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온주밀감(Citrus unshiu Marc. var. Okitsu) 미분화 종바로부터 callus 유기 및 증식
진성범,홍경애,부경환,이도승,류기중 제주대학교 방사능이용연구소 2000 연구보고 Vol.14 No.-
조직배양을 통한 기관분화나 식물체 재분화 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는 온주밀감(Citrus unshiu Marc. var.Okitsu) 미분화 종자로부터 callus 유기 조건을 확립하였다. 온주밀감 성숙과실의 미분화 종자를 MT(Murashige and Tucker, 1969) 기본배지에 치상 6주 후에 미숙종자 양쪽 가장자리에 유기된 조그만white callus를 gibberellin 1mg/L, adenine 25mg/L, malt extract 500mg/L가 첨가된 MT 기본배지에 치상 하여 2주간격으로 계대배양하여 캘러스를 유지할 수 있었고, EME(Grosser and Gmitter, 1990a ) 배지에 4주 간격으로 계대배양함으로써 증식시킬 수 있었다.
주식 취득 후 주식가치 증가에 따른 이익의 증여 국면에서 상속세및증여세법 과세요건에 대한 목적론적 해석 제안 ― 상속세및증여세법 제42조의3 관련 대법원 판례를 중심으로 ―
진성범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5 조세와 법 Vol.18 No.1
주식을 수단으로 하는 증여는 점점 정교해지고 복잡해지는 양상이다. 증여세 완전포괄주의의 도입 취지는 이렇듯 다양하게 변주되는 변칙증여에 대응하기 위함이었으나 법인을 도관으로 하는, 주식 취득 후 주식가치 증가를 이용한 간접증여 국면에서 이러한 취지는 관철되지 못하고 있다. 증여세 완전포괄주의하의 개별예시규정인 상증세법 제42조의3 과세요건에 대한 법원의 해석론은 재산가치증가사유, 특히 ‘개발사업의 시행’ 포섭 범위를 극히 제한한다. 이는 증여세 완전포괄주의의 도입취지 및 이후의 연혁적 방향성과도 어긋나는 해석론이며 구체적 타당성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개별예시규정인 상증세법 제42조의3과 포괄증여규정인 상증세법 제2조 제6호 및 제4조 제1항 제6호 사이의 관계에 대한 해석 역시 타당하지 않다. 개별증여이익 계산규정의 적용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즉시 증여세 과세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계산방법 적용 여부를 다시 한번 판단하는 것이 타당하다. 결국 주식가치 상승을 통한 변칙적 간접증여에 실효적 대응을 위해서는 상증세법 제42조의3 및 포괄증여 규정에 대한 목적론적 해석이 요구된다. 현행법상의 모호한 부분이 이러한 목적론적 해석에 제동을 거는 측면도 존재하는 바, 현행 상증세법 제42조의3을 개정하여 재산가치증가사유를 추가입법하거나 포괄규정적용시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증여이익 계산기준의 입법, 상증세법 제42조의3을 추정규정으로 전환하는 방법 등을 제안한다. The introduction of the comprehensive taxation principle under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IGTA) was intended to address various types of irregular and disguised gifts. However, this legislative intent has not been effectively realized in cases of indirect gifting involving the use of corporations as conduits, particularly where gift benefits arise through the increase in stock value following stock acquisition. Judicial interpretations of Article 42-3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which sets out specific illustrative cases under the comprehensive taxation principle, have significantly narrowed the scope of “reasons for increase in asset value,” especially with regard to the inclusion of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projects.” Such interpretations diverge from both the original legislative intent behind the adoption of the comprehensive taxation principle and the historical trajectory evident in subsequent amendments, and they do not align with standards of concrete rationality. The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fic provision (Article 42-3) and the general provisions on deemed gifts (Articles 2(6) and 4(1)(6)) of the Inheritance and Gift Tax Act is also problematic. If a transaction does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specific provision for calculating deemed gift benefits, it should not be immediately excluded from taxation. Rather, it should be assessed whether the calculation method employed is objective and reasonable. Only when this condition is not satisfied should the transaction be excluded from the scope of gift taxation. To effectively address irregular indirect gifts realized through increases in stock value, a purposive interpretation of Article 42-3 is required. In particular, the scope of inclusion for reasons contributing to asset value increases—such as the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 projects or the granting of administrative permits and approvals—should be interpreted more broadly than current judicial interpretations suggest. This approach is consistent with the illustrative nature of Article 42-3. Nonetheless, ambiguities in the current law hinder such purposive interpretations. Accordingly, this paper proposes legislative reform: explicitly adding types of asset value increase to Article 42-3, establishing objective and reasonable standards for calculating deemed gift benefits under the general provisions, or converting Article 42-3 into a rebuttable presumption prov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