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진승헌,조진만,조상래,조영섭,김수형,Jin, S.H.,Cho, J.M.,Cho, S.R.,Cho, Y.S.,Kim, S.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6 No.4
The field of user authentication in Korea has experienced new dimensions since December 2020. Accredited certificate, which had been in use for 21 years since 1999, has been abolished. Accredited certificates have provided a trust foundation for various ICT-based industrial developments; however, new changes in the authentication sector are also required due to changes in the service and policy environment. Changes in the service environment occur rapidly because of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such as AI, IoT, Bio, Blockchain, and the daily use of non-face-to-face environments caused by COVID-19. Even with changes in the service environment, user authentication remains an essential foundation for providing services. This paper summarizes the current status of user authentication techniques, analyzes major changes in the service environment (such as Metaverse) associated with user authentication, and presents the direction of authentication techniques (Decentralized, Invisible, Privacy-preserving) through the derived implications.
진승헌,조상래,김태성,류재철,Jin, Seung-Hun,Cho, Sang-Rae,Kim, Tae-Sung,Ryou, Jae-Cheol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0 No.6
실생활에서 권한의 위임을 통한 대리 서명은 일상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대리 서명을 인터넷상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권한 위임한 내용이 안전하게 전달되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현재 IETF 에서는 위임 인증서를 제안하고 있다(5). 그러나 인터넷상의 안전한 대리 서명을 위해서는 대리자가 발급받은 위임 인증서를 가지고 권한을 오남용 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위임 인증서를 이용하여 권한의 오남용을 막기 위한 정책제한 필드를 제안하고 안전하게 권한 위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권한 위임 메커니즘을 설계하였다. 또한 프로타입 구현을 통하여 위임 인증서를 이용한 대리서명 서비스의 가능성을 보였다. In real life, we frequently use th proxy signatrue by delegating one's own privileges.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the data related to privilege delegation securely in order to use such a proxy signature in the Internet. However, inorder to use the secure proxy signature, we need to have some mechanism to prevent a proxy signer from misuse of privileges by applying proxy certificate and a privilege delegation mechanism to manage information with related to privilege delegarion. In addition, we have implemented the prototype to demonstrate the possible proxy signature service using proxy certificate.
진승헌(Seung-Hun Jin),정교일(Kyo-Il Chung),이대기(Dai-Ki Lee),유형준(Hyung-Jun Yoo),김영국(Young-Kook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04 정보보호학회지 Vol.14 No.3
지식정보사회로의 변화가 점차로 심화되면서, 기존의 법 이론으로서는 설명하기 어려운 여러 가지 새로운 법적 현상이 나타나게 되었다. 디지털, 정보, 네트워크 등 정보사회의 특징은 아날로그, 유체물, 소유에 중점을 두고 있는 현재의 법 원리에 근본적인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정보 홍수 속에서 의사소통과 법 해석의 문제, 기본 권리, 무체물의 재산성, 액세스에서의 권리성 등 정보사회에 대한 법 이론적 논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고에서는 정보보호라는 차원에서 현행 우리 헌법에서 정보보호문제가 어떻게 다루어지고 있는 지에 대해 살펴보고, 정보보호관련 법규들을 우리 헌법상의 국민의 기본권으로서의 전체적인 시각에서 개괄적으로 고찰하여 보고자 한다.
코로나 이후 시대의 디지털 ID 관리기술 요구사항 분석
진승헌(Seung-Hun Jin),조진만(Jin-Man Cho),김수형(Soo Hyung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6
코로나로 인하여 재택근무와 온라인 교육 등과 같은 비대면 환경이 일상화가 되었다. 이러한 비대면 환경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디지털ID 관리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IST SP 800-63의 디지털 ID관리 모델을 설명하고 디지털 ID관리 동향 분석을 통하여 코로나 이후에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융합이 가속되는 메타버스 환경에서 새롭게 부각될 디지털 ID관리기술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Due to COVID-19, non-face-to-face environments such as teleworking and online education have become commonplace. Digital ID management technology is being used for the smooth operation of this non-face-to-face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describe Digital identity model of NIST SP 800-63 and present the digital ID management technology requirements that will be newly highlighted in Metaverse where online and offline convergence is accelerated after COVID-19 through digital ID management trend analysis.
진승헌(Seung-Hun Jin),조진만(Jin-Man Cho),김수형(Soo Hyung Kim) 한국정보기술학회 2021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1 No.11
작년(2020년) 12월, 20여년간 금융 쇼핑 공공 등의 여러 분야에서 사용하였던 공인인증서가 폐지되었다. 현재는 공동인증서 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어 다양한 인증 수단 중에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그 동안 공인인증서는 우리 생활 전반에 사용되면서 국가 정보화에 이바지하였으나, 관련 기술 및 서비스 발전을 저해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공인인증서 폐지를 골자로 하는 전자서명법이 개정된 후에, 다양한 사설인증서가 발급되어 활용되고 있다. 전자서명 및 인증 분야에서는 큰 변화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1999년 전자서명법 제정과 함께 시작한 공인인증서의 도입에서 2020년 폐지까지의 주요 이슈들을 살펴보면서 향후 인증 분야의 방향성을 가늠해볼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한다. In December last year (2020), Accredited certificate that had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finance, shopping and the public sector for more than 20 years were abolished. Currently it has been changed to ‘Joint Certificate’ and is used as one of various authentication means. Until now, Accredited certificate have contributed to national informatization as they have been used throughout our lives, but have been criticized for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electronic signature technology and service innovation by causing market monopoly. After the Electronic Signature Act, which aims to abolish accredited certificate, was revised, various private certificates have been issued and utilized. It can be seen as a big change in the field of electronic signature and authentication. In this paper, we look at the major issues from the introduction of accredited certificate, which began with the enactment of the Electronic Signature Act in 1999, to the abolition of 2020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authent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