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국제연합협약과 한국의 매매법 -계약의 성립에 관한 민법의 개정과 관련하여-

        지원림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법학논총 Vol.31 No.1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hereafter CISG) as the prime example of unification of private law is in effect in Korea since March 1 2005. This paper has two parts. The first part aims at the overall comparision between the Korean Law of Sales and CISG. In the second part the author focuses on the formation of contract. In Korea the Civil Code is now under revision and the main purpose of the revision is modernization and globalization. The author, as chairperson of sub-committee which deals with the revision of the contract law, reports on the reform bills on the formation of contract. 대륙법계와 영미법계 사이 그리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사이의 타협의 산물인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국제연합협약(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Contracts for the International Sale of Goods. CISG. 이하 “협약”으로 약칭한다)은 성공적인 국제조약으로 평가된다. 즉 사법통일을 위한 국제협회(International Institute for the Unification of Private Law. UNIDROIT)의 국제상사계약원칙(Principles of International Commercial Contracts. PICC), 유럽계약법위원회(Commission on European Contract Law)의 유럽계약법원칙(Principles of European Contract Law. PECL)과 이에 기한 공통참조초안(Draft Common Frame of Reference. DCFR)의 기초를 이룬 협약은 국제적인 매매규범의 원형을 이루었다. 그런데 협약은 실용적 입장에서 계약중심적 접근방법을 취하며, 통일적인 규범체계를 가지며, 계약유지적 입장을 취하는 등 한국민법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이 글의 전반부는 우선 협약과 한국매매법의 異同을 전반적으로 살펴본다. 한편 주지하는 바와 같이 한국에서는 민법개정작업이 진행 중이다. 그리고 민법개정의 목표가 민법의 현대화와 국제화인데, 성공적인 국제규범인 협약과의 정합성을 추구하여야 한다. 이 글의 후반부는 계약의 성립에 초점을 맞추어 협약과 한국민법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검토한 후 민법개정안을 소개한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저간의 부동산임대차 법제에 관하여: 능력의 한계 아니면 「의도된 오조준」?

        지원림 한국부동산법학회 2020 不動産法學 Vol.24 No.3

        Disputes arising in society should ultimately be resolved through law, so the importance of legislation that provides standards for dispute resolution cannot be overstated. And, the problems surrounding housing lease, as a serious social problem, must also be resolved through rational legislation. From this point of view, the recent amendment of the Housing Lease Protection Act, is a legislation with utmost haste and has many problems. 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the right to request contract renewal may lead to excessive restrictions on the ownership of the lessor, and furthermore, the interest relationship between the lessor and the lessee may be distorted through retroactive legislation. What is more worrisome is that as a part of the so-called regulatory paradox, this revision to protect lessees could become a boomerang, making the lessee's status worse. In the end, doubts arise that this revision may be a symbolic legislation as a part of the intended mis-targeting. 사회에서 발생하는 분쟁은 종국적으로 법을 통해서 해결되어야 하므로, 분쟁해결의 기준을 제시하는 입법의 중요성은 결코 과장될 수 없다. 그리고 국민의 절반 가까이가 임대차를 통하여 주거를 확보하는 상황에서 주택임대차를 둘러싼 문제 역시 합리적인 입법을 통하여 해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매우 성급하게 이루어진 주택임대차보호법의 개정은 졸속입법으로, 적지 않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계약갱신요구권을 도입함으로써 임대인의 소유권을 지나치게 제약하는 결과에 이를 수 있고, 특히 소급입법을 통하여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의 이해관계를 왜곡할 우려도 있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더 우려되는 것은 이른바 규제의 역설로, 임차인을 더 보호하기 위한 이번의 개정이 부메랑으로 되어 임차인의 지위를 더 열악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결국 이번의 개정이 의도된 오조준의 일환으로서 사시입법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생기는 것은 자연스러운 결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차임 연체로 인한 상가건물 임대차계약의 즉시해지

        지원림 한국민사법학회 2015 民事法學 Vol.70 No.-

        Where a tenant of a commercial building lease requests for renewal of a contract between six months and one month before the expiration of period of lease, a landlord shall not refuse it without justifiable grounds. This shall not apply, for instance, where such tenant has been in arrears with an amount equivalent to three period of rent (Art. 10,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lease of a building or any other structure, if the amount of rent in arrears reaches the rent for two periods, the lessor may rescind the contract for the future (Art. 640, the Civil Code). Although there is no corresponding provision in the Commercial Building Lease Protection Act, the lessor of a commercial building lease may rescind the contract. In my opinion, the prerequisite of the rescission should be strengthened in accordance with that of the refusal of the renewal of a contract.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배우자상속에 관한 연구

        지원림 한국민사법학회 2022 民事法學 Vol.100 No.-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spouse's inheri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inherent problems of the current legal system and the rapid change in the environment surrounding inheritance. Spouse’s inheritance is a very complex problem in which multiple stakeholders including decedent, blood line inheritance(s), and creditor(s) of decedent appear. And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suggest a method that anyone can agree on. The discussion on spouse’s inheritance starts from the basis for (spouse’s) inheritance, confronts the conflict of interest of the parties concerned, seeks a solution based on the existing system, and moves on to a legislative proposal based on that. My suggestion in this paper is as follows: The spouse’s inheritance is based on the liquidation of the actual common property formed during marriage and the guarantee of the living of the surviving spouse; Reconciliation of interests should start from the self-determination of the parties concerned, and in particular, the tension between blood kinship and spouse inheritance should be considered; The spouse's housework should not be regarded as self-sacrifice, but should be viewed in terms of opportunity cost and cost savings; As de lege lata, special benefit and contributory portion should be correlatively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liquidation, and the family court should exercise its guardianship discretion in the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As to support, on the other hand, the standard of living that would have been enjoyed should be maintained; As de lege ferenda, while maintaining the current 50% addition to the inheritance share, it is necessary to selectively liquidate ‘marital property’ or claim support portion (extension of support duty) and move toward ‘equal share’ of the remaining property. 배우자상속은 피상속인, 배우자, 혈족상속인, 상속채권자 등 다수의 이해관계인이 등장하는 매우 복잡한 문제로, 이에 대하여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배우자상속에 관한 논의에서 (배우자)상속의 근거에서 출발하여 관련당사자들의 이해충돌을 직시하며 기존의 제도를 기반으로 한 해결책을 모색해야 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입법론적 제안으로 나아가야 한다. 필자가 이 글에서 제안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배우자상속의 근거는 혼인 중 형성된 실질적인 공유재산의 청산과 생존배우자의 생활보장에 있다; 관련당사자들의 자기결정을 존중하고, 특히 혈족상속과 배우자상속의 긴장관계를 고려하여 이해의 조정을 도모해야 한다; 배우자의 가사노동이 자기희생으로 치부되어서는 안 되고, 기회비용과 지출의 절약이라는 측면에서 파악되어야 한다; 해석론으로 청산의 측면에서 특별수익과 기여분을 유기적으로 이해해야 하고 상속재산의 분할에서 가정법원이 후견적 재량을 발휘해야 하며, 부양의 측면에서 혼인공동체의 연장효로서 사별이 없었다면 누렸을 생활환경과 생활수준이 유지되어야 한다; 입법론으로 현행의 상속분 5할 가산을 유지하면서 이와 선택적으로 「혼인재산」의 청산 또는 부양분(부양의무의 연장)의 청구 및 잔여재산의 ‘균분’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 KCI등재

        상속재산의 협의분할과 이해상반

        지원림 민사판례연구회 2012 民事判例硏究 Vol.- No.34

        This paper aims at the scope of the nullity of the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The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is usually acts of conflicting interest between himself or herself and his or her child, when they are co-inheritors. And the restriction of the parental authority arising from Art. 921 Korean Civil Code is to protect the interest of the child. Also we should respect the spirit of the law relating minor in the application of the law. Therefore in certain circumstances the division of inherited property may not belong to the conflicting interest between person of parental authority and child. And a claim of nullity based on the conflicting interest between person of parental authority and child may be against good faith. 甲의 사망 후 그 공동상속인 중 1인인 乙이 사망하였는데, 甲의 사망에 따른 상속재산의 분할과 乙의 사망에 따른 상속재산의 분할이 한꺼번에 이루어졌다. 그런데 그 분할협의에 乙의 배우자가 미성년의 자들을 대리하여 참여하였는데, 甲의 다른 공동상속인 丙이 乙의 배우자와 미성년의 자들 사이에 이해상반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특별대리인을 선임하지 않은 채 이루어진 분할협의가 무효임을 주장하였다. 이에 대하여 대상판결은 위 분할협의 전체가 무효이고, 위 분할협의에서 일정한 금원을 받고 자기의 법정상속분을 포기한 丙이 무효를 주장하는 것이 신의칙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그런데 일체로서의 위 분할협의는 법적으로 1차 상속에 따른 분할협의와 2차 상속에 따른 분할협의를 아우르는 것이고, 乙의 배우자와 미성년의 자들 사이의 이해상반은 2차 상속에 따른 분할협의에 한정된다. 따라서 분할협의 전체가 무효로 되는지는 민법 제137조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분할협의 전체가 무효라 하더라도 그 무효를 주장하는 丙의 주장은 신의칙에 반하는 것으로 인용되어서는 안 된다.

      • KCI등재

        위약금에 관한 약간의 고찰 - 위약금의 법적 성질 및 위약벌의 감액을 중심으로 -

        지원림 대한변호사협회 2012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30

        This paper discusses and analyzes the legal nature of the stipulated payment for non-performance and the reduction of the penalty. Whether the stipulated payment for non-performance amounts to the liquidated damages or the penalty should be determined depending on intention of parties to a contract. But special circumstances are required in establishing the stipulated payment as the penalty, considering Article 398(4) of Korean Civil Act (hereinafter Civil Act) which presumes the stipulated payment to be the liquidated damages. Moreover, the penalty should be allowed only in exceptional cases and within minimal scope, given the penalty’s infringing nature upon debtors’ freedom. In the meantime, while the court may discretionally reduce unduly excessive liquidated damages according to Civil Act Article 398(2), the Supreme Court upheld that unduly excessive penalty may be nullified totally or partially pursuant to Civil Act Article 103. Nevertheless, the approach of the Court’s ruling may not be proper theoretically. Article 398(2) needs to be amended to include the penalty as the object of the discretionary reduction. On the other hand, the concept of discretionary reduction may not apply to Article 8 of the Regulation of Standardized Contracts Act. 위약금이 손해배상액의 예정과 위약벌 중 어디에 해당하는지는 당사자의 의사를 기초로 판단하여야 하지만, 민법 제398조 제4항에 따라 손해배상액의 예정으로 추정되므로, 위약벌로 인정되기 위해서는 특별한 사정이 존재하여야 한다. 그리고 위약벌이 채무자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점을 고려하여예외적인 경우에 그것도 최소한의 범위에서만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부당히 과다한 손해배상액의 예정은 민법 제398조 제2항에 기한 재량감액의 대상인 반면, 위약벌이 부당하게 과다하면 민법 제103조에 따라 일부무효로 됨으로써 감액의 결과에 이를 수 있다는 것이 판례의 입장이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이 이론적으로 허용되는지에 대하여 의문이 없지 않다. 따라서재량감액의 대상에 위약벌도 포함되도록 민법 제398조 제2항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약관의 규제에 관한 법률 제8조가 적용되는 경우에도 감액이 허용되는지에 관하여 논란이 있으나, 이른바 효력유지적 축소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