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루바이나 히미드의 영국 흑인 예술 운동과 흑인 페미니즘 비평

        주하영 한국미술이론학회 2021 미술이론과 현장 Vol.- No.32

        본 논문은 동아프리카 잔지바르계 출신 영국 디아스포라 예술가인 루바이나 히미드의 작품에 관한 것으로, 그녀의 작품에 드러난 아프리카 디아스포라와 식민주의, 인종주의와 노예제도, 폭력과 차별의 역사를 흑인 예술 운동과 흑인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비평적으로 살펴본다. 히미드는 1980년대 영국 흑인 예술 운동의 선구자인 중 한 명으로, 문화와 미디어에서 유색인종이 타자화되고, 역사에서 배제되는 흑인의 비가시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주류문화의 전형성에 저항에 왔다. 이는 흑인의 유산을 부정하는 패권적 문화에 도전하는 일이자 예술계의 배타적 관행을 비판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히미드의 작품에는 몇 가지 중요한 특성이 있다. 히미드는 작품을 통해 백인과 흑인 모두에게 이중의 터부로 작용하는 노예제도에 대해 깊이 있게 성찰하며, 집단의 기억과 망각의 문제를 작품으로 가시화하고자 한다. 또한, 흑인 여성 예술가들의 주체성 회복을 위한 연대를 강조하며, 다양한 전시회와 저술활동을 통해 흑인들에게 덧입힌 고정관념과 열등성과 같은 식민주의적 사고와 태도에 저항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루바이나 히미드의 작업을 통해, 흑인 예술 운동과 흑인 페미니즘을 비평적으로 논해 보고자 한다. This essay explores the work of Lubina Himid, a British diaspora artist from Zanzibar, East Africa. It examines the issues of African diaspora and colonialism, racism and the history of slavery, violence and discrim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ritish black arts movement and black feminism. Himid was one of the pioneers of the 1980s black arts movement in Britain. She came to resist the stereotype of mainstream culture and media that otherized people of colour, questioning the invisibility of black people who are being excluded from history. Himid’s artistic practice has several important characteristics. She reflects deeply on slavery, a double taboo for both whites and blacks. She tries to visualize the problems of collective memory and amnesia of history, she emphasizes solidarity for recovering black subjectivity. Also, through various exhibitions and writing activities, she resists colonialist thoughts and attitudes.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critically discuss the black art movement and black feminism through the work of Lubina Himid.

      • KCI등재

        새로운 패러다임에 도전하는 포스트휴먼 신체미술의 확장성: 오를랑과 마리나 아브라모비치를 중심으로

        주하영 한국미술연구소 2022 美術史論壇 Vol.- No.54

        This essay is a study on the expandability of the body art and the posthuman body in the paradigm of a cultural art world that is changed by science and technology, and examines it through the new work of ORLAN and Marina Abramović. ORLAN created <ORLAN-OÏDE>(2018) using biotechnology and cloning technology, creating a robot that replicates her voice and shares her biometric data. Abramovic’s mixed reality performance titled <The Life>(2019), experiments the de-materialized posthuman body beyond traditions of time and space. Both these works offer a private and intimate performance realized virtually, and the concept of a typical performance with spatiality, presence, in real-time was challenged. The two women artists used their bodies as an important medium of art, challenging the gender and social norms imposed on women, and in doing so revealed the artist's subjectivity. The artists also modify, expand, and change their bodies using network environments and digital devices, crossing physical distance, space and time, they show that they have a fluent identity which is not fixed by society and culture. The posthuman body they pursue is de-constructed from socio-cultural, racial and gendered existence. And breaks down the boundaries between men and women, humans and machines, natural and artificial, organic and inorganic, and material and immaterial, to challenge the perspective of human beings. In the works of Orlan and Abramović, they transcend the physical body, time and space through the entire process: constructing new art forms, challenging specific cultures, races, and sexual traditions, as well as challenging the concepts of existing body art. Therefore, in body art, the body is practicing not a biological body, but a body created by android or mixed reality, transcending the limits of human beings and practicing in a posthuman world that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technology and humans, and the real and virtual. 본 논문은 과학기술에 의해 변화하는 문화예술계의 패러다임 속에서 신체미술과 포스트휴먼 신체의 확장성에 대한 연구이며, 이를 오를랑(ORLAN)과 마리나 아브라모비치(Marina Abramović)의 신작을 통해 살펴본다. 오를랑은 생명공학과 복제기술을 활용하여 <오를라노이드 (ORLAN-OÏDE)>(2018)를 제작했고, 자신의 목소리를 복제하고 신체 정보를 공유하는 로봇을 만들었다. 아브라모비치는 <더 라이프 (The Life)>(2019)란 혼합현실(Mixted Reality) 퍼포먼스를 통해 시공간을 넘어 비물질화되고 탈신체화된 포스트휴먼 신체를 실험했다. 이를 통해 사적이고 내밀한 퍼포먼스를 가상적으로 실현하며, 장소성, 현존성, 일회성을 지닌 퍼포먼스의 개념 자체에 도전했다. 두 여성 예술가들은 자신의 신체를 예술의 중요한 미디엄으로 사용하여, 여성에게 강요된 사회적 규범과 젠더에 도전하며, 예술가의 주체성을 작품을 통해 드러냈다. 이들은 물리적 거리와 시공간을 넘나들며 네트워크 환경과 디지털 기기를 통해 자신의 신체를 수정하고, 확장하며, 스스로가 변화할 수 있는 정체성을 지닌 존재임을 보여준다. 이들이 추구하는 포스트휴먼 신체는 남성과 여성, 인간과 기계, 자연물과 인공물, 유기체와 무기체, 물질과 비물질 사이의 경계를 허물며 탈젠더화되고, 사회문화적, 인종적으로 차이를 지운 존재로서 기존의 인간관에 도전한다. 두 예술가들의 작품에는 예술적 형상을 이끌어내는 전 과정을 통해 물리적 신체와 시공간을 초월하며 특정 문화나 인종, 성적 전통에 도전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 신체미술이 지닌 개념에 도전한다. 이제 신체미술에서 신체는 생물학적 육체가 아닌 안드로이드나 혼합현실로 생성된 몸으로 인간의 한계를 뛰어 넘어 외부와 내부, 기술과 인간, 실제와 가상의 경계를 허무는 포스트휴먼 세계를 실천한다.

      • KCI등재후보

        모나 하토움의 작품에 표상된 디아스포라 예술과 이주 미학의 비평적 접근

        주하영 유럽문화예술학회 2018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9 No.2

        This paper examines the works of Palestinian artist Mona Hatoum from the perspective of diasporic experience and the migratory aesthetics. It also deals with the conflict between Israel and Palestine, the Middle East war, and the Lebanese civil war to find the meaning and value of Hatoum's work. In addition, through the implicit language in her works, tracing the trajectory of diaspora, it examines the issue of identity and otherness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With globalization, the meaning of attribution and settlement has become faded. However, in Hatoum’s work, the meaning of boundaries surrounding land is more than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mission, prohibition, passage and residence. For Hatoum, Palestine is the space that made her determined to find the meaning of existence, but it is also the space that gave her eternal otherness. Paradoxically, this space of conflict and despair serves as an important driver of her art making, along with constant questions of being. However, Hatoum's anxiety does not exist separately from the reality in which we live. Hatoum is not confined to these problems of individual, but rather the problem of society and the state. Sometimes she actively opposes it, but she is stepping back and working on the creation of works using the implied artistic language. Therefore, this paper will provide a critical perspective and insight into the work of Mona Hatoum, a diaspora artist who has experienced migration and asylum. 본 논문은 팔레스타인계 예술가인 모나 하토움의 작품을 디아스포라적 경험과 이주의 미학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충돌과 중동전쟁, 레바논 내전 등 20세기들어 중동지역에서 일어난 대립구도와 분쟁의 역사에서 하토움의 작품의 의미와 가치를 찾고자 한다. 또한, 그녀의 작품 속에 나타난 함축적 언어를 통해 디아스포라적 삶의 궤적을 추적해가며, 주체성과 타자성의 문제를 비평적 관점에서 고찰해본다. 글로벌리즘과 함께 국경과 경계를 넘는 이동이 잦아진 요즘, 귀속과 정착의 의미는 퇴색되어가고있지만, 이산을 경험한 하토움에게 땅을 둘러싼 경계의 의미는 통행과 거주의 허용과 금지 그 이상으로 작용한다. 공식 국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팔레스타인은 하토움에게 자신의 존재를 깨닫게한 공간이지만 영원한 이방인이라는 타자성을 부여한 공간이기도 하다. 현재 땅을 둘러싼 분쟁이지속되고 있는 이곳은 갈등과 반목으로 점철되어 있지만, 하토움에게 자신의 존재를 찾아야 하는당위성을 부여한 공간이기도 하다. 역설적이게도 이러한 갈등과 번뇌의 공간은 하토움에게 끊임없는질문과 함께 예술 창작의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하토움의 고민은 우리가 사는 현실과 분리되어 존재하지 않는다. 하토움은 자신이 겪고 있는 복합적인 상황을 개인의 문제로 한정하지 않고 사회와 국가의 문제로 전치시켜 때로는 적극적으로 이에 맞서기도 하지만 뒤로 물러나 함축적인 예술 언어를 통해 작품 창작에 임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주와 망명을 경험한 디아스포라 예술가인 모나 하토움의 작품을 후기 식민주의와 비평적 관점에서 논하고자 한다.

      • KCI등재

        동시대 미술 속에 표상된 유럽난민사태와 이주문제

        주하영 유럽문화예술학회 2020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11 No.1

        본 논문은 최근 유럽과 지중해에서 붉어진 이주와 난민사태 그리고 급진적 디아스포라의 문제를 동시대 미술 속에서 살펴보고자 한 것으로, 국제 전시와 비엔날레에 등장한 예술가들의 작품 속에서 이러한 현상이 어떻게 표상되고, 논의될 수 있는지 다양한 시각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난민 문제와 그 표상에 있어 어떠한 미학적 윤리의식이 발현될 수 있는지, 또 예술이 인류의 삶과 가치를 논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주와 난민의 문제는 전지구화 현상으로 인해 빠르게 재편되는 정치와 경제구도 속에서 발발한 분쟁과 갈등에서 비롯되었으며, 사회적, 정치적 요인이 복잡하게 결합되어 발생한 것이다, 따라서, 그 해결책과 방법을 찾는 것도 쉽지 않다. 유럽 국가들은 자국민 이기주의를 앞세우며 서로에게 난민 문제에 대한 책임을 전가하고 있으며, 국경의 경계를 강화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공동체 의식을 가졌던 유럽을 분열시키고, 국가 간 민족주의적 감정을 부추겼다고 오인되고 있으며, 이는 난민 혐오와 배척으로 연결되고 있다. 증가하는 난민과 이주민들은 받아 줄 곳을 찾아 정처 없이 유랑하며, 급진적 주체로서 타자화되어 주류 권력에서 더욱 소외되고 있다. 최근 열린 국제전시에서 이러한 문제를 다루고자 하는 이유는 현 사태에 대해 정치ㆍ외 교적인 해결점을 찾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러한 문제를 예술로서 가시화하며 우리에게 가치 있는 삶의 자세를 요구하고, 난민과 이주의 문제에 대해 다양한 해석과 논의를 펼칠 수 있는 가능성을 열고자 하는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in contemporary art of the recent refugee crisis, migration and radical diaspora across Europe and the Mediterranean. It examines the works of artists at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biennials, by observing the aesthetic ethics used to present current refugee issues, considering the different ways art can discuss human values and lives. The problem of migration and refugees stems from conflict and war arising under globalization due to the rapid re-organization of politics and economics. The European refugee crisis has encouraged nationalism within and between countries, defining borderlines and avoiding responsibility for the displaced refugees. This leads to a dislike and rejection of refugees, which naturally leads to infringement on human rights and the loss of the right to live. Increasing numbers of refugees and migrants are wandering around in search of a place to be accepted, and are alienated by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and categorized as radical subjects. The reason for dealing with these issues in the recent international exhibition is not to find a political and diplomatic solution to the situation. However, it is intended to visualize these problems as art, to ask us what is the value of life, and to open up possibilities for various interpretations and discussions on the issues of refugees and migration.

      • KCI등재

        시린 네샤트: 디아스포라적 서사와 경계넘기

        주하영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2

        본 논문은 이란 디아스포라 여성예술가인 시린 네샤트의 삶과 작품에 관한 것으로, 이슬람 혁명 전야로 혼란기에 있을 때 이란을 떠난 뒤 현재까지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유랑하며 지내게 된 이산의 경험과 서사를 탈식민주의와 포스트페미니즘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1979년 반미, 반서구를 외치며 이슬람 근본주의로 돌아선 이란은 이전의 자유로운 사회의 모습과는 현저히 다르게 변화했고, 혁명은 사람들의 삶의 모습도 완전히 바꿔놓았다. 물론 이슬람의 전통과 고유한 관습을 지키는 것도 중요하지만, 급진적 혁명으로 돌입한데에 많은 부작용을 낳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미국의 부시는 이란을 테러의 가장 위험한 국가 중 하나로 공포하였고, 자연스레 이란의 상황은 국제여론의 비난 속에 놓여졌다. 이란 외부에 머물고 있는 시린 네샤트는 이슬람이라는 복합적 개념의 안과 밖에서 그녀만의 비판적 시각으로 이를 받아들이고, 국가와 정치의 권력 관계, 인종과 종교, 그리고 삶이 라는 연속적 관계 속에서 소외된 여성과 이들을 대변하여 논쟁적 발언과 예술적 실천을 하고 있다. 특히, 이슬람 여성의 이미지는 가부장제의 억압의 상징으로 대변되어 차별과 갈등속에 있음을 인지하고, 아직도 진행되고 있는 신식민의 역사 속에서 주체성을 회복시키고자 노력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현재 그녀가 처해있는 상황과 다르지 않기에 그녀자신의 내적인 성찰과 반복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이 전 세계를 무대로 유랑하며 작품창작을 하는 여성예술가인 시린 네샤트의 작품을 바라보고, 이슬람이라는 복합적 개념을 이해하는데 비판적인 시각을 제공하길 바란다. The paper investigates the life and the work of lranian diaspora artist Shirin Neshat, who emigrated to the U.S.A before the swirl of lslamic Revolution, 1979. it examines the experience of migration and the narrative of diaspora in terms of post-colonialism and post-feminism. Since the revolution against americanism and westernization, lranian society has changed dramatically, and the life of lranians has shifted into ways of lslamic fundamentalism. Although keeping tradition and indigenous customs are important, the shift has caused many controversial side-effects. Because of this, George Bush publicly announced lran as one of the “terrorist” countries to oppose, and lran became heavily condemned by the outside world. Shrin Neshat accepted the complex concepts of lslamic lran from inside and outside of lslam. Her practice explores and argues the power relationship bwtween nations and politics, races and religions, and lives and works, She also discusses the alienated and marginalized women in the patriarchal society, and liberates the female subjectivity in post-colonial worlds. However the artistic practice of Neshat is not separated from her own life, her process of making work can be explained as self-reflection. Therefore, this research gives a critical perspective of the work of lranian diasporia artist Shirin Neshat, an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ultiplicative concepts and values of lslam.

      • KCI등재후보

        인상주의 시기의 여성 작가와 그들이 표상한 공간

        주하영 유럽문화예술학회 2017 유럽문화예술학논집 Vol.8 No.2

        본 연구는 인상주의 시대에 활발하게 활동했던 여성 작가인 베르트 모리조와 메리 카사트의 작품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서, 이들이 생활하고 작품으로 표상한 공간이 인상주의의 다른 남성 화가들이보여준 공간과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또한, 여성 예술가들이 표현한 공간이 당시의시대적, 사회적 체제 및 이데올로기적 구조 속에서 어떠한 의미를 담고 있는지를 여성주의의 다양한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인상주의는 1860년대 파리에서 발생한 미술 운동이다. 당시 파리는 유럽에서 가장 역동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곳이자, 오랜 전통을 지닌 미술의 중심지였다. 하지만 나폴레옹 3세가 집권한 제2제정시기(1852-1870)에는 아카데미즘에 입각한 엄격한 미술 규범 때문에 많은 화가들이 전시의 기회를갖지 못했고, 이러한 미술 제도는 예술가들의 거센 반발을 샀다. 19세기 후반 인상주의 운동은 이전시대에 추구했던 고전으로의 회귀나 역사적 사건을 작품화하는 것과는 달리 부르주아의 삶과 여가활동, 가정 생활과 같이 당시의 삶과 생활 풍속을 작품의 주제들로 삼았다. 인상주의 화가들은 공식적인 제도를 거부함으로써 자신들만의 전시 모임을 만들었고, 베르트 모리조와 메리 카사트와 같은여성 작가들에게도 남성들과 동등하게 전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여성 작가들은 남성화가들에 비해 대담한 소재나 풍경을 작품으로 담지는 못했지만, 주어진 환경에서 최선을 다하며적극적으로 작품 제작에 임하였다. 하지만, 이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비평가들은 여성 작가들의 소재의 한계와 한정된 공간을 문제점으로 지적하며, 작품을 폄하하였고 의도적으로 미술사에서이들의 활동을 삭제하였다. 인상주의 시기에 활동했던 여성 작가들과 이들이 만들어낸 여성성의 공간은 이들의 삶 자체의 반영이자 이들의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였다. 즉, 여성성이라는 것은 역사적, 사회적으로 구성된 이데올로기 속에서 만들어진 기호이자 당시 사회상이 만들어낸 모습이며, 세대와지정학적 공간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19세기 후반에등장한 인상주의 여성 예술가들이 표상한 이미지와 그 공간의 의미를 조금 다양하게 이해해보고 해석해 보기를 바란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works of Berthe Morisot and Mary Cassatt, who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Impressionist movement. It also focuses on how the represented spaces in their works are different from male artists of Impressionism. In addition, it will examine the meaning of the space represented by women artists in the social system and ideological structure of the time. Impressionism is an art movement that took place in Paris during the late nineteenth century. At that time, Paris was one of the most dynamically changing cities in Europe and a center of art from a long tradition. However, during the Second Empire (1852-1870), when Napoleon III ruled, many artists could not take the opportunity to exhibit their works because of the strict rules within academism, a strict academic system that drew strong opposition from artists. Unlike the return to the classics that was pursued in the previous era, the themes of the Impressionist movement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were the life and lifestyle of the time, such as leisure activities and family life of the bourgeoisies. Impressionist painters held their own exhibitions, rejecting the formal system, and they gave women artists such as Berthe Morisot and Mary Cassatt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the exhibition. Although the women artists were treated as equal within the exhibition space, their work could not carry the same bold subjects or scenes as bourgeois men because of limitations put on women in society. They tried their best in the given opportunity and environment, but despite these efforts many art critics have identified the limitations of their work as a serious problem and have depreciated the value of their works. Moreover, it is true that women artists’ works and their activities have been intentionally removed from art history. The women artists who worked during the Impressionist period and the spaces of femininity that they created were the reflection of their lives and the result of their endless efforts. In other words, femininity is a symbol created in historical and societal ideology, and a figure created by society at the time, and it can be changed flexibly according to the generation and geopolitical space. Therefore, this study gives an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images presented by the impressionist women artists and the meanings of the space they created.

      • KCI등재
      • KCI등재

        데미안 허스트의 예술가로서의 브랜드화 비평

        주하영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8 No.-

        This essay is a critique of the work of Damien Hirst, a British contemporary artist and the world's most notable artist, and the branding strategy he pursues. It aims to examine not only the artistic value of his works and exhibitions but also the comerciality through the interaction of art, business, branding, and consumption. Hirst is known as various modifiers such as an artist, an entrepreneur, a curator, a seller, an advertiser and a brand manager. Since the beginning of the work, he has consistently raised the issue of 'the aesthetics of death' symbolizing the finiteness of life in the realm of art and society. He actively promotes his work, creating new artistic values between novelty and shock, and wants to build his own brand without putting tension between beauty and ugliness, sublime and vulgarity. The range and method of this study aims to examine not only systematically his works and exhibitions from art historical view but also from socio-cultural view in order to understand his position in the art and business world, and the public realm. In addition, through Hirst's art products, in collaboration with various brands, I explor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his brand values and consumption along with neoliberal ideas. Hirst is an artist who actively produces works, plans exhibitions, commercializes arts, deconstructs the conventions of the culture and art world, and creates various issues. This variety may be his attitude toward art, but it is also his own branding strategy.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s the branding strategy and its value as an artist from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Damian Hirst. 본 논문은 영국의 현대 미술가이자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예술가로 알려진 데미안 허스트(Damien Hirst)의 작품과 그가 추구하는 브랜드화 전략에 대한 비평으로 그의 작품과 전시가 지닌 예술성과 상업성에 대해 예술과 비즈니스, 브랜딩, 소비의 상호 작용을 통해 고찰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허스트는 예술가이자 사업가, 전시기획자이자 판매자, 광고인이 자 브랜드매니저와 같이 다양한 수식어를 지닌 전략적인 작가이다. 허스트는 작품 제작 초기부터 일관되게 ‘죽음의 미학’에 대한 문제를 제기해왔으며, 삶의 유한성을 성과 속의 영역에서 상징화하여 보여주고 있다. 그는 참신함과 충격 사이에서 새로운 예술적 가치를 만들어내며 자신의 작품을 적극 홍보하는 한편 아름다움과 추함, 숭고와 저속함 사이에서 긴장을 놓 지 않으며 자신만의 고유한 브랜드를 구축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범위와 방법은 우선 그가 왜 주목받는 작가가 되었는지 를 알기 위해 허스트의 작품과 전시를 미술사적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보는 것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도 살 펴보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브랜드와 협업한 허스트의 예술 상품을 통해 그의 브랜드적 가치와 소비의 상호관계를 신자유 주의 사상과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허스트는 적극적으로 작품을 제작하고, 전시를 기획하고, 예술을 상품화하며 문화예술 계의 관례를 허물며 다양한 이슈를 만들어가 가고 있는 작가이다. 이러한 다양한 작업 방식은 그가 예술에 임하는 태도일 수도 있겠지만, 그만의 고유한 브랜드화 전략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데미안 허스트를 통해 예술가로서의 브랜 드화 전략과 그 가치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논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오픈 소스 기반의 거대 언어 모델 연구 동향: 서베이

        주하영,오현택,양진홍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23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4

        In recent years, the outstanding performance of large language models (LLMs) trained on extensive datasets has become a hot topic. Since studies on LLMs are available on open-source approaches, the ecosystem is expanding rapidly. Models that are task-specific, lightweight, and high-performing are being actively disseminated using additional training techniques using pre-trained LLMs as foundation models. On the other hand, the performance of LLMs for Korean is subpar because English comprises a significant proportion of the training dataset of existing LLMs. Therefore, research is being carried out on Korean-specific LLMs that allow for further learning with Korean language data. This paper identifies trends of open source based LLMs and introduces research on Korean specific large language models; moreover, the ap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large language models are described. 최근 대규모 데이터 세트로 학습된 거대 언어 모델들의 뛰어난 성능이 공개되면서 큰 화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거대 언어 모델을 학습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초대용량의 컴퓨팅 및 메모리 자원이 필요하므로, 대부분의 연구는 빅테크 기업들을 중심으로 폐쇄적인 환경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하지만, Meta의 거대 언어 모델 LLaMA가 공개되면서 거대 언어 모델 연구들은 기존의 폐쇄적인 환경에서 벗어나 오픈 소스화되었고, 관련 생태계가 급격히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사전 학습된 거대 언어 모델을 추가 학습시켜 특정 작업에 특화되거나 가벼우면서도 성능이 뛰어난 모델들이 활발히 공유되고 있다. 한편, 사전 학습된 거대 언어 모델의 학습데이터는 영어가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한국어의 성능이 비교적 떨어지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어 데이터로 추가 학습을 시키는 한국어 특화 언어 모델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 소스 기반의 거대 언어 모델의 생태계 동향을 파악하고 영어 및 한국어 특화 거대 언어 모델에 관한 연구를 소개하며, 거대 언어 모델의 활용 방안과 한계점을 파악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