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尤庵 宋時烈의 生涯와 思想

        지두환 한국사상문화학회 2001 韓國思想과 文化 Vol.12 No.-

        우암(尤庵)은 철학적으로 주자(朱子)를 맹신(盲信)하여 주자학을 고수한 것이 아니고, 율곡(栗谷)에 의하여 집대성된 심학(心學)을 근본으로 하는 조선성리학을 심화시켜 이해하여, 율곡의 『성학집요(聖學輯要)』를 바탕으로 『심경석의(心經釋疑)』 『절작통편(節酌通編)』을 저술하여 조선성리학을 완성하였다. 이는 맹자의 성선설(性善說)을 기반으로 하여, 성즉리(性卽理)이므로 이(理)인 진리(眞理)는 불변하다고 하여 이통기국(理通氣局)으로 체계화된 율곡의 성리철학을 바탕으로, 천리(天理)에 따라 왕도정치(王道政治)를 하여, 요순사회(堯舜社會)로 표현되는 평등한 복지사회 이상사회를 이루어 가기 위하여 대동법이라는 정전제를 시행하고, 현실에서 고르게 역할 부담을 하며 평등을 지향해가는 노비종모법 균역법을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볼 때 우암 송시열은 율곡 이이를 이어받아 조선후기에 대동법을 시행하며 대동사회를 만들어가는 개혁세력의 중심이 되어 영정조 문예부흥기를 이루는 사상가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白村 金文起(1399~1456)의 家系와 政治的活動

        지두환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논총 Vol.36 No.-

        Paekch'on Kim Mun-gi,(白村金文起) born in 1399, lived as subject with devout Neo-Confucian loyalty to three Kings Sejong, Munjong and Danjong,and was executed for plotting to restore King Danjong in the second year of King Sejo's reign. King Sejo's usurp of the throne was deemed as an outrageous destruction of the social ideals realized during the reigns of King Sejong and Munjong, and Paekch'on naturally came to take a lead in restoration of Danjong to the throne. Paekch'on's family was mainly linked as in-laws with two families: first that of Yi Hwa, the Prince Uian (宜安大君), whose family had fifteen killed in Sejo's usurp of the throne; and the family of Hŏ Cho (許稠), the third state councilor (Uŭijŏng) during King Sejong's reign whose grandson was killed for plotting the Danjong restoration. Paekch'on's family also had links with the Sunch'ŏn Pak family of a martyred minister Pak P'aeng-nyŏn (朴彭年), and the Sŏnsan Kim family of Kim Hyo-jŏng (金孝貞) through the family of Paekch'on's wife. The family links also included the family of Mun Ik-jŏm (文益漸). Such interrelation of the families had Paekch'on with intimate association with the loyal subjects from the reigns of the three Kings starting from Sejong. Paekch'on enrolled as a censorate official in King Sejong's reign, a royal secretary and the succeeding provincial governor of the Hamkyŏng after General Kim Chong-sŏ. At King Sejo's dethronement of Danjong in the midst of his thriving political activities, Paekch'on obviously took a lead of the restoration scheme of King Danjong. With continuous settlement of Neo-Confucianism into the Chosŏn society afterwards, Paekch'on's posthumous entitlement as Ch'ungŭi (忠毅, Persevering Loyalty) and his enshrinement as Three Important Subjects (三重臣) of Changnŭng (莊陵), the royal tomb of King Danjong can be said as an unquestionable event. 백촌 김문기는 정종 1년에 태어나 세종 문종 단종을 모시고 성리학 이념에 따른 충절을 다하다가 세조 2년 단종복위를 주도하다가 죽었다. 세조찬탈은 세종 문종대에 이루어 놓은 이상사회를 모두 무너트리는 폭거라서이를 회복하는 단종복위를 백촌 김문기가 주도하는 당연한 결과였다. 김문기의 가계는 계유정난 세조찬탈로 16인이나 죽은 태조 동생 의안대군 이화(李和) 집안과 사돈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세종대 좌의정을 지낸 허조(許稠)의손자로 단종복위를 주도하다 죽은 허조(許慥) 집안과도 사돈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외에도 충절의 집안인 박팽년 순천 박씨와도 연결되고, 선산 김씨 김효정 집안과는 처가로 연결되었다. 이외에도 문익점 집안과도 연결되어 있다. 세종 문종 단종대를 잇는 충절의 집안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이러한 관계는 세종 중반에는 대간으로 세종 후반과 문종대는 승지와 김종서장군의 북방경력을 이어받는 핵심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활동 과정에서 세조찬탈이 일어나자 단종 복위를 주도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였다. 후에 조선성리학 이념이 자리잡아가면서 현창되어 충의라는 시호가 내리고 장릉배식단에 삼중신(三重臣)으로 배향되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본다.

      • KCI등재

        16세기 시대적 과제와 율곡의 대응

        지두환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3 No.-

        Looking into thesis and the countermove of Yul-Gok(栗谷 李珥) in the 16th century, through development of Chosun Sung Confucianismwhich had characteristic of Simhak(心學). The 16th century is a periodof this Chosun Sung Confucianismwas established, and later period of Choson was lead by Chosun Sung Confucianism not JooJa(朱子) Sung Confucianism. In this meaning, Yul- Gok(栗谷 李珥) was the philosopher who completed Chosun Sung Conficianism. And the phases of the times were changed into different system from 15th century. These were appeared as the renovation, and Sa-Rim’s administration for political side. And Nang-Gwan-Gwon(郎官權) was built up which was based on Seo-Won(書院) and Poong-Dang(朋黨) rather than Sam-Sa(三司) system for political system side. The economy system intended to Jeong-Jeon-Che(井田制) that taxes 10% putting with together Jeon-Sae(田稅), Kong-Nab(貢納), Yoh-Yuk(繇役) through Nab-Po-Che(納布製), Su-Mi-Bub(收米法), and then based on this income it started processing Hwan-Kok(還穀). Following a code constitution, the main line of descent system started to came into place as a social institution and a law regarding slave(奴婢從母從良法) and Seo-Hur-Hoe-Tong(庶孼許通) and other things were under discussion. Looking for culture section, the Seok-Bong style(石峯體), novels that was written in the national language, Ka-Sa(歌詞), Dong-Hui-Bo-Kham(동의보감(東醫寶鑑) and many others shows Korean original culture was started to take place. Under this period background, Chosun Sung Confucianism, the leading ideal of the 16th century, was being established. This was being integrated into Lee-Ki-Lee-Won-Lon(理氣二元論) of Yul-Kok(栗谷 李珥), while conflicts of Ki-Ill-Won-Lon(氣一元論), represented by Wha-Dam(花潭) Seo-Kyoung-Duck(徐敬德) · Nam-Myoung(南明) Jo-Sik(曺植(조식)), and Lee-Ki-Lee-Won-Lon(理氣二元論), represented by Whe-Jae(晦齋) Lee-Yeon-Jeok(李彦迪), Lee-Hwang(李滉), yield Sim-Sung(心性) debate and this made comprehension more deeper. As Jeong-Min-Jeong(程敏政)’s Sim-Kyoung-Bu-Ju(心經附註) came out, Woo-Arm(尤庵)’s Sim-Kyoung-Seok-Wui(心經釋疑) and same kind of books had published as teaching materials for Sim-Hak(心學) after Sim-Kyoung(心經) of Lee-Hwang(李滉). And also Seong-Hak-Jib-Yo(聖學輯要) was established rather than Dae-Hak-Yeon-Wui(大學衍義). At the end, it arranges its transition of Jeong-Jeon-Che(井田制). Sung Confucianism considered it as ideal system, which was appeared as taxes for 10%. At the level of Joo-Ja(朱子) Confucianism in the 15th century , Jeong-Jeon-Che(井田制) was trying to taxes 10% only for real estate taxes but in the 16th century, it was like Dae-Dong-Bub(大同法) which taxed same rate from Jeon-Sae(田稅), Kong-Nab(貢納), Yoh-Yuk(繇役), Kun-Yeok(軍役). And it was Yul-Gok(栗谷 李珥) who led the operation of Jeong-Jeon-Che(井田制). Like this, the 16th century was very important period, JooJa(朱子) Sung Confucianism passed it’s position to Chosun Sung Confucianism which had characteristic of Simhak(心學) in the middle of Confucianism flow. And Yul-Gok(栗谷 李珥) was the sage who encountered the thesis of at that time, led and completed the Chosun Sung Confucianism. 16세기 시대적 과제와 율곡의 대응을 심학화된 조선성리학이 성립되는 과정으로 살펴보았다. 16세기에는 심학화된 조선성리학이 성립되는 시기이고, 조선후기는 주자성리학이 아니라 조선성리학이 이끌어가는 시기였다. 이러한 조선성리학을 완성한 사상가가 율곡 이이였다. 그리고 시대적 배경이 15세기와는 다른 체제로 전환하고 있음을 정치적으로는 반정이 일어난다든지 사림정치가 행해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정치제도로는 삼사체제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서원과 붕당을 기반으로하는 낭관권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다. 경제제도로는 납포제 수미법 등이 나타나 전세 공납 요역 모두를 합하여 10분의 1세를 거두는 정전제를 지향하고 이러한 수입을 바탕으로 환곡을 시행해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제도로 종법에 따른 종가집 체제가 자리를 잡아가고 노비종모종량법이라든지 서얼허통 등이 논의되고 있었다. 문화적으로는 석봉체 국문소설 가사 동의보감 등 우리 고유문화가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시대 배경하에서 16세기를 이끌어갈 심학화된 조선성리학이 성립되어갔고 이는 화담 서경덕 남명 조식의 기일원론과 회재 이언적 퇴계 이황의 이기이원론이 대립하면서 심성논쟁을 일으키며 이해를 심화시켜갔고 율곡의 이기일원론으로 집대성되어갔다. 이는 성리학교재에서 정민정의 심경부주가 등장하여 퇴계의 심경후론 우암의 심경석의 등의 저술이 나오면서 심학의 교재가 되는 것으로, 대학연의 대신에 성학집요가 만들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16세기는 유학사상의 흐름에서 주자성리학에서 심학화된 조선성리학으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이고, 이러한 시대적 과제에 대응하여 조선성리학을 주도하고 완성하는 사상가가 율곡 이이였다.

      • KCI등재후보
      • 경적음에 대한 후각 자극의 마스킹 효과

        지두환,민철기,민병찬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1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11 No.추계

        본 연구는 자동차 시뮬레이터에서 운전 중 제시된 후각 자극이 외부에서 제시된 청각자극의 각성 상태에 대한 마스킹 효과를 자율신경계 반응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20대 남성 1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향 자극은 peppermint를 제시하였다. 청각자극은 구급차 싸이렌 소리를 70~75db의 크기로 30초 동안 제시하였다. 자동차 운전 상황은 편도 3차선의 한적한 도로를 주행하였고 자율신경계의 반응은 피부반응(GSR: Galvanic skin Response)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control, 운전수행, 후각 자극 중 운전 수행, 각각에서 청각 자극 제시 전,후 비교는 모두 유의차(p<0.05)를 보이며 제시 후가 증가하였고, 각각의 청각 자극 후의 비교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control, 후각 자극, 각각의 운전수행 전,후 비교는 모두 유의차(p<0.05)를 보이며 후가 증가하였고, 각각의 운전수행 후의 비교는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control과 후각자극의 비교는 유의차(p<0.05)를 보이며 후각 자극 시 증가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는 후각 자극이 운전수행중 청각자극으로 인한 각성 수준에 영향을 주지 못함을 의미한다. 즉 후각 자극이 청각자극에 대한 마스킹 효과가 일어나지 않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朝鮮時代 經筵官 硏究

        지두환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논총 Vol.31 No.-

        Joseon dynasty that was established by neoconfucianism of Chu-tzu(朱子性理學) pursued benevolent royal government. As a result, Emperor's learning(經筵) that guided king as was reinforced. Therefore, Emperor's learning(經筵) can be said the most important of political system Joseon dynasty. Office of Emperor's learning was operated by appointing the Highest group of the third grade(堂上官) like Daejehak(大提學) or important scholars in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Jiphyeonjeon(集賢殿) installed the in Sejong(世宗) took charge of the Emperor's learning(經筵) and Emperor's Learning system(經筵制度) that Censorial Impeachments(臺諫)·Royal Secretary(承旨)·Official Historians have an audience with the king was equipped. But this system was abolished by abolition of Jiphyeonjeon(集賢殿). After that, this system was resurrected by Hongmungwan(弘文館). Therefore, Hongmungwan(弘文館) developed Speaking Officials that was one of the Three Censorates. System of Teukjingwan(特進官) was introduced in the latter half of Seongjong(成宗), but that was reintroduced in Jungjong(中宗). Selection of the Office of Emperor's Learning was not based an official post but scholarship and morality was important. Qualifications of Teukjingwan(特進官) was mentioned and problems of inviting scholar as a Teukjingwan(特進官) that was belong to the Highest group of the third grade(堂上官). What inviting distinguished scholar out of office as a Office of Emperor's learning(經筵官) was a most important political issue because this was developed inviting of Sanlim(山林). However, Emperor's learning system in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had the problem that passing the civil examination needed to be a Office of Emperor's learning(經筵官). System of Chanseon(贊善)·Jinseon(進善)·Jwaeju(祭酒) was a way to be the Office of Emperor's Learning(經筵官) as a Sanlim(山林). Office of Chanseon(贊善)·Jinseon(進善)·Jwaeju(祭酒) was created to invite as a teacher who participated in Emperor's Learning(經筵). Song-siyeol(宋時烈)·Song-jungil(宋浚吉)· Yi-yutae(李惟泰) was working as a Office of Emperor's Learning of Sanlim(山林 經筵官) in Hyojong(孝宗). This system changed that Chanseon·Jinseon·Jwaeju held Yijochamui(吏曹參議)·Yijopanseo(吏曹判書). Sanlim(山林) held Chanseon(贊善)·Jinseon(進善) even if they held Yijopanseo(吏曹判書)·Deasaheon(大司憲) in Hyunjong(孝宗). And they called Seoyeongwan (書筵官) to participate in Emperor's learning(經筵) and also treated specially. Chanseon(贊善)·Jinseon(進善) roled as prime minister of Sanlim(山林) while a coterie responsible for the political situation by turns in Sukjong(肅宗). Yu-cheokgi(兪拓基)·Song-myeongheum(宋明欽)·Kim-wonhaeng(金元行) of Noron(老論) Sanlim(山林) who invited to Office of Emperor's learning(經筵官) led the political situation while Yongjo executed Impartiality Policy(蕩平策). Office of Emperor's learning of Sanlim(山林 經筵官) was enough to maintain Seoyeongwan(書筵官) of crown prince in Jeongjo(正祖). Office of Emperor's Learning(經筵官) was led by office of Kyujanggak (奎章閣). Concurrent office of Emperor's Learning was possible only teacher of crown prince. Office of Emperor's Learning(經筵官) was changed by changing of neoconfucianism of Chu-tzu(朱子性理學) from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o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조선시대는 성리학이 주도하는 시대이다. 따라서 임금을 공자같은 성인을 만들어 왕도정치를 하게 하는 것이 중요한 일이었다. 이를 위해 시행된 것이 경연이었다. 이러한 경연을 담당하는 경연관은 시기에 따라 변하였다. 조선전기에는 태조대 당상관 중심으로 하던 경연을 하였다. 세종대에 집현전을 설치하면서 경연을 전담하게 되었다. 이는 세조대에 집현전이 혁파되면서 폐지되었다가 성종대에 홍문관으로 부활하게 되고 홍문관은 삼사의 하나인 언관으로 발달하게 된다. 성종 후반에 특진관 제도가 도입되면서 중종대에는 경연관의 자격문제와 더불어 특진관의 자격문제가 거론된다. 그러면서 당상관들이 담당하던 특진관을 재야의 덕망있는 선비를 특진관으로 초빙하는 문제가 대두된다. 이렇게 경연관에 재야 선비를 초빙하는 문제는 조선후기가 되면서 산림을 초빙하는 문제로 발전하여 정치의 가장 주요한 문제가 되었다. 그래서 찬선 진선 자의 등의 관직을 설치하여 세자를 가르치는 스승으로 초빙하여 임금의 경연에 참여하는 제도를 만들었다. 효종 현종대에는 송시열 송준길 이유태 등이 산림경연관으로 활동하게 된다. 숙종대에 가면 환국이 일어나면서 환국을 주도하는 산림 경연관이 등장하게 된다. 영조대 탕평책이 행해지면서 유척기 송명흠 김원행 등 노론 산림들이 교대로 산림 경연관으로 초빙되면서 정국을 주도하게 된다. 정조대에는 산림 경연관은 명목이고 실제로 세자 서연관으로의 지위 정도를 유지하게 된다. 오히려 경연은 규장각 관원들이 주도하게 된다. 순조대 이후에는 세도정치가 행해지면서 산림 경연관은 명목에 불과하게 된다. 이처럼 조선전기 주자성리학 조선후기 조선성리학으로 변하면서 경연관 제도도 변화하여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