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韓半島と日本は長年の?史を通じて多くの交流をして?た。 朝鮮時代に通信使の派遣をきっかけに?史上類のない大規模な人的交流が行われてきた。このような交流を通じて食べ物文化の交流も行われた。食べ物は人間の生存になくてはならな い必要不可欠な要素で、人間?係を築く上でも食べ物の接待を通じて親密さが生じて、相手に?する適切な?節によってその接待が円?に成り立ったり、またその?係を望ましく維持、?展させたりすることができるからだ。 朝鮮時代に入って?て、通信使が大規模にそして400余年と言う長年の期間日本を往き?するようになった背景と朝鮮通信使の往?の意義にづて考察して、1回に平均500余人に達する、?時としては最高の知性人グル?プが交流の中で現われる食べ物の文化の交?に?して調べた。朝鮮通信使の交流を通じて日本ではタブ?し親されでた肉食料理が朝鮮通信使を接待するた めだという名分で日本?で料理ができるように許容されたし、朝鮮通信使の食べ物に?する ?足度を高めるために朝鮮式の料理法を活用して朝鮮人の口に合うように料理をすることで 自然に朝鮮式の料理法が日本人たちにも?わった。日本は?力誇示と朝鮮に?する優位の表示として、天皇も提供された食べ物を調え出すなどあらゆる誠意をつくした。朝鮮通信使の交流を通じて?が紹介されて、壬辰の?以後には豆腐の作り方が日本に?わったし、とうがらしも日本を通じて韓半島に流入されてから、再び後に日本でも多く活用され始めた。さつまいもを取り入れて救荒植物(救荒植物)として活用したことも朝鮮通信使の交流の結果物だった。 通信社の接待で使うテ?ブルセットも朝鮮人が慣れた方式で準備するという大原則の下で 753床、巨食五果床、阿伽床などを適用したし、日本式の3汁 15菜のテ?ブルセットを含めて、1、2次の宴に分けて1次の宴には朝鮮式、2次の宴は日本式などでそれなりに原則を決めて?待した。使節?の地位と身分に合わせて上位職には食べ物の種類の?も多く準備して, 下位職には食べ物の種類の?を減らして?待した。 通信使の接待で使った器も有名な陶磁器製作所で注文して金?銀泊を加えた派手な?磁を使って、一度使ったものを二度使わないで?して捨てたりした。最近になって、朝鮮通信使が日本往?時に泊まった日本?の多くの地域で各種祭りを開催して朝鮮通信使の接待時に出した料理やお膳立てを再現したり、?光客に販?したりすることは、朝鮮通信使の交流が影響があるほど深くて?く?散したことを立?しているように見える。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갈등, 간호조직문화, 간호사-의사협력관계가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진영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갈등, 간호조직문화, 간호사-의사협력관계 및 직무착근도의 정도와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방법 :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자료수집은 2021년 9월 15일부터 10월 1일까지였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에 소재한 1개의 상급종합병원과 1개의 종합병원에서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동의한 14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역할갈등은 이희선(2007)이 개발한 도구, 간호조직문화는 한수정(2002)이 개발한 도구, 간호사-의사 협력관계는 Usiro(2009)가 개발하여 문은회(2015)가 번역, 수정한 도구, 직무착근도는 Mitchell(2001)이 개발하고 최수미 등(2017)이 번역,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é test 사후검정,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입력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남자가 13.5%(19명), 여자가 86.5%(122명)로 나타났다. 연령은 평균 29.31±4.72세 이었으며, 25세 이하가 22.7%(32명), 26세에서 30세는 49.6%(70명), 31세에서 35세는 20.6%(29명), 35세 이상은 7.1%(10명)이었다. 학력은 전문학사가 14.2%(20명), 학사 이상이 85.8%(121명)이었다. 종교는 있는 경우가 20.6%(29명), 없는 경우는 79.4%(112명)이었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78%(110명), 기혼이 22%(31명)이었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6.44±4.82년이었으며, 3년 미만 28.4%(40명), 3년에서 6년 미만이 29.8%(42명), 6년에서 9년 미만이 15.6%(22명), 9년 이상이 26.2%(37명)이었다. 중환자실 근무 경력은 평균 5.34±4.02년이었으며, 3년 미만이 34%(48명), 3년에서 6년 미만이 32.6%(46명), 6년에서 9년 미만이 14.2%(20명), 9년 이상이 19.1%(27명)이었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82.3%(116명), 책임간호사가 17.7%(25명)이었다. 근무부서는 내과계 중환자실 41.1%(58명), 외과계 중환자실 39%(55명), 신생아중환자실 19.9%(28명)이었다. 이직 경험은 13.5%(19명)있었고, 86.5%(122명)이 없었다. 월 급여는 평균 319.54±38.06만원이었고, 250만원에서 300만원 미만이 58.2%(82명), 300만원 이상이 41.8%(59명)이었다. 평균 담당 환자 수는 3명 이하가 66%(93명), 4명 이상이 34%(48명)이었다. 2. 대상자의 역할갈등의 정도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평점이 3.05±0.59점이었다. 간호조직문화의 정도는 총 5점 만점에 혁신지향문화 2.89±0.32점, 관계지향문화 3.07±0.64점, 위계지향문화 3.50±0.49점, 업무지향문화 2.07±0.60점이었다. 간호사-의사 협력관계의 정도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30±0.49점이었고, 직무착근도의 정도는 총 5점 만점에 평균 평점 3.10±0.47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은 연령(F=2.81, p=.042), 총 임상경력(F=5.40, p=.002), 중환자실 근무경력(F=2.81, p=.042), 이직경험(t=4.79, p<.001), 월급여(t=2.55, p=.01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조직문화는 연령(F=2.99, p=.033), 총 임상경력 (F=3.37, p=.020), 중환자실 근무경력(F=3.31, p=.02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사 협력관계는 간호사 1인당 담당 병상수(t=-3.44,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착근도는 연령(F=4.61, p=.004), 총 임상경력(F=5.8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7. 대상자의 직무착근도는 혁신지향문화(r=.57, p<.001), 관계지향문화(r=.46, p<.001), 업무지향문화(r=.18, p=.033), 간호사-의사 협력관계(r=.48,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역할갈등(r=-.43, p<.001)과 위계지향문화(r=-.36, p<.001)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간호사-의사 협력관계는 혁신지향문화(r=.47, p<.001), 관계지향문화(r=.46, p<.001), 업무지향문화(r=.28,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역할갈등(r=-.30, p=.001)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역할갈등은 위계지향문화(r=.43,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혁신지향문화(r=-.27, p=.001), 관계지향문화(r=-27,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8. 대상자의 직무착근도에 유의한 영향요인은 역할갈등(β=-.19, p=.015), 혁신지향문화(β=.26, p=.003), 간호사-의사협력관계(β=.24, p=.002)로 나타났다. 이들 변수의 직무착근도에 대한 전체 설명력은 44.5%였다(F=15.06, p=.001).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의 역할갈등, 혁신지향문화, 간호사-의사협력관계가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환자실 간호사의 직무착근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간호업무의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역할갈등의 종류와 심각성을 확인하고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중환자실 의료인간의 파트너쉽을 강화하고 서로 존중하고 소통할 수 있는 간호조직문화 조성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남겨진 사람들의 고통 : 5·18 자살자 유가족의 사회적 고통 연구
진영은 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This i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life experiences and social sufferings of the bereaved family members of state crime victims who have so far been regarded only as peripheral and secondary subjects in the studies on suicide and the victims of state crime. In particular, this study selected the bereaved family members of the May 18th suicide victims as the objects of research. This is because it is an extreme case that is related with both the common social sufferings of bereaved families of suicides and the special social sufferings of bereaved family members of state crime victims. The main structure and 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I described wh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May 18th suicide victims. It also made clear the aim of this study. In the Korean society, as the number of those who have committed suicide has rapidly increased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bereaved families of such persons has also explosively grown. Nevertheless, there have been few researches delving deeply into their social sufferings. This study aimed to reveal social sufferings of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May 18th suicide victims, which have emerged from various social forces, in terms of their biographical histories. In addition, this study also tried to capture the victimhood and dynamics of the action form of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May 18th suicide victims as the victims of state violence and other parties to human rights violation. Chapter Ⅱ critically reviewed existing studies on bereaved families of suicide victims,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May 18th, and the May 18th suicides. In addition, based on ‘social suffering’, the main concept of the study, this study explained the way how the damage by state violence works. In the case of the May 18th, the primary violence and human rights violations by the state have been combined with structural, symbolic, cultural, and institutional violences ever since the May 18th, continuing to create new kinds of human rights violation. Chapter Ⅲ introduced the biographical research methodology, the main methodology adopted by this study. The biographical research methodology seeks to discover special biographical perspectives, structures, and social dynamics and development processes through studies of individual life experiences. At the same time, given that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he bereaved families of suicide victims caused by the damage of state violence, their biographical histories are peculiar in the sense that they have existed crisscrossing the stratum of family histories and the Korean social history. Therefore, by analyzing their family histories and genealogies as well, this study tried to capture the ways how individuals and families, individuals and society, and families and society interact together, reproducing social suffering. Chapter Ⅳ presented some patterns revealed by analyzing concrete characteristics of biographical histories of those family members of the May 18th suicide victims. Three family members of the victims who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of this study showed a common characteristic; the absence of their own narratives. There may be three reasons for this absence of narratives. First, they have always been treated as auxiliary objects in the process of scholastic and social efforts to liquidate the scars of the May 18th. Second, to those family members, the interview of this study was the first opportunity to talk about why they and their families suffered from the May 18th of their family members. Third, the ‘May 18th experience’ and ‘suicide’ of the deceased have been embedded in the hearts of those bereaved family members as the most traumatic events that have penetrated their entire lifetimes. In this context, they managed to talk about their social sufferings, which differed among individuals within the same generation, between generations, and in gender. The concrete relationship within the family with the deceased, the time when he or she died, and major life events they experienced in various social relationships and social conditions all acted as the factors that determined different kinds of their sufferings. Taken together, the lives of the bereaved family members revealed the ontological positions and life styles of ‘victim survivors’, ‘witnesses’, and ‘testifier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Chapter V analyzed the process and mechanism of how the damag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state crime being reproduced has been familized. The life processes of the bereaved family members of the May 18th suicide victims revealed five major characteristics: first, concealment of suffering and familized damage; second, genderization of care and reproduction of damage; third, shifting the responsibility for death from state to family and fight over cause of death; fourth, medicalization of victim’s rights and views of others as the privileged group; fifth, explanation about the meaning of their suicides and the testimony of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May 18th suicide victims. As the suffering caused by state violence was transmitted to the family level,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victims of state violence became the targets of re-victimization or showed dynamics of making subjective efforts to solve it. Chapter VI summar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indicate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This study has a status as an exploratory study on how the experiences of the multi-layered traumatic event involving state violence and suicide of family members affected the life process of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May 18th suicide victims. Above al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he first qualitative in-depth analysis on the suffering of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May 18th suicide victims, which have not been noticed and mentioned for the past 42 years. This process-oriented approach i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approaches that focus on measuring and quantifying the suffering. This approach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a methodological attempt to reveal the continuity and reproductive mechanism of the suffering and to explain its causal process. This kind of biographical history-based research is able to expand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of the life and suffering of the bereaved families of the suicide victims. At the same time, it can also be used as a meaningful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and developing practical solutions aiming to support the May 18th victims. However, this study has some limits because it was based on a small number of cases, and so it failed to exquisitely reveal th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types of bereaved families of the May 18th suicide victi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in-depth follow-up studies based on more diverse types of the bereaved families and methodological elaboration in the future. 이 연구는 그간 자살 연구 및 국가범죄 피해자 연구에서 주변적이고 부차적인 존재로만 치부되었던 국가범죄 유가족의 생애경험과 사회적 고통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다. 특히 이 연구가 사례연구의 대상으로 상정한 5‧18 자살자 유가족은 자살자 유가족의 보편적인 사회적 고통과 국가범죄 유가족의 고유한 사회적 고통을 함께 담지하고 있는 극단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주요 구성과 논지는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왜 5‧18 자살자 유가족 연구가 필요한지에 대해 연구 필요성과 목적을 밝혔다. 한국사회에서 자살자 유가족의 수가 자살자의 수와 마찬가지로 폭발적으로 양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사회적 고통에 대해 깊이 있게 천착한 연구는 아직 없다. 이 연구는 다양한 사회적 힘에 의해 발현되는 5‧18 자살자 유가족의 사회적 고통을 이들의 생애사적 지평에서 밝혀내고, 국가폭력 피해자이자 인권침해 사건의 또 다른 당사자로서 이들의 행위양식이 지닌 피해자성과 행위자성을 아울러 포착해보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먼저 자살자 유가족과 5‧18 유가족, 5‧18 자살자에 대한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연구의 주요 개념인 ‘사회적 고통’에 입각해 국가폭력 피해가 작동하는 방식을 설명하였다. 5‧18 국가폭력이 작동하는 방식을 살펴보면, 국가에 의한 1차적인 폭력과 인권침해는 5‧18 이후에도 구조적‧상징적‧문화적‧제도적 폭력과 결합되어 새로운 인권침해 피해를 (재)발생시켰다. 이러한 영향이 피해당사자를 넘어 남은 가족에게 복합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국가폭력의 생태계’라는 관점에서 설명하고자 하였다. Ⅲ장에서는 먼저 이 연구의 주된 연구방법론인 생애사 재구성 방법론을 소개한다. 생애사 재구성 방법론은 개인의 생애사적 경험을 통해 고유한 생애사적 관점과 구조, 사회의 동력과 발생과정을 발견하고자 하는 방법론이다. 동시에 이 연구의 대상이 국가폭력의 피해로 인한 자살자 유가족이라는 점에서 이들의 생애사는 가족사, 사회사라는 층위와 교차하며 존재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이들의 가족사와 가계도를 함께 분석함으로써 개인과 가족, 개인과 사회, 가족과 사회가 상호작용하며 사회적 고통이 재생산되는 방식을 포착할 수 있다. Ⅳ장은 5‧18 자살자 유가족의 생애사를 분석한 결과 드러난 유형적 특징을 제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5‧18 자살자 유가족은 공통되게 자신의 고유한 서사가 부재하다는 특징을 보였다. 여기에는 5‧18 과거청산 과정에서 유가족이 늘 보조적인 존재로 호명되어져 왔다는 점, 연구참여자들이 자신과 가족의 5‧18에 대해 처음 이야기하는 기회를 가졌다는 점, 고인(故人)이 살아생전 겪었던 ‘5‧18 경험’과 고인의 ‘자살’이 연구참여자의 전 생애를 관통하는 너무나 중요한 외상적 사건으로 자리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 같은 맥락에서 5‧18 자살자 유가족은 고인과의 (가족)관계, 고인의 사망시점, 여러 사회관계와 사회 조건 속에서 경험한 주요 생애 사건 등에 따라 세대 내, 세대 간, 젠더적 차이를 보이는 사회적 고통을 구술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생애를 종합할 때 유가족의 삶은 ‘피해생존자’이자 ‘목격자’, 나아가 ‘증언자’라는 존재론적 위치성과 생애 유형을 드러내 보였다. Ⅴ장은 이 같은 특성을 토대로 국가범죄가 재생산되는 과정에서 피해가 가족화 되는 과정과 메커니즘을 심층 분석하였다. 5‧18 자살자 유가족의 생애 과정에서 크게 다섯 가지 특징을 포착하였다. 그 특징은 첫째, 고통의 은폐와 가족화된 피해, 둘째, 돌봄의 젠더화와 피해의 재생산, 셋째, 죽음의 책임전가와 사인(死因)을 둘러싼 싸움, 넷째, 권리의 의료화와 특권집단이라는 시선, 다섯째, 설명된 죽음과 5‧18 자살자 유가족의 말하기로 요약될 수 있다. 국가폭력으로 인한 고통이 가족 차원에 전이됨으로써 국가폭력 유가족이 재희생자화의 대상이 되거나,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주체적인 노력에 나서는 역동성을 드러내 보였다. Ⅵ장은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혔다. 이 연구는 국가폭력의 경험과 가족구성원의 자살이라는 중층적인 외상 사건이 5‧18 자살자 유가족의 삶의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무엇보다 이 연구는 생애사 방법론에 입각해 지난 42년 동안 한 번도 주목받지 않고 말해지지 않았던 5‧18 자살자 유가족이 처한 삶의 조건과 고통의 재생산 과정에 심도 있게 다가서고자 한 최초의 질적 접근이라는 가치를 갖는다. 이러한 과정 중심적 접근법은 고통을 수치화하고 계량화하는 데 치중된 기존의 접근법과 달리 고통의 연속성과 재생산 기제를 드러내고 그 인과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방법론적 시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생애사 작업은 자살자 유가족의 삶과 고통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확장함과 동시에 5‧18 피해자 지원 정책과 실천적 해법을 도출하는 데 있어서도 유의미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연구는 적은 사례 수에 기반해 5‧18 자살자 유가족의 다양한 유형적 차이를 정치하게 드러내지는 못했다. 향후에는 보다 다양한 유형적 사례와 방법론적 정교화에 기초해 심층적인 후속 연구를 진전시킬 필요가 있다.
사각터널에서의 유동장 해석 : Flow Field Analysis in Rectangular Tunnel
As the economic development of a society grows rapidly, railroad tunnel, highway tunnel, subway and other underground constructions were chosen to be planned accurately in urban or regional planning by a lot of engineering designers. When a fire occurs in a tunnel, it will cause a extreme damage inside the tunnel and threaten the people's lives. In this study, smoke flow characteristics have been observed at different exhaust speeds and different exhaust locations by using the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The tunnel is equipped with one mechanical exhaust duct which makes use of exhaust system to expel the fire smoke. The best way to exhaust the smoke involving tunnel fires is investigated through the experiments.
판소리계소설은 ‘판소리’라는 연희를 바탕으로 형성된 소설 작품군을 일컫는 말이다. 판소리계 소설에 대한 연구는 고전문학 연구의 초창기부터 진행되어 현재 많은 연구 성과를 축적하고 있다. 판소리의 발생학적 측면에서 중국의 강창문학과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도 그 하나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판소리가 아닌 판소리계 소설을 대상으로 중국문학과의 비교 연구는 미진한 편이다. 본고에서는 판소리계 소설과 중국의 소설 장르인 화본소설에 대한 비교연구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렇게 비교하게 된 이유는 판소리계 소설과 화본소설의 비슷한 생성배경을 바탕으로 해서 시작한 것이다. 또한 판소리계 소설과 화본소설이 생성된 시기는 비록 많은 차이가 있으나 같은 발생단계를 겪어온 과정에서 서로 형식적인 면에서 반드시 어떤 공통점이 생겼을 것이다. 또한 고전소설에서 근대소설로의 이행기에서 생성된 이 두 소설 장르가 한국과 중국의 문학사에서 모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 점에서 볼 때 양자가 각국의 소설사에서 드러난 공통적인 의의도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 이러한 두 가지 측면에서 판소리계 소설과 화본소설의 비교를 진행할 것이다. 화본소설이란 ‘說唱人’의 演行에서 기원하여 민간 설창문학의 선상에 있으면서도 문인들의 정리와 수정을 통해 기록된 중국 특유의 소설 장르를 일컫는 말이다. 따라서 화본소설에는 구술적 특징과 기록적 특징이 공존해 있고, 민간의 통속적인 요소와 문인의 우아한 요소가 융합되어 있다. 또한 화본소설은 중국 고전소설의 문체가 文言文에서 白話文로 변해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중국 소설사에서 아주 큰 의의를 지니고 있다. 화본소설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판소리계소설과 아주 비슷한 연원을 가지고 있다. 그 기원설을 보면 중국 당나라 말기에 민간에서 생성된 ‘설화’라는 연희가 있는데 화본은 바로 설화의 대본이었다. 그러나 ‘설화’라는 연희가 오늘날에 그대로 전해지지 않았지만 거기에서 남게 된 화본은 후대에 와서 문인들이 정리하며 다시 개작과 편찬의 과정을 거쳐 새로운 문학의 형식인 화본소설로 재탄생 됐다. 판소리계 소설과 화본소설 사이에 어떤 발생학적인 공통성이 있는지 구체적으로 양자의 연희적인 발생배경, 구연물에서 기록물로의 변천과정과 후기의 발전형태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시정이나 여항에서 벌어진 놀이판에서 ‘설화자’가 한 자리 끼어서 창도 하고, 재담도하고, 몸짓도 하며 긴 이야기를 엮은 데서 판놀음을 할 때와 비슷하다. 또한 판소리에 수용되어 있는 전통 문예 양식과 마찬가지로 설화의 사설에서 강사· 소설·오대사 등 비슷한 사설의 성격을 갖추고 있다. ‘설화’나 판소리에서 다루고 있는 이야기들이 대부분이 설화의 바탕으로 한 이야기들이다. 이것은 민간에서 취재한 것이고 서민문학의 산물이다. 판소리와 화본이 부르고 듣는 창본으로부터 쓰고 읽는 독본으로 筆寫 改作과정에서, 필사본에서 版本化· 活字化하는 출판 방법의 변화에서, 그리고 일정한 작가의 개작본이 이루어졌을 기록물에 있어 대략 삽입운문의 감소, 고사의 논리성 추구 등 연행 장르가 독본화하면서 나타나는 특징이 된다. 중국의 전통 說唱문학의 설은 바로 ‘소설’을 말하고 있는데 이것은 화본소설로써 계속 발전해나가고 나머지 唱의 부분이 해당되는 것은 희곡으로 대체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화본소설은 희곡대본으로 변개하는 과정에서 원래의 설화에서 진행되는 연희적인 특성을 더 살려내어 一人劇에서 多人劇으로 발전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또한 내용의 양은 화본소설의 원문보다 더 길어져 인물간의 대화나 장면이 첨가되는 현상이 많다. 이와 대비해 판소리에서 창극으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판소리가 지닌 예술적인 가치가 떨어지는 일면이 있었다. 이점이 바로 중국에서는 설창에 비해 희곡은 음악적인 면에서 우위에 있고, 반면 한국의 경우에는 판소리가 오히려 창극에 비해 음악적 우위를 점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공동된 발생배경을 바탕으로 해서 판소리계 소설과 화본소설의 형식적인 측면에서 아래와 같이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해보기로 한다. 첫째, 판소리계 소설과 화본소설의 서술구조는 모두 虛頭-본사-후일담 및 入話-正話-篇尾의 삼단구조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판소리계 소설의 내용부분을 고도로 세련되고 집중적으로 서술하기 때문에 허두와 후일담의 형식이 반드시 있는 것은 아니다. 둘째, 판소리계 소설과 화본소설의 서사방식은 대부분이 대화위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작가는 자신의 눈과 입을 통해 인물에 대한 설명을 한 것이 아니라 그들 자신의 言行自體를 통하여 그 인물들의 성격을 드러내고 있다는 사실이 잠재하고 있다. 이것은 ‘설화’의 화본에서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흔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소설을 창작하는 데에 있어서 등장인물의 ‘市井口語’를 그대로 옮겨 적음으로써 개성 있는 인물을 형상화한다. 셋 째, 판소리계 소설의 하나의 특징으로 한 장면을 확대하여 묘사되는 장면의 극대화가 화본소설에서도 보이고 있다. 이것은 연행문화에서 생성된 공통적인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넷 째, 판소리계 소설의 운문체와 산문체의 결합됨은 화본소설에서도 마찬가지로 중시되고 있으나 운문체와 산문체의 역할이 각자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판소리계 소설의 운문체가 중심적 역할인데 반하여 화본소설의 산문체가 위주이고 운문체는 보조적 기능만 담당하고 있다. 또한 판소리계 소설과 화본소설은 민중의식을 드러내는 기층문학으로 작품 속에서 각자 어떤 주제의식을 드러내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따라서 이러한 차이점이 당시의 사회제도와 사회발전에 따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판소리계 소설과 화본소설은 각자 한국과 중국의 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판소리계 소설에 있어서 평민 계층의 발랄함과 진취성을 바탕으로 하여 전승, 재창작, 개작된 서민문학이고 설화를 바탕으로 한 적층문학이다. 또한 판소리계 소설은 서민문학이므로 구어체를 사용하고 생동한 언어로 현실을 반영하는 데에서 다른 국문소설이나 한문소설보다 더 깊은 의의를 지니게 되었다. 화본소설에 있어서는 최초의 백화체로 쓰여진 통속적이고 오락적인 성격을 띤 독본이었고 중국의 활기차고 생동적인 백화 소설이 자리 잡을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을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서민문학의 산물로 서민이 문학담당층이 되고 또한 창작의 내용들은 서민들의 이야기이며 그들의 세계관과 인생관을 담겨 있는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후대 화본소설 및 백화 소설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기에 출현 그 자체로 존재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할 것이다. 本論文是在盤索里小說和話本小說擁有相同的發生學角度上進行的。首先,韓國的盤索里和中國的講場文化有很大的相似處,這點在盤索里起源上韓國的學術界有很多的研究。本論文正是根據盤索里和講場中的一個分支‘說話’的藝術形態的相似處為出發點,比較兩者在演戲形態上的相似處,進而通過比較分析兩者在各自形成小說的過程中的相似處以及各自的發展過程中有哪些形態和樣式的變異。通過這些相似點比較和分析盤索里小說和話本小說在形式上的異同點。這些異同點主要是通過敘述構造的比較,對話為主的人物形象化,場面的擴大,韻文與散文的結合等方面來進行比較的。比較的結果證明了盤索里小說的結構中沒有話本小說的入話-正話-篇尾這樣的定格結構,形式比較寬鬆自由,以正文為主進行敘述。另外,在以人物對話為主的形象化和場面的擴大等方面,兩者擁有相似的特點,體現了在向小說的發展過程中兩者所具備的小說性要素。 最後,在韻文與散文的結合比較中,發現,話本小說中的韻文是以詩詞為主進行的,此類形式在文章中,只是敘景抒情而用,對故事的發展并無緊要作用;而盤索里的韻文主要是以短歌的形式出現的,此類形式對故事的發展進行有著直接的關係,甚至比散文部分尤為重要,這正好體現了盤索里小說是從盤索里的演出形式上直接發展進化而來的。 在第四章中,我们探讨了盘索里小说和话本小说在各自国家文学史上的意义,这是从不同的民众意识的体现和各自在小说史上的意义来着手进行的。 在盘索里小说<春香传>当中,小说的主题是通过对封建身份等级制度的批判和对封建统制阶层压迫的反抗等方面来体现的。这是农民阶层和统制阶级的矛盾。而话本小说当中的矛盾体现并没有直接涉及统制阶级,而是在小市民当中进行的,并没有出现官逼民反等的主题。这种民众意识的差异最根本的原因是由当时的社会与经济状况而决定的。通过这些分析可以看到盘索里小说和话本小说对反映当时的社会现状与民众意识,世界观有着极大的意义和作用。 盘索里小说在韩国可以说是国文小说的先河,比同是国文小说的英雄小说来说有着音乐和文化的双重文学意义。而话本小说作为中国文言文过度到白话文的历史过程中更加起到了决定性的作用。两者在韩国和中国的文学史上都有着不可磨灭的伟大意义和成就。 At present there are lots of accumulated results of Pan-So-Li Literature for research from the early beginning of research literature. It’s not the Pan-So-Li but the Pan-So-Li Literature is the object of Chinese literature’s comparative researched compilation. The manuscripts that were originated in Chinese Talking-and-Singing Literature were the basis of all the background researches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and similarities of Talking-and-Singingart and the art of Pan-So-Li. In addition, based on this kind of literary form we will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Pan-So-Li Literature and the Hua-Ben Novels. Because Pan-So-Li Literature and the Hua-Ben Novels has lots in common features such as the interrogation process, the characteristic of the novel, the talent that needed and other embryological important factors that made the two parties possible to compare. In the side of formality, Pan-So-Li Literature and the Hua-Ben Novels both doesn’t have proper form of introduction, climax and conclusion but the content were refined and focused on the narrative. In addition, the narrative forms of both parties were most achieved through dialogues and it bring special characteristic in the scene. The verses of Pan-So-Li Literature is focus on the importance of central role while on the contrary the Pan-So-Li Literature is primarily focus on the prose style and assessing the applicability of the verse. These features of Pan-So-Li Literature and the Hua-Ben Novels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ina and in South Korea’s history of literature, it also has a profound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novel’s history.
陳潁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China has become a significant producer and consumer of fresh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fast growth of cold chain logistics provides it with the essential services and assurances. However, due to China's late start in the cold chain logistics industry, the distribution of cold chain equipment is uneven, and cold chain infrastructure is primarily concentrated in coastal areas and first-tier developed cities: In 2020, the capacity of East China, North China, and regional cold storage accounts for 37.8%, 15.3%, and 14.9%, respectively. Cold storage is concentrated in East China, and the number of cold storage in other regions is relatively low and development is slow, resulting in the phenomenon of "cold chain disconnection" occurring frequently (China Federation of Logistics and Purchasing). The front-end and back-end facilities of cold chain logistics are not flawless when compared to the total cold chain logistics process, which increases the loss of circulation as well as the price and quality instability factors from farmers to consumers. Thi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ietary safety of Chinese residents as well as the worldwide competitiveness of agricultural products: hence, thorough study on such concerns is urgently needed. The distribution center's location is directly tied to each component of the entire supply chain since it is the key connection of the cold chain logistics network. The distribution center's decision-making modifications will have an impact on other nodes in the supply chain. However, due to differences in the construction of cold chain logistics distribution centers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of each region in China, most agricultural product production areas, such as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which bear the majority of the wholesale trade of fresh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country, lack distribution centers, and the majority of agricultural products enter circulation without pre-cooling, which directly increases the loss.The concentration of the cold chain logistics industry in Shandong Province is 15.4%, indicating that the short shelf life of agricultural products and high storage and transportation costs are fundamentally caused by the lack of distribution centers for agricultural products at origin, which not only keeps the cost of the cold chain supply chain high, but also makes it impossible to guarantee the quality of agricultural products. The pre-cooling treat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occurs in the "first-mile" link of cold chain logistics, that is, after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picked and before trunk line transport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quality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and extend the shelf life,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operations such as picking, pre-cooled and graded processing, packaging and warehousing in the distribution center of origin. Research on the network of the first-mile pre-cooling distribution center of cold chain logistics is advantageous in this context not only to enhance the core competitiveness of the firm but also has the potential to enhance food quality and safety. Within the scope of this study, multi-objective optimization problems pertaining to a pre-cooling distribution center network are investigated, the corresponding mathematical model is constructed, and the technique that is used to solve these problems is optimized. The primary body of research work consists of the following components and aspects: Firstly, in order to address the fundamental challenge of network location selection for a cold chain logistics pre-cooling distribution center, a bi-level programming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the cost of location selection and the least cost of vehicle transportation is developed. Secondly, in consideration of the perishability of fresh agricultural items,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odel incorporating the freshness loss cost and the pre-cooling cost is developed by adding the freshness limitations of agricultural products to the aforementioned fundamental problems. Finally, in order to address the issue of high energy consumption in the cold chain logistics business, carbon emission cost is introduced on the basis of the basic problem.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odel is created with optimal location selection, transportation route, carbon emission cost, freshness loss cost, and pre-cooling cost. In this study, the genetic algorithm and simulated annealing algorithm from the meta-heuristic algorithm are used to create an improved GASA algorithm model. The improved algorithm has rapid convergence speed and no "premature convergence," which enhances the quality of the solution: empirical study demonstrates the algorithm's feasibility and efficacy. This study examines the multi-objective optimization models for the three pre-cooling scenarios: no pre-cooling, pre-cooling at the origin, and pre-cooling at the distribution center. The results indicate that pre-cooling extends shelf life and improves product quality compared to non-pre-cooling circumstances. Pre-cooling in the distribution center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cost and freshness under identical pre-cooling settings.
As over half of the population concentrated in urban area, healthy and sustainable city has attracted critical attention world-widely.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on, which indicate the air and surface temperature of urban area is higher than suburban area, is one of the main challenges currently faced by large cities around the world. As the health and well-being of urban residents is threatened by the urban heat island, even heat-related mortality increases, there are various efforts in each country to alleviate it. South Korea is also one of the countries facing the heat island phenomenon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To ameliorate thermal comfort, various urban planning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 providing street trees and green wall, green roof, shade canopy, and a water space.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the how effectively these outdoor landscape amenities contribute to human-scale thermal comfort. In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typical urban landscape amenities – green wall, green roof, shade canopy – in terms of thermal comfort by using non-invasive measurement experiment. We select two representative indicators,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index, to assess the level of thermal comfort; Electroencephalograph (EEG) as physiological index, Thermal Sensation Vote (TSV) and Thermal Preference Vote (TPV) as psychological index. To conduct experiment, total 60 healthy people without underlying diseases are recruited as subjects. They experienced 5 different environments for each 3 minutes, and during each 3 minutes, the brain wave of participants was recorded by wearable EEG device and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is process, we will conduct empirical research to support theoretical urban heat mitigation strategies. The finding of this study will help city planner and stakeholder to design climate sensitive urban design. 도시 지역의 인구 과밀이 심각화 됨에 따라 건강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가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도시 지역의 열섬 현상은 전 세계가 직면한 문제로, 도시인의 건강과 웰빙이 위협받고 있으며, 무더위 관련 사망률도 증가함에 따라 각국에서는 이를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열 쾌적성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도시 계획 정책이 구현되고 있으나 이러한 야외 조경 편의 시설이 인간 규모의 열 쾌적성에 얼마나 효과적으로 기여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전형적인 도시 경관 편의시설인 벽면 녹화, 옥상 녹화, 그늘막의 열 환경 개선 효과를 생리적 지표 (뇌파계, EEG), 심리적 지표 (열 쾌적성 설문조사)를 이용한 비침습적 측정 실험을 통해 이용자 측면에서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 대상지는 수원 도시 공사 옥상이며, 실험을 위해 기저질환이 없는 성인 57명을 대상으로 총 5 개의 환경에서 3분씩 측정을 진행하였으며, Multilevel model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 참여자들은 그늘막 아래에서 가장 쾌적하다고 응답했으며, 벽면녹화를 바라볼 때 심리적 반응이 가장 긍정적으로 기록되었다. 특히, 녹화 시설물을 등지고 있을 때보다 바라보고 있을 때 더욱 긍정적인 심리 반응 및 열 환경 개선효과가 나타나, 녹화시설물의 시각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도시 내 열 쾌적성 개선 전략을 뒷받침하기 위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여 도시 계획자 및 이해 관계자가 기후에 민감한 도시 디자인을 설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막걸리는 한국의 전통술이다. 요즘 인기가 많아져 있고 출고량이 많아져 있다. 최근 막걸리에 관련한 연구는 알코올 성분, 유리당, 아미노산, 유기산 등의 품질특성 조사, 개량누룩의 사용에 의한 막걸리의 품질 개선 및 원료를 달리하여 담금한 막걸리 특성 등이 있다. 연구를 통해 키토올리고당과 같은 막걸리의 기능성 물질이 밝혀지면서 막걸리의 수요 또한 증가하고 찹쌀 대신 햅쌀로 만든 막걸리가 시장화 되였다. 팥은 아주 오래 전부터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오래 재배되어 많이 이용한 음식 재료이며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달다. 동의보감에서는 설사와 이질, 창만을 치료하고 젖을 나오게 하며 각기병과 수종을 치료하고 몸을 여위게 하므로 지나치게 살찐 사람이 먹으면 좋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리고 단백질의 대부분은 글리시닌이고 발린을 제외한 필수아미노산이 풍부하며, 색소는 항산화 및 항종양효과를 나타내고 팥에 함유된 사포닌은 섬유질과 함께 변통을 돕는 효과가 있다. 독을 풀고 배변을 촉진하여 장을 깨끗이 해주며, 신장병, 각기병, 숙취 등에도 이용된다. 최근 팥 열 추출물로 만든 음료의 연구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에 팥의 기능성을 결합하여 신제품 막걸리를 만들었다. 건조 쌀 중량의 5%, 10%, 15% 팥을 함유한 막걸리의 pH, 산도, 당도, 색도, 환원당, 알코올 함량,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itivites, 총 폴라보이드 함량, 효모수, 현탁 안정성과 관능평가를 발효 기간인 7일 동안 조사하였다. 그 결과, 막걸리의 품질을 평가하는 항목인 산도, 알코올 함량, 환원당, 효모계수에서 무첨가구를 포함한 모든 실험구에서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팥 첨가 함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항산화 활성(DPPH)은 팥 10% 첨가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현탁 안정성의 경우 팥 첨가 함량이 커질수록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또한 관능평가 결과, 팥 10% 첨가구는 향미(Flavor), 단맛(Sweetness), 신맛(Sourness), 쓴맛(Bitterness)과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에서 무첨가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p<0.05) 무첨가구와 같이 높은 기호도 점수를 받아 팥 10% 첨가비율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cultur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has been widely consumed with increasing popularity in Korea, China and other Asian countri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bean Makgeolli: pH, total acidity, alcohol contents, sugar contents, reducing sugar, color, total flavonoid contents, DPPH, yeast cell counts, sensory evaluation of Makgeolli added with red bean (0, 5, 10 and 15% by rice weight) during fermentation for 7 day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amples in acidity, alcohol contents, reducing sugars and yeast cell counts, but total flavonoid contents increased with increasing ratio of red bean(p<0.05). Makgeolli added with 10% red bean showed the highest antioxidation activity, an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Makgeolli without red bean in flavor, sweetness, sourness, bitterness and overall acceptance in sensory evaluation. Therefore, Makgeolli added with 10% red bean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suitable for the manufacturing.
中國 民謠 茉莉花 分析 硏究 : 中國 26개 성급 행정구역을 中心으로
진영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본 논문에서는 중국 한(漢)족 전통 민요 “모리화”의 지역적 분포와 음악적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 “모리화”는 중국인들이 가장 널리 분포하고 많이 불리어지는 민요일 뿐만 아니라 세계에 가장 잘 알려져 있는 중국 민요이다. “모리화”는 중국 각 지역에 널리 전해져 전국의 성급 행정구역 중 26개 성급 행정구역에 두루 분포하고 있는데 그 비율은 76%를 차지한다. 각각 지역의 경제, 교통, 언어, 지방극, 한족 인구수 등 차이가 있는 까닭에 “모리화”의 유전된 형식과 곡목의 수량이 모두 다르다. 본고는 각 26개 성급 행정구역 “모리화” 가사의 특징, 형식, 구성음, 선율, 리듬 그리고 그 비교분석의 결과 등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다. “모리화”의 분포지역 26개 성급 행정구역은 에를 들면 강소성, 절강성, 복건성, 요녕성, 흑룡강성, 하북성, 천진시, 산서성, 하남성, 길림성, 산동성, 영하 회족자치구 삼서성, 내몽고 자치구, 감숙성, 상해시, 북경시, 귀주성, 청해성, 호남성, 호북성, 강서성, 광서 장족자치구, 신강 위구르자치구, 안휘성, 운남성 등이다. “모리화”의 가사내용은 서상기(西厢记)와 영화(詠花)를 위주로 한 외에 사랑, 혼인, 세상일, 12월, 사절, 자연, 신화 등을 기타 내용도 있다. “모리화”의 형식은 A-B형식, A-B-C형식을 위주로 A-A'-A'' 형식이 더해 3가지가 그 기초 형식이다. “모리화”의 구성음은 솔-라-도-레-미, 도-레-미-솔-라, 레-미-솔-라-도, 라-도-레-미-솔 5음 중심의 4가지 유형과 라-시-도-레-미-솔, 도-레-미-바-솔-라, 레-미-솔-라-시-도, 솔-라-시-도-레-미 6음 중심의 4가지 유형 그리고 레-미-파-솔-라-시-도, 솔-라-시-도-레-미-파 7음 중심의 2가지 유형의 음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모리화”의 선율 형태는 순차적인 상행 진행 선율 형, 순차적인 하행 진행 선율 형을 위주로 하고 상행 후 하행을 반복하는 선율 형, 골곡 진행하는 선율 형 구조와 완전4도, 완전5도 단6도, 단7도, 완전8도, 완전12도의 도약 진행 선율 형 등이 나타난다. “모리화”의 빠르기는 오직 Moderato 유형 한 가지만 나타났지만, 리듬은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리듬은 2/4박자, 4/4박자, 2/4와 3/4박자가 혼합된 3가지 유형이었다. 각 26개 성급 행정구역 “모리화”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리화”의 민간 전래는 지방음악 체계를 그 생명의 궤적(轨迹)으로 삼고 있다. 둘째, 자연환경이 음악의 풍격을 결정하였다. 셋째, 역사적 연원과 인문 환경이 “모리화”의 발전을 결정하였다. 넷째, “모리화”는 전국 각 지의 민간에 전래되는 과정 중에 변화가 있었지만 그 최초의 풍격을 여전히 잘 보존하고 있었다. This paper mainly studies the regional distribution and musical features of JASMINE FLOWER of Chinese traditional folk songs. As the international 'symbol', JASMINE FLOWER has a very high artistic value and widely spread in many areas of China. Especially this song has been a great vogue in 26 provinces of China and accounts for 76% of total Chinese area. Because the economy, transportation, language, local opera, population size of Han are difference, the form of spreading and the number of tracks are also difference. This paper made a detailed analysis on the content, characteristics, melody, rhythm, form and composition of the scale degree of JASMINE FLOWER. This paper firstly systematically analysed the economy, transportation, language, local opera, population size of Han of Jiangsu Province, Zhejiang Province, Fujian Province, Liaoning Province, Heilongjiang Province, Hebei, Tianjin, Shanxi Province, Henan Province, Jilin Province, Shandong Province, Ningxia Hui Autonomous Region, Shaanxi Province, 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Gansu Province, Shanghai, Beijing, Guizhou Province, Qinghai Province, Hunan Province, Hubei Province, Jiangxi Province, 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 Xinjiang Uygur Autonomous Region, Anhui Province, Yunnan Province. Then summarize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JASMINE FLOWER in the above provinces. The lyrics content of JASMINE FLOWER mainly falls into three parts, Xi Xiang Ji(a miscellaneous drama of Yuan Dynasty), praising the flowers, and other themes of content. The third part covers various aspects, such as love, marriage, political fact, 12 months, four seasons, natural scenery, fairy tales, etc. The musical forms of JASMINE FLOWER mainly include A-B and A-B-C, In addition, there are A-A'-A'' and so on two kinds of forms. In the composition of tones, the pentatonic scales mainly include sol-la-do-re-mi, do-re-mi-sol-la, re-mi-sol-la-do, la-do-re-mi-sol 4 kind of forms. The six-tone style primarily consisted of la-si-do-re-mi-sol, do-re-mi-fa-sol-la, re-mi-sol-la-si-do, sol-la-si-do-re-mi four forms. The seven-tone style mainly includes two forms, that is re-mi-fa-sol-la-si-do and sol-la-si-do-re-mi-fa. The melodic progression of JASMINE FLOWER mainly covers smooth ascending, descending, ups and downs, perfect fourth, perfect fifth and so on five forms. But there are also sixth, seventh and octave in a larger jumping way in a few areas. The tempo, meter and rhythm of JASMINE FLOWER is on the basis of the tempo of Moderato, the rhythm is diverse and the meter consists largely of 2/4, 4/4, 2/4 and 3/4 and so on irregular meter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26 provinces. First of all, the local music is the life track of jasmine's spread. Secondly, the natural environment is one of essential factors that decide the style of music. Thirdly, historical changes and the human environment determine the development of jasmine. Lastly, there are all kinds of changes in the spread of jasmine in all parts, but still retains the original music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