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의 시니어 쉐어하우스 공간배치 및 면적 연구

        주현진,문정민,Ju, Hyun-Jin,Moon, Jeong-Min 한국주거학회 2015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6 No.2

        Single household is expected to be the typical form of future Korean elderly household from reduction of household size and rapid growth of the elderly. As Japanese solve the same problem with Senior Sharehouse, a case study on Senior Sharehouse in japan focused on the Spatial Arrangement and Spatial Composition could suggest an potential applications in Korea. In conclusion, compare to Korea, the Senior Sharehouse in Japan supplies additional $7.5{\sim}9.3m^2$ more space to support the physical movement of the elderly and to help the elderly to solve various functions at one space. The independence and privacy of residents are also assured by supplying single occupancy. Space analysis shows that public space is as spacious (47.3~55%) as personal space. The result of the Space analysis suggests that the sharehouse provides rational ratio of space to assure residents' independence. It was supposed that the center type would be the main stream of the Spatial Arrangement for sharehouse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 of sharing space. But, the Senior Sharehouse in Japan prefers corner type. The guarantee of personal space is being considered as a important characteristic.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Senior Sharehouse can be a proper type of house for single elderly household and present study can be used for the baseline data to solve the residence problem for single elderly household in Korea.

      • KCI등재

        문학 문화콘텐츠의 원형, 낭독

        주현진(JU, Hyounjin)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4

        이 연구는 디지털문명의 시대에 놓인 문학, 시의 현재적 존립성에 대한 고찰과 문학의 원형적 정체성에 대한 사유를 일차적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문학 혹은 시의 원형적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내재적 목소리(혹은 음악성)가 ‘구체적(physic) 통로’를 통해 표면화되는 것이 문학의 미래 생존성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다양한 문화콘텐츠들이 범람하는 초현대사회에서 문학 특히, 시의 생존성이 위협당하고 있음은 알랭 바디우와 같은 (철)학자들의 목소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대부터 오늘날까지 생존해온 문학, 시의 지속성이 갖는 근원적 힘은 헛된 것이 아님을 인식하고, 그 힘은 곧 문학의 고유한 목소리가 표면화될 때 강하게 작용하였음을 문학사의 흐름 속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즉, 문학의 내재적 목소리의 표면화라 할 수 있는 문학낭독은 곧 영겁의 세월동안 문학 그리고 시가 자생할 수 있었던 동력으로 작용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문학(시)의 위기를 말하는 오늘날 문학적 목소리의 재연인 낭독이라는 적극적인 문학행위를 통하여 문학과 시의 자유로운 이동을 탐구하는 것은 중요해 보인다. 문학이 여타 문화예술영역들처럼 축제의 공간을 넘나드는 문화콘텐츠로 정착하여 세상 속으로 스며들 수 있는 방안 모색은 문학의 미래와 직결되는 문제로 여겨진다. 때문에 본 연구는 고대 아테네 광장에서 공연되었던 비극처럼, 중세 음유 시인들의 낭독처럼 혹은 18세기 조프랭 부인의 살롱에서 행해진 문학낭독처럼, 오늘날 문학축제 속에 자리한 문학낭독의 위치에 대하여 논의한다. 이처럼, 문학을 생생하게 존재시키는 목소리의 표면화를 통하여, 紙面을 떠나 사이버 공간으로 이동하는 문학이 미래에도 지속될 것임을 확인해보는 것이다. 하이데거의 언표 “우리들을 구원하러 올 신을 맞이하기 위한 준비는 사유와 시로써 이뤄져야한다”는 명제를 실행하게 하는 문학의 생존성이 낭독을 둘러싼 문학축제에서도 발견될 수 있음을 확인해보는 것이다.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literature of ability to live in the future computationally sophisticated, but also about his identity that did exist before. In this study, we will consider the likelihood that the innate voice in literature could influence the livelihood of literature in the future. On this point, one can approach the literary reading aloud is a way to not only appear before the public, but also in the public. Many philosophers are concerned or persuaded by precariousness to be literature in the age to come. However, as the literature has always existed, this study will seek to know that there is the fundamental power to existing literature, that one is revealed when the innate voice in literature manifested. Thus literary reading can be considered as engine which literature existed since antiquity. That is why today, he looks important to study the free movement of literature or poetry as an action physically active, the reading aloud. Find a way to literature (or poetry) infiltrate the world by setting up as one of the cultural content. In sum, this section will review the status of literary reading aloud in the world invaded by multiple art-culture contents. We will thus confirm that can exist within literary festival, possible living literature.

      • KCI등재

        강섬유보강콘크리트 보의 비틀림 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주현진(Ju, Hyun-Jin),이득행(Lee, Deuck-Hang),황진하(Hwang, Jin-Ha),김강수(Kim, Kang-Su),오영훈(Oh, Young-Hun) 대한건축학회 2013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9 No.6

        It is known that steel fiber-reinforced concrete (SFRC) members have enhanced torsional performances, compared to typical reinforced concrete members, but, our understanding on torsional behavior of SFRC members are yet very limited due to insufficient research on this topic. Thus, this study performed torsional tests on SFRC members, in which radial strain gradients developed in thin-walled concrete tube were measured in detail. The shortcomings of current design codes on the torsional strength of heavily reinforced members in transverse direction have been also discusse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FRC specimens having larger volume fraction of steel fibers had greater torsional strength and more ductile behavior as well. The compressive strains in the extreme fiber of SFRC members were estimated at about 0.0035 to 0.0040 at ultimate state. All specimens had the initial cracking angle of about 45 degrees, while the inclined angles at ultimate became somewhat smaller. The current code provisions overestimated the torsional strengths of all specimens that were over-reinforced against torsion.

      • KCI등재

        李箱 문학의 현대성, 잔혹성의 미학

        주현진(Ju, Hyoun-jin) 한국시학회 2013 한국시학연구 Vol.- No.36

        이 연구는 "서구 모더니즘의 적자"로 불리는 이상의 모더니즘문학을 끊어내기-파열의 양상이란 잔혹성의 미학 관점에서 본 연구이다. 소위 현대는 전통과의 단절에서 시작된다. 한국문학에서의 현대는 서양문학의 수용에 기인하고 있다. 특히, 1920년대부터 집중적으로 수용된 보들레르와 프랑스 현대작가들(상징주의자들)이 구축한 현대성이 한국의 초기 현대작가들에게 어떤 형태로든 전이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런 까닭에 본 연구는 ,동시대 작가들과는 달리, 근대 개인의 출현을 가장 구체적으로 인식한 이상의 현대성을 유럽 최초의 현대작가 보들레르와 포스트-보들레르의 작가들인 미쇼와 아르토의 그것에 대조시킴으로써 이해할 것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일탈욕망을 내포하고 있는 이상의 현대성은 단절과 파열의 복잡한 양상 위에 기인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가와 인물들 간의 파열, 작가와 독자와의 파열, 작가와 전통사회와의 파열, 이상의 현대성을 서구의 그것에 접근시키는 이 모든 양상들은 잔혹성의 미학이란 범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잔혹한 미학의 핵심에는 근대에 출현하는 개인과 현대의 가시적 특징인 대량생산이 자리하고 있다. This study means to discuss the Yi Sang’s modernism by an angle of cruelty’s aesthetics as rupture, explosion, cutting and breaking. A modernity starts what is called from rupture with tradition. The modernity in Korean literature is due to the reception of Occidental literature. Especially, Korean modern literature is based on Baudelaire and French modern writers as symbolists, having translated since 1920’s. So, Korean early modern writers would have been affected by them, for forming the modernity.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contrasting Yi Sang, who one best understands the modernity came from Occident, with Baudelaire and some post-Baudelairiean French writers as Michaux and Artaud. The modernity captured by Yi Sang includes depature desire and is represented by a complex asprects of rupture-explosion : ruptures between author and characters in his work, between author and readers, between author and traditional society. All theses aspects that approach Yi Sang’s modernity to Occidental modernity can be interpreted in the cruelty’s aesthetics category. In the center of these aesthetics, it’s placed the emergence of the modern individual and mass production as a visual modern feature.

      • KCI등재

        지역문화콘텐츠에 따른 빛 축제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주현진 ( Ju Hyun-jin ),문정민 ( Moon Jeong-min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우리나라는 산업화와 경제발전으로 인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문화에 대한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역이 가진 지역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지역축제의 성공적인 개최는 가장 큰 화제다. 빛을 이용한 `빛 축제`는 도시의 어둠을 밝히고 아름다운 야경을 형성하는 축제이다. 이와 더불어 지역문화콘텐츠의 요소가 결합되면 지역이미지 향상과 홍보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이처럼 빛 축제가 점차 부각되고 있는 반면에 빛 축제에 대한 학문적 연구는 거의 찾아 볼 수 없으며 특히, 빛 축제 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약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문화콘텐츠와 빛 축제의 상관관계에 대해 분석하고 축제 공간을 이루는 중요한 공간적 특성을 3가지 요소로 나눌 수 있었다. 첫 번째, 축제 공간의 특성을 대변하는 요소는 주제다. 각 지역의 문화콘텐츠 요소가 가장 선명히 부각되는 요소이며 지역과 축제를 긴밀하게 연결해주고 있었다. 두 번째, 장소도 축제공간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축제의 장소로 자리매김한 공간들은 대부분 도심의 랜드마크적 성향이 강했다. 세 번째, 축제공간의 특성을 반영하는 물리적 요소는 내용이다. 물리적인 전시오브제들과 공연무대, 체험공간의 공간구획 방식에 따라 관람객의 관람동선이 정해지고 다양한 조명연출을 통해 빛 축제를 부각시켰다. 빛 축제의 주제나 장소, 전시오브제는 빛 축제의 공간적 특성을 대변하며, 지역문화콘텐츠와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 이는 향후 도시를 마케팅하며 지역의 아이덴티티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다.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in life style, the interest on cultural contents has been expanded in Korea after her successful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 one of the biggest issues is successful management of local festival using local cultural contents. `Light Festival` lightens the darkness of cities and forms beautiful night views. Being combined with some elements of Local Cultural Contents, `Light Festival` will promote local growth and improve the image of local community. Although `Light Festival` is being magnified gradually, the academic studies on it are infrequently to be found, especially much harder on spatial features of it.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analyze corelation between Local Cultural contents and `Light Festival` and dissect meaningful spatial features into three elements. First, theme is the one of the most important elements of spatial features on Light Festival. Theme highlights the local cultural contents of each community and links the communities and festivals. Second, Places also show the spatial features. The places for the festivals have strongly been associated with the community as landmarks. Third, Details are the last physical element showing the spatial features. Audiences have been led by physical exhibition objects, exhibition stages, and compartments of space. Various displays of light fixtures revalued Light Festival. Theme, place, exhibition objects add value on the spatial feature of Light Festival and have strong correlation with local cultural contents. Festival will be a great help to community`s economic benefit and identity.

      • KCI등재

        Une culture violente chez Michaux

        JU Hyoun-Jin(주현진)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08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23 No.-

        이 논문은 미쇼(H. Michaux)가 1945년 이전에 쓴 작품들 속에 그려지는 폭력성과 잔혹성에 관한 연구이다. 미쇼가 문학 공간에서 보여주는 폭력의 문화를 살펴봄과 동시에, 그 폭력성의 유래와 대상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미쇼의 문학은 허구의 문학이 아닌 진실된 개인사를 참조하는 특이한 유형의 자서전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미쇼의 문학생애를 이끌어 주는 현실적 문제가 그의 문학 작품 도처에 전시되어 있음을 볼 수가 있다. 요컨대, 추상의 문학을 통해 《반순응주의자》라는 인상을 주는 앙리 미쇼는 자신의 현실적 고뇌인 《뿌리에 대한 반감》과 존재론적 문제제기인 《불안정한 자아의 세계》를 문학영역에 옮겨 놓았다. 이 주제에 집중된 미쇼의 글쓰기는 강한 색채를 띠고 있을 뿐만 아니라, 파괴적 성향을 내포하고 있다. 미쇼의 문학이 파괴적 성향을 띠고 있다는 느낌을 주는 것은, 미쇼의 문체가 현실의 보편적 언어의 규범을 존중하지 않는다는 인상을 주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무엇보다도 그가 창조하는 상상의 세계가 폭력의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가 보여주는 폭력성은 어디에서부터 오는 것일까 ? 간략히 말하자면, 미쇼 문학의 폭력성은 태생부터 자신을 괴롭혀온 뿌리에 대한 혐오감과 그 뿌리에서 떨어져 나오고 싶은 욕망에서 출발하고 있다. 자신의 근원과 단절하고 싶은 욕망은 현실적 근원의 주체인 가족, 국가, 서구 문명을 배반하고 거부하도록 하는데, 이 배반의 과정이 바로 폭력의 문화로 일궈지고 있는 것이다. 인류 문명의 시작을 비웃기라도 하는 듯이, 무질서와 폭력이 난무하는 새로운 인류문명이 창조되고, 그 창조 과정 안에서 가족은 잔혹하게 - 하지만 익살스런 방식으로 - 파괴된다. 그렇지만, 결국 이 모든 폭력성은, 미쇼 자신의 반영이기도 한 작품 속의 《나》에게 전이되고, 《나》는 결국 자신이 창조한 폭력의 대상이 되기까지 이른다. 인류 문명을 향해 던져진 폭력의 문화가 《나》에게 되돌아와 《나》 또한 파괴의 대상으로 드러내게 한다. 이는 분명, 현실세계가 규정하는 뿌리에서 분리를 꿈꾸는 《나》의 노력을 보여줌과 동시에, 자신의 존재론적 정체성을 알아내기 위해 스스로에게 의문을 끊임없이 제기하는 《나》의 노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처럼, 미쇼는 《존재론적 정체성을 명확히 드러내지 않는 불안정한 자아》의 모습과 《현실세계를 상징하는 사회적 의미의 정체성으로부터 분리되고 싶은 욕망》을 폭력이란 매개체를 가지고 나타내고 있다.

      • KCI등재

        1930년대 시문학파,모더니즘의 감정 환경 -서구 번역시 환경에서 본 김영랑,김기림 연구

        주현진 ( Hyoun Jin Ju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1 No.1

        이 논문은 한국 현대시의 진정한 탄생이라고 평가받는 1930년대 한국시의 다양한 방법론적 시도가 일반적인 문학사에서 갖는 의의와 그 위상에 대하여 생각해 보는 것이 목적이다. 1920년대 시가 보여준 "무절제한 감정 분출"과 "내용의 편중성"을 극복하려는 문학적 의지로서 1930년대 출현한 시문학파, 모더니즘, 생명파 등의 시인들이 보여준 노력은 한국 현대시사의 새로운 시작으로서 문학사적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그렇지만 서구시의 번역이 태생적 환경인 한국 근대시는 지난 세기 전반기동안 번역문학의 틀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다. 그런 까닭에 순수 서정시의 위상을 구축한 시문학파의 김영랑, 주관적 감상을 자제하는 서정적 화자를 출현시키며 이미지즘의 추구를 통해 시의 건축성을 실험한 모더니즘의 김기림, 이 시적 확대에 대한 탐구는, 한국 근대시라는 틀에서 뿐만 아니라, 당대의 가장 영향력 있는 문학 환경일 수밖에 없었던 서구 근대문학과의 상관성이란 견지에서 해석해볼 필요가 있다. 때문에 본 연구는 1920년대부터 1930년대에 이르기까지 가장 주목받았던 서구 문학경향에 입각하여 김영랑의 순수 서정의 원천이 자리한 지점을 탐색해보았다. 또한, 김기림의 모더니즘이라는 이름으로 드러나는 사물의 세계에 대한 피상적인 흥분이 왜 모더니즘의 핵심인 현대성의 특성들로 연결되지 못하는가에 대해 탐색해보았다. 따라서 김영랑의 순수 서정이 차분한 목소리로 표출되기는 하지만, 서구 낭만주의적 서정성과 근대문학 특히 베를렌의 시에 표현된 불가해한 감정과 뒤섞여 있음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김기림의 모더니즘의 피상적 사물 세계를 받치고 있는 것은 낭만주의자 호모 로맨티쿠스의 공허한 이상과 심정이란 것을 알아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론에 의거하여, 한국 근대시의 진행과정을 면밀하게 분석하기 위해선 앞으로 서구 번역시와의 상호텍스트적 비교 연구가 더 확대되어야함을 요청하게 된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status of various poetry``s methodology during the 1930s in the general korean literature. For overcoming "the uncontrolled emotions gushing" and the poor content of the 1920``s poetry, several poets of the 1930s tried to realize the modernity of Korean poetry through pure poetry and modernism such as Kim Young-ran and Kim Gi-rim. In this case, this study attend to understand the intertextuality``s relationship between Korean first modern poetry and Occidental modern poetry such French symbolism and english modernism, introduced in Korea at that time. However, it``s a widely acknowledged fact that Occidental poetries`` translation, such as Verlaine, Baudelaire, Yeats, Byron, influenced on the birth of the Modern Korean poetry. Korean litera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last century could not be free from the framework of literary translation. So the emergence of lyrical speaker in the works of Kim Young-ran and the suppressing of emotions in the works of Kim Gi-rim, these are modern liter ry efforts realized by the both. Especially, one of the first modernists Kim Gi-rim tried experimental architecture in literature such as Imagism. By the way, their modern representations in literature were surely influenced by many translations, screening wave of the Occidental literature at that moment. We can see that some evidences in Kim Young-ran``s poetry such as romanticism themes and non-eloaquent emotion``s emergence, also in Kim Gi-rim``s modernism such as romanticism portent such as hope of utopia and themes. In this case, study of the first modern Korean poetry should be focused on the inter-textual relationship with Occident modern poetry``s translation.

      • KCI등재

        이상(李箱) 문학의 근대성 : ‘의학-육체-개인’

        주현진(Ju Hyoun-Jin) 한국시학회 2008 한국시학연구 Vol.- No.23

        This study focuses on the modernity in Yi Sang's works which are examined here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with ‘Occidental modernity’. This research is grounded on the triple theme of ‘medicine-body-individual’. Through an inter-relationship constructed among these three themes or problems, Yi Sang's poems (and short stories) not only expose within itself several aspects of modernity, but also indicate an aspect of ‘post-modernity’ as a will to overcome modernity and reality. The themes of ‘medicine-body-individual’ all linked together in Yi Sang's literature are also the basis of Occidental modernity, which starts from science's evolution ; a new conception of body and an awareness of ‘myself’. On the other hand, that subject can be a key figure which allows us to create a Homo-Phantastikos's world where it's possible to surmount all of modernity and reality. This analysis reveals that the structure, ‘medicine-body-individual’, is the departure point in Yi Sang's literature, but also the objective to over-come. Overall, we can see that modern aspects that Yi Sang receives from Occidental modernity become Yi Sang's moder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