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

        集合建物 垈地使用權의 一體不可分性

        진상욱 한국토지법학회 2008 土地法學 Vol.24 No.2

        Where several sections into which one building is divided in structure may be independently used, each section may be the object of independent ownership under the provisions of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s ("the OMA Act"). In this case, one building is said to be an aggregate building, and a divided section in structure is said to be a sectional building. The right to use site means the right which a sectional owner has on the site of a building so as to own his section of exclusive ownership, and the site right means the right which a sectional owner shall not dispose the right to use site independently from a building. A right to use site includes ownership, a usufructuary right, the right of lease and so on, and it is not necessarily to be a registered right without exception. In addition, the usufructuary right that a purchaser has by possession can be a right to use site, which did not get the registration The OMA Act prescribes indivisibility of section of exclusive ownership and right to use site. A sectional owner's right to use site shall follow the disposition of his section of exclusive ownership, and a sectional owner shall not dispose the right to use site independently from his section of exclusive owhership. Provided, that the same shall not apply if specified otherwise by the regulations and a notarized document. Furthermore, the prohibition of independent disposition shall not be used as a defense against a third party who has acquired real rights in good faith unless the registration thereon is made[The Article 20(1), (2) (3) of OMA Act]. The purchaser paid full price of the site in the sectional building, but not completed the registration, and the purchaser did not acquire the ownership of site. In this case, the usufructuary right that the purchaser has by possession becomes the right to use site, and it shall not dispose the right to use site independently from his section of exclusive ownership, even if it is the right that the purchaser acquires in the future. And, the Supereme Court ruled in the 98da45652 decision. Where the usufructuary right that the purchaser has by possession becomes a right to use site, if it is the right of site that the constructor acquires in the future, after he did ownership transfer registration for his section of exclusive ownership, it cannot dispose of a third party who does not acquire the section of exclusive ownership. The act of disposition that the constructor violated in this does not have valid. 1동의 건물 중 구조상 구분된 수개의 부분이 독립된 건물로서 사용될 수 있을 때에는 그 각 부분은 집합건물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각각 소유권의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1동의 건물을 집합건물이라고 하고, 구조상 구분된 수개의 부분을 구분건물이라고 한다. 대지권은 절차법적 개념으로 대지사용권으로서 대지권등기가 경료되어 건물과 분리하여 처분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하고, 대지사용권은 구분소유자가 전유부분을 소유하기 위하여 건물의 대지에 대하여 가지는 권리를 의미한다. 대지권은 모두 대지사용권이지만 대지사용권은 모두 대지권은 아니다. 대지사용권의 대상은 소유권, 전세권, 임차권 등이 될 수 있고, 반드시 등기된 귄리일 필요는 없다. 또한 등기를 하지 않은 매수인이 가지는 점유ㆍ사용권도 대지사용권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집합건물법에서는 전유부분과 대지사용권의 일체불가분성을 규정하고 있다. 구분소유자의 대지사용권은 그가 가지는 전유부분의 처분에 따르며, 전유부분과 분리하여 대지사용권을 처분할 수 없다. 다만, 예외적으로 규약이나 공정증서로 달리 정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또한 분리처분금지는 그 취지를 등기하지 아니하면 선의로 물권을 취득한 제3자에 대하여 대항하지 못한다(집합건물법 제20조제1항·제2항·제3항). 또한 구분건물의 매수인이 대지지분을 매수하고 대지의 가격은 전부 지불하였으나 등기를 경료하지 않아서 대지지분의 소유권을 취득하지 못한 경우에 매수인의 지위에서 가지는 점유ㆍ사용권이 대지사용권이 될 수 있고, 매수인이 장래에 취득할 권리도 전유부분과 일체불가분성이 인정되어 분리처분이 금지된다. 대법원 2000.11.16. 선고 98다45652·45669 전원합의체 판결에서 “매수인의 지위에서 가지는 점유ㆍ사용권이 대지사용권이 되는 경우, 분양자는 전유부분에 대한 소유권이전등기를 경료해 준 후 사후에 취득할 대지지분도 전유부분의 소유권을 취득한 양수인이 아닌 제3자에게 분리 처분할 수 없다. 이를 위반한 처분행위는 효력이 없다."고 판시하여 일체불가분성을 인정하였다.

      • KCI등재

        조망이익의 법적 보호 : 판례를 중심으로

        진상욱 한국토지법학회 2015 土地法學 Vol.31 No.1

        If it is objectively acknowledged that an owner of a certain piece of land or a building has long enjoyed a view from such property as a value that has benefited his life, he shall be legally protected, and such benefit of the view, in principle, shall be legally protected only when a certain place is recognized to have a special value in looking out from that place, and when the owner or an occupant of such building is recognized to have the benefit of the view from that building that is so important that it shall be approved a socially accepted idea as an independent benefit, as in the case where a building is constructed on that property with the enjoyment of such benefit of the view as one of the important purposes, and in the case where the benefit of the view shall be legally protected, for an act of infringement the above benefit to be evaluated as a judicially illegal harmful act, the degree of the infringement of the above benefit shall go beyond the socially accepted limit. It can be said to ‘living benefits’ including sunlight, privacy and the view etc., and calculating property damages due to infringement of living benefits has gone beyond the generally accepted limit from socially accepted, it shall be first judged whether the acceptance limit has been exceed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degree of infringement of individual living benefits in principle and then the amount of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shall be calculated based upon the living benefits that have gone beyond the acceptance limit. Finally, the protection of living benefits should be guaranteed by legislation. 조망이란 일반적으로 아름다운 경관을 조망하여 미적 만족감이나 정신적 휴식을 즐기는 것을 의미하지만, 여기에 개방감 상실을 포함시킬 수 있다. 조망침해는 개인적 이익에 대한 침해로 나타나고, 조망은 소유자 및 점유자의 관점으로부터 조망의 대상을 바라보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조망과 경관은 구별되어야 한다. 조망이익은 일조·통풍·전파·프라이버시 등과 더불어 소극적 생활이익의 하나로서 법적 보호의 대상이 되며, 그 법적 성격은 조망침해의 경우에 손해배상과 방해제거 및 방해예방청구를 할 수 있는 근거가 무엇인가와 관련되는 문제이다. 다음과 같은 이유로 가칭 ‘생활이익향수권‘을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첫째, 조망 등의 생활이익 침해는 사인 사이의 상린관계적 분쟁에 의한 쾌적한 생활이익에 대한 소극적 침해이며, 또한 건축물의 고층화·밀집화에 의하여 새롭게 발생한 문제이고, 실무적으로 조망침해가 없으므로, 소극적 생활이익을 총합적으로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소극적 생활이익의 침해는 소유권의 이용권능을 침해하는 것이고, 이웃거주자들의 소유권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적극적 침해든 소극적 침해든 원칙적으로 민법 제217조를 적용하고, 조망침해의 경우에도 소극적 침해로 보아 민법 제217조를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조망에 관련된 최초의 판례로는 대법원 1995. 9. 15. 선고 95다23378 판결과 대법원 1997. 7. 22. 선고 96다56153 판결로서 조망이익이 주된 쟁점이 아니라 교육환경 및 종교적 환경이 주된 내용이었고, 조망이익이 법적 보호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인정하는 대법원 2004. 9. 13. 선고 2003다64602 판결은 실제로는 조망침해를 인정하지 않았고, 그 후의 판결들에서 동일한 판시를 하고 있다. 그 후 조망침해를 인정한 것으로 볼 수 있는 유일한 대법원 2004. 9. 13. 선고 2004다24212 판결이 있고, 개방감 상실에 손해배상을 인정한 대법원 2014. 2. 27. 선고 2009다40462 판결이 있다. 궁극적으로 조망이익의 보호는 입법에 의하여 보호되어야 하고, 가칭 ‘생활이익향수권’으로 토지공간 전체에 대한 총괄적인 보호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KCI등재

        Medical Treatment with Somatostatin Analogues in Acromegaly: Position Statement

        진상욱,Cheol Ryong Ku,김병준,김성운,박경혜,송기호,오승준,윤현구,이은직,이정민,임정수,김정희,김광준,진흥용,김대중,이경애,문성수,임동준,신동엽,김세화,권민정,김하영,김진화,김동선,김종화 대한내분비학회 2019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34 No.1

        The Korean Endocrine Society (KES) publish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treatment of acromegaly in 2011. Since then, thenumber of acromegaly cases, publications on studies addressing medical treatment of acromegaly, and demands for improvements ininsurance coverage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In 2017, the KES Committee of Health Insurance decided to publish a position statement regarding the use of somatostatin analogues in acromegaly. Accordingly, consensus opinions for the position statement were collected after intensive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and discussions among experts affiliated with the KES, and theKorean Neuroendocrine Study Group. This position statement includes the characteristics, indications, dose, interval (including extended dose interval in case of lanreotide autogel), switching and preoperative use of somatostatin analogues in medical treatment ofacromegaly. The recommended approach is based on the expert opinions in case of insufficient clinical evidence, and where discrepancies among the expert opinions were found, the experts voted to determine the recommended approach.

      • KCI등재

        분묘기지권의 재검토 - 대법원 2017.1.19. 선고 2013다17292 전원합의체 판결 -

        진상욱 한국토지법학회 2017 土地法學 Vol.33 No.1

        분묘기지권은 타인의 토지에 분묘를 설치한 자가 그 분묘를 소유하기 위하여 분묘의 기지부분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로서, 지상권에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일종의 물권이며, 판례가 인정하고 있는 관습상의 토지사용권이다. 관습이 존재하지 않는 분묘기지권에 대하여, 관습을 근거로 한 분묘기지권을 인정하는 판결이 유교적 조상숭배의 정신과 풍수지리설과의 결합을 통하여, 오히려 분묘기지권에 대한 관습을 확대·강화시키고, 발전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에는 사회구성원들의 인식에 변화가 있어서, 토지소유자의 승낙없이 설치된 분묘에 대하여 취득시효에 의한 분묘기지권을 인정하였던 관습은 그 사회적 기초를 상실한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악의의 무단점유에 의한 소유권의 시효취득을 부정하는 판결은 취득시효형 분묘기지권의 인정하는 점유와 그 형태가 동일하며, 장사법에서, 비록 시행일 이후에 설치된 분묘에 대하여만 효력이 있지만, 토지소유자의 승낙없이 설치한 분묘에 매장된 시신 또는 유골을 개장할 수 있고(장사법 제27조제1항). 토지소유자의 승낙없이 설치한 분묘의 연고자는 토지소유자에게 토지사용권 등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으며(장사법 제27조제3항), 분묘의 설치기간을 최장 60년으로 제한하고 있는 것은 분묘기지권에 대한 관습이 약화되어 사회구성원들의 법적 확신에 변화를 가져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타인의 토지에 토지소유자의 승낙없이 설치한 분묘의 개장에 관한 장사법 제27조는 우리의 묘지제도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사회·정책적 강행규정으로써 법령 중의 선량한 풍속기타 사회질서에 관계있는 규정이라고 보아야 하므로, 이에 위반한 분묘기지권의 성립은 인정될 수 없다. 즉, 장사법 시행 이후에 설치된 분묘에 대하여는 취득시효형 분묘기지권은 인정될 수 없다. 다만, 장사법 시행 이전에 분묘기지권이 성립하는 경우에는 분묘기지권의 인정에 문제가 없지만, 장사법 시행 이전에 설치되어 그 시행 이후에 성립하는 분묘기지권은 그 존속기간을 장사법의 시행일을 기준으로 하여 최장 60년으로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생각된다. 장사법 시행 이전에 성립한 분묘기지권은 법적안정성 및 장사법 부칙 제2조의 규정에 의하여 분묘설치기간의 적용을 받지 않지만, 분묘기지권을 인정하는 관습에 대한 법적 확신이 약화되었고, 이러한 사실을 확인하는 장사법이 시행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하여, 분묘기지권의 존속기간을 시대상황에 맞게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The right to a graveyard is a customary real right allowing for the use of the land owned by another person and excluding the interference by the landowner or a third party to the extent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safeguarding the graveyard and worshipping ancestors. The Supreme Court: the right to a graveyard on another’s land, which a person prescriptively acquires by installing a grave on another’s land and peaceably and openly holding it in possession for twenty years, is a customary real right similar to surface right, and has been recognized as a legal norm and a long-standing custom and practice. This legal norm should be deemed to have been, and continue to be, applicable to those graves installed before January 13, 2001, when the Funeral Act went into effect(see, e.g., Supreme Court Decisions 2013Da17292 Decided January 19, 2017). But it is our custom to recognize the prescriptive acquisition of the right to a graveyard on another’s land for those graves installed without the landowner’s permission, such a custom came to be no longer justified or rationalized due to its inconsistency with the contemporary legal order, or in any event no later than January 13, 2001, when the Funeral Act went into effect. Furthermore, the Funeral Act allows the landowner to personally rebury any grave installed without his/her permission regardless of whether the grave was installed before or after the enforcement of the said Act. As to those graves installed after the Act’s enforcement, the Funeral Act completely excludes the claim by the related party of the grave against the landowner for any rights, such as for the use of land. As such, the past custom—recognizing prescriptive acquisition of a de facto permanent and gratuitous right to graveyard merely based on the peaceable and open possession of a grave for twenty years, even without the landowner’s permission—has lost its justification and rationality due to its inconsistency with the contemporary legal order, including the constitutional respect for private property, at least since January 13, 2001, when the Funeral Act went into effect. Moreover, with the erosion of the community’s legal assurance in the custom’s legally binding force, the custom has lost its normative validity. Therefore, as to those graves for which the prescriptive period of twenty years have not elapsed as of January 13, 2001, one may not claim for the prescriptive acquisition of the right to a graveyard on grounds of the past custom, which is no longer normatively valid.

      • KCI등재

        입주자대표회의의 법적 지위 - 공동주택관리법을 중심으로 -

        진상욱 한국토지법학회 2015 土地法學 Vol.31 No.2

        집합건물과 공동주택의 관리에 관한 법률로는 집합건물법과 공동주택관리법이 있고, 공동주택의 관리에는 집합건물법이 일반법이고 공동주택관리법이 특별법의 역할을 한다. 집합건물의 관리주체는 관리단, 관리인과 관리위원회이고, 공동주택의 관리주체는 입주자대표회의와 관리사무소장이 있다. 집합건물의 관리단은 관리업무에 관한 권리・의무의 귀속주체이고 법인 아닌 사단이며, 관리인은 관리업무의 집행기관이고, 관리위원회는 의결・감독기관으로 관리단의 대의기관이다. 또한 공동주택의 입주자대표회의는 법인 아닌 사단이라는 견해가 다수설・판례이지만, 입주자대표회의는 의결기관・집행기관・감독기관으로 조직되어 있고, 사실상 관리업무를 집행하고 있으며, 관리업무에서 발생하는 법률상의 권리・의무의 최종적인 귀속주체를 인정하여야 할 현실적인 필요성이 있기 때문에 법인 아닌 사단이라고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입주자대표회의는 그 자신의 목적도 없고, 입주자단체의 규약에 근거하여 조직이 구성되어 있을 뿐이지 그 자체의 규약을 가지고 있지도 않고, 구성원의 가입은 입주자등의 선출에 의하여 구성되므로, 독립된 단체로 인정할 단체성이 없기 때문에 관리주체로 하여금 관리업무를 집행하도록 하기 위한 의결기관 및 입주자단체의 대의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입주자단체의 내부기관일 뿐이다. 집합건물법은 공동주택의 관리에 관한 기본법이므로 관리단에 대응하는 입주자단체는 공동주택에 당연히 설립되며, 동별 대표자의 선출 등의 경우에 현실적 단체로서 권한을 행사하고 있기 때문에 입주자단체의 설립을 인정하여야 할 것이다. 입주자단체의 설립이 인정되면 공동주택의 최고의사결정기관이고, 공동주택관리에 관한 권리・의무의 최종적인 귀속주체가 되는 법인 아닌 사단의 성격을 띠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입주자대표회의는 입주자단체의 대의기관으로 관리업무를 감독하는 입주자단체의 내부기관에 불과할 뿐 그 자신 독자적인 사회적 실체를 갖춘 단체라고 볼 수 없다. Since a collective housing is a building jointly owned and used by a number of people, restricting the rights of a occupant or a user through the laws and regulations is permitted unless the laws are contrary to the Constitution. As such laws are the Act on the Ownership and Management of Aggregate Building(hereinafter referred to as “Aggregate Building Act”) and the Collective Housing Management Act. According to Article 6 of the Aggregate Building Act as follows: The special provisions of the Housing Act regarding the method and standard of the management of aggregate housing shall be effective, unless they conflict with this Act and damage the basic rights of the sectional owners. It means that the Collective Housing Management Act is a special law. Once a sectional ownership relation is established on a building, a managing body which is comprised of all sectional owners shall be established for the purposes of carrying out a business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the building, site, and its annex facilities(Paragraph 1, Article 23 of the Aggregate Building Act). The managing body composed of the entire sectional owners pursuant to the Aggregate Building Building Act is a private association than a juristic person, and A manager shall be appointed if the number of sectional owners is not less than ten persons.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 shall be consisted of at least four persons, the representatives elected in each constituency determined by the management rul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households by buildings.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 is a private association than a juristic person, and manages a collective housing. The autonomous management organization shall be subject to the supervision of the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 and The council of occupants' representatives shall select and appoint the head of management office of the autonomous management organization by the concurrent votes of majority of its constituents. Also, we should recognize the establishment of a ‘occupants’ association‘. If the establishment of occupants’ association is recognized, the occupants’ association will perform the role of the representative body, and legislative organ. The occupants’ association is a private association than a juristic person, and manages a collective housing.

      • KCI등재

        土地開發權의 分離 - 私法的 側面을 中心으로 -

        진상욱 한국토지법학회 2013 土地法學 Vol.29 No.2

        Land is the subject of private interest and the benefit of society, and land problems occur due to the nature of these two kinds. To solve this problem, development rights should be considered independent. However, ownership is stated "An owner has the right, within the scope of law, to use, take the profits of, and dispose of, the article owned(Article 211)." This means that ownership is comprehensive right, and the separation of ownership competency can not be recognized by the comprehensive nature. The Constitution allows an extensive legislative action to restrict individuals’ right to land property for the sake of public. There have been repeated debates whether the loss of private interest is endurable for the benefit of society or it is an unreasonable sacrifice of one party. On December 24, 1998,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is not totally constitutional. Th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detailed that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itself is constitutional in a sense that it practices a social responsibility intrinsic in property right. However, it states that it is unconstitutional because there was not a clause for compensation in some exceptional cases. This ruling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government body deliberated and recognized partially a long ignored subject, the compensation for Development Restriction Zone. On the other hand, the ruling paved a way to introducing TDR(Transferable Development Right) to Korea since it declared that legislators have a leeway to practice compensation not limited to money compensation currently in practice. Since the Constitutional Court ruling, Korea’s current legislative condition related with the compensation for the loss resulting from development restriction is quite similar to that of the US when TDR was first introduced. Therefore, in order to protect environment and pursue public welfare, Korea needs to evaluate to adopt the TDR as a middle way or a third alternative in the land law. 토지는 사익의 대상이면서 동시에 공공성을 갖는 물건으로, 토지문제는 사익과 공익의 대립・충돌에서 비롯된 것이다. 개발권의 분리는 토지소유권의 권능 중에서 장래 개발가능성으로서의 개발권을 분리하여 양도할 수 있게 하거나, 공유화하여 녹지공간의 보전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소유권의 기능을 분리하여 개발권을 독립된 권리로 인정하는 것은 토지문제에 대한 근본적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근대적 소유권 개념에 입각하고 있는 현행 민사법리상으로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첫째, 소유권에서 독립된 개발권을 분리하면 소유권의 내용 중에서 현상변경권을 분리하게 되어 근대적 소유권의 이념인 혼일성을 깨뜨리는 것이 된다. 둘째, 소유권에서 개발권의 분리는 소유권관념의 변경으로 필연적으로 전국토에 걸쳐서 적용되는 법원칙이 될 것이므로, 이것은 헌법상의 재산권보장에 대한 본질적 내용의 침해가 될 것이다. 셋째, 신분구속적인 봉건적 소유권관념을 벗어나서 개인에게 행동의 자유를 보장하는 물질적 기초를 제공한 근대적 소유권개념은 오늘날에도 타당한 것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개발권을 분리하여 독립된 권리로 인정하는 경우에는 시장유통성을 인정하여 개발이익과 개발손실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 개발권에 대하여는 별도의 공시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법률의 제정에 의하여 장래에 등기부와 대장의 일원화가 이루어지고, 평면지적이 아닌 입체지적공부로 변경되는 경우에 가능할 것이며, 현재의 상태로는 인정될 수 없다고 판단된다. 그렇지만, 소유권의 기능을 분리하여 독립된 권리로 인정되는 것이 아니고, 개발제한구역 등에서 녹지공간 또는 환경보전 등을 위한 공익목적의 달성하기 위하여 일부지역에 대하여 적용하며, 용적률・건폐율・건축권 등이 포함되어 있는 개발권을 인정하는 것은 소유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개발권을 양도할 수 있게 하여 헌법상 보상되지 않는 공법적 규제를 받는 토지소유자에 대한 보상의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Risk Factors for the Progression of Intima-Media Thickness of Carotid Arteries: A 2-Year Follow-Up Study in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Type 2Diabetes

        진상욱,황진경,이상열,전숙,황유철,오승준,안규정,정호연,우정택,김성운,김영설,강자헌,정인경 대한당뇨병학회 2013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37 No.5

        Background: Intima-media thickness (IMT) of the carotid arteries is known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risk factors affecting the progression of carotid IMT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Methods: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T2DM with carotid IMT measurements were enrolled, and their clinical data and carotid IMT results at baseline and 2 years later were compared. Results: Of the 171 patients, 67.2% of males and 50.8% of females had abnormal baseline IMT of the left common carotid artery. At baseline, systolic blood pressure, body mass index and smoking in male participants, and fasting plasma glucose and glycated hemoglobin levels in fema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bnormal IMT than in those with normal IMT.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levels in males and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evels in females at the 2-year follow-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nonprogression and the progression groups. Reduction of the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10-year coronary heart disease (CHD) risk score after 2 years was generally higher in the nonprogression group than the progression group. Conclusion: LDL-C levels in males and HDL-C levels in females at the 2-year follow-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participants with and without progression of carotid IMT. Furthermore, a reduction in the UKPDS 10-year CHD risk score appeared to delay the advancement of atherosclerosi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the therapeutic goal of lipid profiles should be emphasized to prevent the progression of carotid IMT in newly diagnosed T2DM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