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inrich von Kleist 의 " Michael Kohlhaas " 에 나타난 시간적 공간

        진일상 한국괴테학회 1997 괴테연구 Vol.9 No.1

        Die bisherigen Untersuchungen zu dieser Erza¨hlung zeigen, wie verschieden der Charakter der Hauptfigur beurteilt werden kann. Ebenso kompliziert ist die zeitliche Ebene der Geschichte, in der sich die Figuren bewegen. Die Erza¨hlung gru¨ndet auf der historischen Geschichte des Hans Kohlhase, die vom fiktiven Chronisten in Kleists Zeit berichtet wird. In dieser Abhandlung wird versucht, die zeitliche Ebene unter historischem Aspekt zu beleuchten, anders formuliert, danach zu fragen, wann eigentlich Michael Kohlhaas lebte. Dafu¨r werden die drei Elemente betrachtet, die Kohlhaas mit seiner Zeit verbinden, na¨mlich die Fehde, das Luther-Bild und die zwei Staaten, Sachsen und Brandenburg. Zum ersten Punkt, der Fehde, la¨ßt sick feststellen, daß Michael Kohlhaas den Regeln der Fehde in gewisser Hinsicht folgt, doch mit der Verfolgung auf den Junker u¨berschreitet er die Grenze der Fehde. Ob er als Bauer - er besitzt einen Maierhaf in Brandenburg - die Waffen u¨berhaupt ergreifen darf, obwohl die Bauern durch den Ewigen Landfrieden la¨ngst entwaffnet worden sind, wirft ein kritisches Licht auf seinen Kampf. Besonders auffa¨llig ist seine Kampffu¨hrung. Die Kampfzu¨ge erinneren an den Guerilla-Krieg, der in Kleists Zeiten die preußischen Reformer faszinierte. Genauso fremd ist das Bild Luthers. Luther ist in dieser Erza¨hlung das einzige authentisches Element, das die Geschichte mit der Chronik verknu¨pft. Anders als historische Luther, zeigt sich Kleists Theologe als ein Vermittler zwischen Kohlhaas und Sachsen. Im Dialog mit Kohlhaas repra¨sentiert er die Ansicht des Staats, daß außerhalb des Staats keine Form von menschlicher Gesellschaft existiert. Dies widerspricht dem historsichen Luther, der die weltliche Ordnung als eine Gott untergeordnete versteht. Die Zweistaatlichkeit, die erst in der zweiten Fassung konzipiert worden ist, ermo¨glicht ein harmonisches Ende der Erza¨hlung. Im Verglich zu dem sa¨chsischen Kurfu¨rsten, der zwar menschlich wirkt, aber kein Souverra¨n ist, greift der brandenburgische Kurfu¨rst als eine gerechte Rechtsinstanz in die Auseinandersetzung ein. Damit, daß er den tu¨chtigen Stadthauptmann selbst ins Amt beruft, entsteht das moderne Beamtentum. Aus dieser Betrachtungen ist zu erschließen, daß die Erzahlung viele Elemente aus Kleists Zeit in sick hat. Dies ist wiederum ein Zeichen dafu¨r, daß sich der Autor nicht von seiner eigenen Zeit distanziert.

      • KCI등재
      • KCI등재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문학과 사회규범

        진일상 한국독일어문학회 2000 독일어문학 Vol.12 No.-

        Heinrich von Kleist ist ein Dichter. der fu¨r seine Nachwelt noch im Dunkeln bleibt. Seine nicht allzu vielen Briefe. die uns u¨berliefert sind. erkla¨ren sein Leben und seine dichterische Welt auch nicht eindeutig. Gerade diese Tatsache macht es auch schwierig. seine Werke aus seiner Zeit heraus zu verstehen. In dieser Studie wird die Frage gestellt, wie die Gesellschaft in den Erza¨hlungen zu verstehen ist. Um diese Frage zu beantworten, werden das Recht und die Konventionen in den Erza¨hlungen im Vergleich mit dem preuβischen Recht untersucht. Das Recht ist schlieβlich die kleinste Darstellungsform der menschlichen Gesellschaft. Dafur werden die vier Erza¨hlungen analysiert. in denen verschiedene Formen der Gesellschaft dargestellt werden und viele verschiedene gerichtliche Akte vorkommen. die die zwischenmenschlichen Beziehungen bestimmen oder vera¨ndern. na¨mlich: Das Erdbeben in Chili. Die Marquise von O..., Michael Kohlhaas und Der Findling. Aus der Betrachtung ergibt sich. dass das Recht in den Erza¨hlungen nicht dem preuβischen Rechtssystem entspricht und teilweise sogar stark davon abweicht. Die kirchliche Gerichtsbarkeit im 「Erdbeben」 und im 「Findling」 . und die rechtlichen Akte des Grafen F. zeigen deutlich. dass das Bild der erdichteten Gesellschaft nicht der Gesellschaft zur Zeit Kleists entspricht. Aber das Gemeinsame daran ist, dass das Recht in den Erza¨hlungen als schon gegebenes dargestellt ist. Dessen Herkunft und die rechtliche Entwicklung werden nicht erwa¨hnt. Die Figuren mit freien Gefuhlen haben Konflikte mit dem bestehenden Rechtsystem, und manchmal werden sie dabei sein Opfer. Aber trotz des mehrfachen Zweifels an den Ordungen. das in den Erza¨hlungen ausgesprochen wird. bleibt das Rechtsystem weiterhin bestehen.

      • KCI등재

        루드비히 티크의 『루넨베르크』- 낭만주의의 자아형성 -

        진일상 한국헤세학회 2013 헤세연구 Vol.30 No.-

        Der Runenberg von Ludwig Tieck soll nach einer Besprechung mit dem norwegischen Naturwissenschaftler Henrick Steffens in einer Nacht geschrieben worden sein. Es ght darin um das Schicksal des jungen Jägers Christians, der zum Schluss seine Familie im Elend zurücklässt und in den alten Schacht geht. Je nach Standpunkt wurde dieser Abgang entweder als Himmelfahrt oder als Höllenfahrt interpretiert. Die bisherige Forschung hat dabei Christian als Individuum wenig Beachtung geschenkt. In dieser Untersuchung wird versucht, seinen Lebensweg als Reaktion oder Antwort auf die unruhige Zeit zu interpretieren, in der das Ideal der Ich-Bildung ein einprägender Begriff der Aufklärung war. Anders als Wilhelm Meister, der erfolgreich in die bürgerliche Gesellschaft eingegliedert wird, scheitert Christian jedoch, sich im Dorf als ein tüchtiger Bürger niederzulassen. Was ihn fortbewegt, ist sein inneres Verlangen nach einer neuen Welt. Und durch das ästhetische Erlebnis in einem geheimen Berg, verheißungsvoll Runenberg genannt, entdeckt er eine neue Welt und seine Lebensbestimmung. Doch um sich seiner Bestimmung bewusst und sicher zu sein, muss er wieder in die bürgerliche Gesellschaft zurückkehren, zu der der Runenberg einen Gegenpol bildet. Da ihm sein Glück im Dorf aber vergänglich und sinnlos erscheint, verlässt er am Ende seine Familie und geht in das Erdinnere. Das alte Minenwerk war in der Zeit Tiecks ein beliebtes Ziel für eine Bildungsreise, als ein Symbol für das Reich der Wahrheit. Daher ist es nicht überraschend, dass Christian am Schluss nur mit einem Sack voll Kieselsteine im Dorf erscheint. Ihm erscheinen die Steine als noch nicht geschliffene Edelsteine, die ihren Wert verborgen halten, wo wie die Wahrheit nach der romantischen Denkweise in der Natur und Kunst verborgen sei. „Kunst und Natur sind aber beide, richtig verstanden, in der Poesie wie in den Künsten, nur ein und dasselbe.“ heißt es in der Einleitung des Märchens aus dem >>Phantasus<<. An dem vom Erzähler als unglücklich und wahnsinnig bezeichneten Christian zeigt sich die Krise des romantischen Künstlers. Auch Tieck äußert sich in einem Brief Joseph Berglingers über die Spannung zwischen dem tätigen Leben und der Kunst wie folgt: „Die Kunst ist eine verführerische, verbotene Frucht; wer einmal ihren innersten, süßesten Saft geschmeckt hat, der ist unwiederbringlich verloren für die tätige lebendige Welt.“ Das Schicksal Christians folgt allerdings wieder dem romantischen Weg einer Ich-Bildung, die nicht abgeschlossen werden kann.

      • KCI등재

        테오도어 폰타네, 마틸데 뫼링 – 빌헬름 시대의 시민사회와 ‘교양’

        진일상 한국독어독문학회 2022 獨逸文學 Vol.63 No.2

        Fontanes Roman Mathilde Möhring wurde wegen seines fragmentarischen Charakters lange Zeit von der Forschung außer acht gelassen. Die Arbeiten zum Text richteten sich auf die Charakteranalyse der Protagonistin aus dem Kleinbürgertum, die mit Ehrgeiz und Berechnung nach sozialem Aufstieg strebt. Diese Studie zielt darauf, aus dem Text die Gesellschaftskritik Fontanes heauszulesen, und zwar im Hinblick auf seine Kritik am sogenannten Bildungsbürgertum und an der ‘Bildung’ im Wilhelminischen Zeitalter. „Manche sind fürs Gebildete.“, lässt der Autor die alte Möhring sagen. Im Text wird viel über die Gebildeten gesprochen, und die Personen verhalten sich, als ob sie gebildet seien und legen viel Wert auf Bildung. Aber ‘Bildung’ im Wilhelminischen Zeitalter verliert ihren humanistischen Wert und wird praktiziert nur als Distinktion des Bürgertums. Schillers Werke werden gespielt und gelesen, doch die klassische Idee, durch die ästhetische Bildung die Menschheit und die Gesellschaft moralisch verbessern zu können, hat keiner im Sinn. Hugo, der hier ein Bildungbürger sein könnte, ist nur ein Dilettant und Träumer. Sein ästhtetischer Sinn verträgt sich nicht mit dem bürgerlichen Leben. Nur seine Abneigung gegen das Hässliche, das die einäugige Zugehfrau Runtschen vertritt, gibt ihm die Tatkraft, im bürgerlichen Leben Fuß zu fassen. Mit Hilfe von Mathilde scheint er den Weg eines Bildungbürgers einzuschlagen. Doch er kann das bürgerliche Leben nicht lange aushalten. Bildung bedeutet für die kluge aber verarmte Mathilde das Lernen und das Erwerben von Informationen, was ihr zum sozialen Aufstieg verhelfen soll. Für sie ist Bildung ein Mittel dazu, sich den anderen Nachbarn gegenüber überlegen zu fühlen und sich mit den oberen Schichten identifizieren zu können. Mit dem plötzlichen Tod Hugos kommt sie erst zum Nachdenken über das Natürliche und das Schöne der Menschen. Anstatt nochmals eine Ehe einzugehen, bildet sie sich als Mathilde Grossmann zur Lehrerin aus. Die Kritik an der Bildung seiner Zeit und an der dabei fehlenden Menschlichkeit werden in Fontanes Briefen mehrmals erwähnt. Der Gesellschaftsroman Mathilde Möhring gewinnt seinen literarischen Wert als ein Zeitporträt der bürgerlichen Bildung. 폰타네의 소설 『마틸데 뫼링』은 오랜 기간 미완성 유고작이라는 수식어와 함께 연구자들의 관심 밖에 머물러 있었다. 이 글은 남성과 여성의 성 역할에 대한 이분법적인 시각에서 마틸데의 인물 분석에 치중되어온 연구 방향에서 벗어나, 베를린 시민사회의 ‘교양 Bildung’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인 시선을 읽어내고자 한다. 19세기 후반 산업화와 더불어 경제력을 갖추지 못한 시민 계층에게 교양은 주도적인 가치가 되지만, 고전적인 교양의 이상은 현실사회에서 도전받는 가치가 되었다. 이 소설의 인물은 모두 교양있는 척하거나 교양을 말한다. 그러나 자아 형성, 전인적인 교양 또는 문화 예술을 통한 인격의 고양을 지향하는 쉴러의 고전적인 교양 이념은 퇴색된 채, 시민계급의 사교 문화에 머무른다. 교양은 계층 간에 문화적인 차이와 우월감을 드러내는 방편, 또는 시민계급이 사회적인 지위를 얻기 위한 교육의 의미로 축소된다. 교양 시민을 대표할 수 있는 후고의 미적 취향은 현실사회와 유리되어 있고, 미적 감각의 이면에는 도시 하층민인 룬첸으로 대표되는 추함에 대한 혐오감이 자리한다. 영리한 마틸데에게 교양은 다른 소시민과 자신을 구분하고, 신분 상승을 위한 학습과 정보 습득이라는 맥락에서 사용된다. ‘교양’은 소설에서 항상 언급되고 각 인물에 의해 다양하게 해석된다. 그리고 그 의미의 다양성 안에는 세기말 베를린 시민사회의 변동 과정에서 상실되어가는 독일적인 가치에 대한 작가의 비판적인 시선과 우려가 투영된다. 폰타네는 고전적 교양의 이상이 사라지고 그 의미가 출세를 위한 학습 과정으로 협소화되어 통용되는 현실을 강하게 비판하는데, 이 소설에서 사회비판은 시민사회의 교양에 대한 비판으로 수렴된다.

      • 인문학 학문후속세대의 지위 안정을 위한 정책개발

        진일상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08 인문정책연구총서 Vol.- No.2

        현 정부의 5대 국정지표 중 하나는 인재대국이다 이런 거시적인 방향설정 하에 교육과학기술부는 고등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 우수인력 양성대학 교육역량 강화 사업 외 해외 석학 초빙 등 다양한 방안을 내놓고 있다. 우리 사회의 각 분야는 유능한 인재들을 필요로 하고 있고 교과부는 고급 인재를 길러내기 위한 방편으로 파격적인 재정적인 지원을 하면서까지 해외 석학들을 초빙하고자 한다. 반면 이미 국내외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고급 인력의 활용은 전적으로 시장의 기능에 맡겨져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고등교육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비정규교수이다. 특히 인문학 분야의 박사학위자들은 대학에서는 비정규교수(속칭 시간강사)로 학술진흥재단에서는 학문후속세대라는 이름으로 신분적인 불안과 열악한 연구 환경 속에서 고군분투하고 있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끊임없이 논의되어 온 비정규 교수의 문제를 기초학문의 한 부분인 인문학 분야에 한정시켜 살펴보았다. 이 보고서는 통계자료 및 설문조사를 통해 인문학 분야의 학문후속세대의 불안정한 신분과 열악한 연구 환경에 대한 실태와 현황을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각 대안에 대한 전문가 대상 설문 조사를 통해 정책적인 제언을 도출하였다. 조사 결과, 대학에서 시간당 강의를 하는 비정규교수는 신분상 법적인 근거가 불분명하며 대학기관은 학칙으로 위촉 및 해촉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었다. 시간당 강의료 또한 학교마다 기준이 없으며 시간당 강의료는 전임교원의 임금과 최대 8배까지 차이가 났다. 특히 인문학 분야는 타 학문계열에 비해 강의 전담 비율이 높고, 대학 이외 타 기관으로의 진출가능성이 협소하여 대학기관에서의 적체 현상도 심했다. 이는 연령별 분포에서도 설명되는데 40세 이하의 신진연구자 층은 매우 얇았고, 초임 평균연령이 타 학문계열에 비해 높았다. 기초학문분야의 연구 지원을 담당하는 학술진흥재단의 연구비 지원 상황을 살펴보면 인문학 분야는 타 학문 계열에 비해 압도적으로 신청 건수가 많았고 선정율은 상대적으로 저조했다. 인문학 전공 박사학위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내용을 타학문계열과비교한 결과에는 대학 내 적체현상과 대학기관 이외에 사회진출 가능성이 부재한 인문학 박사학위자의 열악한 상황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었다. 학진 연구비에 의존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강의료에 의한 수입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강의 관련 질문에서 자신의 세부전공과 무관한 강좌를 해본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경제적인 불안정으로 인해 강의 준비에 전념할 수 없는 정도 또한 심했다. 인문학 계열의 전공자들은 정규교원이 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회의적이었고 강사제도에 대해서도 상대적으로 훨씬 더 부정적이었다. 강사제도는 제도 운용상의 모순과 불공정 문제뿐만 아니라 이들이 고등교육의 상당 부분을 떠맡고 있으며 또한 미래의 학문후속세대에 미치는 영향 또한 크다는 점에서 시급하게 시정되어야 할 사안이다. 강사 제도 운용상의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과 그 우선순위를 제시하기 위해다음과 같은 대안들을 도출하였다. 1.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한 교원지위 부여 2. 4대 보험의 혜택 보장 3. 겸임/대우/초빙/강의전담교수 등의 비정규직교원제도 운용상의 정비 4. 교원확보율(겸임/대우/초빙 교수 3명이 교원1명) 산정 방식의 재고 5. 교재비 및 성적평가비용을 포함한 강의료 현실화 6. 연구 및 학생지도의 공간마련 7. 1년 단위의 계약형태로의 전환 8. 시간강사 명칭 개선 9. 강사의 경력인정 10. 강의개발 및 학생지도 등 학사운영참여기회 부여 11. 박사양성 시스템의 질적 제고 12. 학문분야별 박사수급의 조절 13. 전임교원채용제도의 투명화 14. 인문사회분야 연구비 지원대상의 확대 및 지원금규모 확대 15. 출판문화산업 등에서 인문학 전공인력 수요창출 16. 인문학 강좌의 확산을 통한 외부수요창출17. 중등교원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회 부여 18. 공공기관에서의 인문학박사학위자 채용 19. 인문학 전공자의 창업지원제도가 그 대안들이었다. 총 19가지의 대안에 대해 관련 전문가 및 이해당사자를 대상으로 각대안의 필요성 효과 실현가능성 면에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응답결과 문제 해결을 위한 각 방안의 필요성 정도에 대해서는 응답자 대다수가 공감을 하고 있었다. 그 효과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실현가능성 면에서는 상대적으로 회의적이었다. 필요성과 효과성의 정도가 동시에 가장 높은 방안으로는 4대 보험의 혜택 보장(2)과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한 교원지위부여(1) 교재비 및 성적평가비용을 포함한 강의료 현실화(5)로 나타났다 이 세 가지 방안은 지금 논의되고 있는 가장 핵심적인 방안이면서 동시에 각 이해당사자의 의견대립이 첨예화되고 있는 방안들이기도 하다 이 세 가지 방안 중 실현 가능성이 높은 것은 4대 보험의 혜택 보장(2) 교재비 및 성적평가비용을 포함한 강의료 현실화(5)였다 반면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한 교원지위부여(1)에 대해서는 그 필요성과 효과 면에서는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모든 방안들 중 필요성과 실현가능성의 격차가 가장 심한 방안으로 나타났다 즉 강사에 교원지위를 부여하는 방안은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하고 효과도 높으나 실현되기가 매우 힘든 방안이라는 의식이 팽배했다. 그러나 필요성, 효과, 실현가능성 면에서 우선순위로 꼽힌 4대 보험 보장(2)이 실현되려면 그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현행법상대학에서 시간단위 강의를 맡고 있는 비정규교수들은 의료보험과 연금보험과 관련해서는 지역보험 가입자로 분류되고 있으며 소득세법상으로는 일용직이 아닌 갑종근로소득세 부과의 대상이 된다. (박인우 2008) 소득세법과 사회복지 혜택 상의 불일치는 이들의 신분이 상위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법상의 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신분이 법적으로 규정 명시될 필요가 있다. 강의료 현실화 문제와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재원을 등록금에 의존하고 있는 사학재단은 강의료 인상에 필요한 재원을 정부가 충당해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재원이 마련된다 하더라도 관행적인 학기당 위촉 형태가 지속된다면 사회적인 신분 불안정 문제는 해소되기 어렵다. 다른 대안들보다 비교적 실현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1년 단위의 계약형태로의 전환(7)도 현재 상위법적인 근거가 없으므로 대학의 의지가 있다 하더라도 이는 학칙 개정의 범위에서만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핵심쟁점은 그 방안이 필요하고 효과도 높다고 인식되면서도 실현가능성이 매우 낮은 고등교육법 개정안(1)으로 귀결된다. 여기서 실현가능성이 낮다는 것은 그 추진주제인 정부의 의지가 불명확하다는 인식이 팽배하다는 증거인 동시에 문제해결을 위한 정부의 개입 및 적극적인 역할이 요구됨을 뜻한다. 고등교육법의 개정안을 통한 교원지위 부여는 대학 강의의 절반 이상을 담당하고 있는 비정규교수들이 "교육과정의 운영상 필요한 자"가 아니라 학생을 교육 지도하고 학문을 연구하는 자임을 인정받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대학기관에서 강의와 연구를 병행하는 학문후속세대가 존재하기 위한 선결요건이기도 하다. 따라서 주무부처 및 정부는 각 이해당사자 간의 이견 조정을 하는 한편 고등교육법 개정을 통한 근본적인 문제해결에 나서야한다. 이는 1977년 교육부가 삭제한 조항을 복원하는 것이며, 문제의 원인제공자로서 책무를 다하는 것이다. 지금은 근본적인 문제해결을 외면한 방안은 결국 미봉책으로 그칠 뿐이며, 이것이 비정규교수의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고등교육의 미래와 직결된다는 인식을 가져야 할 시점이다.

      • 인문적 가치구현에 부응하는 한국대학 인문학편제 개선방안

        진일상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008 인문정책연구총서 Vol.- No.6

        수백 년의 역사 속에서 점진적으로 고등교육 체계가 확립되고 교육과학술연구를 통해 사회에 기여하는 여타 선진국의 대학기관과 달리 우리나라 고등교육은 그 시발점부터 장기적인 비전 없이 졸속으로 재편되어 왔다. 이로 인한 구조적인 문제가 수정 보완되기도 전에 고등교육은 세계화와 국제화의 물결 앞에서 지향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경제논리 앞에서 무력한 인문학의 존재와 가치는 부침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대학의 편제에 그대로 투영되고 있다. 이 연구는 현재 고등교육의 인문학 편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그 현황을 조사하고 편제상의 특징과 그 문제점을 파악하는 데 주력한다. 또한 21세기에 요구되는 통합적인 지식기반 사회에서 제 역할을 다하는 인문학이 되기 위해 대학에서의 인문학 교육체제를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모색한다. 연구는 4년제 국공립 및 사립대학의 홈페이지에 개시된 인문대학 또는 인문학부의 편제를 조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 대상은 통상 인문학의 범주로 분류되는 어학, 문학, 사학, 철학의 학과단위와 인문학부 또는 인문대학 편제의 구성이었다. 조사결과는 전통적인 인문학부(어, 문, 사,철)를 기본 형태로 기존 편제에서 변화 변형된 유형들의 공통분모를 찾아 하나의 범주로 묶었다 세부적으로는 국공립과 사립을 구분하고 그 안에서 가나다순으로 대학기관을 배열하였다 어, 문, 사, 철에 속하는 전통적인 학과의 경우는 학부구성만을 조사하였고 새로운 학과 또는 학과명의 경우 사례별로 교과과정도 함께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학과의 중복편성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범대와 인문대에 동시에 개설된 동일 학과 정원을 늘릴 목적으로 본교와 분교 컴퍼스에 중복 개설된 학과의 문제는 우리나라의 고등교육이 그 출발에서부터 안고 있는 구조적인 문제이다. 2. 학문의 지나친 세분화 학문분류 및 학과 분류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있고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 변화하지 못하는 문제도 현재 대학의 편제를 특징짓는 현상으로 학문의 지나친 세분화는 지금도 새로운 학과의 설치 시 반복, 재연되고 있다. 3. 학문의 편중화 학문의 세분화는 결국 특정 학문의 편중화 현상으로 이어진다. 고등교육이 시장논리에 휩쓸리면서 이러한 현상은 특정 학문을 중심으로 가속화되고 있다 그 중심에 외국어 관련 학과가 있는데 외국어 관련 수요 및 수급에 대한 정확한 현황 파악과 함께 장기적인 계획이 시급한 것으로 생각된다. 4. 시장논리에 따른 학과명 및 교과과정의 수정 일부 대학에서는 신입생 충원율을 올리기 위한 방편으로 학과명을 변경하고 그에 따라 교과과정을 개설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신중한 검토 없이 이루어지는 졸속 개편은 교육내용의 부실화를 초래하고 궁극적으로는 인문학의 입지를 좁히는 역기능으로 작용한다. 5 학과 간의 소통 부재 위에 언급된 모든 현상들의 근본원인은 학과 간 소통 부재에 있다 졸속으로 새로운 학과를 설치하거나 기존 학과를 폐과시키는 것 또 학과명을 변경하는 것은 학과 간에 이기주의가 팽배하고 새로운 지식환경의 변화에 공동으로 대처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대학기관에서는 기존학과의 구조를 개편하기보다 수요가 예상되는 새로운 학과를 설치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 그러나 전통적인 학문의 기반 없이 새로운 학문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지식 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학과 간 구조조정을 하는 방법으로 전통적인 지식 또한 활용하고 가공할 필요가 있음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인문학 편제의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전제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에는 인문학이라는 학문 대분류에 대한 거시적인 방향 및 지침을 제안할 수 있는 학문기구가 없다 정부차원에서 학문위원회를 구성 이를 중심으로 학문체계에 대한 토의 및 인문학에 대한 개념 및 방향 설정을 할 필요가 있다. 2. 각 대학은 자신의 역할이 연구와 교육인지 혹은 사회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인의 양성에 있는지에 대한 방향설정 및 교육철학의 재정립미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종합대학이 취업 준비기관으로 변질되어감으로써, 전문대학과 종합대학 간의 역할 및 기능상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다. 그 대표적인 예로 학부에 응용학문과 기초학문이 함께 개설되어 있는 것을 꼽을 수 있으며 그 결과 기초학문의 소외 현상이 초래되어 왔다 대학의 방향설정에 따라 학부과정에서 재설되어야 하는 학과와 대학원 과정에서 필요한 응용학문들을 분리하고 학문 균형이나 기초학문이라는 측면에서 인문학의 역할 설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편제 개선의 세부적인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o 학문과 지식의 균형 발전을 위해 각 대학에서는 인문학 분야 즉, 역사 철학 언어 문학 중 한 가지를 택해서 이를 중심으로 인문학을 특성화하는 시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학교 차원의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o 인문학을 실용적인 학문으로 탈바꿈시키거나 학생들의 구미에 맞게쉬운 강좌만을 개설할 것이 아니라 인문학적 지식과 기업이 요구하는 직업적인 지식을 연결시키는 독일 뮌헨대학의 예를 적극적으로 벤치마킹하여야 할 것이다 인문학적 소양을 기업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인문학 전공자를 위한 경제 경영 등 실용적인 강좌를 개설할 필요가 있으며 이들 강좌는 학점인정과는 별개로 운영되어야 한다. o 학과간의 소통을 유도하고 학과 간 공동 교과목 개발 즉, 이슈 중심의 학제 간 융합 강좌 개발에 적극적인 지원을 한다. o 취업을 위한 실용강좌와 학문 강좌를 엄격하게 구분하여 실용강좌의 경우 Pass제도로 전환 또는 추가 학점으로 산정해야 한다 여기에는 외국어 강좌 등이 해당된다. o 유명무실한 졸업논문제도 등을 정비하고 이를 자격증 취득으로 대체하는 등 교육의 내실화 방안이 필요하다. o 비슷한 교과과정을 가진 같은 학과의 경우에도 대학마다 그 명칭이 다름으로써 학문에 대한 정의가 모호하다 특히 새로운 학문이라는 인식을 주기 위해 학과명을 바꿈으로써 학문 분류에 큰 혼란을 초래한다 지역학 또는 콘텐츠 관련 학과가 그 대표적인 예로 새로운 학과의 개설과 학과명의 변경은 구분되어야 한다. o 규모가 작은 학과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즉 학과퇴출이나 학과명 변경 등의 극단적인 해결책을 택할 것이 아니라 규모가 작은 학과들끼리 이슈별로 공동 교과과정을 개발하게 하는 등의 해결책을 취할 필요가 있다. o 새로운 학과를 개설할 경우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학과를 응용할 수 있도록 적극 유도한다. 이를 통해 학문의 세분화 및 중복을 피하도록 한다. o 학과 간 소통 부재를 부분적으로 해소하기 위해서는 복수전공제를 필수로 할 필요가 있으며 복수전공제에 맞도록 교과과정을 개편해야 한다 o 각 학과는 수강생들에게 교과과정과 관련된 다양한 로드맵을 제시한다. 즉 학생들로 하여금 학점 운영을 효율적으로 하고 이를 통해 교육적인 효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수강 과목들 간에 다양한 로드템을 설정하고 지도잘 필요가 있다. o 위의 방안들은 학과 구성원의 적극적인 구조조정 노력 없이는 원칙론에 불과하다 이러한 방안들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추진할 수 있는 책임주체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 학과장 및 학장 제도를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 학과장제도가 아무런 권한 없이 유명무실하거나 권한을 남용하여 전횡하는 극단적인 경우도 있겠지만 편제 개선을 위한 추전주체에게 전권을 주는 대신 그에 대한 책임을 묻는 방식으로 문제해결의 주체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3.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질적인 면에서 인문학의 특성화와 대학 평가를 연계시켜야 한다.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표되는 재정지원책들은 학문 간의 불균형을 심화시키고 학문계열 간의 빈익빈 부익부 헌상을 가중시키고 있다 따라서 학문계열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취업률과 대학평가, 그에 따른 재정지원을 직결시키기보다는 대학의 평가 항목에 타 대학들과는 차별화되는 특성화 노력이나 구조조정 노력 학문과 지식의 균형을 위해 비인가과목이나 기초학문에 대한 대책을 어떻게 구체화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항도 넣어 대학이 취업시장에 휘둘리지 않고 학문 및 교육이라는 대학의 고유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비인기학과나 인문학 등 기초학문을 전공한 학생들의 취업을 위해 기업에서 요구되는 실용적인 지식들을 습득할 수 있는 경영 경제학 강좌를 개설하는 대학에는 인센티브를 주고 재정적인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취업률에 의해 대학의 교육 및 연구 기능이 희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것이다. 그 외 세부적인 방안은 다음과 같다 o 대학관련 방안에서 언급된 세부방안들이 국립대를 중심으로 실천될수 있도록 적극 유도한다. o 마찬가지로 국립대를 중심으로 중복학과의 통폐합을 유도하고 o 분과학문을 벗어나 강의나 학점 운용을 통해 학문의 포용성을 넓히는 대학에 인센티브를 제공해야 한다. 물론 학문의 포용성 등에 대해서는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공신력 있는 학문기구의 자문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o 우리나라의 교육재정 비율은 OECD 국가의 평균에도 미치지 못한다 교과부는 실효성 있는 정책을 통해 교육재정 비율을 확대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현재의 인문학 편제는 우리나라 고등교육이 처한 현실을 그대로 투영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2008년 현재의 인문학편제에 대한 실태조사만을 바탕으로 고등교육과 인문학 교육에 대한 가치 평가를 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그 간 시행되어 온 교육정책과 그 결과들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등교육기관의 인문학 편제를 중등교육과 분리된 독자적인 문제로만 보기에도 무리가 있을 것이다 입시위주의 교육 과열된 교육열과 대학을 사회진출의 관문으로 생각하는 학벌주의 대학의 서열화 및 OECD 국가의 평균에도 미치지 못하는 교육재정 등 구조적이고 다양한 층위의 문제점이 함께 투사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 및 원인을 간과하고 현재의 편제구조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은 피상적인 판단으로 그칠 수 있다 그러나 인문학 편제의 문제를 고등교육의 역사적인 틀 속에서 지적하기에는 연구의 대상이 광범위해질 수 있는 위험성이 있으므로 여기서는 연구내용을 실태 파악을 통한 기초 조사와 해외사례를 통한 비교 연구로 한정하였음을 밝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