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초문식성에 대한 교육공동체의 지도실태 및 인식조사

        진용성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7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instruc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on beginning literacy instruction. In Section 2, we reconstruct the characteristics of beginning literacy and the contents of education on the theoretical basis. Each was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beginning literacy, period, contents and method of beginning literacy edu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questionnaire items of the previous research were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broad categories. First, each educational community confirmed that they did not agree on the timing aspect of beginning literacy education. Second, although the teaching method and contents are different, they showed a common pattern in ‘linking letters and sounds, and using picture books / fairy tal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y did not understand the content and method of beginning literacy education and recognized that there was lack of connectivity. 이 연구는 기초문식성 지도에 관한 교육공동체의 인식과 지도실태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2장에서는 기초문식성의 특성과 교육내용을 이론적 토대 차원에서 재구성하였다. 각각은 기초문식성의 개념과 교육시기, 기초문식성 교육의 내용과 방법, 기초문식성의 유⋅초등 연계교육에 대한 이론적 검토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선행연구의 설문조사 항목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고, 이를 검증한 후 온라인 설문조사로 투입하였다. 설문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각 교육공동체는 기초문식성 교육의 시기 측면에 대한 합의를 하지 못한 것을 확인했다. 둘째, 교육공동체에 따라서 지향하는 지도방법과 내용이 다르나, 글자와 소리 연결, 그림책/동화 활용하기에서는 공통적인 양상을 보였다. 셋째, 상호간의 기초문식성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연계성이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좋은교사운동에서 수업연구의 역사에 관한 연구 - 좋은교사 저널에 실린 교사의 수업 생애사 분석을 중심으로 -

        진용성,지정화,서미라,이세희,박선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학교와 수업 연구 Vol.6 No.2

        이 논문은 ‘좋은교사운동’에서 수행한 ‘수업연구’의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안한 연구이다.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내용 분석법을 활용하였고, 113편의 좋은교사 월간지를 분석하였다. 좋은교사 저널 내에 연재된 ‘좋은교사 좋은만남’코너가 주된 분석대상이었으며, 이 코너는 교사의 수업생애사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이 논의를 보완하기 위해서 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좋은교사운동에서의 수업연구는 한국 수업의 역사(이혁규, 2019)와 유사한 지점을 보이며 논의되었다. 교사들의 생애사를 통해서 열린교육과 혁신교육의 시도, 자발적 연구모임의 증가, 수업연구를 위해서 실행연구와 질적연구 등의 실천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좋은교사운동에서의 수업연구는 나름의 특성을 보이며 논의되었다. 대안적 교육을 탐색하는 공론장으로서의 대회, 수업연구가 교육 정책운동으로 전개, 동료교사의 시선에서 함께 수업연구를 하는 수업코칭연구소와 같은 전문적인 활동의 전개 등이 있었다. 셋째, 한국의 수업연구 역사와 좋은교사운동의 수업연구의 일부를 주체로서 주도하고 함께한 2명의 심층인터뷰를 통해서 위의 내용을 다시 한번 생애사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통일시대 『우리말 터』 초등국어교과서 단원 개발 -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과 <놀이>의 통합을 중심으로

        진용성,김병수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0 한국어문교육 Vol.33 No.-

        This study developed an example of designing the 『Korean Language Site』 textbook designed for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elementary learners in the Unification Era as “a play-oriented unit that considers six aspects of understanding”. This study devise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unit development of the play-centered 『Korean Language Site』 considering the 'six aspects of understanding' and the principle of restructuring the unit components. Based on this, a textbook scen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explain play, interpret play, apply play, point of view play, empathize play, and knowledge creation play' was presented. In follow-up studies,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elementary Korean language classes using this textbook and conduct qualitative studies to explore the perceptions of learners and teachers. 이 연구는 통일시대 초등 학습자들의 국어교육을 위해서 기획된 『우리말 터』 교과서를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을 고려한 놀이 중심 단원’으로 설계한 예를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이해의 개념과 학습이 이해되었을 때의 증거가 될 수 있는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에 대하여서 살펴보았고, 다양한 기능과 효과가 있는 ‘놀이’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3장에서는 ‘이해의 여섯 가지 측면’을 고려한 놀이 중심 『우리말 터』 단원 개발 방향과 단원 구성 요소의 재구성 원리를 구안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명하기 놀이, 해석하기 놀이, 적용하기 놀이, 관점 갖기 놀이, 공감하기 놀이, 지식창조하기 놀이’를 고려하여 개발된 교과서 장면을 제시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이 교과서를 활용해서 초등 국어수업을 진행하고, 학습자들과 교사들의 인식을 탐구하는 질적연구 등을 전개할 필요가 있겠다.

      • KCI등재

        국어과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적용 가능성 탐색

        진용성,김병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Classroom to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First, the concept of Flipped Classroom and attributes, dealing with the specific context of the Flipped Classroom, and discussed the need for Flipped Classroom in language classes. And discuss ways to overcome dilemmas for the classroom, an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Flipped Classroom is a teaching strategy to enhance the learning of individual learners. Its main characteristic is the learner learning through the media outside of the classroom, inside the classroom interaction through discussion and debate. The learner and the teacher's role are different with traditional teaching. Flipped Classroom in korean language classroom emphasizes the students' individuality and mutual negotiations and, learner-centered language teaching. However, many of the ambiguous of teacher roles, relationships neglected by emphasis on education Engineering, such as difficulties in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class. To compensate for this, the principal language of instruction is learner-centered educational philosophy must first internalize and practice, and teacher should enhance the expertise that can be deployed in a variety of roles in the classroom. Second, take advantage of the classic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such as actively as a media for 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and learning about the critical reading of the media should also be supplemented. Third, it combines the Havrut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본고의 목적은 국어과 거꾸로 교실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거꾸로 교실의 개념과 특성, 거꾸로 교실의 구체적인 맥락을 다루고, 국어수업에 거꾸로 교실 수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거꾸로 교실에 대한 논쟁점과 국어수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딜레마의 극복방안 등을 논의하고, 국어과 거꾸로 교실의 의의를 탐구하여 국어 수업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구 했다. 거꾸로 교실은 개별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업 전략이다. 그 주된 특성은 교사중심의 교과내용의 전달을 교실 수업 바깥에서 학습자가 매체를 통해 학습을 하고, 교실 안에서는 학습자간 혹은 교사와 상호작용하며 배움의 내용을 토론과 토의 등을 통해서 정교화 하는 학습을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역할 등은 기존 전통적 수업과 다른 양상도 보이게 된다. 국어 수업에서도 거꾸로 교실을 통해서 학생들의 개별성을 강조하고, 상호교섭적이고, 언어의 총체성와 창조성이 나타나는 학습자 중심 국어수업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가르침의 본질과 관련된 교사 역할의 불분명성, 교육공학의 강조로 인한 관계의 소홀, 학교 급에 맞는 국어과 수업 내 활동 구성의 어려움 등이 거꾸로 교실을 실제 국어 수업에 적용할 때 도출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난제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첫째,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철학을 수업 주체가 먼저 내면화하고 실천해야 하며, 수업 속에서 다양한 교사 역할을 전개할 수 있는 전문성을 고양해야 한다. 둘째, 인문고전과 아동문학작품 등을 교실 바깥 배움을 위한 매체로 적극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매체의 비판적 읽기에 대한 학습도 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하브루타식 교육법을 국어수업에 융합해서 국어과 수업 내 활동 구성을 적합하게 전개할 수 있어야 한다.

      • KCI등재

        통일초등국어교육 콘텐츠 탐색 연구 - 국내 통일교육용 누리집을 중심으로

        진용성,김병수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ent related to unification education provided on existing websitesin order to derive necessary contents in the context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homepages of two representative institutions that contain unification education content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the website showed limitations such as the gap with the context of languag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a lack of instructional materials created by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However, it was possible to find some implications as various effor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literature works independently in consideration of unification and the production of content that considers the difficulties of various disabled people were found on the website. This study will help i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language education necessary to prepare for unific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통일을 준비하는 시기에 초등 국어교육의 맥락에서 필요한 콘텐츠를 도출하기 위해서, 기존 통일교육관련 기관의 누리집 콘텐츠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통일교육 콘텐츠를 수록하고 있는 대표적인 2개의 기관 홈페이지를 내용분석하였다. 그 결과, 해당 기관의 누리집 콘텐츠들은 초등학생들의 언어발달 맥락과 간격이 있는 점, 초등 국어교과의 특수성을 고려한 수업자료가 부족한 점 등의 한계를 보였다. 그러나, 통일을 고려하여 아동문학작품을 자체적으로 개발하고, 다양한 장애인의 어려움을 헤아리는 콘텐츠를 생산하고,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교사의 통일 관련 역량을 강화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등의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통일을 준비하는 데 필요한 초등국어교육 콘텐츠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