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의 임농복합경영 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지달님 ( Dalim Ji ),김관호 ( Kwanho Kim ),김태원 ( Taewon Kim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본 연구는 북한에서 식량난과 산림복구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임농복합경영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북한의 임농복합경영이 가지는 문제점의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접근할 수 있는 기술분야에 초점을 두어 북한임농복합경영의 정책, 제도, 가이드라인 및 추진사례 등 북한의 임농복합경영 기술분야 전반을 검토하였다. 먼저 북한에서는 마을을 중심으로 임농복합경영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적용 대상지의 경사도는 30도 이하의 경사지였다. 특히 15도 이하의 완경사지에서는 농작물과 유실수림, 사방림, 기름나무림 등을 중심으로, 15도 이상 30도 이하의 경사지에서는 약초, 산나물 등과 용재림, 사방림 등을 중심으로 조성이 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도입 수종으로는 용재림 6수종(창성이깔나무, 잣나무, 아카시아나무, 비슬나무, 두충나무, 닥나무), 사방림 3수종(단나무, 뽕나무, 비타민나무), 기름나무림 3수종(기름밤나무, 초피나무, 쪽가래나무), 유실수림 6수종(대추나무, 호두나무, 밤나무, 산사나무, 살구나무, 감나무), 방풍림 2수종(참오동나무, 뽀뿌라나무) 등이 있다. 15도 이하의 경사지에 주로 심는 재배작물은 밭벼, 감자, 고구마, 콩, 밀, 보리, 옥수수, 조, 채소 등의 밭작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임농복합경영을 추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이면서도 기초적인 기반시설이라고 할 수 있는 관수시스템, 작물 및 수목을 위한 식생기반이 미흡한 상황이었다. 특히 관수의 경우 수목식재 초기에 뿌리가 활착되기 까지 충분한 관수가 이루어 져야 한다. 또한 일반적인 밭작물의 경우 생육기간동안 일반적으로 400mm-500mm의 관수가 필요하지만 우리나라 강수량 분포도를 분석한 결과 남한과는 달리 북한은 강수량 이외의 별도의 관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북한은 임농복합경영을 위해서 주변의 우물, 하천을 수원으로 한 인력관수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유럽연합 및 스위스개발협력청 등의 지원을 받아 추진되고 있는 임농복합경영 사업지에서는 관수펌프 등이 지원되었지만 연료수급의 문제로 지원사업이 종료된 이후에는 운영이 어려웠다.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북한의 실정을 고려하여 설치비가 높지 않으면서도 유지 및 관리측면에 있어서도 경제성이 있는 관수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향후 남북관계 개선 시 우선 지원 사업의 하나로써 활용이 가능하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of current Agroforestry, which has been promoted as part of the recovery of food shortages and forest in North Korea. Also,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problems of Agroforestry in North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d on the technology which can be performed by KRC.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of North Korea's policies, the Agroforestry systems, guidelines and practices.

      • 새만금 간척지의 제염을 위한 식재기반 처리에 따른 수목 생장량 비교

        지달님 ( Dallim Ji ),손옥용 ( Ockyong Son ),송재도 ( Jaedo Song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새만금 간척지에 식재를 가능하게 하려면 식재기반 처리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토양내에 함유된 염분은 수목생장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식재기반 조성 시 제염처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한 효과적인 제염처리 기법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각 식재기반 처리구별 수목의 수고, 수관폭, 평균가지고사율 등 수목의 생장량을 측정하여 제염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처리구는 단지1과 단지2로 구분이 된다. 단지1의 경우, 사전미제염의 토양에 5M간격으로 암거를 설치하였으며, 단지2의 경우, 사전강우제염이 된 토양에 10M간격으로 암거를 설치하였다. 또한 각 단지별로 퇴비처리 유무구간을 두었다. 전반적인 수목의 생장량을 비교했을 때 사전제염처리를 한 단지2의 경우가 수고, 수관폭, 평균가지 고사율 등의 항목에서 단지1보다 우수했다. 각 처리구별 퇴비처리에 따른 수목 생장량에 있어서는 단지 2 보다 단지1의 퇴비처리의 유무에 따른 수목 생장량의 차이가 컸다. 이는 염분을 포함한 식재기반의 경우에 퇴비가 염분에 의한 피해를 상쇄하는데 더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단지1의 퇴비처리구와 단지2의 무퇴비 처리구의 수고, 수관폭 등이 유사했다. 이는 사전제염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경우, 퇴비처리로 사전강우 제염한 기반에서의 수목 생장량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수목 생장에 가장 적합한 식재기반은 사전제염을 처리한 단지2의 퇴비처리구라고 볼 수 있으며 단지2의 퇴비무처리구와 단지1의 퇴비처리구는 수목생장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새만금 부지 내 식재기반 조성시, 수목이 생장하는데 효과적인 기반을 조성함과 동시에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한 기반을 조성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보다 다양한 식재기반 처리구를 통한 비교가 필요하며, 세부 수종별로 각 처리구별로 수종의 생장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의 적정 면적 산정에 관한 연구

        신영선,강영은,지달님,김지애,임승빈,Shin, Young-Sun,Kang, Young-Eun,Jee, Dal-Nim,Kim, Ji-Ae,Im, Seung-Bin 한국조경학회 2010 韓國造景學會誌 Vol.37 No.6

        우리나라 농촌마을의 마을회관, 노인정, 쉼터 등은 농촌마을의 대표적인 커뮤니티시설로서 공동생활이 일상화된 농촌 주민들의 생활에 직 간접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생활환경의 질적 향상과 주민들의 문화 의식이 높아짐에 따라 그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 이다. 그러나, 현재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의 현황은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에서 모두 열악한 실정이다. 특히 커뮤니티공간의 협소함과 프로그램의 획일화에 대한 문제점은 우리나라 농촌마을이 갖고 있는 공통적인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대응방안 모색에 미흡하다. 따라서 농촌마을 주민들의 생활환경 개선과 계절별 연령별로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커뮤니티활동을 수용하기 위하여 농촌마을 커뮤니티공간의 적정면적 제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 대표적인 5가지 유형의 커뮤니티시설인 마을회관, 노인정, 쉼터, 마을마당, 운동공간 및 놀이공간의 적정 면적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향후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계획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공간 면적 산정에 관한 기존연구 조사, 전국5개도 25개 농촌마을 지역 현황조사, 만족도조사를 통하여 커뮤니티시설별 적정한 면적기준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커뮤니티시설별 적정기준은 현재 대표적 커뮤니티시설별 평균 면적을 상회하는 결과로서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 환경 개선과 주민들의 커뮤니티활동 및 의식 성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Community centers, silver towns and resting places are representative community facilities in rural villages. These community facilities affect villagers directly or indirectly in terms of life quality. Current community facilities of rural village are in poor condition in spite of their importance. In particular, the small size of community facilities and standardized programs are common issues in rural villages.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nd investigate the improvement of community spaces and provide a variety of community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ppropriate area standards for 5 category community facilities(community centers, sliver towns, resting places, community yards, gymnasiums and recreation areas) and also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future village planning. The precedent study of community facilities was investigated. In addition, 25 rural villages in 5 districts were investigated regarding their facility conditions and current community satisfaction. As a result, appropriate rural village area standards are provided. The research results of the community facility standards are almost higher than the current representative community facilities average area. This is expected to improve the community facility environment, people's activities and to increase the growth of awareness in community.

      • 농업생산기반시설인 용수로와 배수로의 탄소발생량 분석

        남귀숙 ( Gui Sook Nam ),지달님 ( Dal Nim Gee ),홍성구 ( Seng Gu Hong ),이규상 ( Gyu Sang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23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23 No.0

        국내외 온실가스 감축을 포함한 탄소중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현재, 정부는 2020년 10월 “2050 Net-Zero선언”을 통해 경제구조 저탄소화, 신유망 저탄소산업 생태계 조성, 탄소중립 사회로의 공정전환, 탄소중립 제도적 기반 강화를 “2050 탄소중립 추진전략”으로 설정하였고, 농식품부 또한 기후변화대응을 위해 논물관리, 화학비료 사용절감, 가축분뇨 처리시설 확충, 양질의 조사료 보급 등 기후변화대응 정책을 실천하고 있다.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중 농업분야는 축산부문(장내발효, 가축분뇨)과 경종부문(벼 재배, 농경지토양, 작물잔사소각)으로 구분하고 배출량을 관리하고 있다. 반면, 농업분야 온실가스 감축에 있어 저수지, 담수호, 수리시설물 등 농업생산기반시설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계수에 대한 관심이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사가 관리하고 있는 농업생산기반시설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하고 그에 따른 저감방안을 제시하여 농업분야의 탄소감축에 대응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용배수로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하기 위해 온실가스 포집을 위한 챔버를 제작하였다. 용배수로의 경우 안성에 소재하고 있는 금광저수지를 수혜구역으로 하였다. 농업용 용수로 중 콘크리트 용수로의 CH<sub>4</sub> flux는 7~9월 0.00~0.03 CH<sub>4</sub>-kg/ha<sup>-1</sup>/day<sup>-1</sup>로 분석되었고, CO<sub>2</sub> flux는 7~9월 -0.36~-0.15 CO<sub>2</sub>-kg/ha<sup>-1</sup>/day<sup>-1</sup>로 나타났다. 토공 용수로의 CH<sub>4</sub> flux는 7~9월 0.15~17.28 CH<sub>4</sub>-kg/ha<sup>-1</sup>/day<sup>-1</sup>, CO<sub>2</sub> flux는 7~9월 -0.61~1.47 CO<sub>2</sub>-kg/ha<sup>-1</sup>/day<sup>-1</sup>로 나타났다. 콘크리트 배수로의 CH<sub>4</sub> flux는 7~9월 -0.02~0.01 CH<sub>4</sub>-kg/ha<sup>-1</sup>/day<sup>-1</sup>, CO<sub>2</sub> flux는 7~9월 -2.21~1.84 CO<sub>2</sub>-kg/ha<sup>-1</sup>/day<sup>-1</sup>이다. 토공 배수로의 CH<sub>4</sub> flux는 0.82~1.02 CH<sub>4</sub>-kg/ha<sup>-1</sup>/day<sup>-1</sup>, CO<sub>2</sub> flux는 2.01~2.56 CO<sub>2</sub>-kg/ha<sup>-1</sup>/day<sup>-1</sup>이다. 농업용 용수로 중 콘크리트 용수로의 CO<sub>2</sub>equivalent는 -0.07~0.43 CO<sub>2</sub>eq-kg/ha<sup>-1</sup>/day<sup>-1</sup>이고, 토공 용수로는 2.51~271.92 CO<sub>2</sub>eq-kg/ha<sup>-1</sup>/day<sup>-1</sup>로 나타났다. 농업용 배수로 중 콘크리트 배수로의 CO<sub>2</sub>equivalent는 -0.60~0.62 CO<sub>2</sub>eq-kg/ha<sup>-1</sup>/day<sup>-1</sup>이며, 토공 배수로는 13.45~16.73 CO<sub>2</sub>eq-kg/ha<sup>-1</sup>/day<sup>-1</sup>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 용수로에서 7월부터 9월까지 배출되는 탄소는 60 ton이며, 토공 용수로는 12,000 ton, 콘크리트 배수로 -10 ton, 토공 배수로는 2,500 ton 정도로 총 15.05천 ton 정도 배출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새만금 농업용지 유기적 연결 방안

        서동욱 ( Donguk Seo ),박우임 ( Wooim Park ),이준구 ( Joongu Lee ),지달님 ( Dallim Ji ),최원우 ( Wonwoo Choi ),김진환 ( Jinhwan Kim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새만금 농업용지(8,570ha)는 토지이용계획에 따라, 식량생산단지(3,629), 자연순환형유기농업단지(304), 말산업복합단지(200), 원예단지(2,355), 대규모농어업회사법인(700), 농산업클러스터(300), 종자생명연구단지(166), 첨단농업시험단지(170), 저탄소녹색성장시범단지(50), 농업테마파크(100), 농촌마을(96), 묘목장(300), 수목원(200)의 친환경고품질 첨단농산업기능(4,133ha), 수출농업 전진기지기능(3,055ha), R&D 및 농업서비스지원기능(636ha), 농업생태관광 기반구축기능(746ha)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이처럼 새만금 농업용지는 다양한 기능의 복합화를 통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농생명클러스터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단지들이 제 기능을 발휘할 뿐만 아니라, 농업용지 전체가 하나의 유기적인 연결체로 묶어줄 필요가 있다. 특히, 새만금의 농업은 기후변화 대비와 아울러 자원의 사용량을 줄이는 효율적 사용과 오염물질의 발생을 억제하는 자원순환 체계 확립으로 결과적으로 원가 절감에 의한 경쟁력강화와 친환경 고품질 첨단 농산업의 기초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새만금 농업용지의 각 단지별 기능을 연결할 수 있는 요소와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 결과는 새만금 농업용지 내부개발의 기본 개념으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