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소대성전」과 「소현성록」의 거리: ‘다른’ 이야기의 출현과 소설시장

        주형예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9 동방학지 Vol.187 No.-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assess the changes in the novel market through comparative narrative analysis. "SoDaesungjeon" has revealed its internal link to the work, referring to it as So's descendants of the fourth generation. It shows that "SoDaesungjeon" was made up in the soil that read "Sohyeonseongnok" in the contemporary novel market. The two works were circulated with different styles and slightly different time differences. Through this phenomenon, we have come to the point that different genres are formed in the novel market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ir comparison enabled the following inference about the novel market. First of all, it is about the way content was expanded in the novel marke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idea that a part of the "Sohyeonseongnok" could be a "SoDaesungjeon” was not entirely positive according to the actual analysis. Although "SoDaesungjeon” was influenced by reading the novel “Sohyeonseongnok” it reinvented the narrative style with a popular desire to achieve wealthier and honor without staying in the abridged or extracted form. It was also not a formal replacement, but rather a cumulative and diversifying aspect of novel content. It is a point where one can assess the ability of creation to take place in the novel market. 이 글에서는 이야기 비교 분석을 통해 소설시장의 변화 추이를 짚어보고자 하였다. 「소대성전」은 주요 이본에서 소대성을 소현성의 현손으로 지칭하며 작품 내적 연관 지표를 드러냈다. 당대 소설시장에서 「소현성록」 독서는 「소대성전」을 창작할 수 있는 토양이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두 작품은 각기 서로 다른 양식을 선도하였고 약간의 시차를 보이며 유통되었다. 이 현상을 바탕으로, 태동하기 시작한 조선후기 소설시장에서 각기 다른 양식이 형성된다는 것의 의미를 짚어보았다. 양식적 거리를 보기 위해 두 작품의 이야기를 비교 분석하였고, 그 결과 「소현성록」에서 가문의 영광에 귀속된 탄생과 혼인·자기과시의 과정이 서사화된 반면, 「소대성전」에서는 스스로 자신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는 이야기로 인생 과제들을 배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현성록」에서 젠더적 구분과 훈육, 서열화에 관심을 둔 반면, 「소대성전」에서는 젠더 문제가 자연화되어 있어서 추구해야 할 가치의 차원으로 절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소현성록」에서 전제된 유교 규범을 드러내고 강조하는 데 초점을 둔 반면, 「소대성전」에서는 부귀영화를 추구하는 통속적 가치를 전면화하였다는 차이를 발견하였다. 이들의 비교는 조선후기 소설시장에 대한 다음과 같은 추론을 가능하게 하였다. 우선 소설시장에서 나타난 콘텐츠 확장의 방식에 대한 것이다. 「소현성록」의 한 부분이 「소대성전」이 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은 실제 분석 결과 온당하지 않았다. 「소대성전」은 「소현성록」 소설 독서에서 영향을 받았지만 요약이나 발췌에 머물지 않고 부귀영화를 성취하고자 하는 통속적 욕망을 새로운 이야기 양식으로 구축하였다. 이야기에서 젠더적 재현이 배제된 것은 여성 독자를 향한 직접적 발언에서 벗어났다는 뜻이다. 「소현성록」이 여성들의 의무와 역할을 초점화하였다면, 「소대성전」은 일반적인 독자를 겨냥한 이야기를 만들었다. 서술상으로 젠더적 초점화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소대성전」에서 여성의식이 진일보한 것은 아니었다. 자연화되어 있어서 의식적으로 강조하지 않았을 뿐이었다. 「소대성전」 텍스트에서 특정 집단에서 벗어나는 독자들을 추론할 수 있다는 것은 소설에서 기대하는 가치 또한 달라졌음을 뜻한다. 이는 소설에 대한 기대가 달라졌다고도 할 수 있겠다. 「소현성록」이 읽혔던 이유인 이념적 학습이나 훈육의 명분이 「소대성전」에서는 폐기된 것으로 보인다. 오락적이고 통속적 가치에 대한 전면화된 지향성은 소설시장에서 전제되었던 “소설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생각이 변모하는 방향을 반영하고 있었다.

      • KCI등재

        「유씨삼대록」의 감정 규칙과 독서경험

        주형예 열상고전연구회 2011 열상고전연구 Vol.34 No.-

        이 논문은 「유씨삼대록」의 감정 규칙과 그것을 결정하는 이야기의 논리를 분석하여 그 시기 독자들의 독서 경험 논의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작업을 바탕으로 앞으로 조선후기 장편소설의 감정 규칙을 구성하는 조건과 저항하는 의지가 사회문화 변동의 흐름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유씨삼대록」에는 젠더와 지위에 따라 허락되는 감정 표현의 방식이 마련되어 있었다. 남편에 대해서는 제도적 제약에서도 아내의 희생을 전제로 한 개인적 감정의 출구를 열어 놓았으며, 아내에 대해서는 규범화된 감정 표현을 엄격하게 적용하였다. 그럼에도 서사적으로는 여성의 개인적 감정 표현이 미세하게 드러나는 경우가 있었고, 현실 규범적 요인이 서사적 감정 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과 별도로 서사적으로 감정 표현을 통해 인물을 형상하는 기법을 마련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감정 규칙은 독자의 동의나 저항 등의 심리적 협상 과정을 거쳐 독서 효과에 이르렀다. 감정 규칙 분석 결과는 독자 반응의 일반적 방식에 비추어 서사적 강제와 저항의 문화적 의미를 예측할 수 있는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feeling rules related the reason of narrative on 「유씨삼대록Yussisamdaerok」. This trial is the first step to know sociocultural changes which got shown on full length novels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e data would be designated as the power of alliance or the opposition forces about the feeling rules. In 「유씨삼대록Yussisamdaerok」, there are the methods to present feelings according to gender and the status of their family. The husbands gain admission to resolve their desire with the sacrifices of their wives, but their wives are applied to strict feeling rules. However, that women of the text revealed personal feelings minutely. In addition, the narrative make means of characterizing by arrangement feelings of the characters. The results represent that the feeling rules provide criteria to their judge.

      • KCI등재

        강태공전 : 초역(抄譯) 현상을 통해 본 방각본 소설시장의 일면

        주형예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7 No.-

        새로운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것은 소설시장 성장의 주요한 조건이다. 중국소설은 조선의 방각본 소설시장에서 의미 있는 작품 공급원이었다. 조선에는 중국소설을 그대로 읽는 독자와 번역해서 읽는 독자, 번역․편집해서 읽는 독자가 있었다. 방각본 소설시장의 독자는 세 번째 부류에 해당된다. 이 논문에서는 방각본 소설시장에서 중국소설을 번역하고 편집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중국소설 「봉신연의」는 17세기 경 「서주연의」로 완역되었고 대략 19세기에 이르러 「강태공전」으로 초역되었다. 초역된 「강태공전」은 「서주연의」와 다른 경로로 번역된 것으로 보이며, 발췌된 부분의 서술은 현존하는 「봉신연의」와 더 친연성을 보이기도 하였다. 초역된 「강태공전」을 작품 구성 자체는 세책본 유통 단계에서 이루어져서 편집․판각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소설시장에서 표준화된 텍스트로 기능한 것은 방각본 「강태공전」이었다. 「강태공전」은 「봉신연의」의 가장 주요한 구성 개념 ‘봉신’을 제거하고 인물의 일대기로 재편했고, 「봉신연의」의 방대한 에피소드 중에서 조선의 시정에서 공유하고 있는 가족 제도나 상식 윤리를 기반으로 하여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서 볼 때, 방각본 소설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번역은 ‘자기 지식’의 범주 내에서 이루어진 시도였다. ‘자기’의 외연을 넓히고 객관화시키는 번역의 이상(理想)을 확연하게 이루지는 못 했지만, 자본과 인재 등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시정의 지식을 형성하는 미미한 행보를 보였다. 이 논문에서는 「강태공전」 초역 분석을 통해, 방각본 소설이 줄거리 중심의 편집이라는 기존 논의를 심화시켜 지식을 편집하고 구성하는 양상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방각본 소설에서 새로운 지식을 수용하면서 기존 시정에 유통되던 지식의 성격을 드러냈다. 이 작품 형성 과정에서 드러난 ‘자기’는 시정에서 유통되었던 기존 지식, 가족 관계 경험, 효의 윤리 정도였다. 소설 상품으로서 「강태공전」은 중국소설에 대한 초역을 통해 강태공에 대한 일대기를 구성하는 성과를 냈으나 서술기법을 시험하거나 창의적 영역을 구축하였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소설시장에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낸 점은 분명하지만, 한계 또한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었다. The important element in growth of novel market is steady production of new contents. In the block print edition novel market, Chinese novels are significant contents sources. Chinese novels’ readers in Joseon Dynasty are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read novels in chinese letters, the second group read novels in translated Korean alphabet, and the third group read in selected translated Korean alphabet. The readers of the block print edition novel market are the third type. In this study focused background of translation in Chinese novels in the block print edition novel market. Chinese novel 「Hoshin Engi(封神演義)」 made a complete translated in 「Seojooyeon(西周演義)」 around the 17th century and was translated selected passages in 「Kang- tae-gong-jeon(姜太公傳)」 in the 19th century. The selected translation 「Kang-tae- gong-jeon(姜太公傳)」 is not the same source with 「Seojooyeon(西周演義)」, instead is similar to 「Hoshin Engi(封神演義)」. But the selected translation 「Kang-tae-gong- jeon(姜太公傳)」 is made of the work not in the phase of the block print edition novel but in the phase of circulated books probably. 「Kang-tae-gong-jeon(姜太公傳)」 removed the word “封神(:set up god)” and reorganized one man’s life story, and chose episodes being comprehensible under the family system and experiences of their lives. Through the phenomena, we knew the translation in the block print edition tried within self-knowledges. They cannot achieve ideal that objectify and broaden ‘self’ but in spite of the lack of resources-capital, writers, publishers etc.-they showed process of producing street knowledges. This study showed the criteria in editing and composing knowledges. When they accept new knowledges, they chose them as existing their criteria. In the process of selected translation, they identified themselves. Composing this work, they showed street knowledges, family life, filial duty roughly. As a result, the product 「Kang-tae- gong-jeon(姜太公傳)」 cannot try narrative techniques, cultivate original ideas. It is quite evident that their novel market makes new contents but revealed their limitations as well.

      • KCI등재

        동양문고본 『현수문전』의 서사적 특징과 의미

        주형예 洌上古典硏究會 2002 열상고전연구 Vol.15 No.-

        Hyun-Su-Moon-Jun is related to the phenomena that public readers appeared in Seoul, 19th Century, who had cultural desire while merchant culture thriving. When we consider it in terms of the history of fiction, hyun-Su-Moon-Jun had its roots in the novel Hyun-Ssi-Yang-Wung-Ssng-Lin-Gi that had complicated and sophisticated epics. Hyun-Su-Moon-Jun recomposed the novel having complicated details in conventional and monotonous ways. This article is what analyzed the narratives of Hyun-Su-Moon-Jun in Toyo Bunko [ ]. In this article, I intended to get the clue of the readers taste and the way of reading of the age by showing characteristices and change that Hyun-Su-Moon-Jun and war-romances shared. Hyun-Su-Moon-Jun in Toyo Bunko is the typical example that hero-narrative turned into conventional public-narrative. We also need to focus on the inward desire of the public as well as the commercial intention in the process in which hero-narrative turned into public-narrative. The hero-narrative of Hyun-Su-Moon-Jun showed popularity [ ] in that it does not have any effort ot take human life and inward in a reconsidering way. The conventional epics like this are to be taken as the outcome that public response and preference and commercial purpose acted mutually. The typical hero-narrative is defined as the process in which a hero admitted to public. The war-narrative part of this work has a different structure from hero-narrative. In war-narrative, one episode faciltated the next episode and the improved ability accumulated in the character. The war-narrative is diiferent from here-narrative in that the narration is very detail, not omitting the disposition of troops[ ] or tactics [ ], the process of battles. In its close, it showed that the character had difficulty in taking choices and that its writer tried to substantiate the character who struggled to be free from convention. In conclusion, Hyun-Slu-Moon-Jun in Toyo Bunko is the work of kitsch. This is follow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public culture. That is, it contains familiar narratives and educational function that help readers to get the universal model of human life. It also reflected the necessity that an individual should face the world. Another important aspect of Hyun-Su-Moon-Jun of which readers were in the similar classes in society is that it showed the readers longing to be free from the old, traditional ideology.

      • KCI등재

        「배비장전」의 성적 환상

        주형예 한국여성문학학회 2006 여성문학연구 Vol.15 No.-

        A Critical Reading Baebijang-jeon as a Fantasy of Sensual Pleasure Joo, Hyung-Ye This paper is to look into the literary understanding on Baebijang-jeon which was published in Singuseorim in 1916, which has been mainly referred by Baebijang-jeon studies. Since records on Baebijang-taryeong prior to the 20th century are not the same one as a unique novel text Baebijang-jeon, published in Singuseorim. So we could question the narrative style of this version was how to be formed. Adopting several cultural analytic methods, this thesis unfolds the new possibility that this text might be created according to the foundation of the theatres in the 20th century and the publication of the novel with Pansori linkage. That narrative has much chance of being formed at the early of the 20th century judging from the facts that the space of narrative is built with the well-known unit paragraphs of Pansori and the specific narrations are highly dependent on the interpretation of Chunhyang-jeon This novel was a fantasy of men who dreamed of sensual pleasure. The fantasy of sensual pleasure which make sexual pleasure maximize through the actor's performance. Such a reading method differentiate from the reading one as a satire to a royalty of social status. As a result, Aerang who has been treated as an independent character comparing with the previous gisaeng turned out to be somewhat unbalanced character. She is identified as an allurer and her propensity to take leadership among others is fundamentally attributable to the men's inclination to pass a sense of moral guilt to the character while enjoying the work with sensual pleasure. 이 논문은 실전 혹은 실창 판소리의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배비장전 연구의 주요 대본이 되는 1916년 신구서림본 배비장전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20세기 이전 배비장타령의 기록은 배비장전과 동일하지 않고, 신구서림본보다 시기적으로 앞선 이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20세기 이전 배비장전의 존재 형식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기존의 접근 방식을 탈피하여 배비장전이 20세기 극장의 성립, 판소리 산정 소설의 출판 등의 조건을 문화적 배경으로 하여 형성된 텍스트일 가능성을 도모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이 텍스트가 판소리의 유명한 대목들을 차용하여 서사의 공간을 구성하였다는 점과 춘향전의 해석적 지평에 기대어 모티프를 서술하고 있다는 점을 들어, 현존 서사의 형성 시기가 20세기 초반일 수 있음을 논증한 것이다.이 소설은 성적 쾌락을 꿈꾸는 남성들의 판타지였다. 연기와 포즈로 성적 쾌락을 극대화하는 판타지로서의 이해는 기존 풍자소설로서의 설명과 일정한 거리를 둔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대 기생 인물에 비해 주체적 여성상으로 논의되었던 애랑이 여성의 자의식 확대 현상을 기반으로 등장한 인물이라고 논의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분석의 결과, 애랑은 ‘유혹’만으로 정체화된 불균형적 인물이어서, 그의 주도성은 남성 향유층이 서사에 공감하며 쾌락을 추구하면서도 그에 따른 도덕적 부담감마저 전가시키려는 욕구가 전략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해석될 수 있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고전여성문학의 연구사적 전환을 위하여 조선후기 소설 장(場)에서 구성된 지식 -「창선감의록」에 나타난 담론의 실천,전유,분산의 한 사례-

        주형예 ( Hyung Ye Joo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3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7

        This paper analyzed the knowledge of novels in the late Chosun Dynasty. For this study, it was examined practicing discourse· appropriation·differentiation in those novels. In the field of those novels, several discourses have a chances practicing and redeterminations of contexts. First, Hoajin(화진) who is a code of honor himself behaved ethical manner, so he got social power. This point showed the way the ethical discourses worked in this novel. Main characters represented the performance of discourse and other novels showed the same manners. And The idea that all the main characters` hardship rewarded compensation necessarily was constructed in the popular novels. A man endured his trouble but sometimes he solved problem so made his power himself. On the other hand, A woman must have endured given trouble, as a result she could get some rewards. This narrative structure was discovered in many full-length novels, therefore this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showed in full-length novels was distinctive features during the latter period Chosun Dynasty novels. A woman can imagine about taboo areas. Only her ethicality can achieve social recognition, so she can appropriate the ethical-power discourse easily. Female transvestite motif was good example. A woman in disguise could experience man`s areas and could have possibility to change gender-limit. Then some other gendered motives have possibility to change basic narrative discourse. The case that Gisaeng(妓生)/A woman from remote region was made one in a hero`s noble family was not different from any other novels. When the woman has a status in his family and appropriates ethicality of the lawful wife, the common-sense of hierarchy become on the line. ?Changseon-gam-ui-rok 창선감의록?and some full-length novels are good example that common ethical and trouble discourse performed extraordinary in that novel field. So strong desire of popular power pulled ethical discourse and trouble discourse included passive endurance active solving problem was discovered. Although a woman was locked in ethical prison more than a man, she can appropriate man`s imagination and desire. Furthermore gendered motives worked to rub out slowly the line of hierarchy?region? gender.

      • KCI등재

        여성 이야기를 통해 본 20세기 초 소설 시장의 변모 -이해조 <원앙도>,<모란병>을 중심으로-

        주형예 ( Hyung Ye Joo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1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22

        이 논문은 소설 시장이 19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 어떤 방식으로 연계되며 성장했는지 여성 이야기를 대상으로 하여 논의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19세기를 이어 20세기 소설 시장에서도 여전히 여성이야기가 중요한 소재였으나, 이야기를 포착하는 서술 시선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여성 이야기를 이야기하는 새로운 서술자/소설가의 등장과 관련된다. 새로이 한글 소설시장에 진입한 서술자/소설가는 전대의 독자를 승계했지만 자신이 자라온 시정의 통속적 유흥과 상식의 시선을 견지하였다. 이는 여성 이야기를 여성 독자들의 욕망에 동일시하여 전개하였던 전대와 비교하여 좀 더 당대의 일반적 시선을 여성 이야기에 투영시킨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여성 이야기의 보편적 성향은 여성을 수동적 반응과 윤리적 영역에 가둬 놓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at novel market was how to grow. Major interest is what methods relate to the 20th centuries novel market and the 19th centuries market. For this, I analyzed women- arratives that are read in that time. As a results, women-narratives were still popular in the 20th centuries novel market, but a narrater was not identical. This phenomena is related new novelist appeared. They newly entered the Hangeul-novel market and succeeded a previous market readers, but held on civic common sense. Compared to the women narratives of the previous market, that of the 20th centuries are more general. But new women narratives caused women character become passive and impounded in the moral bound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