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력향상중점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설명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분석

        차성현(車聖現),신혜숙(申惠淑),민병철(閔丙哲)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1 아시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학력향상중점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생 및 학교 특성 그리고 교육활동의 차이를 비교하고, 이들 학교간 학업성취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색하여 학력향상중점학교 운영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1차년도 자료에 포함된 서울 소재 38개 중학교, 995명의 학생을 표본으로 하여 2수준 다층모형(HLM)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초학력이나 가정환경이 불리한 학력향상중점학교 학생들이 일반학교에 비하여 영어 및 수학 교과에서 낮은 성취도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부 학력이나 가구 소득과 같은 학생 및 학교수준 투입변수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수준 과정 변수들 가운데 학업 효능감, 혼자 공부하는 시간, 방과후학교 참여여부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 효능감이 높을수록,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학생보다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학력향상중점학교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고, 자기주도적 학습 방법에 대해 지도하며, 기초학력미달 학생에 대한 낙인효과 방지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student and school factors that might explain difference i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cademic ability improvement-oriented schools’ with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for improving their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the other schools. For this purpose, we employ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using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0, for 38 middle schools and 995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in the academic ability improvement-oriented schools performed worse in mathematics and English than those in their counterparts. When student- and school-input variables were controlled for, the achievement gap between the academic ability improvement-oriented schools and the other school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suggests that the achievement gap between these two types of schools could be explained by student and school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father’s education level and family income. Among the process variables, academic efficacy, hours of self-directed learning,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were significant in explaining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academic ability improvement-oriented schools were made based on these findings; secure enough time and space for 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preventative plan to eliminate labeling effect of under-achieving students.

      • KCI등재

        인과매개모형을 적용한 학자금 지원 정책의 효과 분석

        차성현(Cha, Sung-Hyun),민병철(Min, Byeongcheol),김정은(Kim, Jeong Eun)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3

        연구는 국가장학금을 포함한 장학금 지원 정책이 대학생들의 학비 부담을 완화시킴으로써 학업 성취나 대학 적응 등의 대학교육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자료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7~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학생배경에 따른 선택편의 및 이전년도의 장학금 수혜 여부를 고려한 인과매개모형(causal mediation effect model)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장학금 도입 직후에는 장학금 수혜 여부에 따른 학점과 대학적응 효과가 크게 나타난 반면, 국가장학금의 지원 대상과 지원액 규모가 확대됨에 따라 한계 효과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장학금 수혜액, 장학금의 등록금 충당률이 학점과 대학적응에 미치는 효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연구는 국가장학금 등 학자금 지원 정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으로 장학금 지급 기준 소득 분위를 낮추고, 1인당 지급 기준액을 늘리는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financial aid policy including Korean national grants on college education outcomes such as GPA and adjustment to college. In doing so, the study utilized data of the 7th~9th year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applied a causal mediation effect model for statistical analyses. Findings showed that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financial aid policy on GPA and college adjustment were considerable in 2012, shortly after the national grant policy was introduced. However, the effect size gradually decreased as both scope of students eligible for national grants and the total amount of nation grants were expanded. Similar results showed in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mount of national grants that students received, the proportion of the financial aid money to the total tuition, and college education outcomes: The marginal effect of the financial aid was diminished as time went b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scope of eligible students should be narrow and the amount of grants per student should be increas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s financial aid policy.

      • KCI등재

        대학원 진학 결정의 영향요인 분석

        차성현,엄문영,민병철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2014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3 No.2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졸업자의 대학원 진학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KEEP)의 고등학교 코호트 자료를 활용하여 4년제 대학졸업자 423명을 대상으로 대학원 진학 여부에 따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포부 수준, 대학의 소재지, 전공 계열이 대학원 진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부모의 자녀에 대한 교육포부 수준이 대학원 이상인 경우에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3.6배, 수도권 대학졸업자가 비수도권 대학 졸업자에 비해 3배 정도 대학원에 진학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문·사회계열 전공 졸업자의 대학원 진학 가능성은 이공계열 졸업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학점과 같은 대학 생활변인, 실업률로 대표되는 경제상황 변인은 해외 연구 결과와 달리 우리나라 실정에서는 대학원 진학 결정에 유의미한 차이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 4-year college graduates' decision to go to graduate schools. The study conducted a serie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panel data of 423 college graduates, using the High School Student Cohort of the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The results showed that parent's aspiration for a graduate school, college location, and major were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entrance to graduate schools. College graduates who had parent's educational aspiration of a graduate level and who was graduated from college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tend to have 3.6 times and 3.0 times higher than their counterparts, respectively. In addition, college graduates who majored in liberal arts and social science was less likely to go to graduate schools than those in science and engineering. Finally, contrast to previous other country's research results, unemployment rate before college graduation and GPA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college graduates' decision to enter graduate schools in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중학생이 느끼는 행복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및 학교 특성 탐색

        차성현,김진미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udent and school characteristics that might affect th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used survey data drawn from 5,748 eighth grade students in 219 schools and employed 2-level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study found that the student characteristics that were most associated with happiness levels were self-efficacy, parental educational achievements, familial economic status,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peers. Importantly, student self-efficacy wa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that affected student happiness. Among school characteristics that made a difference in student happiness between schools,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s were school location, the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the number of students per teacher, and social-emotional learning programs. Major findings showed that student self-efficacy could be enhanced in several ways: through the active implementation of a ‘free semester system’, by improving a parent’s competence and attitude toward communicating with their children, and through social-emotional learning programs such as the newly introduced ‘happiness class’. 이 연구는 중학생이 느끼는 행복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과 학교 특성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중학교 219개교, 2학년 학생 5,748명의 설문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수준 다층모형(HLM)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수준 변수 중에서는 자아효능감, 부모학력, 가정의 경제생활수준, 부모와의 관계, 교우관계 등이 중학생들이 느끼는 행복감과 관련이 있었으며, 자아효능감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 변수 중에서는 학교소재지역, 학급당 학생수, 교사1인당 학생수, 사회성 및 감성 교육프로그램 실시 정도에 따라 학교간 학생들이 느끼는 행복 수준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자아효능감 증진을 위한 자유학기제의 활성화, 부모와 자녀의 긍정적 관계 형성을 위한 부모의 자녀교육 역량 강화, 사회성 및 감성 교육 확대를 위한 행복 수업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Restructuring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nd policy in Korea

        차성현 한국교육개발원 2013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Vol.10 No.-

        Raising children with good character has been a major goal for public education for the past 60 years in Korea. Contrary to their excellence in academic achievement, Korean students are at risk in their character development, including social and emotional skill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new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nd strategies to implement policies successfully. To do so, the paper examines historical contexts of character education and related policy, and previous concepts of character education. Then, the paper globally explores what key competencies are considered important in constructing the new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nd suggesting applicable policy strategies. A new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is proposed, consisting of three dimensions and six elements; social awareness and interpersonal skills in the social dimension, self-awareness and selfmanagement for the emotional dimension, and core value awareness and responsible decision-making for the ethical dimension. Finally, policy implications for the newly-defined character education are suggested, including competence-based curriculum reform, improvement of the teacher training system, strong partnerships among schools, families, and communities, and modification of high school and college admission systems, as well as the hiring system.

      • KCI등재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차성현(Cha, Sung-Hyun),주휘정(Chu, Hui-jung) 韓國敎育財政經濟學會 2010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9 No.3

        본 연구는 2년제 이상의 대학 졸업자들을 대상으로 직무에 대한 교육 및 기술 불일치가 임금, 직무 만족, 그리고 이직 의도 등의 노동시장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고용정보원의 2007 대졸자 직업이동경로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교육 불일치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기 술 불일치에 초점을 맞추어 교육 불일치의 노동시장 결과에 대한 영향력에 대해 기술 불일치가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 째, 4년제 대학졸업자는 2년제 대학졸업자에 비해 약 19% 정도의 임금프리 미엄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임금, 직무 만족에 대해 과잉교육과 과잉기술은 모두 부적인 영향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직 의도에 대해서는 임금, 직무 만족, 노동시장 변수에 관계없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 불일치 변수를 통제하였을 때, 과잉교육 이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대해 미치는 영향력은 모두 감소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는 임금, 직무 만족, 이직 의도에 대한 과잉교육의 영향력이 일정 부분 과잉기술에 의해 설명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규 대졸자 의 교육과 직무의 일치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대학교육과 신규 대졸자를 위 한 노동시장의 유연화 방안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new college graduates' job match on labor market outcomes. Analyzing 2007 Graduate Occupation Mobility Survey I (GOMS1) data, we kept focus on skill match, which scholars interested in education and job match have paid little attention and we investigated how much skill mismatch would explain the impact of education on labor market outcomes. The result of the study suggested as followings; first, four year college graduates earned 19% more than two year ones did. The years of education in college engendered a sizable wage gap which give explanation for current zeal for transfer from two to four year university in Korea; second, both overeducation and overskill had negative effect on wage,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but the less educated and skilled graduates did not reveal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and; third, controlling for skill match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education and overskill, it was found that overskill explained the effect of overeducation on wage, job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leave up to 31.76%, 26%, 44.8% respectively.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discussed job education in college, matching college education with social and economic needs, flexibility in labor market for new college gradu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