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급단위의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이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 참여행동과 방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차재경 ( Jae Kyoung Cha ),김진호 ( Jin Ho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4 지적장애연구 Vol.16 No.4

        긍정적 행동지원(PBS)은 교육 현장에서 장애학생이나 비장애학생들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학생들을 둘러싸고 있는 전반적인 환경체제를 변화시켜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방안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긍정적 행동지원의 중재는 크게 보편적 차원, 그룹 차원, 개별 차원 중재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급단위의 보편적 차원 중재를 적용한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이 통합학급에 입급되어 있는 장애 및 비장애학생들의 수업참여행동과 방해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남도 A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4학년 두개 학급의 총 51명 학생들이었다. 실험집단인 학급에는 일반학생 23명과 장애학생 1명이 소속되어 있고, 통제집단 학급에는 일반학생 26명과 장애학생 1명이 소속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 집단설계를 사용하였으며, 학급단위의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독립변인으로 적용하였고 학생들의 수업참여행동과 방해행동을 종속변인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학급단위의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프로그램은 통합학급 학생들의 수업참여행동과 방해행동을 변화시키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통합교육 상황에서 학급단위의 보편적 차원을 적용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프로그램을 장애 및 비장애학생들에게 동시에 실시한 것과 중재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구성하여 제공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is a rapidly evolving intervention approach in the education field. The primary emphasis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is not only on reducing problem behaviors but also on achieving quality of life of children by changing natural settings to prevent problem behavior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of the effect of the class-wide universal positive behavior support program on classroom behavior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This study was an experimental study for exploring an effect of a positive behavior support based on the universal support intervention(or the primary level) influencing on class engagement behavior and class disturbance behavior of th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 The universal support intervention of positive behavior support was taken as an independent variable. Classroom engagement behavior and disturbance behavior of the students in inclusive classrooms were taken as dependent variables. For 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the pre- and post-group design was used.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positive behavior support in universal support was proved to be effective for positively changing class engagement behavior and disturbance behavior of the students who were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of an elementary school.

      •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문헌고찰

        차재경(Jae Kyoung Cha) 순천향대학교 특수아동교육연구소 2014 특수·영재교육저널 Vol.1 No.2

        긍정적 행동지원(PBS: Positive Behavior Support)은 통합교육 현장에서 학생 및 비장애학생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학생을 둘러싸고 있는 전반적인 환경체제를 변화시켜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삶의 전반적인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방안으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된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실험연구를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연구동향과 실제를 파악하고 앞으로 국내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연구와 현장적용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과 관련된 논문을 조사하여 6편을 최종 분석대상논문으로 선정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은 11개의 분석변인(연구대상, 실험환경, 실험설계, 독립변인(중재프로그램), 종속변인(목표행동), 측정방법, 관찰자간 신뢰도, 사회적 타당도, 중재 충실도, 연구결과, 유지 및 일반화)에 따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변인에 따라 세부적 분석결과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비장애 아동 및 장애아동의 행동중재와 보편적 차원 긍정적 행동지원의 관점에서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Positive behavior support (PBS) is a rapidly evolving intervention approach. The primary emphasis on PBS is not only on reducing problem behaviors, but also achieving quality of life of children and important others in natural settings. PBS uses a broad range of systemic and individualized strategies of prevention and support of problem behaviors. The three key components of PBS are universal support, group support, and individual suppor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related to the universal support of PBS including suggestions for PBS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A review of the literature was collected from 1997 to 2014. A total of six experimental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11 analytic variables as follows; participants, research setting, experimental design, method of measurement, positive behavior support strategies, target behavior, inter-observer reliability, social validation, treatment fidelity, results,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In general, the literature provided positive, and in some cases very strong evidence for effectiveness of the universal PB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nalytic variable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practices and future research on universal PBS were presented.

      • KCI등재

        대학생 학사경고자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및 지원방법 고찰

        차재경(Cha, Jae-Kyoung),이태훈(lee, Tae-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대학생 학사경고자에 관한 국내 연구를 분석하고 그 중 실험연구만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지원방법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도에서 2018년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조사하여 총 27편의 분석대상 논문을 최종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세 가지 변인(연도별 학술지 게재 현황, 연구방법별 연구주제, 연구대상)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어서 향후 대학생학사경고자의 교육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실험연구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일반교육 분야 학술지를 중심으로 20개의 다양한 학술지에 발표되었고 질적연구로써 학사경고 극복 및 상담경험을 주제로 이루어진 연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은 모든 논문이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이었다. 셋째, 실험연구만을 분석한 결과 연구대상 수는 다양한 인원수로 구성되었으며 실험설계는 모두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실험연구의 독립변인은 대부분 교육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학습지원 프로그램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에서 학사경고자들에게 필요한 교육지원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es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under academic probation, and also to examine the concrete support methods targeting the experimental researches. For this, by researching the thes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0 to 2018, total 27 these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analysis. First, the overall trend of researches was analyzed in accordance with many variables(current status of publication in journals in each year, research themes in each research method, research subjects). Next, to collect the basic data helpful for the development/application of educational support program for university students under academic probation in the future, the experimental researches were analyzed focusing on the variables of intervention methods such as research design, independent variable, intervention session, and mediator.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analysis theses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under academic probation were published in 20 diverse journals. Second, regarding the research theme, there were the most researches under the theme of overcoming academic probation and counseling experience. In case of research method, there were overwhelmingly lots of qualitative researches. Third, regarding the research subject, most of them targeted the students of four-year-course universities, and the research area evenly included Seoul and provinces.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e measures for the educational support that could be provided by domestic universities to university students under academic prob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 연구 : G광역시의 보호자와 후견인을 중심으로

        이재호(Lee Jae-ho),박영근(Park Yung-keun),차재경(Cha Jae-kyoung)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20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G광역시의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통하여 보호자와 후견인들의 교육실태,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그리고 발전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들이 수정, 개발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관련하여 구성한 설문지 중 208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하위 분석 내용은 크게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실태, G광역시 평생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그리고 G광역시 발달장애 평생교육의 발전방안이었다. 그 결과 첫째,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실태 조사 결과 평생교육 참여경험을 물어본 질문에 가장 이용경험이 많은 기관으로는 복지관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G광역시 평생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에 있어서 발달장애인의 지역사회중심 평생교육을 위해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필요성에 대해서는 매우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G광역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발전방안에 대한 의견을 살펴본 결과, 전문 강사의 선호도는 ‘특수교사’가 가장 높았으며, 발달장애인지원센터의 고유 업무 외에 발달장애인 성인 평생교육 서비스 제공여부에 대해서 많은 응답자가 수행하는 것을 원하고 있었다. 이외 다양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lifelong education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guardian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s developed the questionnaires and 208 responses from a total of 500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detailed analysis includes the current status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rmation and operation of lifelong education curriculum for G metropolitan city, and developmental strategy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perceptions on their experience in lifelong education, the most frequently used institution for lifelong education was a welfare center. Second, it was recognized that a new separate educational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for the community-based lifelong educ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through the perceptions on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of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G metropolitan cit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most preferred as professional instructors. In addition, it was recognized that the center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pport should provide lifelong education services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to their own tasks. The discussions and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장애 위험아동에 대한 국내연구 고찰

        김진호 ( Jin Ho Kim ),차재경 ( Jae Kyoung Cha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장애 위험아동을 대상으로 실시된 국내 논문을 고찰함으로써 장애 위험아동과 관련된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000년에서 2014년까지 학술지에 실린 최근의 논문들을 조사하여 총 74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먼저 전반적 연구동향(연도별 학술지 게재 현황, 연구주제, 연구유형, 연구대상, 연구지역)을 고찰하고, 이어서 실험연구만을 대상으로 크게 연구방법과 측정변인 및 도구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장애 위험아동 대상 분석논문은 22개의 다양한 학술지에 발표되었다. 연구 주제는 교수·학습, 사회성/정서/행동지원 주제로 이루어진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 방법으로는 실험연구와 검사도구 개발 연구가 주를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대상자는 학습장애 위험아동과 정서 및 행동장애 위험아동이 가장 많았고, 연구지역은 전국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서울 및 경기지역에 많이 편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로 실험연구 분석 결과를 보면, 먼저 실험설계로 집단설계를 적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단일대상연구를 적용한 연구가 그 뒤를 이었다. 독립변인으로 교수·학습 관련 프로그램 및 정서관련 프로그램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선별도구로는 교수·학습관련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대표적으로 지능검사를 선별도구로 사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종속변인으로는 교수·학습과 행동에 대한 연구가 주로 많이 실시되었고 종속변인 측정도구는 중재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측정도구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국내 장애 위험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current research trend of the studies targeting at-risk children.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meaningful resources for future research.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0 to 2014 revealed a total of 74 studies published in major journals within the South Korea. Thos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rends(annual trends by journals, research topics, type of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areas)and experimental research variables(experimental design, independent variable, screening measurement, dependent variable, method of measure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synthesis presented that studies targeting for children at risk were published on relatively wide range of 22 academic journals. Second, research studies were largely used on the topics related to ‘teaching-learning’ and ‘social/emotional/behavioral supports. Third, research methods were largely used to experimental studies, and screening/assessment instrument studies. Fourth, most of research participants were children who are at risk for learning disabilities,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Fifth, research areas were focused on Seoul and Kyonggi Province. Last, analysis result of experimental studies showed that the research design, larger amount of studies were implemented by using group-experimental design and several articles used single subject design.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most studies were related to teaching-learning, emotion and behaviors. As a measurement to screening at-risk children, intelligence test was generally used to measure teaching-learning variables in most of studies. And dependent variable of most studies were aldo related to teaching-learning and behavioral supports.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in terms of implementing research studies targeting at-risk children.

      • KCI등재

        장애 영유아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및 연구방법 고찰

        김진호(Kim, Jinho H),차재경(Cha, Jae Kyoung)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장애 영유아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한 최근의 국내 연구 동향과 연구방법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장애 영유아 교사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최근 10년 동안 국내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총 122편의 장애 영유아 교사 관련 논문을 조사하여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먼저 전반적 연구동향으로 5가지의 분석요인(연도별 학술지 게재 현황, 연도별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대상, 연구지역)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어서 연구 유형에 따라서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는데, 조사연구와 질적연구는 2가지 분석요인(연구방법, 연구주제)으로 분석하였으며, 실험연구는 7개의 구체적인 분석요인(연구대상, 연구설계, 연구장소, 독립변인, 종속변인, 측정방법, 측정도구)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최근의 장애 영유아 관련 연구들은 특수교육 및 유아교육 분야 학술지에서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주제는 통합교육/보육, 직무만족도, 협력교수, 교육과정과 관련된 주제로 이루어진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방법은 조사연구와 질적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넷째, 연구대상은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연구지역은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 많이 편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장애 영유아 교사를 위한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들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current research trends and methods of domestic studies about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in the early special education field. Method: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published in registered domestic journals in the last 10 years revealed 122 studies.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search trends(annual trends by journals, research topics, type of research, participants, research areas). Additionally, the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research types(survey, qualitative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Results: First, recent research related to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been published in journals of special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econd, the frequent research topics were inclusive education/child care, job satisfaction, and collaborative teaching. Third, regarding the type of research, survey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mainly conducted. Fourth, most of the selected studies targeted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at interacted with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regarding teac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presented.

      • KCI등재

        일반학생들의 진로교육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김진호(Jinho H. Kim),차재경(Jae Kyoung Cha) 한국진로교육학회 2015 진로교육연구 Vol.28 No.1

        본 연구는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교육을 실시한 국내 실험연구 논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험연구의 특징, 중재프로그램, 종속변인 유형과 측정 방법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향후 진로교육 연구와 실행에 있어서 의미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2000년도부터 2014년까지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교육을 실시한 국내 실험논문들을 조사하고,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37편의 실험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실험연구는 세 가지 영역에 따라 총 7개의 분석변인으로 분석되었다. 즉, 개괄적 특성(연구대상, 실험설계, 자료 분석), 중재프로그램(독립변인), 종속변인 유형 및 측정방법(종속변인, 측정도구, 중재효과) 관점에서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문헌연구의 결과로서 먼저 개괄적 특성을 살펴보면 연구 대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실험설계는 대부분 집단설계연구로 사전·사후통제집단 설계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분석방법은 크게 변량분석 방법과 비모수 분석 방법을 같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변량분석 계열의 통계분석 방법을 사용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결과로서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존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진로관련프로그램을 연구 목적과 연구대상 학생들의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재방법은 집단상담프로그램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인 유형과 측정방법에 있어서 많은 선행 실험연구들은 진로성숙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측정도구로는 진로의식성숙이나 진로성숙도 검사를 많이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교육 관련 선행 실험연구들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논의에서는 앞으로 일반학생들을 위한 진로교육 연구 및 중재프로그램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같이 모색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of experimental studies on career education for general students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on career education for future research. There is a growing emphasis that career education including vocational education is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education outcomes and enhance the adoption of successful adult lives by general student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0 to 2014 revealed 37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major journals within the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37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7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experimental design, data analysis, training program(independent variable), objective skills(dependent variable), method of measurement, results(the effectiveness of each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7 analytic variable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on career education were presented.

      • KCI등재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 정서,행동장애 위험아동에 대한 국내외 실험연구 고찰

        김진호 ( Jin Ho Kim ),이성용 ( Seong Yong Yi ),차재경 ( Jae Kyoung Cha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5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6 No.3

        본 연구는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아동을 대상으로 중재프로그램을 실시한 국내외 실험 연구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함으로써, 관련 분야의 연구 동향과 교수 전략 등을 파악하고 앞으로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아동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최근 국외 및 국내에서 발표된정서ㆍ행동장애 위험아동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를 조사하고, 분석논문 선정기준에 따라 국외 10편, 국내 6편, 총 16편의 실험 연구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변인은 5가지영역에 따라 총 9개의 분석변인(연구 대상, 선별 도구, 실험 환경, 실험 설계 및 절차, 중재프로그램과 기법, 목표기술, 측정도구 및 방법, 신뢰도, 연구결과)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결과에서는 분석변인에 따라 국내외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서ㆍ행동장애 위험아동 연구와 중재프로그램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Current prevalence estimates suggest that between 2 and 20% of the school age population are at risk for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EBD), with less than 1% of students receiving special education services under the label of EBD(Lane et al., 200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research literature for children at-risk for EBD and to provide information and suggestions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A systematic search of the literature from 2000 to 2014 revealed 16 experimental studies published in major special education journals within the foreign countries(specially the United Sates) and South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16 selected studies in terms of 9 analytical variables: participants, screening tools, research settings, experimental design, training program and strategies, target skills, method of measurement, reliability(treatment fidelity, inter-observer reliability, social validation), results(ie. effects, maintenance, genera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9 analytic variable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