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 후기 교동의 鄕案 입록 전통과 향권 주도 성씨의 추이

        차인배(Cha In-Bae)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37 No.-

        본 논문은 현재 교동향교가 소장한 5종의 향안을 통해 조선후기 교동지역의 향안 작성과정을 전통과 단절이라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재지사족의 명부인 향안은 당대의 향권 주도층의 명단이기도 하다. 따라서 교동향안에 기재된 인물들의 성씨분포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추적함으로써 교동지역의 향권 주도층의 변화 양상을 추적할 수 있다. 17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교동 향안은 계승과 단절을 거치면서 그 전통을 잇고 있었다. 5종의 향안 가운데 3종은 향안1을 모본으로 작성되어 전통을 같이 하지만, 나머지 2종은 별도로 제작되었음이 확인된다. 이는 교동지역에서 향안 입록을 둘러싼 신·구향의 갈등양상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조선후기 교동지역의 재지사족은 안동전씨·온양방씨·청주한씨·창원황씨·안동권씨 등 5개 성씨가 주류를 형성하였다. 향안에 입록된 성씨의 분포에 따르면 17세기까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 전·방씨가 향권을 장악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18~19세에는 입록성씨의 분포가 변화되어 황·한씨가 두각을 나타내고, 특히 황씨가 향권의 주도세력으로 부각되었다. 따라서 향안자료를 통해 본 조선후기 교동의 향안입록전통은 섬지역의 특수성이 반영되어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었고, 사족층은 강고한 배타적 특성을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process of hyangan (a list of student of the regional Confucian temple and school) preparation of Kyodong area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in the light of the local tradition of hyangan and its extin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five hyangan kept in Kyodong Hyaggyo (the Confucian temple and school to teach local students). Hyangan is a list of local literary families, and it can also be read as a list of local authorities at the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veal the phase of the power shift in Kyodong area by analyzing how personnels and their families registered in hyangan were changed at certain times. Kyodong Hyangan was made during the period between the late 17th century and mid 20th century. Three hyangan out of five hyangan were made after the tradition of hyangan 1 but the other two hyangan were made by different tradition. This difference can be an evidence of the regional conflict between old and new authoritative factions.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were five authoritative families in Kyodong area; Andong Joens, Onyang Bangs, Cheongju Hans, Changwon Hwangs, and Andong Kwons. In hyangan which were made till the end of 17th century, personnels from Andong Joens, Onyang Bangs were most distinctive so they must have had stronger authority at the time. However, among hyangan from the 18th and 19th centuries, Cheongju Hans, Changwon Hwangs stood out the most and the latter should have been the local authority of the time. From the information gather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see that the tradition of Kyodong Hyangan registr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presents the regional tradition of an island and the tradition lasted for a long time. It also shows the strong exclusivity of local literary families.

      • KCI등재

        19세기 刑政風俗圖에 나타난 형벌의 특징에 관한 고찰

        차인배(Cha In-bae)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역사민속학 Vol.0 No.44

        19세기 풍속화가로 알려진 金允輔와 金俊根이 그린 형정풍속화가 ≪형정도첩≫과 <기산풍속첩> 등에 전하고 있다. 이들 형정풍속화는 범죄 단속, 처벌, 고문, 재판 등 다양한 형정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어 조선시대 법전에 기록된 형정 내용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이들 가운데 일부는 기존의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형벌체계를 소개하고 있어 형정연구에 대한 충분한 자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형정과 형벌에 관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형정풍속도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19세기에 활동했던 김윤보와 김준근의 형정풍속도를 종합적으로 수집ㆍ분석하고, 개별 그림의 내용을 기존 형정에 관한 연구 성과와 비교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두 풍속화가의 형정풍속도를 오형ㆍ고문ㆍ사회범죄 등 몇 가지 형벌체계로 분류한 후, 그림내용의 내용을 분석해 각각의 특징을 고찰하고 그 공통점을 통해 당대의 형정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또한 각론에서는 기왕에 알려진 형정에 관한 내용과 그림 묘사의 비교를 통해 그 집행 과정과 내용을 보다 면밀히 고찰함으로써 역사적 사실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Genre paintings depicting scenes of penal administration by Yun-bo Gim and Jun-geun Gim are included in the Hyeongjeong docheop (Album of Genre Paintings Depicting Scenes of Penal Administration) and Gisan pungsok docheop (Album of Gisan’s Genre Paintings), respectively. These genre paintings depict various scenes of penal administration including crime enforcement, punishment, torture and trial, allowing visual confirmation of contents of penal administration that was recorded in the legal codes of the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some of the paintings have significant value in respect of research on penal administration as they introduce unique punishment systems that are not found in existing literature. In existing studies on the penal administration of the Joseon Dynasty, genre paintings were undervalued, only used as supplementary visual material to help understanding of penal administration. Although some of the paintings were exaggerated due in part to commercial purposes, the genre paintings realistically reflect the penal administration of the time to such an extent as to even depicting trivial customs of the executor that could not be ascertained in literature. Thus, this paper classified the genre paintings of the two painters by several punishment systems, examined the each of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the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paintings, and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nal administration of the time through their similarities. Moreover, in each section, the paper sought to approach historical truths by thoroughly studying the process and content of execution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details of the paintings with the existing knowledge on penal administration.

      • KCI등재

        광무년간 한성부호적을 통해 본 순검의 거주와 생활 양상

        차인배(Cha, In-Bae) 한국역사민속학회 2016 역사민속학 Vol.0 No.51

        본 논문은 광무년간 발간된 한성부호적을 토대로 경무청의 말단인 순검의 거주 현황, 그들의 주거 생활을 고찰하였다. 순검은 일선에서 민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며 다양한 치안 실무를 담당했던 말단관리였다. 그럼에도 그들은 매달 일정하게 지급되는 급여로 안정된 생활을 꾸려갈 수 있었고, 새롭게 디자인된 제복을 입고 자신의 권위를 내세웠다. 무엇보다 그들은 자신의 능력에 따라 고위직에 오를 수 있다는 점에 고무되었다. 광무호적에 등재된 순검호는 광무 7년 102호, 광무 8년 6호, 광무 10년 124호 등 총 232호가 파악된다. 순검은 대체로 20∼40대가 주 연령층을 이루며 30대가 가장 많고 40대가 그 다음이다. 순검의 父 직역은 대부분 표기가 생략되었지만, 고위 경력을 가진 이들도 있었다. 즉 고위직 자제가 말단 순검직에 종사 한다는 것은 전통시대의 직업관이 변화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순검은 기존의 폭압적인 경찰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근대적인 직업으로 인식되었다. 순검의 주거지는 대체로 자기 소유의 10칸 미만의 초가집에서 거주했으며 고용인을 두는 사례는 많지 않았다. 결국 순검의 경제력은 풍족하지는 않았지만 가족의 생계를 유지할 만큼의 여력은 갖추고 있었다. 순검은 면직되는 사례가 많았는데, 면직 후에는 대부분 일반 시민의 신분으로 되돌아갔다. 또한 순검은 유지와 면직에 따라 주거지 이주가 빈번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sidential status and the life of the Sungeom, which is the low state of officer in Kyeongmucheong in early 20<SUP>th</SUP> century, based on the Family register of Hanseong-bu. The Sungeom was an officer who directly contacted the people and handled various security tasks. They earned a stable living on a monthly pay, showing their authority in modern styled uniform. Above all, they were encouraged to be able to promote according not to their family status but to their abilities. A total number of Sungeom’s houses in The Family register in Kwangmu period were 232. including 102 houses were registered in Gwangmu 7<SUP>th</SUP> year, 6 houses in Gwangmu 8<SUP>th</SUP> year and 124 houses in Gwangmu 10<SUP>th</SUP> year. Generally, the majority of inhabitants in the Family register of Sungeom is in 20~40s, and most of them are in 30s and the next amount are in 40s. The occupation of Sungeom’s father was not mentioned, but there were high rank seniors. That is, the fact that the younger generation of the high rank officers worked in low state officer as a Sungeom suggests that the traditional hereditary occupation system has been changed. In addition, the Sungeom has been recognized as a modern job by breaking away from the image of the conventional forceful police. The residence of the Sungeom generally lived in a small house with less than ten rooms of his own, and there were a few inhabitants who had houseman. After all, the economic level of the Sungeom was not high, but they are rich enough to maintain their family. There were not many cases of maintaining the employment as a Sungeom, and most of those who were dismissed returned to the status of ordinary people. In addition, the Sungeom change their residence according to employment and dismissal.

      • KCI등재

        조선 중기 포도대장(捕捕盜大將)인사 특성과 정치적 의미

        차인배 ( In Bae Cha ) 대구사학회 2013 대구사학 Vol.112 No.-

        조선시대 左右捕盜廳은 도성 내의 포도·순작을 담당했던 치안기구였다. 포도청의 총지휘관인 左右捕盜大將은 무반 종2품계에서 발탁되었고, 치안권이 부여됨으로써 정치적 권한 또한 적지 않았다. 임진왜란 이후 포도대장의 인사는 신설된 중앙군영의 대장과 겸직체계로 전환 되면서 군사적·정치적 비중이 높아졌다. 특히 조선 중기 붕당정치가 진행되면서 파벌 간 갈등이 고조되었고, 이때 각 당파는 정치적 우위를 선점하기 위한 수단으로 포도청 및 5군영의 물리력을 장악하는데 주력하였다. 따라서 포도대장은 집권세력의 당색을 가진 인물 중에서 선발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관계로 선출된 포도대장은 집권 당파의 정국운영에 적극적으로 호응하였다. 특히 숙종대 5군영체제가 정착되면서, 방위전략이 도성의 집중적 방어체제로 전화되었다. 이에 따라 도성수비를 담당했던 訓鍊都監·御營廳·禁衛營과 도성의 치안을 주관했던 포도청의 위상은 어느 때 보다 높아졌다. 換局政治期남인과 서인의 정치적 갈등 양상은 포도대장과 군영대장의 인사와 겸직체계를 고찰함으로써 구체적인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향후 조선 후기 군영대장과 포도대장의 인사와 겸직제도로 영역을 확대시킴으로써 조선 후기 군권과 치안권의 정치적 향방을 가늠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Right and Left Police Departments of Joseon period was the security unit in charge of catching the thief and going on a round of inspection in the capital. The Right and Left commissioners of Police Departments were appointed in rank 2B post of military officer order and had also much political authority by being given security power. Contrary to the former of Joseon period, the Commander of Police Department wa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military and political aspects after Japanese invasion of 1592, holding additional the commander of central-garrison position. Furthermore, as factional strife intensified in the middle of Joseon, each partisans all sought to hold physical forces of Capital Police and Five Army Garrisons by a mean to inevitably foreordain political predominance. Accordingly, the Commander of Capital Police was appointed among limited members belonging to each political party. The Commander of Capital Police selecting under political conditions supported actively political situation of ruling party. As the organization of Five Army Garrisons settled in Sukjong period, the strategy of national defense was changed into intensive defense system centering the capital. As a result, Military Training Command, Royal Guards Command, Capital Garrison, Capital Police being responsible for security of the capital occupied high position. In the purge period, the political struggle among political parties, such as Southerners and Westerners can have a thorough grasp of the phases by investigating the personnel of the commanders of each garrison and capital police, plural offices` system. The thesis would form a basis of pursuing political sense of military and security power by more extending the areas until the organization on commanders of each garrison, the personnel of the commander of capital police, and plural offices.

      • KCI등재

        조선전기 치도형(治盜刑)과 난장(亂杖)의 유래와 운영

        차인배 ( Cha In-bae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2 No.-

        본 연구는 조선시대 도적을 다스리기 위해 사용한 난장의 유래를 고찰하였다. 난장은 죄수의 自服을 받기 위해 그의 발바닥과 발가락을 때리는 형벌로 그 기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나 난장은 조선초부터 1777년(영조 46년)까지 약 340여 년 동안 도적을 단속하는 형벌로 존속했다. 난장은 도적·강도 등 절도죄수의 자백을 받아내기 위해 고안된 이른바 治盜刑이었다. 따라서 일반 형사사건에 대한 사용이 엄격히 제한되었다. 訊杖과 난장은 서로 형태가 다르지만, 죄수의 자백을 받아낸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신장이 합법적으로 공인된 고문이라는 점을 고려한다면, 난장은 신장의 변형된 고문이었다. 난장의 체벌이 발바닥과 발가락에 집중된 것은 그 곳이 고통의 강도가 높았고 상대적으로 고문의 흔적이 심하지 않다는 장점도 있었지만, 신체 중 처벌 부위가 유사했던 刖足의 전통을 따른 것이었다. 조선초부터 난장은 치도를 목적으로 실시하여 실효를 거두기도 했지만, 형식의 가혹성 때문에 각종 폐단을 야기했다. 난장이 치도형으로써 원래의 목적과 달리 오용되는 사례가 늘어났지만, 치도에 대한 효용성 때문에 공공연한 고신으로 용인되어 조선후기까지 존속하였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origin of Nanjang(亂杖), which was used to control during the Joseon Dynasty. Nanjang(亂杖) is not known about its origin as a punishment for hitting the soles of his feet and toes to receive confession from a prisoner. However, Nanjang(亂杖) remained a punishment for cracking down on bandits for 340 years from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to 1777 (46th year of King Yeongjo). Dwarf was a so-called "Punish for bandit(治盜刑)" designed to obtain confessions from thieves such as bandits and robbers. Therefore, the use of general criminal cases was strictly restricted. Although Sinjang and Nanjang have different forms, it is common that they receive confessions from prisoners. Considering that the kidney is a legally recognized torture, the dwarf was a modified torture of the kidney. The concentration of physical punishment on the soles of the feet and toes was also attributed to the high intensity of pain and relatively low traces of torture, but it is also believ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Woljog's tradition of punishment, which had similar areas of punishment. Nanjang(亂杖)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catching bandits and had an effect. However, because the form was harsh, it caused many evil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Nanjang(亂杖) was misused contrary to the original purpose of catching the thief, but it was recognized as an official punishment because of its effectiveness in catching the thief, and it persisted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조선후기 포도청의 야순(夜巡)활동과 야금(夜禁)정책의 변통

        차인배 ( Cha In-bae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9

        조선후기 한성부는 인정(밤 10시)부터 파루까지(새벽 5시)까지 야금(夜禁)이 실시되었고, 포도청(捕盜廳)·순청(巡廳)·삼군문(三軍門)은 구역을 나누어 범야자를 단속하였다. 또한 야간통제는 야금의 시간과 대상, 그리고 범야자에 대한 체포와 처벌 등에 관한 법률 규정도 마련되었다. 조선정부가 야간통제를 위해 세부적인 법률체계와 도성안팎을 아우르는 조밀한 순찰망을 구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범야자(犯夜者)가 줄어들지 않았다. 범야자의 신분이 주로 권력가 또는 권력기관의 하례(下隷)가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으로 보아 통금 위반은 개인적 일탈보다는 권력적 전횡의 성격이 강했다. 또한 포도청의 관원은 상대적으로 천시되어 야금단속 과정에서 범야자에게 빈번하게 욕설·폭행·감금 등의 수모를 겪기도 하였다. 결국 숙종과 영조는 야간 치안의 안정을 위해 이러한 폐단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변통(變通)을 단행하였다. 야금정책의 변통은 규제를 새롭게 마련하기보다 기존의 법률을 현실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결국 야금정책의 변통은 야금활동 과정에서 갈등을 빚었던 포도군관에 대한 보복, 물금첩(勿禁帖)의 오남용, 하례의 월권 등 법률시행을 방해하는 요인을 개선함으로써 가시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night curfew system was implemented in Hanseongbu from 10 p.m to 5 a.m., and Podocheong, Suncheong, and Samgunmun controlled curfew violators by their quarter district. In addition, the nighttime control was arranged the time and subject, and provision of law regarding apprehension and punishment for curfew violators. The number of curfew violators did not decline even though the government established detailed legislation and a close surveillance cross over in and out of the capital city for the nighttime control. Identification of curfew violators mainly consisted of apparitor from the powerful or authorities, so that violation of the curfew was much involved in the exercise of power than an individual deviation. Government officials in Podocheong, relatively disregarded, faced humilation such as curses, attacks, confinements, etc in the crackdown of curfew. King Sukjong and Yeongjo, eventually, enforced shifts in policy to correct the abuse for public safety in the nighttime. The shifts in policy proceeded to actualize the existing legislation than impose new legal controls. Finally, the shifts in the night curfew system achieved visible results by removing obstacles of enforcement; retaliation against Podocheong officials, abuse of Mulgeumcheop, an arrogation of apparitor, and etc.

      • KCI등재후보

        한국사상(韓國思想) : 사학(史學) ; 조선후기 서울의 도시범죄(都市犯罪)와 포도청(捕盜廳)의 활동

        차인배 ( In Bae Cha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서울은 궁궐 및 정치기구가 집중된 王都로서의 정치적 기능을 지니고 있었지만, 조선후기 에는 한강을 중심으로 상품유통경제가 활발히 진행되는 경제의 중심지로 부각되었다. 또한 서울은 정치·경제 분야에 도시문화의 발달을 가져온 반면 급속한 도시화로 인구의 과밀화와 사회범죄의 증가라는 부작용을 수반하였다. 포도청은 조선후기 수도치안에 가장 핵심적인 공권력이었다. 포도청은 도시화의 진전으로 양적·질적으로 다각화된 범죄를 단속하여 사회질서와 치안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였다. 특히 상업발달과 신분질서 이완에 따른 경제 및 사회범죄에 있어서 포도청의 활동은 보다 전문적이고 조직적인 두각을 나타냈다. 포도청의 범죄 단속은 보다 조직적이고 전문적이었다. 특히 포도청은 譏察과 伏兵을 통해 도성민에 대한 상시적인 감시망을 구축하고 있었다. 또한 범죄 단속과 신문 과정에서 포도청은 협박과 폭력을 동원하여 진압하였고, 이에 대한 도성민의 저항 또한 거세었다. 결국 조선후기 포도청은 단순한 ``捕盜``기구로서의 소임에 국한되지 않고, 체제 유지를 위한 효과적이고 핵심적인 치안기구로 활약했던 것이다. Seoul, capital of Chosun, was the political center in which royal palaces and various political organs were located. In the late Chosun, it became the economic center in which the national goods were concentrated through Han river. The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 of Seoul resulted in the increase of population and crime as a side effect of urbanization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culture. Po-Do-Ch`ong(捕盜廳) was a central law enforcement authority in the late Chosun.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of public security by preventing and controlling crimes which became increased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as a result of urbanization. It, especially, distinguished itself in preventing the social and economic crimes which followed the laxity of the order of social status and the development of commerce. Po-Do-Ch`ong established surveillance network against civilians in city by secret investigation and stakeout, so that it kept control over crimes systematically. It employed menace and violence to civilians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over crimes and examining criminals which caused civil resistance. The civil resistances were, however, suppressed by Po-Do-Ch`ong which resorted to violence. To conclude, Po-Do-Ch`ong in the late Chosun functioned as a central and efficient political system for maintaining the establishment as well as a government organs for public security.

      • KCI등재

        조선후기 捕盜廳 치안활동의 특성 연구

        차인배(Cha, In-Bae)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100

        중종대 창설된 포도청은 기찰과 매복을 통하여 도성 내 발생하는 각종 범죄를 단속하였다. 본 논문은 도성 내 종로를 중심으로 설치된 좌우포도청과 사법관청의 공간적 배치를 유기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도성 내 포도청의 치안 기능과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조선후기 서울의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포도청의 기찰 공간이 삼강유역으로 확대되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포도청 활동 반경은 도성을 중심으로 城底十里로 국한되었기 때문에 포도청의 위치와 활동 구역은 서울의 공간적 특징을 고려하여 치안활동에 최적의 위치에 편재되었다. 捕盜廳舍는 종로를 중심으로 약 1.3Km의 거리를 두고 좌우로 배치되었다. 이 거리는 두 기관이 평시에 지정된 공간에서 활동하다가, 유사시 공간과 경계를 초월하여 상호 협력할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좌우포도청은 각각 光化門?敦化門의 연장로에 위치하여 궁궐의 호위 및 경계의 역할도 담당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포도청의 업무는 사법?군사업무와 유기적으로 연계되기 때문에 이들 기관과의 업무연락이 신속히 처리되어야 했다. 따라서 좌우포도청과 사법?군사기구의 거리는 도보로 최소 약 6~7분에서 최대 약 23분가량 소요되는 거리에 위치하고 있었다. 한편 조선후기 서울은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유통경제가 활성화됨에 따라 도성 밖 인구 및 그 거주지가 확대되었다. 서울의 공간이 확대됨에 따라 도성 밖 기찰활동이 확대되었고, 특히 인구의 활성화가 두드러진 삼강(三江: 漢江?西江?龍山江) 구역에 대해 포도청의 기찰 및 병력이 집중적으로 배치되었다. 조선후기 포도청의 기찰구역이 城底十里까지 확대되고 있지만, 포도청의 주요 활동 구역은 여전히 도성의 치안에 중점을 두고 운영되고 있었다. The activity of Po-Do-Ch"?ng(PDC) was limited within about 4km radius around Seoul castle(城底十里). Because its location and activating area was set up its optimum sphere of security activity under the consideration of geographical condition of Seoul. PDC divided such 2 bureaus as the left bureau and the right bureau. Both bureaus kept aloof 1.3Km distance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street, Chongro(鐘路). In relation to the distance between each bureau, it seems to me that although during peace time the left or right bureau activated separately at the designated site, in case of emergency these bureaus coordinated beyond their own designated sphere and the boundary of jurisdiction. Also, it seems that the left and the right bureau played such role as guard and escort at all the road in Gwanghwamun(光化門) and Donhwamun(敦化門). Because these bureau"s task in nature connected with the judicial and military business systematically, these bureaus had to maintain public affair contact with quickly Judicial or military organs.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both bureaus and the judicial or military organs needed from the minimal 6-7 minute to the maximum 23 minute on foot. As Seoul"s distribution economy was vitalized in the center of Han River basin during the lated Choson Dynasty, the outer population and residential districts out of Seoul castle was expanded in the scale and number. As the spacial size of Seoul grew up, PDC"s parol activity was increased. On account of three river zone〔三江: Hangang(漢江), Sogang(西江), and Youngsangang (龍山江)〕"s population growth, PDC"s parol and its force were deployed these district intensively. Although PDC"s parol area expanded within about 4km radius around Seoul castle in the Late Chosun Period, its main security field put emphasis on Seoul castle only. It not only looked upon Seoul castle as its main security field but also carried out its security activity positively.

      • KCI등재

        조선후기 ‘치도형(治盜刑)’의 운영과 폐지 과정 - 포도청(捕盜廳)의 난장(亂杖)을 중심으로 -

        차인배(Cha, In-bae) 한국법사학회 2021 法史學硏究 Vol.63 No.-

        본 논문은 조선후기 도적을 다스리기 위해 사용한 난장(亂杖)의 운영과 폐지 과정을 고찰했다. 난장은 도적의 자백(自服)을 받기 위해 죄수의 발바닥과 발가락을 때리는 이른바 치도형(治盜刑)이었다. 치도형은 공식적으로 도적과 강도 이외의 일반범죄 처벌에는 사용이 금지되었다. 조선후기 포도청이 직수아문(直囚衙門)에 편입되면서 태(笞)50에 해당하는 포도대장의 직단(直斷)에 공식적으로 난장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한편 조선후기 사법개혁이 진행되면서 심문 절차가 정비되고 가혹한 형벌이 폐지되었다. 특히 영조는 죄수의 심문 과정에서 고문으로 자백을 받아내는 방법에 폐단이 있음을 인식하고, 의금부(義禁府)와 포도청(捕盜廳) 등에서 사용한 압슬(壓膝), 낙형(烙刑), 전도주뢰(剪刀周牢), 난장(亂杖) 등을 제거했다. 이처럼 영조의 흠휼(欽恤)에 대한 의지와 업적이 뚜렷했지만, 실무경험을 통한 신료들의 개선책도 사법개혁에 일조한 바도 컸다. 한편 난장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김성팔(金聲八)사건과 을해옥사(乙亥獄事)의 「포도청추안(捕盜廳推案)」을 분석했다. 난장이 일반적으로 치도형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많았지만, 다른 목적으로 형벌을 남용하는 사례도 빈번했다. 또한 난장이 죄수의 발가락이 떨어지고 심지어 사망하게 하는 가혹한 고문이었다. 그러나 을해옥사때 포도청의 죄수 심문 사례를 보면, 죄수가 난장과 주뢰형을 받으면서도 자백하지 않은 사례가 의외로 많았다. 이는 난장 등의 혹형이 범죄의 실상을 밝히는데 비효율적이었음을 반증한다. 1777년(영조 46) 난장 폐지에 대한 의욕을 보였던 영조는 신하들의 찬반 논의를 거쳐 마침내 난장을 제거했다. 그러나 도적의 발흥이 끊이지 않자 정조는 난장을 복원하려고 시도했지만, 신료들의 반대로 실행하지 못했다. 결국 정조대 곤장(棍杖)제도가 정비됨에 따라 난장을 대신하여 치도곤(治盜棍)이 통상적인 치도형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This researcher considers the operation and abolition of nanjang (亂杖) which was adopted to punish the thieves in late Joseon. Nanjang was so-called chidohyeong (治盜刑) of hitting the prisoner’s sole and toes to force the thief to make confession. Officially, chidohyeong was ordered only to thieves or robbers and forbidden at the punishment of general crimes. However, nanjang was not done by the rules of enforcement and rather used as a means of namhyeong. In late Joseon, as judicial reform proceeded, they maintained interrogation procedures and abolished severe punishments. In particular, Yeongjo recognized there existed indictments in the process of questioning the prisoners with the way of forcing a confession through torture and got rid of torturing means such as apseul(壓膝), nakhyeong(烙刑), jeondojuroe(剪刀周牢), and nanjang(亂杖) from Uigeumbu(義禁府) and podocheong(捕盜廳). Like this, Yeongjo’s will about heumhyul (欽恤; dealing with the prisoners prudently) and achievements were noteworthy, but his subjects’ reform measures grounded on practical experience, too, influenced judicial reform significantly. Meanwhile, to understand the actual status of operating nanjang, Kim Seong- pal(金聲八)’s case and 「Podocheong Chuan(捕盜廳推案)」 of Eulhaeoksa(乙亥獄事) were analyzed. Nanjang was generally used as chidohyeong, but it was often abused for other purposes, too. Also, nanjang was a brutal punishment with which the prisoners lost their toes or even died; however, even under this punishment, many of them refused to admit their crime unexpectedly. In 1777(Yeongjo 46), Yeongjo having intention to abolish nanjang did finally get rid of it after pro-con debates with his subjects. But the thieves’ sudden rise never stopped, and Jeongjo tried the restoration of nanjang but failed to carry it out actually on account of the subjects against it. In the reign of Jeongjo, the gonjang(棍杖) system came to be maintained, and chidogon(治盜棍) became established replacing nanjang after a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