detector to prevent electrical static; infrared LED according to age changes; prevention of photo-diode and photo-cell functions; preventing absorption of PCB board; and field site detector using oil mist. In terms of receiver equipment, there is a need for performance-oriented design to enhance electrical power-off of receiver and prevention of alarm stoppage; and fire safety standard to maintain automatic fire detection equipment. Also, additional functions and production techniques should be added for changes in current detector so that the functions and the performances can be maintained intact even after a change i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alarm facility and the location of maintenance office for alarm facility. Also, in terms of fire detection method and system, an address must be assigned to detector equipment based on consideration for the security need of each building so that the location of ignition can be clearly identified. Also, the research proposed developing an institutional system to facilitate maintenance and repair at a certain level and indicates a need for research in IoT Internet-based security facility management system.
MARC를 이용한 비도서자료 목록 지침 : 한국외국어대학교 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차종상,한흥진 한국사립대학교 도서관협의회 2003 사대도협회지 Vol.4 No.-
대학도서관에서는 기존의 인쇄자료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비도서자료에 대한 서지정보를 조직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또한, 몇몇 대학도서관은 KORMARC - 비도서자료용이나 USMARC 등을 참조하여 자관의 형편에 맞춘 비도서자료 목록 지침을 작성하여 서지DB를 구축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조직하는데 포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표준안이 제정되어 있지 않아 KORMARC을 이용하여 비도서자료를 정리하고자 하는 도서관에서는 여러 가지 혼란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도서관에서는 문헌자동화목록형식의 국제 표준인 MARC21을 근간으로 하여 KORMARC - 비도서자료용, KCR4(안) 및 AACR2 등을 포함한 여러 관련 표준을 참조하여 비도서자료의 목록 지침을 작성하였으며, 현재 실무에 적용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도서관이 적용하고 있는 비도서자료 목록 지침 중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몇 가지 목록 기준과 적용 사례를 정리하여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