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ine Mapping of the Rice Bph1 Gene, which Confers Resistance to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and Development of STS Markers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차영순,지현소,윤도원,안병옥,이명철,서석철,이준석,안억근,전용희,진일두,손재근,고희종,은무영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08 Molecules and cells Vol.26 No.2

        The brown planthopper (BPH) is a major insect pest in rice, and damages these plants by sucking phloem-sap and transmitting viral diseases. Many BPH resistance genes have been identified in indica varieties and wild rice accessions, but none has yet been cloned.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 fine mapping of the region containing the Bph1 locus, which enabled us to perform marker-aided selection (MAS). We used 273 F8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Cheongcheongbyeo, an indica type variety harboring Bph1 from Mudgo, and Hwayeongbyeo, a BPH susceptible japonica variety. By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using 656 random 10-mer primers, three RAPD markers (OPH09, OPA10 and OPA15) linked to Bph1 were identified and converted to SCAR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markers. These markers were found to be contained in two BAC clones derived from chromosome 12: OPH09 on OSJNBa0011B18, and both OPA10 and OPA15 on OSJNBa0040E10. By sequence analysis of ten additional BAC clones evenly distributed between OSJNBa0011B18 and OSJNBa0040E10, we developed 15 STS markers. Of these, pBPH4 and pBPH14 flanked Bph1 at distances of 0.2 cM and 0.8 cM, respectively. The STS markers pBPH9, pBPH19, pBPH20, and pBPH21 co-segregated with Bph1. These markers were shown to be very useful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in breeding populations of 32 F6 RILs from a cross between Andabyeo and IR71190, and 32 F5 RILs from a cross between Andabyeo and Suwon452.

      • KCI등재

        빙엔의 힐데가르트의 채색화 <사파이어 청색 인간>에 관한 고찰

        차영순,심종혁 서양미술사학회 2019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0 No.-

        In the early Gothic period, a Benedictine nun, St. Hildegard of Bingen, wrote books about her visios. The Scivias, one of her 3 major books, contains 36 miniatures describing visually her visios. Man in Sapphire Blue, from the 2nd chapter of Scivias Book II, was produced with colourful and splendid chromatic dyes of gold, silver and lapis-lazuli. It consists of blue background, two concentric circles in gold and silver and a blue human figure taking an ‘orans’ posture walking forwards if through the fictive space of the canvas towards the spectator. These 3 elements, representing the Holy Trinity, have a significant theological implication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Neo-Platonic ideas of Plotinus, such as the notion of the ‘One’ and ‘emanation’, are applied in this miniature. And we highlight that Hildegard’s use of blue color was a trigger allowing an important significant medieval transition of views on colours from an Augustinian to a Thomistic understanding, that is, a positive, emotional and sensorial treatment of colours, especially of blue. Finally, we also articulate,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that the Man in Sapphire Blue permits us to regard it as a sacramentum itself, not as an instrumental equipment for sacraments. 라인 지방의 예언가로 알려진 12세기의 베네딕도회 수녀, 빙엔의 힐데가르트는 자신이 경험한 환시들을 기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시의 여러 장면들을 설명하며 그림으로 표현한 책을 제작하였다. 3권의 대표작 중 하나인 쉬비아스에 수록된 <사파이어 청색 인간>은 도상학적으로나 신학적으로 의미심장한 내용을 지니고 있을 뿐 아니라, 그리스도교 미술사의 맥락에서도 독특한 특성을 지닌다. <사파이어 청색 인간>은 청색 바탕에 금과 은으로 채색된 두 개의 동심원과 그 중심에 청금석으로 재현된사파이어 청색의 인물로 구성되어 있다. 세 요소는 삼위일체, 즉 성부, 성자, 성령을 상징하며 3위격이한 화면에 동시에 표현되어 신학적 함의를 지닌다. 인간의 모습을 한 성자는 오란스의 자세를 취하고있으며, 화면으로부터 관자를 향해 걸어 나오는듯한 모습을 하고 있다. 도상학적 분석과 신학적 해석을 통하여 우리는 이 그림이 신플라톤주의의 개념, 즉 플로티누스의 일자와 유출 개념에 의거하여 구성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청색의 사용에 있어 기존의 개념들과는 달리 긍정적인 시각으로써 다루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는 시각적 즐거움을 받아들인 계기가 되며, 미술사학의 맥락에서 볼 때 중대한전환기적 입장을 보여준 것으로 비친다. 그리스도교 예술의 맥락에서 볼 때 과거의 엄격하고 영적인부분에 치중되었던 아우구스티누스의 철학과 시각이 중세의 고딕시기에 이르러 토마스 아퀴나스의 시각으로 이행되던 전환기의 것으로 해석된다. 공간성과 시각 등 도상학적 연구에 의하면 그리스도교의성화 <사파이어 청색 인간>은 해설적이거나 상징적 그림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관자로 하여금 삼위일체의 세계를 만나고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그 자체가 성사를 이루는 것이다.

      • KCI등재

        16 세기 이집트, 터키, 페르시아 카펫의 역사적 고찰

        차영순(Cha Young Soon),박성림(Park Sung Rim)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1

        카펫은 원시 시대로부터 오랜 세월동안 인류의 주거생활에서 실용적, 장식적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인간의 삶을 풍요롭게 해 주는 필수품 가운데 하나이다. 카펫은 각 나라와 지방, 마을과 가족단위로 다양한 제조 기술과 디자인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바 그 다양성은 오랜 세월을 거치며 전승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는 산업화를 통해 그러한 다양한 전통들이 계승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수요와 공급에 있어서 경쟁력 있는 섬유 문화산업의 한 축으로 굳건히 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카펫은 주로 중앙아시아, 스칸디나비아 반도 및 근동지방에서 사회, 경제, 문화, 역사, 종교, 예술 등의 제반 분야에서 그 가치와 다양한 상징적 의미를 지니는 역사적 문화유산의 산물로서 인간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발전해 왔다. 기계에 의한 대량 생산 방식이 지배적인 오늘날에도 숙련된 장인의 정성과 솜씨가 깃든 카펫은 여전히 카펫 문화권에서는 최고의 가치를 지닌 수공예품(手工藝品) 중 하나이며, 중앙아시아 제국은 물론 구미에 이르기까지 현대 주거 문화에 있어 주요한 인테리어 제품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오늘날 수직(手織) 카펫은 각국에서 전통과 문화의 맥을 계승하려는 노력과 함께 홈 인테리어의 관심과 수요의 급증으로 다시금 부흥의 기회를 맞이하고 있음을 국제적인 카펫 전시회나 박람회(ex. DOMO Tex, Heim Tex 등)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6세기 이전의 사료가 많이 남아 있지 않아 다양한 연구와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추정되는 카펫의 기원, 그리고 발전과정에 관한 사료가 풍성한 시점인 16세기 이집트, 터키, 페르시아 삼국의 화려하고 융성했던 카펫에 초점을 맞추어 역사적인 맥락을 고려하여 그 특성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아울러 카펫에 내재된 상징과 의미, 디자인적 특징과 역사적 고찰을 통해 서유럽으로의 전파 및 발전과정이 현대 카펫 산업에 끼친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국내외적으로 관련분야의 섬유 산업에 관한 비전과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Since the primitive times, carpets have been used for decorative and practical purposes in residential areas for a long time, enriching human life. Carpets have a variety of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design characteristics by country, region, or village and family. Carpet production skills have been handed down through several generations. These days,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it has been rapidly developed and settled in the textile and cultural industry. In Central Asia, Scandinavia or the Near East, carpets have been developed with a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life as a historical product with various symbolic meanings in the fields of society, economy, culture, history, religion and art of each age. Even today, although the mass production by the machines is prevalent, carpets with skilled craftsmanship and technology are still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ost valuable handicrafts, which are one of the indispensable factors of modern human life. In particular, with the current efforts to succeed tradition and culture, and with the increased interest and demand of home interiors, handcrafted carpets are seeking for the next Renaissance through a variety of international carpet fairs (ex. DOMO Tex, Heim Tex). In this study, we aimed to explore the origins and development process of carpets in many different aspects, where various researches and investigation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because of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records. In addi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carpets of Egypt, Turkey, and Persia in the 16th century, which boasted a splendid and brilliant culture, and examined their influence on the design, color, and pattern of the modern carpet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o present the clues for developing various textile materials and for the future textile industry.

      • KCI등재

        조선 후기 책거리자수병풍에 대한 연구

        차영순(Cha Young soon),김우경(Kim Wu kyo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조선후기 책거리 자수 병풍에 관한 것이다. 주요 연구 대상은 현존하는 유물 중 한국자수박물관 소장 책거리 자수 병풍을 중심으로 하였다. 특히 책거리 자수 병풍을 조선 후기의 책거리 그림과 비교함으로써 두 분야의 상호 영향 관계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한국자수박물관 소장 책거리 자수 병풍은 당대의 책거리 그림 병풍과 비슷한 형식과 내용을 가지고 있다. 책거리 그림은 중국의 영향을 크게 받았는데, 초기에는 궁중 화원들에 의해 그려진 책가도 형식이 발전했다. 이후에는 서가가 없는 나열형이 함께 제작되었다. 특히 책거리 자수 병풍은 나열형 책거리 그림과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어 그 연관성을 유추할 수 있다. 조선 후기의 초기작에서부터 조선 말기에 이르기까지, 국내에서 발견되는 대부분의 책거리 그림들이 비슷한 형태와 구도를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모방하여 그릴 수 있는 원본도판이 존재하였기 때문이다. 이것은 책거리 자수 병풍의 수본(繡本)이 책거리 그림의 모본(模本)과 관련이 있음을 알려주는 명확한 증거이다. 또한 책거리 자수 병풍은 형식, 구도나 내용 등에서 중국 자수청공도와 유사한 면이 있어 그로부터 이루어진 적잖은 영향을 추론할 수 있으므로 중국 자수청공도(刺繡淸供圖)는 책거리 그림 양식 중 나열형이 나오게 된 근거 중의 하나라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책거리 그림과 자수병풍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제작되었으며 회화 못지않은 예술성과 대중성을 확보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책거리 자수 병풍은 책거리 그림과 함께 궁중과 민간을 아우르는 한국적인 특성을 잘 표현해주는 작품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The Chaek-geo-ri embroidery folding screen collectioned at the Museum of Korean embroidery has similar form and contents of the other Chaek-geo-ri painting on the folding screen of the era. The Chaek-geo-ri paintings are produced by the court painters with the influence of Chinese paintings first as a Scholar’s accoutrements and then it goes through the courses to be painted as an listed type without having the bookshelf. The Chaek-geo-ri embroidery folding screen has the same form of the enumerated type of drawing. The Chaek-geo-ri paintings continued to take the similar form and composition thanks to their original references. This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broidery design of the Chaek-geo-ri embroidery folding screen and example of the Chaek-geo-ri painting. The Chaek-geo-ri embroidery folding screen heavily reflects Chinese influence as it has some similarity with the Chinese embroidery Qingontu in forms and compositions due to active trade with Qing dynasty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Chinese embroidery Qingongtu is one of the basis that the listed type is developed among the forms of Chaek-geo-ri painting. Therefore, the Chaek-geo-ri drawing and the embroidery were produced while influencing one another. Also, the Chaek-geo-ri embroidery folding screen is very meaningful that it expresses Korean character well by embracing the court and the civilians with the form of Chaek-geo-ri.

      • KCI등재

        구축적 조형소재로서 펠트의 융합가능성에 대한 연구

        차영순(Cha Young soon),안은선(An Eun-su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8 조형디자인연구 Vol.21 No.1

        오늘날 현대사회는 그 구조가 불명확하고 탈 경계적인 특성을 강하게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특성은 하나, 또는 주요 이상이나 이념에 구애 받는 사회가 아닌, 다양성과 상대성을 통해 자신의 의지와 생각을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는 사회를 웅변하고 있는 것이다. 즉, 우리의 시대는 모더니즘의 특징인 이성적 주체 개념의 틀을 벗어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는 문화, 예술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리하여 현대미술은 다양하고 복합적인 양상으로 급격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두드러진 현상으로 다원화를 통해 그 방향이 모색되고 있어 규정지어진 장르의 구분을 넘거나 혼합매체의 사용과 소재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써 작품을 표현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오브제의 조소성과 독립성이 강조되는 구체적 형태보다는 작품이 설치될 공간과의 상호작용 관계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져 설치미술의 장르가 부각되곤 한다. 이러한 설치미술은 여러 가지 소재로써 시도되었는데 그러한 특성을 잘 구현할 수 있는 섬유는 유연성, 촉감성, 가변성을 지니고 있는 소재로 각광받곤 한다. 섬유소재 중 펠트는 자연에서 나온 양모를 소재로 한다. 펠트는 모섬유의 특징인 축융성을 이용하고 있는바 수축과 팽창을 통해 발생하는 가소성으로 인해 다양한 변화를 유도하므로 양모문화권은 물론 비문화권에서도 사용이 넓게 확대되고 있다. 펠트는 일반 섬유로 된 직물과는 구조가 다르다. 펠트는 개별적인 실과 실의 교차를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압축에 의해 얻어지는 섬유의 얽힘으로 이루어진 매우 작은 섬유조각들이 서로 얽혀있는 소재이다. 그러므로 천편일률(千篇 -律)적으로 정해진 규칙이 있는 계통화, 위계화된 수직적 구조가 아닌 자유로운 형태의 수평적 구조로 프랑스의 철학자 질 들뢰즈(Gilles Deleuze)가 언급한 ‘반-직물(Anti-tissu)’의 성격을 지니며, 리좀(Rhizome)의 개념에 해당하는 흥미로운 소재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펠트소재의 가변적인 특성과 입체조형으로서의 전개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조형소재로서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대미술의 매체로써 섬유소재가 갖는 펠트의 재료적 특성에 따른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실현한 섬유조형사례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펠트의 특성 중 주목받지 못했던 가변성과 다른 소재와의 융합성을 살펴보았는데 이는 구축적 소재로서 펠트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해보았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oday’s modern society is a tendency to strongly emphasize unclear and demarcated characteristics. It is not a society that is subject to one and major ideal, but a society that can express people’s own will and thoughts freely through diversity and relativity. In other words, the contemporary era has moved beyond the framework of modernism, the concept of rational subject, which has been dominating modern trends of thought. These social changes hav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lture and art. And they have brought on dramatic changes in various and complex aspects which have been sought after through diversification. Work has been expressed beyond the categories of defined genres through use of mixed media and with new interpretation of materials. Therefore, rather than existence in a specific form, attempts of expansion of the form and interaction with the space in which the work would be installed, and it led to the genre of installation art. This installation has been attempted with various materials, especially fibers, which have been popular as elastic, tactile, and flexible materials. Among the textile material, felt is a wool material derived from nature and is used in regions of wool heritage as well as regions of non-wool heritage because it induces changes due to plasticity caused by shrinkage and expansion by utilizing the melting property which is the property of fiber. It is different in structure from a fabric made of ordinary fibers, and no individual yarns or crosses can be found at all, and there is only the entanglement of the fibers obtained by compression. It can be said that very small pieces of fiber are intertwined. It is not a vertical structure with hierarchical rules but a horizontal structure that is as described and can be said that It has an anti-tissue character and is the concept of Rhizome by combining fixed and flexible at the same time by the French philosopher Gilles Deleuze.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the possibilities of felt as a sculpting material by examining the transformable characteristics of felt and its development as a three dimensional sculpture. To this end, this study has examined the meaning of fiber materials by nature of felt as media of contemporary art and examples of fiber formations. In addition, it has studied felt’s flexibility which has not been highlighted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elt and its convergence with other materials, which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studied the new possibility of felt as a constructive materia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