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진창호,황금택 한국식품과학회 2015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4 No.5
Identification of lettuce phenylalanine ammonia-lyase (PAL) inhibitors, and evaluation of activities were performed. The structure of lettuce PAL was predicted based on template-based protein structure prediction followed by molecular dynamic simulation. Molecular docking was conducted with 1,465 ligands against lettuce PAL. Glycyrrhetic acid derivatives, carotenoids, curcuminoids, sesamin, and sesamolin were determined to be potent lettuce PAL inhibitors. Curcumin was selected due to its high solubility in aqueous ethanol. Lettuce slices were soaked in a 0.1 mg/mL (w/v) curcumin solution for 1 h, followed by 24 h storage at 20℃. The accumulated chlorogenic acid content was lower in lettuce treated with curcumin than in a control group. Curcumin is a potent PAL inhibitor to be used as an anti-browning agent. Thus, in silico virtual screening can be applied for identification of biomaterials for food preservation.
6-SIGMA를 활용한 '경희대학교 공간대여 서비스'의 이용률 및 만족도 향상 방안
진창호,장재원,홍순범 한국품질경영학회 2019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본 연구는 6-Sigma의 DAMIC 방법론을 통해, 경희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의 장소대여 서비스의 이용률과 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경희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Customer로 선정하여 고객중심의 관점으로, DAMIC 단계 별 다양한 요인 분석 및 개선 기법을 사용하여 품질(만족도)저하의 요인을 탐색하였다. 탐색결과 본 서비스의 품질 저하 요인 중 가장 큰 요인으로 도출된, ‘예약 총 소요 시간’을 Project Y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전체 프로세스 중 예약에 관련된 부분을 drill down하여 세부적으로 분류한 후, 현 수준 파악을 위해 예약 소요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후 품질(이용률 및 만족도)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적용한 후, 동일한 방식으로 예약 소요시간을 측정하여, 개선방안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Sigma Level : 1.02 → 3.06) 연구결과 예약 시스템의 복잡성을 줄여 예약 소요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학생들의 만족도와 이용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개선 전·후의 예약 소요시간과 만족도의 차이 결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복지에 대한 만족도의 향상뿐만 아니라, 해당 장소의 공간 활용률을 증가시켜 학교 측의 저품질 비용(COPQ)과 기타 비용을 감소시키는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VOC와 VOB를 고려하여 고객 중심으로부터 시작한 본 연구는, 고객의 목소리를 듣고 반영하는 것이 얼마나 유의미한 결과를 이끌 수 있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