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蒙語老乞大』의 漢字表記語와 그 表音 양상

        차익종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0 No.2

        Mongŏ Nogŏltae[蒙語老乞大] is one of the famous trilogy for learning Mongolian[蒙學三書] published by Korean Sayŏgwon[司譯院] in the middle of 18c. Although much literature was produced on the trilog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26 kinds of loan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Mongŏ Nogŏltae. As these words are also transcribed in Hangul as well as in traditional Mongolian script, it may be worth paying attention in the study of Middle Korean, Mongolian, and further in Chinese phonology.By comparing them one another in phonological aspects, this study has found some facts as follow;(1) Most of the words are considered to correspond to middle Chinese and Middle Korean transcriptions.(2) Two are thought to be correspond to the earlier Chinese, with another two till unidentifiable about the period. The latter would possibly belong to the Chinese.(3) Some interesting transcription as ira (for Shin-la, 新羅), Čohan(for Chosun, 朝鮮) are worth further investigation.

      • KCI우수등재

        중세한국한자음 ‘ㅓ∼ㅔ’, ‘ㅕ∼ㅖ’ 형에 대하여 -遇攝 魚韻의 ‘ㅣ’ 덧남 변칙음을 중심으로-

        차익종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6

        이 연구는 중세한국한자음 중 음절말 ‘ㅣ’ 덧남이 생기는 양상과 원인을 遇攝 魚韻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중고 한어의 魚韻에 대응하는 중세한국한자음은 正齒2등 聲母字가 ‘ㅗ’ 형을, 그 밖의 경우는 ‘어, 여’ 형을 음절 유형으로 취하는 것이 정칙이지만, ‘ㅔ, ㅖ’ 형의 한자음이 변칙음으로 존재한다. 이제까지의 연구는 변칙음 ‘ㅔ, ㅖ’의 연원을 한어음의 음운변화 속 특정한 방언이나 특정한 층위 음의 반영으로 보는 접근법을 취해왔지만 아직 충분히 해명되지 않은 상태다. 이 연구는 중세한국한자음에서 ‘ㅕ’와 ‘ㅖ’, ‘ㅓ’와 ‘ㅔ’가 공존하는 변칙적 양상이 고유어의 양상과 매우 유사함을 찾아내고 그 공통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낸 점은 다음과 같다. ∎중세한국한자음과 고유어는 ‘ㅓ’와 ‘ㅕ’와 대응하는 ‘ㅣ’ 덧남형의 발생 양상이 평행적이다. 즉 ‘ㅔ’형은 극히 예외적인 반면에 ‘ㅖ’형은 상대적으로 빈도가 높다. 그중 초성(한자음에서는 聲母)이 설치음인 경우가 많고, 어두 자음 없이 on-glide ‘j’가 ‘ㅓ’에 선행하는 경우가 그 다음을 차지한다. ∎이는 음절핵에 선행하는 설치음과 on-glide라는 전설적 음소가 동화주가 되어 off-glide ‘j’를 덧나게 하는 순행동화를 일으킨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로써 국어 고유어와 한자어 모두에서 초성 및 on-glide의 전설적 특징이 공통으로 순행동화를 유도하였다고 풀이할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한자음 魚韻의 ‘ㅓ∼ㅔ’, ‘ㅔ∼ㅖ’ 형의 존재양상을 한국어 음운론의 틀 안에서도 설명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 KCI등재

        동국정운의 중성 배열 원리에 대하여 -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합용·상합의 관점에서 -

        차익종 ( Cha Ik-jong ) 국어학회 2014 국어학 Vol.70 No.-

        본고는 동국정운 91韻의 중성 배열을 훈민정음 해례본의 제자·합용·상합 원리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동국정운 중성의 배열이 등운도(等韻圖)의 등(等)이나 사호(四呼) 즉 ‘開齊合撮’ 개념에 따른 것으로 파악하였다. 사호는 동국정운에서 각각 한 운류(韻類)로 묶인 ‘ㅗ, ㅛ’, ‘ㅏ-ㅑ-ㅘ’, ‘ㅜ, ㅠ’, ‘ㅓ-ㅕ-ㅝ-ㆊ’ 의 내부 배열순서와 대응관계를 보인다. 그러나 ‘ㆍ, ㅡ ,ㅣ, ㆎ, ㅢ’가 한 운류로 묶인 것, 대표 중성의 배열순서(ㆍ, ㅚ, ㅐ, ㅖ, ㅟ, ㅗ, ㅏ, ㅜ, ㅓ)는 설명하기 어렵다. 특히 중국어의 음운변화에 따라 명말청초(明末淸初)에 정립된 사호 개념을 동국정운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본고는 동국정운의 중성 배열을 명료히 설명하는 방편으로 해례본 제자해와 중성해에 제시된 원리로 접근하는 역발상의 가설을 제기하였다. 동국 정운의 중성 배열을 관찰하면 해례본에 제시된 중성의 성격 및 층위와 잘 대응한다. 운류의 대표 중성은 천지인(ㆍ, ㅡ, ㅣ), 초출자(ㅗ, ㅏ, ㅜ, ㅓ), 초출자와 ㅣ의 상합자(ㅚ, ㅐ, ㅖ, ㅟ)와 대응하며, 그 배열은 ‘천지인 - ㅣ상합자(ㅚ, ㅐ, ㅖ, ㆌ) - 초출자’의 차례로 나온다. ㅣ상합자가 초출자보다 앞선 것은 천지인의 ‘인(人,ㅣ)이 참여한 것이기 때문이다. ‘ㅗ, ㅏ, ㅜ, ㅓ’는 陽(ㅗ,ㅏ), 陰(ㅜ,ㅓ)의 차례로서 이는 동국정운 종성의 ‘양(양성운) - 음(음성운)’ 순서와도 대응한다. 한편 운류의 내부 배열은 ①대표 중성, ②천지와 ㅣ의 합자, 재출자와 ㅣ의 합자, 재출자, ③초출자의 합자, ④2자 중성의 합자 등의 순서로 배열된다. ‘ㅏ, ㅑ, ㅝ, ㆊ’의 순서 역시 ‘대표 중성 - 재출 -초출의 합용 - 재출의 합용’의 순서로 설명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원리에 따른 중성 배열표를 제시하였다. Dongguk jeongun(東國正韻), the Rhyme book in 1447, was issued as a royal standard for Sino-Korean pronunciation. Compiled by King Sejong's deep understanding on Chinese phonology, though, its system did not simply follow Chinese equivalents such as Guangyun(廣韻) or Gujinyunhuijuyao(古今韻會擧要). but rather revealed some independent positions. One of these unique features was the arrangement of 91 rhymes or 26 rhyme groups, which are ordered by yang(陽) and yin (陰) of finals, and then 9 sets of vowels; (1)‘ㆍ, ㅡ, ㅣ, ㆎ, ㅢ’, (2)‘ㅚ’, (3)‘ㅐ, ㅙ’, (4)‘ㅟ, ㆌ’, (5)‘ㅖ, ㆋ’, (6)‘ㅗ, ㅛ’, (7)‘ㅏ, ㅑ, ㅘ’, (8)‘ㅜ, ㅠ’, (9) ‘ㅓ, ㅕ, ㅝ, ㆊ’. Some studies have tried to explain these features as adaptation of Chinese Rhyme Table, especially under the concept of ‘open mouth, even teeth, closed mouth, round mouth’ or ‘kaikou, qichi, hekou and cuokon hu(開齊合撮)’ This framework, however, cannot fully help to understand the order of the 26 groups or 9 sets of vowels, but, at best, can barely succeed in explaining the internal orders in ‘ㅗ, ㅛ’, ‘ㅜ, ㅠ’, ‘ㅓ, ㅕ, ㅝ, ㆊ’. This study explores the unique features with the theory of letter formation of Hangul as presented in Hunmin jeongeum Haerye(Explanation and Examples of Correct Sounds for the Instruction of the People, 訓民正音 解例). The texts on letter formation in Haerye provide each of 18 medials letters with graphemic ranks; Three Germinants(Heaven, Earth, and Man, ㆍ, ㅡ, ㅣ), First Advents(ㅗ, ㅏ, ㅜ, ㅓ), and Second Advents(ㅛ, ㅑ, ㅠ, ㅕ). The latter two ranks are produced by combination of three germinants. In the next section on vowels, Haerye explains how the following 11 medial letters are generated under the principles such as medials by combining of two kinds of advents(ㅘ, ㅝ, ㆇ, ㆊ)‘ and 'medials by combining of medials and ㅣ(ㆎ,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ㅖ, ㅙ, ㅞ, ㆈ, ㆋ). Through analyzing these 29 medials into 4 graphemic ranks, this study proposes the order of rhymes as follows. (1) key medials(ㆍ, ㅡ, ㅣ, ㅚ, ㅐ, ㅟ, ㅗ, ㅏ, ㅜ, ㅓ). As for three geminants or first advent, or medials of combination of first advent and ㅣ(Man), they deserve the first and principal positions. (2) the secondary medials(ㆎ, ㅢ, ㆌ, ㅖ, ㅛ, ㅑ, ㅠ, ㅕ). As their ranks are decided by combination of ‘Heaven/Earth and Man’, ‘Second Advent and Man’, and ‘Second Advent’, these medials are proceeded by the key medials. (3)(4) are combinations of First Advent(ㅘ, ㅝ) and those of two kinds of advents(ㅙ, ㆋ, ㆊ), following (1)-(2). The order of key medials 'ㅗ, ㅏ, ㅜ, ㅓ’ represents yang(ㅗ, ㅏ) and yin(ㅜ,ㅓ).

      • KCI등재

        《동국정운》복수음의 문헌 속 단일화 양상 -《고금운회거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차익종 ( Cha Ik-jong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7 No.-

        《동국정운》은 규범 한자음 체계이므로 이 운서에 영향을 준 모종의 ‘底本’으로서 중국의 운서가 존재할 것이고 그 저본은《고금운회거요》이리라는 시각이 이제까지 잔존해 왔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최근 연구들에서는《동국정운》이 모종의 규범음 체계를 그대로 수입하였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지적이 강하지만, 이에 대한 실증적 검증은 미진한 편이다. 이 연구는 운서《동국정운》속 한자들이 복수음을 취하는 경우가 많으면서도 실제 문헌에서는 단일한 음으로 주음되는 경향이 강하다는 지적에 착안하여, 실제 문헌음의 양상을 살펴본 후《고금운회거요》가 音과 字義 측면에서 이 문헌음들의 연원일 수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가 중고 한어 曾梗攝에 속하면서《동국정운》에서 복수음이 주음된 한자 중《월인석보》와《석보상절》등 15세기 문헌 7종에 쓰인 것들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총 72字가 추출되었고, 이들 중 64字가 하나의 음으로만 나타났다. 이들 64字가 문헌에 쓰인 의미는, 연원을 확실히 판별하기 어려운 경우(戚, 更 등)를 제외하면 모두《고금운회거요》보다는《광운》의 字釋과 잘 대응한다. 또 문헌 속에서 복수음을 취하는 8字(曾, 令, 興, 稱 등) 중에도《거요》字釋에서 직접 연원을 찾을 수 있는 것은 하나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처럼 문헌 속 한자음과《거요》의 연관성은 매우 희박한 반면에,《동국정운》속의 수많은 上同音들은《거요》속 다른 표제자들의 이체 정보 즉 ‘或作, 亦作’ 등을 수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적어도 曾梗攝 소속자의 경우《고금운회거요》가《동국정운》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은 수록자의 劃定과 관련된 범위 이상을 넘어서기 어렵다. 한자음의 관계를 운서의 영향관계 중 본연이라고 생각한다면, 수록자의 획정에 관계되었다는 점만으로 ‘底本’이라 개념화하기는 회의적이다. One of the still unfinished projects in Sino-Korean studies would be denoting the origin of the sound system of Dongguk jeongun(東國 正韻), the rhyme book in 1447. Although recent studies have strongly denied the probabilities that it simply followed or adapted Chinese equivalents, an expectation of 'direct models for Dongguk jeongun' has still rooted in the Sino-Korean studies. This study has revisited the relation between Dongguk jeongun style Sino-Korean(D-style) and Gujinyunhuijuyao(古今韻會擧要, Juyao) through a rather different frame; exploring how the multiple readings in the rhyme book of Dongguk jeongun are simplified in the actual 15th Korean literature that adapted D-style readings. By collecting and classifying all the 72 Chinese characters with multiple D-style readings that belonged to Zengshe (曾攝) and Gengshe (梗攝) in 7 books of 15th Korean, this study has found that most of simplified D-style readings do not match with semantic or grammatical meanings of those in Juyao. They coincide rather well with the readings in the earlier Chinese literature, such as Guangyun (廣韻) that was compiled far ahead of Juyao. This finding strongly implies that D-style readings have little, if any, to do with Juyao in sound system, and helps us deny that King Sejong and his scholars would have any direct model for their enterprise of standardizing the new Sino-Korean readings.

      • KCI등재

        이영보래(以影補來) 표기의 동기와 ㅭ종성 음절의 음운론적 성격에 대하여

        차익종 ( Cha Ik-jong )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1 인문학연구 Vol.0 No.61

        이 연구는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중 ‘ㅭ’, 이른바 이영보래(以影補來)의 동기와 ㅭ종성 음절의 음운론적 성격을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훈민정음 해례본과 언해본, 동국정운 서문, 사성통고 서문 등 중세 조선의 기록과 중국의 성운학 문헌 속 기록, 현대 성조언어학 연구를 탐구한 결과 15세기조선 운학가들이 인식한 입성이란 促急한 자질을 가리키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는 입성을 운미 분절음의 종류와 동일시했던 통념과 다른 결과로서, ‘ㄱ,ㄷ,ㅂ’종성 음절이 고유어에서는 平上去 세 가지 성조로 두루 나타나고 한어 입성이 한국 한자음에서는 거성과 같다는 훈민정음 해례의 기록은 성조에 대한 과학적 인식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고유어 관형사형 어미 ㄹ 및 ㅭ 표기 구성, 사이시옷의 ㆆ 표기를 두루 관찰한 결과 15세기의 ㆆ은 후두긴장 자질을 나타내는 기능을 하였다. 이영보래의 ㅭ은 ㄹ과 다를 뿐 아니라 ㄹ과 ㆆ의 연속 발음도 아니며, 후두긴장 자질이 더해진 ㄹ의 변이음이라는 성격을 지닌다. 특히 고유어 관형사형 어미의 ㅭ 표기에서는 후두긴장 자질을 설정하는 것이 폐쇄음과 마찰음을 모두 포함하는 경음화 현상을 기술하는 효과적 방법이 된다. The Donggukjeongun (1447) 東國正韻 corrected the ending 'ㄹ'(/-l/) in Sino-Korean uniformly to ㅭ, which was dubbed yǐyǐngbŭlăi (以影補來). Many scholars have agreed that this unique transcription was devised to restore the original entering tone. But why the compilers of Donggukjeongun did not choose ‘ㄷ’(t) rather than ㆆ'? Actually the well-known description in Hunminjeongeum Haerye admits that 'ㄷ' should be used for the position of Sino-Korean ending 'ㄹ'(/-l/). The effective answer would be that one of the principle of Donggukjeongun was to respect the traditional or vernacular Sino-Korean. The compilers would have tried to re-construct the tonal system while keeping the ending 'ㄹ'(/-l/) intact. Why not 'ㅪ'? If they wanted to preserve the vernacular ending, 'ㅪ' would be an option. There must have been, however, an inevitable reason here; they needed a mark or sign for the feature of entering tone. It is 'ㆆ' that could effectively have taken this function. In Korean phonology, the syllable endings '-p, -t, -k' carry with them the reinforcement process; plain obstruents alternate with reinforced ones after '-k, p, t'. Another reinforcement process occurs in position following the adnominal ending (-ㄹ). In 15th Korean, ㅭ is closely related with the latter process: (1) 反側□ 사□말 (2) 나고져 □ 사□□ (3) 求□ 싸□. These examples are considered to be the equivalents of reinforcement phenomena. The environment of the adnominal construction is accompanied by the use of 'ㆆ', where 'ㆆ' functions as reinforcement feature. The reinforcement feature of 'ㆆ' would be [+laryngeal], rather than the so-called 'glottal stop' as is frequently referred to. The reinforced fricatives (ㅆ, ㆅ in Middle Korean) do not have any feature of stop, since the auditory nature of fricatives do not hold the phase of stop. It needs to be reminded that every consonant has 3 parameters; places of articulation, manners of articulation, and the phonation types. The three parameters of 'ㆆ' would be glottis (place of articulation), stop (manner of articulation), and laryngeal tenseness (phonation type). The compilers of Donggukjeongun would have so effectively captured the feature of phonation type in 'ㆆ' from the adnominal construction of native Middle Korean, and proceeded to apply it to the form of yǐyǐngbŭlăi (以影補來) for their new standard Sino-Korean.

      • KCI등재

        개간법화경언해(改刊法華經諺解)의 한자음에 대하여

        차익종(Ik Jong Cha) 한국어학회 2015 한국어학 Vol.68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 Sino-Korean readings annotated in two books of ‘Gaegan Beophwa Gyeong Eonhae, 改刊法華經諺解(the Revised Edition of Korean Translation of Lotus Sutra, 1500)’, and has found out that the readings in these translations of Buddhist Scripture retain transitional nature between the ideal Dongguk jeongun(東國正韻) style and the vernacular readings in the end of 15th or the early 16th century. Although most of readings or writing system of Dongguk jeongun seem to be abolished in Gaegan Beophwa Gyeong Eonhae, initial /ŋ/(業母) and closed mouth medial(/w/) have been frequently observed. These findings imply that some of principles underlying Dongguk jeongun, the prescriptive Korean rhyme book by King Sejong, have strongly survived through the early 16th century. Alternation between ㄹ(l) and ㄴ(n) in the initial position of Sino-Korean words have also been ob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