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유아교육기관 실내 공간이 갖추어야 할 특성에 대한 고찰 - 2010년 이후 건축 및 유아교육분야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차기주(Cha, Ki-Joo),장정윤(Chang, Jung-Yoon),안서희(Ahn, Seo-Hee)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6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esirable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ECE) settings are expected to have. For the purpos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published since 2010 in the fields of architectu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pectively. A total of 28 articles, which satisfied the selection criteria, were reviewed, and in the process, desirable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and categorized, which finally converged into 11 domains: Suitability, Amenity, Safety, Flexibility, Individuality Supportability, Self-esteem Supportability, Aesthetic, Dynamicity, Comfortibility, Connectivity, and Mobility Supportability. Among these characteristics, spaces that support self-esteem, promote interactions among users and between indoor and outdoor environments, and are multi-functional were the most emphasized across the two disciplines in common. The two disciplines differed in terms of relative emphasis on some of the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on Comfortability, Mobility Supportability, and Dynamic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hat it identified the essential desirable characteristics of ECE interior spaces in both of the architectur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provides the basis for future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ECE interior settings to better support young children‘s development.

      • KCI등재

        미국 유아교육과 보육 서비스의 역사 및 유형이 국내에 주는 시사점에 관한 연구

        차기주(Cha, Ki-Joo),박은혜(Park, Eun-Hy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미국 유아교육과 보육 서비스의 유형과 구조적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현구조 형성에 영향을 미친 미국 내 유아교육과 보육의 발생 배경 및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관련 문헌 검토를 통해 미국은 전통적 가치관으로 인해 유아교육과 보육에 대한 공영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부의 개입이 늦어지는 과정에서 다양한 보육중심 민영 서비스들이 먼저 자리를 잡았고, 이후 저소득층을 위한 연방정부의 복지 프로그램과 ‘교육 및 학습 준비도’에 초점을 둔 공립 서비스들이 차례로 등장하면서 현재의 분리된 체계에 이르렀음을 알 수 있었다. 미국은 다른 OECD 국가에 비해 유아교육과 보육 제공을 위한 공적 지출이 적어 양육자의 비용부담이 상당하고, 재정지원 프로그램들도 연방 · 주정부로 분리된 채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제공됨으로써 행 · 재정상의 비효율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었다. 미국 내에서 유아교육과 보육 서비스의 개선을 위해 공공성 강화를 위한 공적 지출 규모 및 공영 서비스의 확대와 일원화된 행 · 재정 체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국내 유아교육과 보육시스템 개선에 제공하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ypes and major problems of public and privat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ECEC) in the United States. Also, this study examines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ECEC that have influenced the current landscape of the U.S. ECEC structures, as well as implications for South Korea. Relevant literature revealed that due to traditional values, the U.S. government did not intervene in providing public ECEC services quite late until the mid 1960s. Meanwhile, a variety of private services had grown and taken hold of the sector, which was followed by the provision of public welfare and early education services for low-income families. These beginnings of different kinds of public and private ECEC services have led to current fragmented ECEC system in the U.S. The U.S. private sector’s larger share in the total ECEC funding, compared to other OECD countries, has also caused enormous financial burden on parents. In addition, administration and financing of the services have also been deemed inefficient due to various channels of provision at the levels of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in the U.S. Thus, expanding public expenditure to strengthen the ECEC publicness and unifying the fragmented administrative and financing systems have been proposed in order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system in the U.S. The implications of the U.S. case are discussed with respect to ways to enhance ECEC sector’s structural efficiency in South Korea.

      • KCI등재

        형식교육 입학 연령과 개인의 성취 간 관련성에 대한 고찰

        차기주(Cha, Kijoo)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1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6 No.1

        본 연구는 국내 유아교육 및 초등입학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형식교육 입학 시 개인의 월령과 이후 학업 및 소득 등 다양한 개인의 성취 간 관련성에 대해 검증한 2010년 이후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기준을 충족한 최종 총 36편의 문헌(국내 2편, 해외 34편)을 분석한 결과 첫째, 학업·인지적 측면에서 형식교육 입학 당시 월령이 높음에서 오는 긍정적 효과는 초등학교 시기 동안 뚜렷하게 나타났고 중학교 시기부터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사회·정서적 발달에 있어 빠른 출생월의 긍정적 영향력 역시 초등교육 동안 뚜렷하게 나타났고, 중등교육 시기 동안에 그 영향력이 감소되었으나 지속되는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경제적·기타 측면은 검증 연구 수가 상대적으로 현저히 적었으며, 빠른 출생월의 유효한 영향력을 지지하는 연구와 지지하지 않는 연구의 수가 비슷한 정도로 나타났다. 개인의 성별, 사회경제적 배경 등 사회인구학적 요인에 따른 출생월의 차별적 영향력을 보고하는 연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었다. 문헌고찰의 결과 및 형식교육을 만 6세 이전에 시작하고 있는 미국, 잉글랜드, 호주의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유아교육 및 초등입학제도의 대안 및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review domestic and overseas studies during the past ten years that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impact of individuals’ birth months on later life outcomes (e.g.,educational attainment, income, etc.), which was to look for policy implications for domestic early childhood and primary education system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and cognitive benefits of a higher age at the start of formal schooling were pretty evident during primary school years, gradually decreasing through secondary education. Next, benefits in terms of socio-emotional development were also quite apparent for elementary school years, showing the declining but persisting effects until high school years. Finally, the number of studies examining economic and other advantages was markedly smaller than that of the other two domains, with similar numbers of studies supporting the valid and invalid effects of school starting ages respectively. Additionally, studies have reported differential effects of individuals’ birth months at school entry as a function of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sex,socioeconomic status, etc.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to look for alternatives to the current policies regarding pre-primary and primary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social phenomena and debates within the U.S., England, and Australia, which are the nations starting formal schooling before the age of six.

      • KCI등재

        영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영아발달 간의 관계

        차기주(Cha, Ki-Joo),김민정(Kim, Min-Jeong),정미라(Chung, Mi-Ra)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6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99

        본 연구는 영아기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어머니의 부모역할스트레스, 영아발달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부모역할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어머니와 영아 83쌍이다. 변인 간 종단적 관계 분석을 위해 영아의 월령이 3개월과 24개월이 되는 시점에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어머니의 부모역할스트레스, 영아발달에 대한 정보를 각각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 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Baron and Kenny(1986)가 제시한 분석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4개월 어머니의 부모역할스트레스를 예측하는 것은 동시점인 24개월 아버지의 양육참여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부모역할스트레스의 매개효과는 24개월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부모역할스트레스를 통제하자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영아발달을 독립적으로 예측하지 않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영아기 어머니의 부모역할스트레스를 낮추는데 있어서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갖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한편, 어머니의 부모역할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동시점의 아버지 양육참여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고, 영아기 초기와 후기 발달에 대한 아버지 양육참여 및 어머니 부모역할스트레스의 영향력이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근거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relationships among paternal involvement, maternal parenting role stress, and infant development an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role stress between paternal involvement and infant development. Participants were eighty three mother-infant dyads. To examine longitudin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relevant information was collected at 3 and 24 months of age through parental questionnaires and developmental screening tests respectively.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mediating effect was tested by following four steps recommended by Baron and Kenny (1986). Mai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aternal involvement at 24 months predicted the maternal parenting role stress at 24 months concurrently: paternal involvement at 3 months did not longitudinally predict maternal parenting role stress at 24 months. Second, maternal parenting role stres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involvement in parenting and infant development at 24 months – mediation was not found at 3 month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degrees of reduction in maternal parenting role stress by paternal involvement in parenting may differ depending on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s. Suggestions for future work and ways to encourage fathers’ involvement in parenting were discussed.

      • KCI등재

        어포던스 이론이 유아교육기관 놀이환경 구성에 주는 시사점

        차기주 ( Cha Ki-joo ),최지은 ( Choi Jieu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3 유아교육연구 Vol.43 No.3

        공간은 ‘제3의 교사’라 칭해질 만큼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유아의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실내외 공간과 놀잇감을 포괄하는 물리적 환경으로서의 유아교육기관 환경을 어포던스 이론 및 개념과 관련지어 분석한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고 그 결과가 유아교육기관 환경 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어포던스의 개념과 하위 유형들을 살펴보고, 이어서 유아교육기관 실내외 공간 및 놀잇감으로 구분하여 어포던스 관련 연구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관련 연구들에 대한 포괄적 논의를 바탕으로 어포던스 개념이 유아교육기관 물리적 환경 구성에 주는 시사점으로 1) 빈 공간의 힘: 넓고 개방적이며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된 실외 공간의 제공, 2) 즉각적 피드백 제공과 실패의 허용: 실외 자연과의 접근성 제고, 3) 직관의 힘: 저절로 이해되고 사용할 수 있는 실내 환경으로 구성, 4) 창의적·발산적 사고의 자극: 개방적 놀잇감 및 다양한 유형의 놀잇감 제공, 5) 모험과 절제 사이: 조절력을 함양하는 역동적이고 도전적인 환경 제공의 5가지를 도출하고,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hrase “environment as the third teacher” well reveals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young children’s sound growth and development. Children, as the agents of their own development, actively explore and experience the surrounding world while utilizing their senses and physically interacting with th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ncept of affordance as 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that supports or elicits human behaviors. In this context,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environment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affordance-related domestic and oversees studies, which encompass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play materials that influence children's play.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concepts and subtypes of affordances were examined, which was followed by an investigation of studies categorized by indoor and outdoor spaces and play materials respectivel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Based on the review of relevant studies, five implications to construct bette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environments were derived and discussed, which are: 1) the power of empty space: environments composed of wide, open, and diverse areas, 2) immediate feedback and embracing failure: more frequent access to natural environment, 3) the power of intuition: intuitive and user-friendly indoor environments, 4) stimulating creative and divergent thinking: environments that provide open-ended and diverse types of play materials, and 5) between adventure and restraint: dynamic and challenging environments that allow for free exploration. Finally,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유아의 인지적 실행기능과 모의 상호작용 양상 및 특성 간 관계

        차기주 ( Ki Joo Cha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5 유아교육연구 Vol.35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maternal interaction behaviors during a mother-child joint puzzle activity and preschool-ag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s. Eighty mother-child dyads were recruited from 10 preschools located in Seoul. Mother-child interactions during the puzzle activity were videotaped and the first 610 seconds of 78 dyads’ interactions were analyzed: two dyads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due to data loss from technical problems. The frequencies of maternal cognitive scaffolding, emotional scaffolding, and directive and controlling behaviors during the interactions were coded and the overall maternal autonomy support was rated based on a 5-point likert scale. Latent Profile Analysis of maternal interaction behaviors revealed two profiles groups: one characterized by higher levels of directive/controlling behaviors and lower levels of autonomy supportive behaviors; the other lower levels of directive/controlling behaviors and higher levels of autonomy supportive behaviors. Regression analyses using the profile group (a dummy variable) as a predictor variable showed that children of the autonomy supportive profile group display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s on working memory and attention shifting tasks than those of the directive/controlling profile group. Also, in regression analyses using maternal interaction behaviors as predictor variables, the higher rating of maternal autonomy support and the higher frequency of cognitive scaffolding behaviors during the puzzle activity were found to predict higher levels of children’s attention shifting and working memory respectively, even when controlling for child’s age. Maternal directive/controlling behaviors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working memory. The study findings reinforce the importance of mothers’ providing cognitive stimulations in ways that support children’s autonomy in order to promote their executive functions. 본 연구는 유아의 인지적 실행기능과 모의 상호작용 행동 특성들 간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 유치원 10곳에서 모집된 총 78쌍의 어머니와 유아들 (만 4∼5세)을 대상으로 약 10분 동안의 퍼즐 활동을 관찰하고 모의 인지적 비계설정, 정서적 지원 행동, 지시/통제적인 행동의 빈도수 및 종합적 자율성 지원 척도를 기록하였다. 그결과 모의 상호작용 특성에 따라 자율성 지원적 집단과 통제적 집단의 두 잠재계층이 나타났으며, 두 집단의 유아들은 실험과제를 통해 측정된 인지적 실행기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모의 상호작용 하위특성(독립변인)과 유아의 인지적 실행기능(종속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본 회귀분석에서 모의 인지적 비계설정과 자율성 지원적 행동 특성은 유아의 실행기능을 정적으로 예측했고, 모의 지시적이고 통제적인 행동특성은 유아의 실행기능을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인생 초기 가장 중요한 환경자극의 하나로서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인지적 실행기능 발달에 유의미하게 기여함을 시사하는 것으로, 유아에 대한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지원을 특징으로 하는 자율성 지원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는 결과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미국 유아교육과 보육 종사인력의 자격과 학력에 관한 연구

        차기주(Cha Kijoo),박은혜(Park Eunhye)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1

        우리나라는 유아교육과 보육의 이원화로 인해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자격 및 학력 수준과 양성체계가 상이한데, 이러한 차이는 교원 전문성 격차로 이어져 영유아기부터 발달 및 학습의 출발선 평등을 저해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유아교육과 보육이 이원화되어 있는 미국의 영유아 교원의 자격과 학력체계 및 현황을 살펴보고, 전문성 신장을 위해 미국 내에서 시행된 정책사례 및 방향성을 검토함으로써 국내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관련문헌의 검토 결과, 미국은 영유아 교육보육 프로그램이 매우 다양하고 각 주와 기관마다 임용을 위한 자격과 학력 기준이 상이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사립보다는 공립 프로그램이 주교사에게 요구하는 자격/학력 기준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 주정부 공인 영유아기 교사자격증은 학교급이 아닌 연령범위에 따라 발급되고 있었고 공인 및 민간 자격증 모두 3~5년을 주기로 갱신토록 하고 있었는데 갱신조건에 현직교육 참여가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미국의 사례들은 우리나라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들의 전문성 제고를 위해 학력기준을 상향조정하게 된다면 2-4년제 대학 간 연계를 통해 편입학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2년제 대학에서 일반학사 과정 개설을 확대하며, 편입 시 사전학습학점 제도를 통해 이수학점의 일부를 면제하고, 상위학위 취득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 등을 고려해볼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In Korea, due to the split systems between early childhood(EC) “education” and “care,” the required educational attainments and qualifications have differed between teachers of preschools and child care centers. These gaps likely leads to differences in process quality in classrooms, which suggests educational inequality from the early years of life. To address this problem,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qualifications and educational attainments of EC workforce in the United States, which has also split EC systems both at the federal and state levels, and its recent efforts to reform relevant systems to strengthen expertise among the workforce. While EC teachers’ qualifications and levels of education have varied depending on the settings, sources of funding, and regions even within the same states in the U.S., the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have taken initiatives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workforce by setting higher standards (e.g., bachelor’s degree) first for public programs, such as public pre-K and Head Start, and by requiring in-service teachers to participate in professional development in order to renew their credentials every three to five years. Other efforts that state governments have made to improve the EC workforce’s educational attainments are as follows: a) aligning and coordinating curricula between two- and four-year institutions; b) expanding a bachelor’s degree program in two-year colleges; c) implementing the Credits for Prior Learning system; and d) providing financial incentives and scholarships. The implications of the U.S. case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rofessionalism of EC teachers in Korea.

      • KCI등재

        부모의 성취압력이 아동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혜진(Hyejin Kim),차기주(Kijoo Ch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성취압력이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그릿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CE)의 한국아동패널의 11차년도(2018) 데이터(N=1,262)를 활용하였다. 주요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전 기술 통계치 및 Pearson상관계수를 점검하고 Process Macro 모델 1, 4, 7번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매개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아동의 삶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삶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그릿은 부모의 성취압력을 조절하여 아동의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삶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아동의 그릿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의 성취압력이 아동 스트레스로 미치는 영향이 줄어드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높은 삶의 만족도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아동의 학업 스트레스를 줄이고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의 성취압력을 줄이고 아동의 그릿을 증진시킬 수 있어야 한다. Objectiv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Methods In pursuit of this aim, the research employed the data from the 11th wave (2018) of the Korean Children Panel Stud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KICCE), with a sample size of N=1,262. To ascerta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in variables, preliminar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examined. Mediation effects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were tested using the Process Macro programs 1, 4, and 7. Results Firstly, the direct effect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n children's life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non-significant. However,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was observed, mediated by children's academic stress, in-dicating an indirec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Secondly, children's grit was identified as a significant moderator, mitigating the impact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n children's stress and exerting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higher levels of children's grit were associated with a diminished conditional in-direct effect of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n children's stress, ultimately leading to elevated levels of child-ren's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o mitigate children's academic stress and enhance their life satisfaction, it is imperative to mitigate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foster children's grit.

      • 유아교육기관 실내 공간이 갖추어야 할 특성에 대한 문헌 고찰 - 2010년 이후 건축 및 유아교육분야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안서희(Ahn, Seo-Hee),차기주(Cha, Ki-Joo),장정윤(Chang, Jung-Yoon)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1 No.1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ECE) settings are expected to have. For the purpose,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s published since 2010 in the fields of architectu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pectively. A total of 27 articles, which satisfied the selection criteria, were included in the review, and characteristics were extracted and categorized, which finally converged into 11 domains: Suitability, Amenity, Safety, Flexibility, Individuality, Supporting Self-esteem, Aesthetic, Dynamicity, Comfort, Connectivity, and Mobil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in that it identifie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s for ECE settings from both the architectur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