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수학 교사 간 협력(Teacher Collegiality)이 학교 효과(School Effectiveness)에 미치는 영향력 검토

        차인숙 한국수학교육학회 2011 수학교육 학술지 Vol.2011 No.1

        교사의 전문성이 높을수록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의 질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학생들의 수학 성취도가 향상될 것이라는 믿음이 교사 교육자들 간에 형성이 되어 있다. 특히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과목별 교사협의회가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고 믿고 있다. 즉 과목별 교사 간 협력은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이로 인해 수업의 질이 향상됨으로써 학생의 수학 성취도가 향상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교사 간 협력이 실제 학생의 성취도 성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경험적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검토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의 2005년∼2007년에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중학교 113개교와 소속 학교 국어 영어 수학 교사들 그리고 501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실제 단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교사 간 협력이 부가가치 학교효과지수(Value-added school effectiveness index)에 영향력이 있는지를 검토함으로써 교사 간 협력이 학교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선행연구자들의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다. 부가가치 학교효과지수는 학생의 성취도 성장에 학생의 개인 배경변수로 인한 효과를 제외하고 학교가 순수하게 기여한 학교 교육의 효과를 의미한다. 이를 검토하기 위해 3수준 다층 성장모형을 적용하였으며 개인 배경 변수로 초등학교 6학년 성적, 사교육시간, 모학력를 포함하였고, 학교 배경 변수로 학교가 소재하고 있는 지역, 학교설립유형(국공립/사립), 학교평균 학생의 입학 전 성취도(초등학교 6학년 성적), 학교평균 모학력을 포함하였다. 분석 결과 국어와 수학 교과의 경우 교사 간 협력이 학교 효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영어교과의 경우는 교사 간 협력이 학교 효과에 거의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학과 국어교과의 경우 단위 학교 내 교사 간 협력이 잘 이루어질 경우 그렇지 않은 학교의 경우보다 학생의 성취도 성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교사 간 협력이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학교 효과에 영향력이 있는 변수임을 이 연구의 자료는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학교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학교에서는 수학 교사 협의회를 통해 교사 간 협력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열린 마음의 조직 문화를 형성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자 수학사 특강'의 학습효과

        차인숙,한정순,Cha, In-Sook,Han, Jeong-Soon 한국수학사학회 2006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19 No.4

        본고에서는 수학사의 교수학적 의미를 살펴보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에게 적합한 수학사 특강 자료 3차시(120분) 분량을 개발하여, 이를 수학자가 직접 학생들에게 강의함으로써 수학사 내용 및 수학자로 인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에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수학사 내용뿐만 아니라 수학자와의 만남도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 형성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athematics history lecture on elementary students' math learning. Pre- and post-tests were done for 33 6th grade students before and after 3-units of mathematics history lecture by a mathematician. The results show that the lecture improved students' interests and confidence on math. Especially, the tests present a positive change in students' attitudes on math and results in an increased curiosity on and willingness to study math. This study shows a consistent result with previous studies of teaming effects of introducing mathematics history in math.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at even 3-units of math history lecture can significantly improve students' attitude and belief on math learning. Given the positive effects of math history lecture on students' math loaming, it is implicated that math history be included in the formal elementary math curriculum and more participation of math history experts in math.learning processes is needed.

      • KCI등재

        문・이과 계열 및 성별 간 수학성취도 성장궤적 비교

        차인숙 한국교육 개발원 2021 한국교육 Vol.48 No.3

        Purpose: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information that helps liberal arts students improve their mathematical competence.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For this study, linear and nonlinear growth models were applied to examine the growth trajectory of mathematical achievement of students in liberal arts and science from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1st grade of high school using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Findings/Results: The major findings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mathematical achievement between liberal arts and science studen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However, in the 5th grade, science students rapidly improved their math performance, but liberal arts students tended to decline. Value: This study attempted to suggest the need for developing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onsidering the mathematical learning style of liberal arts students starting in the fifth grade. 이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문・이과 융합형 창의 인재 양성을 위해 문과 계열 학생들의 수학적 역량 향상을 돕기 위한 정보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자료를 사용하여 선형의 일차함수와 비선형의 이차함수, 분수함수, 시그모이드 성장 함수를 적용하여 문・이과 계열 학생들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의 수학성취도 변화 추이를 살펴보았다. 이과 학생들은 선형 성장을 문과 학생들은 비선형 성장궤적을 보여주었다. 문과 학생과 이과학생의 수학성취도 격차는 초등학교 4학년~5학년 구간부터 시작되며, 이 시기에 이과 여학생들은 수학성취도가 급속히 향상이 되지만 문과 남학생들은 성적이 큰 폭으로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부모학력이 동일할 때 문과학생은 주간 수학 사교육 시간이 이과 학생은 학교 수학교사의 교수역량에 대한 인식이 성취도 성장에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Wajsberg hoops와 가환 BCK-대수

        차인숙,Cha, In-Sook 한국수학사학회 2007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Vol.20 No.1

        본 논문은 Wajsberg hoops, BCK-대수와 MV-대수의 도입과 그 발전과정을 간단히 소개하고, Wajsberg hoops, MV-대수, 그리고 가환 BCK-대수의 관계를 살펴본다. 특히 모든 Wajsberg 대수는 가환 BCK-대수가 됨을 규명한다. This paper delineates some history and developments of Wajsberg hoops, MV-algebras and commutative BCK-algebras. It also discuss some relations on them. Finally, it shows that every Wajsberg hoop is a commutative BCK-algebra.

      • KCI등재

        서울교육종단연구 가속종단설계에서 선형 및 비선형 성장 모델 적용 방법: 영어성취도 성장과 성별 및 목표의식의 관계에서

        차인숙,류지훈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2 교과교육학연구 Vol.26 No.3

        This study is to introduce statistical models and interpretation methods for analyzing data collected through accelerated longitudinal designs. Data from the first year (2010) to the sixth year (2015) are selected from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Dependent variable is English achievement growth from 4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to 3rd grade in high school. Dynamic predictor variable is goal consciousness and static variable is gender. The statistical model is a two level multilayer growth model, with linear function and nonlinear quadratic functions widely used by researchers. As the accelerated longitudinal design has a shorter research cycle than the single cohort design, it has a low sample loss rate, high cost-effectiveness, and has the advantages of rapid evaluation and prediction on student changes, thus, the researchers suggest that it be applied as a data collection design for a longitudinal study. 이 연구는 종단연구의 자료수집 설계 중에서 가속종단설계를 소개하고 가속종단설계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모형과 해석방법을 소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에서 1차년도(2010년)부터 6차년(2015년)도 자료를선택하여 종속변수로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의 영어성취도와 예측변수로 시간에 따라 변하는 목표의식에대한 초4부터 고3까지의 데이터와 이분변수인 성별을 선택하였다. 통계모형은 연구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선형의 일차함수와 비선형의 이차함수를 선택하여 2수준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여 HLM8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가속종단설계는 단일코호트설계보다 조사주기가 짧기 때문에 표본유실률이 낮고 비용효율성이 높으며, 학생들의 변화를 빠르게 평가하고 예측할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종단연구 자료 수집 설계로 적용해 볼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중등 예비교사의 함수 관계 상황 표현 능력에 대한 조사 연구

        차인숙,한정순 한국수학교육학회 2004 수학교육 Vol.43 No.2

        This study investigates 55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ituational understanding of functional relationship. Functional thinking is fundamental and useful because it develops students' quantitative thinking about the world and analytical thinking about complex situations through examination of the relations between interdependent factors. Functional thinking is indispensable for understanding natural phenomena, for investigation by science, and for the technological inventions in engineering and navigation. Therefo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eachers should be able to represent and communicate about various functional situations in the course of teaching and learning functional relationships to develop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llustrates that many preservice teachers were not able to appropriately represent and communicate about various functional situations. Additionally, it shows that most preservice teachers have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teaching function.

      • KCI등재

        비선형 분수다항함수를 이용한 종단연구 영어성취도 성장선 모형화

        차인숙(Insook Cha),류지훈(Ji Hoon Ry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21 교육평가연구 Vol.34 No.2

        국가 수준 및 시도교육청 수준의 종단연구는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사회적 변화와 성장이 어떻게 발달 되고 있는지를 평가하고 긍정적인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설명변수들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성장궤적함수를 찾는 것은 설명변수의 효과검정과 개인 간 차이에 대한 이해의 시작점이므로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종단 연구자들은 일차함수인 선형모형을 적용하고, 일부 연구자들은 다항함수 및 시그모이드 성장모델을 적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는 선형과 비선형의 2차 및 3차 다항함수, 그리고 지수 성장곡선 등을 유연하게 표현할 수 있는 분수다항함수를 소개하고, 분수다항함수에 존재하는 여러 모형에 대하여 고정효과(초기위치, 성장률, 예측변수)와 무선효과 결과치들의 비교를 통하여 가장 적합한 분수다항함수를 찾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The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ies investigates students’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development according to grade and age, in addition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xplanatory variables that can help positive growth. Finding a growth trajectory function is the most important step as it is the starting point for testing the effectiveness of explanatory variables and understanding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Most researchers tend to have applied a linear function, while some have tended to apply conventional polynomial functiong or sigmoid growth models. This study introduces fractional polynomial functions fitting empirical data. It illustrates how the fixed effects and random effects change as the growth trajectory function changes to indicate the significance of using a growth trajectory function with good model fit, so as to emphasize to apply fractional polynomial functions with good model fit in terms of flexibility and parsimonious in longitudinal stud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