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진의,김영순,Jin, Eui,Kim, Young Soon 대한화학회 1998 대한화학회지 Vol.42 No.6
By using the spray pyrolysis method, zinc oxide(ZnO) was produced from zinc acetate, the surface morphology of the prepared films was investigated by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thickness of ZnO thin film was increased up to 460$^{\circ}C$ and it was 833 nm. The maximum wavelength of absorption was obtained at 365 nm, and the maximum peak of fluorescence at 475 nm and 505 nm. ZnO film have been characterized by XPS, XRD, and SEM. XRD results show that all the films are preferred orientation along the (002) plane which is depend on the substrate temperature. The optimal temperature to produce ZnO was determined at around 460$^{\circ}C$ from measurements of XPS, XRD and photocurrent. It was also shown that the homogeneous particles had the higher photocurrent.
한승헌(Han Seung Heon),진의재(Jin Eui Jae),곽수남(Kwak Soo Nam),김두연(Kim Du Yon) 대한토목학회 2007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27 No.5D
국내에서는 1980년대부터 일반적인 시공 중심에서 벗어나 비용과 일정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전체적인 프로젝트 관리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시공회사들은 프로젝트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비용과 일정을 통합하는 기성관리(Earned Value Management)방식을 채택하고 이를 통해 프로젝트를 종합적으로 관리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하지만 국내 기업의 EVMS는 비용과 일정의 통합관리라는 취지와는 다르게 비용 관련 정보를 축적하거나 투입원가를 집계하여 실행 대비 실적을 비교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는 기존의 공사비 예측방법이 예측하고자 하는 대상 프로젝트와 유사한 프로젝트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 프로젝트의 진행단계에 따른 변동성을 고려하지 않는 정적이고 선형적인 방법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예측방법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진도율에 따라 공사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반영하여 보다 정확한 최종 공사비를 예측하는 모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Progress-based S curves(이하 PB-S curves로 한다.)를 활용하여 공사비를 도식하고 공사의 진행단계를 진도율별로 n% 단위로 분할한 후,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공사비의 기울기를 예측함으로써 최종 공사비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법론은 기존의 선형적인 예측에서 벗어나 유사 프로젝트의 결과 및 진행단계별 다양한 변동요소를 반영하여 진도율별 공사비를 도식적으로 보여줌으로써 프로젝트 관리자에게 보다 효율적인 공사비 예측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 (EVMS) has been chosen to consider expenses for an efficient project management. However, EVMS application on domestic projects is no more than accumulating information about expenses and comparing asplanned and as-built expenditures. One reason why EVMS is not widely used for forecasting project performances is that the existing prediction theory is so simple and linear as to consider only past results of the target project, not reflecting the similar past projects or the particular phase-specific pattern. This paper proposes a model to discover the various facts which affect the fluctuation of construction cost and to suggest the dynamic prediction model of final cos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troduced Progress-based S curves (PB-S Curves) to draw cost of targeted project and conducted regression analyses to determine the slope of cost which are broken down into n sectors by the construction progress. By using this method, this study presents more accurate prediction model which reflect a result of similar projects various changing factors.
2015 개정 중학교 기술 가정과 기술 분야의 타 교과 간 성취기준 연계 융합 내용 분석
이광우(Lee, Kwang-Woo),진의남(Jin, Eui-Nam) 한국실과교육학회 201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31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기술・가정과 기술 분야의 성취기준에 근거한 타 교과 성취기준과의 연계·융합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계·융합 교육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진행한 후, 기술・가정 교과의 교과 간 성취기준 연계·융합 내용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터해 향후 연계 융합 교육의 운영,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기술 분야의 ‘기술 시스템’ 영역의 성취기준 분석 결과, 성취기준의 내용 측면에서 핵심어는 ‘건설기술’, ‘생명기술’, ‘수송기술’, ‘에너지’, ‘정보통신기술’, ‘제조 기술’ 등의 의미를, ‘기술 활용’ 영역의 성취기준 핵심어는 ‘기술 발달’, ‘문제해결’, ‘안전 사고’, ‘지속 가능한 발전’, ‘지식 재산권’, 등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었다. 분석 결과, 중학교 기술 분야에서 성취기준 핵심어 중, 타 교과와 1개 이상 연계 융합될 수 있는 핵심어는 ‘생산기술 제조기술’, ‘제조기술문제해결’, ‘건설기술’, ‘생명기술’, ‘수송기술’, ‘수송수단안전’, ‘신재생에너지’, ‘에너지문제해결’, ‘정보기술시스템’, ‘정보통신발달’, ‘통신매체’, ‘정보통신기술문제해결’, ‘기술의 발달과 사회변화’, ‘안전사고예방’, ‘기술적 문제해결’, ‘발명’, ‘지식재산권’, ‘지속가능한 발전’ 등 18개로 나타났다. 또한 기 술 분야의 내용과 성취기준은 정보, 도덕, 사회, 과학, 체육 교과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성취기준 핵심어 중 ‘기술의 발달과 사회’, ‘지속가능한 발전’이 여러 교과에서 다루어지고 있었다. 분석 결과를 고려해볼 때, 향후 연계·융합 교육의 운영 및 교육과정 개선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성취기준에 제시된 용어나 내용의 진술 수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교과 간 연계·융합의 균형성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 간 연계·융합하여 교육과 정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하는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 끝으로 교과 간 성취기준의 연계· 융합 가능성을 통한 교육내용의 적정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of curriculum alignment and convergence in other subjects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 of technology-based area and home-economics in middle schools.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we first discussed theoretical arguments, and then analyzed the content of alignment and convergence in achievement standard between practical courses and other subjects. According to analysis results , core words of achievement standard that can be aligned with other subjects in practical courses was 18 items regarding manufacturing technology, technology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safety accident prevention,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sustainable development, etc. Also, content and achievement standard of practical course was related to information subject, morality, social studies, science, physical education,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oposed the following to implement alignment·convergence education and to improve curriculum in the future. First, it is needed to review terms and statement levels that are sta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Second, it is desirable for us to pursue the balance of alignment and convergence between subjects Third,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in alignment and convergence between subjects. In conclusion, the rationalization of educational contents should be promoted through the possibility of alignment·convergence education between subjects.
붕소/실리콘 졸 화합물로 도포된 편백 목재의 연기유해성 평가
진의(Eui Jin),정영진(Yeong-Jin Chu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1
본 연구는 건축 및 내구재용 목재인 편백 목재에 붕소/실리콘 졸 화합물을 처리한 후 화재위험성을 연기 유해성에 대하여 연기성능지수(SPI), 연기성장지수(SGI)와 연기강도(SI)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화합물은 Tetraethoxyorthosilicate를 Boronic acid와 Boric acid 유도체와 반응시켜 합성하였다. 연기 특성은 편백목재에 대하여 Cone calorimeter (ISO 5660-1) 장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화재강도는 50 kW/m2의 외부 열 유속(External heat flux)으로 고정시켰다. 연소반응 후 측정된 연기성능지수는 편백목재와 비교하여 13.4∼126.7% 증가하였다. 연기성능지수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편백목재, PBA/Si, IBBA/Si, BA/Si 순서로 감소하였다. 연기성장지수는 편백목재와 비교하여 12.0∼57.5% 감소하였다. 연기성장지수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편백목재, PBA/Si, IBBA/Si, BA/Si 순서로 낮아졌다. 연기강도에 의한 화재위험성은 3.2∼57.8% 감소하였으며 편백목재, PBA/Si, IBBA/Si, BA/Si 순서로 낮아졌다. COpeak 농도는 85∼93 ppm였으며 공시편과 비교하여 37∼43% 감소하였다. 화재위험성을 연기유해성에 대해 종합적으로 평가하면 편백목재, PBA/Si, IBBA/Si, BA/Si순서로 낮아졌다. In this study, boron/silicon sol compounds were applied to wood for construction and durable materials, and fire risk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smoke performance index (SPI), smoke growth index (SGI), and smoke intensity (SI). The compound was synthesized by reacting tetraethoxyorthosilicate with boric acid and boronic acid derivatives. Smoke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sing a cone calorimeter (ISO 5660-1) equipment for cypress wood. The fire intensity fixed the external heat flux at 50 kW/m2. The smoke performance index measured after the combustion reaction increased between 13.4% and 126.7% compared with cypress wood. The fire risk due to the smoke performance index decreased in the order of cypress, phenylboronic acid/silicon sol (PBA/Si), (2-methylpropyl) boronic acid/silicon sol (IBBA/Si), boric acid/silicon sol (BA/Si). The smoke growth index decreased between 12.0% and 57.5% compared to the base specimen. The risk of fire caused by the smoke growth index decreased in the order of cypress, PBA/Si, IBBA/Si, BA/Si. The fire risk due to smoke intensity decreased between 3.2% and 57.8%, and in the order of cypress, PBA/Si, IBBA/Si, BA/Si. COpeak concentrations ranged between 85 and 93 ppm, and decreased between 37% and 43% compared to the base specimen. A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fire risk on smoke hazards decreased in the order of cypress, PBA/Si, IBBA/Si, BA/Si.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부모애착의 매개효과
하진의 ( Jin Eui Ha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4 청소년복지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depression and parent attachment show mediating effect in the process that school-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influence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To achieve this, a total of 76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survey packet including measures of school-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depression, parent attachment and suicidal ideation scal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9.0 and AMOS 2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chool-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has no effect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directly, and has effect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through depression indirectly. Second, school-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has effect on depression directly, and has effect on depression through parent attachment indirectly, in turn, parent attachment has no effect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directly, and has effect on o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through depression indirectly.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eoretical implication for adaptation and growth of adolescent exposed to school-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as well as the way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reatment to prevent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