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버어리종 잎담배 건조 환경 개선을 위한 건조실 개발 (I. 건조기간중의 미기상 변화)

        차광호,장수원,양진철,오경환,신승구,조천준,Cha, Kwang-Ho,Jang, Soo-Won,Yang, Jin-Chul,Oh, Kyoung-Hwan,Shin, Seung-Ku,Jo, Chun-Joon 한국연초학회 2007 한국연초학회지 Vol.29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curing condition on microclimate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during curing process of burley tobacco leaves. The developed facility, ridge opening type was designed to open the central top roof. The air-cured variety, (N. tabacum cv KB111) was normally grown at the Eumseong tobacco experimental station in 2007. Mean daily temperature of $3^{\circ}C$ in ridge opening type curing facility was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whereas mean daily relative humidity of 12.6 % RH was lower in conventional curing facility for the entire stage of curing.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optimal air temperature at daytime was higher 37.5 % in ridge opening type curing facility than that of conventional, while that of optimal relative humidity was lower 8.2 %. In the ridge opening type curing facility, the excessive drying leaves were low, however the price per kilogram was high.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new developed curing facility may be applied to improved microclimate inside the curing facility for curing burley.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인용『향전(鄕傳)』과『수이전(殊異傳)』의 관련성 검토

        차광호 ( Kwang Ho Cha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7

        『鄕傳』은 신라를 배경으로 한 설화적 특징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三國遺事』의 성격과 가장 부합되는 典據 중 하나라고 평가 될 수 있다. 그러나 書名의 모호성 등으로 인하여 그에 대한 정확한 실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 글에서는『三國遺事』찬술자의『鄕傳』인용태도에 주목해 그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新羅古傳』,『鄕諺』,『古本殊異傳』,『鄕中古傳』,『古傳』이란 명칭들이『鄕傳』과 동의어적 입장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살필수 있었다. 그런데 이들 동의어들은 ‘新羅’와 ‘古傳’이라는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성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鄕傳』보다는『新羅古傳』이 그러한 개념성을 보다 직접적으로 표현해주는 전거명이라 할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鄕傳』이『古本殊異傳』이란 명칭으로도 언급되고 있다는 점인데,『殊異傳』은 구체적인 書名을 지칭하는 용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 책은 신라시대에 찬술되었지만, 이후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개찬된 설화집으로 이해되고 있는데,『三國遺事』에서는『殊異傳』이란 서명 대신『古本殊異傳』이나『新羅異傳』이란 명칭을 사용하였다. 여기에서의 ‘古本’이나 ‘新羅’라는 표현은 고려시대의 개찬본과 구분하기 위해서 찬자가 부여한 명칭으로 신라시대를 시공간적 배경으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殊異傳은 ‘傳’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古傳』이란 용어와 竝稱될 수 있는 개연성을 갖는다. 따라서『古本殊異傳』은『鄕傳』과 그 동의어적 표현들이 갖고 있는 ‘新羅’와 ‘古傳’이라는 개념을 동시에 충족시켜줄 수 있는 명칭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三國遺事』에서『鄕傳』과 그 동의어들이 ‘新羅’와 ‘古傳’이라는 개념적 성격을 공유하고 있고, 아울러 또 다른 동의어라 할 수 있는『古本殊異傳』역시 그러한 점을 충족하고 있다면『鄕傳』은 신라시대에 찬술된『殊異傳』을 지칭하는 용어일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古傳』이란 명칭은『鄕傳』외의 다른 조목에서도 사용되고 있기에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일부의 예외적 경우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殊異傳』을 지칭하는 표현으로서 사용되었음을 살필 수 있었다. 결국『三國遺事』에 인용된『鄕傳』이『殊異傳』을 지칭하는 것이라면,『三國遺事』에 수용된『殊異傳』의 내용과 의미는 보다 확장적으로 이해될 필요성을 갖는다. 그리고 두 서적의 이러한 관계는『三國遺事』의 史書的 성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원본이 유실된『殊異傳』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점들을 새롭게 시사해 줄 수 있을 것이다. Hyangjeon is an important reference book of Samguk-yusa. The book contains the tales of the Silla period, but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its accurate and true nature.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its true nature by focusing on the attitudes that the author of Samguk-yusa took when citing i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various names used to convey the same meaning as Hyangjeon in Samguk-yusa such as Sillagojeon, GobonSuijeon, Hyangjunggojeon, and Gojeon. The materials titled Sillagojeon, Hyangjunggojeon, or Gojeon all connote the "old records of the Silla period." GobonSuijeon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Suijeon is a term for certain book titles. It was a book of tales made during the Silla period, but its transmission has not continued up to today. Hyangjeon is considered as an expression to refer to Suijeon published during the Silla period in that materials titled Hyangjeon, Sillagojeon, Hyangjunggojeon, or Gojeon mean the "old records of Silla period" and that Hyangjeon was designated as GobonSuijeon.

      • 『삼국유사(三國遺事)』 "기이(紀異)편"의 저술의도와 고구려 인식

        차광호 ( Kwang Ho Cha ) 단국사학회 2009 史學志 Vol.41 No.-

        삼국유사는 한국사에 있어 중요한 사서중 하나이지만 저자, 저술목적, 저술시기 등 그 서지정보가 모호하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여러 문제 중 `저술목적` 에 관심을 두었고, 그러한 측면에서 삼국유사가 그 구성에 있어 기이편을 강조하고 있음에 주목하였는데 다음과 같다. 첫째, 삼국유사는 9개의 편목 중에서 기이편을 그 시작으로 하고 있고, 둘째, 기이 편의 분량이 전체 편목 중에서 가장 많고, 셋째, 전체 서문이 없는 삼국유사에서 유독 기이편에만 서문에 해당하는 서(敍)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 글은 삼국유사 기이편의 `서(敍)` 에 저자의 저술의 도가 담겨 있다고 보았으며, `서(敍)` 를 분석한 결과, 삼국의 시조가 대업을 이루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성징표, 그리고 출생에 있어서의 나타나는 신이함을 강조하고 하는 저자의 저술의도가 담겨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저술의도를 갖고 삼국유사 기이편의 `삼국의 시조` 관련 조목들을 분석하였는데, 그 중에서 저자의 저술의도를 가장 잘 반영하고 있는 것이 `고구려` 조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욱이 저자는 복선과 서스팬스적 서사기법을 사용하며, `고조선`, `북부여`, `동부여`, `고구려` 로 이어지는 조목을 편성하였는데, 그러한 문장적 기교 역시 `고구려` 조목을 부각시키기 위한 저자의 의도가 투영된 것 이었다. 결국 삼국유사 기이 편에서 저자는 `삼국의 시조` 중에서도 `고구려의 시조`를 강조하고자 하였고, 그러한 역사관을 글에 반영하기 위해 다양한 문장적 기교를 활용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삼국유사 기이편에 이러한 고구려 인식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신라사ㆍ불교사 중심적으로만 이해하고 있는 삼국유사의 저술배경에 있어 많은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took interest in the literary design. Especially, I examined the literary design for Chapter Kiyi(紀異) of 『Samgukyusa(三國遺事) 』 among 9 chapters. I found that only article about Koguryo(高句麗), satisfies author s literary design. Especially, the author used underplot and suspensive description to emphasize on the article about Koguryo(高句麗) .In this point, I realized that the author s intention was reflected largely on Chapter Kiyi(紀異) of 『Samgukyusa(三國遺事)』

      • 해상 실크로드를 통한 한,중 해상 교류 ; 고려(高麗)와 중국 남동해안지역과의 해상교류를 통해 본 11세기 황해 해로 변경

        차광호 ( Kwang Ho Cha ) 한국문명교류연구소 2011 문명교류연구 Vol.2 No.-

        The civilizational exchang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has been enacted actively in the Middle ages. So, the Groyeo that had strong openness and marine characteristic may have also joined this stream of the world. But the investigation into the fact is difficult because of the limits of the literatures remained. But this article grappled the substitution which could reveal the reality of the marine interchanges of the Koryeo. And then, it took note at the relics which were relevant to the name of ``Koryeo`` in the marine cities of Southeastern China. These are the important basis which could prove the interchanges of the both sides, considering that there are places, relics, products, and family names which have the name of ``Koryeo`` in the marine cities of Southeastern China such as Ch`uanChou(泉州) and Nyinpou(寧波). In addition, the Chinese merchants of Ch`uanChou and Fuzhou-near the relics with ``Koryeo``-caught the participation in the diplomatic relations as well as the trades between Koryeo and Song dynasty.

      • 준비된 여행자 최부의 표류경험과 자아의식의 확대

        차광호 ( Kwang Ho Cha ) 한국문명교류연구소 2011 문명교류연구 Vol.2 No.-

        That Choi Boo(崔溥) of the writer of PyoHaeRok(漂海錄) took part in compilation of Dongguk Tonggam(東國通鑑) and Dongguk Yeoji Seoungram(東國輿地勝覽) before his drift is very crucial, when his drift of China and the PyoHaeRok are understood. His historical and geographical knowledge come from the participation of publishing the two historical books which were representative books of history and geography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was a great help in the situation of the hard and real drift, and could be also the key-source for the smooth repatriate, his being different from other general drifters. Meanwhile, this paper pays attention to the point that his experience of the drift in China gave what kind of change to the consciousness of Choi Boo. As a result, it got to know the change of his consciousness through the drift. The most significant thing in this change of his consciousness is that his ``Sinocentrism(Lesser Chinese)`` has changed into ``Joseoncentrism``.

      • KCI등재

        『三國遺事』에서의 猒髑 순교 설화 수용에 대한 검토

        차광호(Cha, Kwang-ho)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5 역사문화연구 Vol.55 No.-

        법흥왕대 염촉의 순교 이후 그에 대한 추모사업이 지속되었는데, 이러한 과정 속에서 다양한 전승 자료가 출현하였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각 전승 자료가 본질적으로는 ‘염촉의 순교를 통해서 법흥왕의 불교 공인이 이루어졌다’는 주제를 전달하면서도 법흥왕의 역할과 의미에 대한 기술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추모와 전승의 주체가 갖고 있는 각각의 입장 차이에서 기인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본고에서는 바로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고려 후기까지 염촉 설화의 전승 양상을 살피고 이에 대한『삼국유사』의 수용태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계림잡전』을 인용한『삼국사기』나『해동고승전』에서의 법흥왕은 유약한 군주로서 묘사되고 있는데 비해,「촉향분례불결사문」을 주인용한『삼국유사』에서는 권위 있고 능동적인 군주로 기술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더욱이 일연은 법흥왕을 아도와 같은 聖人의 위치에서 이해하고 있는데, 이는 한국 불교의 수용과 전개에 있어서 국왕의 역할을 강조하고자 하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원종흥법염촉멸신’조목이 포함된「흥법」편의 중심 기조와도 연관성을 갖는다. The martyrdom of Yomchok that took place during the reign of King Bop-hung was an important event that led to the recognition of Buddhism propagation at the national level. The projects of commemorating and honoring his martyrdom thus continued on, which trend was even inherited by Goryeo. This paper presents a review of Yomchok's martyrdom episodes found in the historical books of Goryeo. What is important here i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depiction of roles of King Bop-hung and Yomchok, situations, and backgrounds among the historical books while they all essentially reported that "Yomchok's martyrdom resulted in the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in Shilla" through Yomchok's episodes. While Samguksagi and Haedong Kosung Chon described King Bop-hung as a passive figure and Yomchok as a leading figure in the Yomchok episodes, Samgukyusa depicted both of them as leading characters and called them "saints." Those differences in description derive from the publication purposes of historical books. While Samguksagi and Haedong Kosung Chon did not place importance on the roles of king i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Buddhism, Samgukyusa, which was published to heighten the authority of king, highly appreciated the roles and meanings of King Bop-hung in the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in Shilla.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 에서의 『국사(國史)』 인용 형태와 그 의미

        차광호 ( Cha Kwang-ho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6 嶺南學 Vol.0 No.30

        본 논문에서는 『삼국유사』 인용된 『국사』 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해 찬자의 인식이 반영되었을 것으로 보이는 서술 형태상의 특징에 주목해 논의를 전개하였다. 그 결과 『삼국유사』 에서 『국사』 는 그 서명이 단독으로 제시되는 경우 외에도 「本記」ㆍ「史傳」ㆍ「史臣」의 형태로 기술되고 있음을 살필 수 있었다. 이들 세 용어들은 같은 조목에서 『국사』 와 함께 사용되며, 그 동의어내지종속적 개념으로 활용되었다. 한편 『국사』 가 언급되지 않거나 관련성이 없는 조목에서도 「本記」ㆍ「史傳」ㆍ「史臣」의 표현 방식이 언급되고 있는데, 『가락국기』 에 편제된 것으로 추정되는 ‘금관성파사석탑’조의 「本記」와 「本國本記」 를 제외하면 모두 『국사』 에 포함될 개연성이 크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표현 방식 중에서 「史臣」의 형태로 기술되는 내용의 경우는 『삼국사기』 의 사론 부분과 거의 일치되고 있는 반면, 『국사』 또는 「本記」 라고 전거명이 언급되는 내용은 다소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점은 『삼국유사』 찬술자의 『국사』 에 대한 인식을 살피는데 있어서 중요한 점이 아닐 수 없다. 특히 고려시대에는 이규보의 경우에서와 같이 『구삼국사』 와 『삼국사기』 를 모두 『국사』 라고 통합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을 주지하면 『삼국유사』 에서도 이러한 인식이 어느 정도 답습되지 않았을까 한다. 다만 찬술자는 두 사서를 모두 인용하는 입장에서 혼동을 피하기 위해 최소한의 집필기준을 설정하였음을 추정해 볼 수 있는데, 「本記」ㆍ 「史傳」ㆍ 「史臣」이라는 표현에는 바로 그러한 점이 반영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true nature of Guksa quoted inSamgukyusa by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on styles where the perceptions of authors must have been reflected. The findings show that the title of Guksa was mentioned in its own in Samgukyusa but that Guksa was also mentioned in different names including Bongi, Sajeon, and Sasin in it. Those three names were even used in items where Guksa was not quoted, and those cases had something to do with Guksa, in most cases except for Bongi, quoted in Tapsang volume. When the content was examine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ontent quoted from Guksa and Bongi between Samgukyusa and SamGuksagi and that the content quoted in Sasin was very similar between them. In Goryeo, there were some figures that had an integrated perception of Guksa for Gusamguksa and Samguksagi, including Lee Kyu-bo, which suggests that the perception must have been adopted in Samgukyusa, as well. It is estimated that they must have set a minimum set of writing criteria to prevent confusion among those who quoted and consulted both of them, which is reflected in the terms Bongi, Sajeon, and Sasin. Although it is rather difficult to reach a definitive conclusion, it is likely that the quotes termed in Guksa or Bongi must have been based on the consultation of Gusamguksa and other history boo ks rather than Samguksagi and those terms in Sasin must have found their sources in Samguksagi.

      • 연구논문 : 『열하일기(熱河日記)』를 통해 본 연행(燕行)에서의 천출(賤出)들의 역할과 의미

        차광호 ( Kwang Ho Cha ) 한국문명교류연구소 2009 문명교류연구 Vol.1 No.-

        이 글은 『열하일기』에 나타난 마부나 하인 같은 천출들의 활동에 주목하여, 그들의 역사적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열하일기』에 투영된 당시 지식인들의 연행관을 분석하였는데, 천하 장관에 대한 유람적 성격, 조선중화주의적 사고로 인한 소극적 성격, 이용후생의 체험에 대한 기대감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연행관들은 연행이 주는 현실성을 고려하지 못한 관념성이 강한 것들이었다. 따라서 기득권 계층들의 연행을 대하는 태도는 현실과의 괴리감이 컸다. 반면에 천출들은 상전들에 비해 연행에 대한 관념적 기대치가 크지 않았다. 이것은 연행이 천출들의 생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그들이 생각하는 연행관은 현실적인 것이었기에,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로 연행에 임할 수 있었다. 특히 오랜 연행경험에서 닦여진 천출들의 삶의 기술은 자신들의 이해관계뿐만 아니라, 조선사신단이 연행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여기에 비해 권위의식이나 도학적 태도를 고집하는 조선의 지배층들은 연행의 현실성을 이해하지 못하고 무능한 모습을 보이게 된다. 이처럼 자신들과 비교되는 상전들의 실망스러운 모습들은 천출들이 스스로의 존재가치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의식의 변화는 연행담이라는 이야기를 통해 조선사회의 내부로 전해지며, 기층들의 의식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기도 하였다. This thesis aimed to pay attention to activities of humble people like a horsekeeper(馬夫) or a servant appeared in 『Yeolha-ilgi(熱河日記)』 and to seek its epochal and historical meanings. Humble people(賤出) had low ideological anticipation on Yeonhaeng(燕行: Visiting China`s Beijing as an Envoy), compared to their masters. It was because the Yeonhaeng(燕行) was directly linked to their livelihood and existence. Accordingly, the Yeonhaeng(燕行) they thought was a realistic thing, so they could face Yeonhaeng(燕行) more actively and positively. Especially, the technique in life of humble people obtained from experience of long Yeonhaeng(燕行) became not only their interest. but also driving force that they could easily perform Yeonhaeng(燕行) activities of the Joseon(朝鮮) envoy group. They showed keen knowledge on the space called the Yeonhaeng Road(燕行路) and proper ability that could be commonly used here. so they could keep a sense of their own presence. The authoritative ruling class of Joseon(朝鮮) shows incapable shape because they couldn`t properly understand the realistic space called Yeonhaeng(燕行). compared to this. The disappointing shape of their masters that is compared to them influenced humble people. who received contemptuous treatment socially, to recognize their own presence values positively. This consciousness was delivered to the Joseon(朝鮮) society through a story called Yeonhaengdam(燕行談), and it had influence on the consciousness of the ruled class as one part of common people`s popular culture at the tim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