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후반 장편소설론 및 로만 개조론 연구

        주지영(Joo, Ji?young)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6

        Study on full?length novel in the late 1930"s is not free from the influence of the socialist realism and the imperialism of the time. They have a difficult problem that is impossible to recognize of the real objectivity and totality. Although discussion of full?length novel reinforced the quality of literary of the time. Besides, "alteration of novel" is not conscious discussion. Discussion of full?length novel are summarized four level. First, there are launched a bitter diatribe against that the serial story in a newspaper has be inclinable to its popularization. Second, there are discussion that make a comparative study on the Joseon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full?length novel and the Western full?length novel. Third, there are discussion that make a comparative study on short story and full?length novel. Fourth, there are discussion that full?length navel are now facing a serious crisis through a defunct newspaper. And there are discussion about coming up with a remedy. The alteration of novel appertain to second level. That is a kind of literary creative methodology. Im?hwa insist on "a serious novel" that have the creation character being the result of its behavior and harmon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ject. He insist that overcome contradiction caused by feudalism at the same time Imperialism. Kim?Namchoen insist on "novel of cultural landscape" and "novel of family history", "novel of chronicle". His argument is fluctuated with debating with Im?Hwa. First time, he intent to reconstruction the subject through accusing oneself. Second time, he intent to confluence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conclusion, it is a significant fact that the debate on full?length novel and alteration of novel is considered with autochthonism and particularity literary theories in the late 1930"s.

      • KCI등재

        치은의 biotype이 결합조직이식 후 치근피개도에 미치는 영향

        주지영,이주연,김성조,최점일,Joo, Ji-Young,Lee, Ju-Youn,Kim, Sung-Jo,Choi, Jeom-Il 대한치주과학회 2009 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 Vol.39 No.2

        Purpose: The integrity of interproximal hard/soft tissue has been widely accepted as the key determinant for success or degree of root coverage following the connective tissue graft. However, we reason that the gingival biotype of an individual, defined as the distance from the interproximal papilla to gingiva margin, may be the key determinant that influence the extent of root coverage regardless of traditional classification of gingival recession. Hence,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with an aim to verify that individual gingival scalloping pattern inherent from biotype influence the level of gingival margin following the connective tissue graft for root coverage. Methods: Test group consisted of 43 single-rooted teeth from 21 patients (5 male and 16 female patients, mean age: 36.6 years) with varying degrees of gingival recession requiring connective tissue graft; 20 teeth of Miller class I and 23 teeth of Miller class III gingival recession, respectively. The control group consisted of contralateral teeth which did not demonstrate apparent gingival recession, and thus not requiring root coverage. For a biotype determinati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two adjacent papillae of a test tooth was drawn. The distance from this line to gingival margin at mid-buccal point and this distance (P-M distance) was designated as "gingival biotype" for a given individual. The distance was measured at baseline and 3 to 6 months examinations postoperatively both in test and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s in the distance between Miller class I and III were subject to statistical analysis by using Student.s t-test while those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s within a given patient were by using paired t-test. Results: The P-M distance at 3 to 6 months postoperativel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iller class I and Miller class III. I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est and control group in a given patient, either, both in Miller class I and III. Conclusions: The amount of root coverage following the connective tissue graft was not dependent on Miller's classification, but rather was dependent on P-M distance, strongly implying that the gingival biotype of a given patient may play a critical impact on the level of gingival margin following connective tissue graft.

      • KCI등재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의 서사 구조와 실어증의 관계 양상

        주지영 ( Ji Young Jo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5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내용과 형식의 양 측면에서 동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작품에 나타나는 현실 비판과 무의식적 욕망이 서사구조의 측면과 어떤 상관성을 지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이를 위해 인접성 장애와 유사성 장애에 대한 야콥슨의 실어증 논의와, 욕망의 기표의 은유 대체와 환유 결합에 대한 라캉의 욕망 이론을 원용할 필요가 있다.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에 실린 작품들의 경우, 인접성 장애나 유사성 장애 중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 그것을 강렬하게 드러내는 작품은 드물고, 대신 두 측면이 서로 혼재되어 있으면서 어느 한 쪽이 보다 우세하게 드러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작품을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유사성 장애가 보다 우세하게 나타나는 작품으로 「기계도시」, 「은강노동자 생계비」, 「잘못은 신에게도 있다」를 들 수 있다. 이 작품들에서 단편적인 사건들이 내적 필연성을 지니면서 전체적인 통일성을 이뤄내는 것이 아니라, 도표, 가계부, 회의록 등에서 보듯 유사성 장애에 의해 인접한 사건 단위로 연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이들 작품들에 나타나는 현실 인식의 측면은 단편적이고 피상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을 뿐이며, 이들을 전체적인 현실의 문맥과 연결시켜 그 본질적인 통찰을 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둘째, 인접성 장애가 보다 우세하게 나타나는 작품으로 「뫼비우스 띠」, 「에필로그」, 「클라인씨의 병」을 들 수 있다. 이 유형의 작품에서 이질적인 서사 단위는 앞의 유사성 장애가 우세한 작품에 비해 그 단위수가 현저히 약화된다. 대신 무의식의 욕망에 의해 선택된 서사 내의 여러 요소들이 낯선 기표들로 작동하면서 은유 대체되는 측면이 강화되어 있다. 현실의 모순 극복의 지향점으로 설정된 욕망의 기표는 관념적 지식에 바탕을 둔 추상적인 것이기에, 현실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측면을 띠고 있다. 셋째, 인접성 장애와 유사성 장애가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작품으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들 수 있다. 총 3장으로 구성된 이 작품은 1장을 중심으로 유사성 장애와 인접성 장애가 부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1장에는 이질적 사건을 단순 결합하는 것을 중심으로 하여 단편적인 과거 기억, 꿈, ‘철거계고장’이나 ‘철거확인원’ 등의 도표가 부분적으로 삽입되면서 유사성 장애가 일어나고 있다. 한편 인접성 장애는 ‘난장이’를 중심으로 해서 부분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달나라’, ‘머리카락좌의 성운’, ‘오십억 광년 저쪽’, ‘미국 휴스턴에 있는 존슨 우주 센터’ 등의 낯선 기표가 그것이다. 이처럼 부분적으로 일어나는 유사성 장애와 인접성 장애로 인해 이 작품은 현실적 설득력의 측면에서 일정한 한계를 지니면서 동시에 무의식적인 욕망의 기표 역시 추상성을 띠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work out at the same time the sides of the content and format of 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written by Cho Se-hee that appears in reality to see whether the correlation with some criticism and narrative structure and unconscious desires. This article is of Jacobson`s aphasia and Lacan`s Desire Theory as by the methodology. First, the similarity disorder is more dominant as items that appear 「The machine city」,「Subsistence labor eungang」,「The fault is the gods, too」. Event connection is not inner necessity but contiguity. These texts that appears in the reality is fragmentary and superficial. Therefore, they did not go on to essential insight into the reality. Second, the contiguity disorder is more dominant as items that appear 「Mobius band」,「The epilogue」,「Klein`s bottle」. Several factors chosen by unconscious desires of the narrative are alternative metaphor. Signifier of the desire based on abstract knowledge. Therefore, in reality it is not feasible. Third, the contiguity disorder and similarity disorder are partly shown in the「A Small Ball Shot Up by A Dwarf」. This text is not convincing. At the same time, the unconscious desire is too abstract.

      • KCI등재

        오정희의 「옛우물」에 나타난 젠더 탈주의 계보학 : 모성, 여성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정화와 재생의 현자-되기

        주지영(Joo Ji-Young)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4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uthor’s intentions and strategies that the narratives of “Old well” are wove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peaker’s inner consciousness. To this end, the narratives were divided according to whom narrator observes. As a result, this text shows the following process; the subject seeks to flight from the territory of the patriarchal order and toward de-territorialization. In doing so, the subject relapses the history of the oppressed women with counter-memory and rewrites it as re-territorialization. The narrator “I” looks back on her situation or looks inside herself in her relationship with each character, moving the focused on her husband, him, ‘fool’ and Jung-ok. “I”’s husband and “he” were drawn contrastively; home/small house, complacency/deviation, mother/woman, system/outside customs and order, legal/unlawful. This contrast shows that ‘I’s body and desire are repeatedly stylized within the territory with phallogocentrism and patriarchal ideologies and are shown by its effect. But as “I” takes “minority” such as “fool” and “jeong-ok” as the focus, “I”’s thinking is directed to reason for the outside of the territory. Fool or Jung-ok is a medial figure that makes me realize that I have locked myself in a separate body called “motherhood” and “femininity.” “I” seek to discover two different attitudes of life in which they respond to each other’s own world through them, thereby becoming aware of her situation as a “minor” outside the order. This inverted conception is named ‘becoming-the sage’ which is implied by the dream of an ‘old well’, which means the restoration of purifying and regenerating ability. It is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of desires placed on the motherhood, affirming the various spectra of women’s bodies and desires, and then to re-territorialization the human bodies and desires with mythical imagination. This is reinforced by the following strategic descriptions; like this “I know, but.” The author emphasizes that this re-territorialization is not the end of the quest for women’s identity, but the process, that is placed by the first sentence of ‘old well story’ at the end of the text “Old well.” 본고는 「옛우물」의 서사가 직조되는 방식이 화자의 내면 의식의 변화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점에 주목하여 서사를 초점화대상의 이동에 따른 인물 관계로 나누고, 작품에 나타난 작가의 의도와 전략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는 들뢰즈와 가타리의 유목주의와 욕망론에 관한 논의에 주목하였다. 「옛우물」에서 화자 ‘나’는 남편, 그, 바보, 정옥으로 초점화대상을 이동시키면서 각 인물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처지를 돌아보거나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본다. ‘나’는 현재의 시공간에서 ‘나-남편’의 관계 속에 놓여 있는데, 여기에 과거의 ‘나-그’의 관계가 대비적으로 회상되면서 서로 다른 욕망의 자리가 각각 ‘집/작은집’, ‘안주/일탈’, ‘모성/여성’, ‘관습과 질서/제도 바깥’이라는 대립항으로 의미화된다. 그렇지만 안주와 일탈과 같은 대립적 의미항에 의해 규정되는 ‘나’는 인간이성중심주의와 가부장적 질서에 의해 영토화된 영역 안에서 반복적으로 양식화된 효과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나’가 ‘바보’와 ‘정옥’과 같은 ‘소수자’를 초점화대상으로 삼으면서 ‘나’의 사고는 영토화된 영역의 외부에 대한 사유로 전도된다. 바보나 정옥은 ‘나’가 스스로를 가부장제 질서에 길들여진 ‘모성’과 분자적 욕망을 지닌 ‘여성’이라는 분리된 몸에 가두었음을 깨닫게 해주는 매개적 인물이다. ‘나’는 바보나 정옥을 통해, 남편의 질서에 길들여진 인식에서 벗어나 영토화된 영역 바깥의 ‘소수자’로서의 자신의 처지를 자각하게 되는 인식의 전회를 꾀한다. 현자의 시선으로 명명되는 이러한 인식의 전회는 정화와 재생 능력의 회복을 의미하는 ‘옛우물’ 꿈을 통해 암시된다. 곧 가부장제 질서에 길들여진 ‘모성’의 몸에 가둔 욕망의 경계를 해체하고, ‘여성’의 몸과 욕망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긍정함으로써 여성의 몸 더 나아가 인간의 몸과 욕망의 한계를 탈구축하고 신화적 상상력으로 재영토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작가는 ‘옛우물 이야기’의 전반부를 서사의 마지막 부분에, 후반부를 서사의 중간 부분에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재영토화가 여성의 정체성 탐구의 종착지가 아니라 과정임을 강조한다.

      • KCI등재

        <기획주제 - 한국문학과 제의성> : 황순원『일월』연구 -삽입서사에 나타난 "외로움"의 담론적 형식과 유형-

        주지영 ( Ji Young Jo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5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8

        이 글은 황순원의 장편소설『일월』을 대상으로 하여, 작중인물과 외로움과의 상관관계에 따라 인물을 다음 네 가지로 유형화하고, 각 인물 유형을 다루는 중심서사에 제시되어 있는 삽입서사의 기능과 의미에 주목하였다. 첫 번째, 현실사회의 인간관계에서 외로움을 느끼지 못하는 인물들을 다루는 중심서사에는 희곡 대본 형태의 세 가지 삽입서사가 제시되어 있다. 이들 삽입서사는 미국으로 대표되는 향락적이고 퇴폐적인 서구문화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 당대 한국사회의 인간관계를 비판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두 번째, 백정 신분으로 인해 인간관계에서 외로움을 느끼는 인물로 본돌영감, 상진영감, 인호, 기룡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인물들의 삶을 다루는 중심서사에는 세 가지 삽입서사가 제시되어 있다. 먼저, 백정 신분으로 겪게 되는 수모를 다루는 증언 형태의 삽입서사는 본돌영감과 상진영감 형제가 어릴 적 백정 신분으로 인해 겪게 되는 두 가지 사건과 인철의 고모가 자살하게 되는 사건을 다루고 있다. 다음, 백정 설화를 비롯해 백정의 삶과 관련되어 구비전승 자료를 채록한 형태의 삽입서사는 백정 설화에 내포된 가치관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기능을 한다. 백정 설화에는 상계와 하계, 신과 인간, 인간과 동물, 육체와 영혼이 합일되는 가치관이 내포되어 있으며, 이 가치관은 민족의 집단 무의식 속에 면면히 이어져 오고 있는 전통적 가치관에 해당한다. 마지막으로, 백정에 대한 역사적 문헌 기록을 정리한 형태의 삽입서사는 백정 설화의 가치관이 배척당하고 급기야 말살당하게 되는 역사적 과정을 제시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기룡은 백정 신분에서 오는 외로움을 인간존재 일반의 숙명론적 조건으로 받아들이고 홀로 외로움을 참고 견디는데, 이를 잘 보여주는 것이 6.25전쟁과 관련된 기룡의 기억을 다루는 삽입서사이다. 세 번째, 현실사회의 인간관계에서 진정한 사랑 부재로 인해 외로워 하는 인물이다. 다혜와 후반부의 나미는 외로움을 극복하려는 인물에 해당한다. 다혜가 지향하는 인간관계는 세 가지 삽입서사에 함축되어 있다. 다혜에 대한 인철의 기억을 다루는 삽입서사와 다혜의 공상을 다루는 삽입서사는 인철에 대한 다혜의 사랑이 ‘누이’ 같은 사랑임을 보여준다. ‘현대판 춘향이와 이도령 이야기’라는 삽입서사는 다혜가 지향하는 인간관계는 개인적 이기주의나 물질적 측면을 중시하는 것이 아니라 정신과 영혼의 교감을 통해 삶과 죽음을 초월한 영원한 사랑을 추구한다는 점을 보여주면서, 동시에 이러한 인간관계는 백정설화에 내포된 전통적 가치관에 해당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나미는 작품 전반부에서는 서구문화에 길들여져 이기적이고 개인적인 인간관계를 맺다가, 후반부에 이르면서 인철을 통해 점차 진정한 사랑을 갈망하게 되는데, 이를 압축하고 있는 것이 ‘붕어 꿈’ 삽입서사이다. 한편 인주, 인문의 모(母), 인문은 모두 현실사회에서 부모 자식 간, 또는 남녀 간의 진정한 사랑 부재로 인해 외로움을 느끼지만, 그 외로움을 내면화해서 극복하기보다는 외부의 대체물을 통해 회피하는 쪽을 택한다. 네 번째, 인철은 백정 신분으로 인해 외로움을 느끼고 동시에 진정한 사랑 부재로 인해 외로움을 느끼는 인물이다. 먼저, 진정한 사랑 부재로 인한 외로움은 다혜와 나미에 대한 인철의 기억과 관련된 삽입서사로 제시되어 있다. 인철은 자유분방하고 서구적 감각에 길들여진 나미의 이해타산적인 만남을 거부하지만, 그렇다고 다혜의 ‘누님’ 같은 사랑에 적극적으로 다가가지도 못한다. 그러다가 인철은 백정 신분임을 알게 되면서 인간관계에서 지독한 외로움을 느끼게 된다. 이 양자의 외로움을 극복하는 것과 관련된 삽입서사가 다섯 가지의 꿈 서사이다. 꿈 삽입서사는 백정 신분으로 인한 인철의 절망적 심리를 나타내면서, 동시에 인철이 백정 신분을 서서히 받아들이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인철은 개인적 이기주의와 물질적 가치만을 추구하는 현재의 인간관계가 아니라, 백정 설화의 가치관과 현대판 춘향과 이도령 부부 이야기에 내재한 인간관계, 곧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이 하나가 되고, 육체와 영혼, 정신과 물질이 합일되는 가치관에 입각한 그런 인간관계를 ‘현재’에 되살리고자 한다. 작품 결말에서 인철은 전통적 가치관을 상징하는 다혜와 서구문화를 대표하되 진정한 사랑을 갈망하는 후반부의 나미를 동시에 자신의 내면에 받아들임으로써 새로운 인간관계에 대한 강한 갈망을 표출한다. This study has classified characters into four types in accordance with the correlation of character with loneliness on Hwang Sun-won’s 《Ilwol》. At the same time, This study has given attention to the embedded narrative that is implicit in central narrative dealing with each character type. First, in central narrative dealing with characters who don’t feel lonely in human relations of actual society, three embedded narratives is implicit. These embedded narratives take the form of type of play. These embedded narratives criticize human relations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that is ruled by the pleasure-seeking and decadent western culture. Second, in central narrative dealing with characters who feel lonely in human relations of actual society due to butcher status, three embedded narratives is implicit. These embedded narratives take the form of testimony, recording tradition current in one’s time, historical record. These embedded narratives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values that is implicit in tale dealing with butcher. Third, in central narrative dealing with characters who feel lonely in human relations of actual society due to absent love, embedded narratives that take the form of memory or daydream is implicit. These embedded narratives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mental and spiritual and eternal love in human relations. Fourth, in central narrative dealing with characters who feel lonely in human relations of actual society due to absent love and butcher status, embedded narratives that take the form of dream is implicit. These embedded narratives suggest hopeless psychology due to butcher status and concentrate on overcoming such hopeless psychology. Through these embedded narratives, this work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traditional values that is implicit in tale dealing with butcher.

      • KCI등재

        전쟁을 사유하는 세 가지 방식 -미체험 세대를 중심으로-

        주지영 ( Ji Young Joo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3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2

        전쟁 미체험 세대 작가가 다루는 전쟁 소설이 이전의 체험 세대와 유년기 체험 세대의 그것과 뚜렷하게 변별되는 지점이 무엇이냐를 검토하는 것은 오늘날 미체험 세대의 전쟁에 대한 작가의식이 어떠하냐를 검토하는 일이면서, 동시에 현 단계 한국소설이 나아가야 할 전쟁 소설의 방향이 무엇인지를 검토하는 것과 맞물려 있다. 본고는 이러한 입장에서 미체험 세대가 전쟁을 사유하는 새로운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전쟁의 외연을 넓혀, 한국전쟁만을 다루는 작품을 넘어서, 한국 사회가 직, 간접적으로 관계를 맺은 베트남전쟁과 이라크 전쟁을 다루는 작품도 논의의 대상에 포함하였다. 방현석의「랍스터를 먹는 시간」은 베트남 전쟁과 이라크 전쟁과 관련하여 한국인과 베트남인의 다층적인 시선이 결합되어 있다. 이를 통해, 이 작품은 베트남 전쟁의 의미와 전쟁 이후 그 후유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의 삶을 여러 각도에서 조명해낸다. 그리고 전쟁을 보다 총체적인 시선에서 다각적으로 조망하면서 전쟁의 기억을 현재화시키고, 거대 담론에 침윤되어 국가의 논리와 자본의 논리로 재단되는 전쟁의 당위성을 비판한다. 그러면서 그러한 대립과 갈등,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방식으로 ‘인간의 품격’과 ‘나라의 품격’을 문제 삼으면서, 자연과 인간, 그리고 인간과 인간의 공존과 조화를 제시한다. 이와 같은 시선을 통해서이 작품은 기존 베트남 전쟁 소설에서는 보지 못했던 새로운 관점과 시각을 확보한다. 김연수의「뿌넝숴」는 한국전쟁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은 한국전쟁당시 부상당한 인물의 ‘구술’을 통해 한국전쟁을 이데올로기 대립 내지국가의 요구 따위로 기술한 ‘기록된 역사’의 허구성을 비판하면서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을 문제 삼고 있다. 이를 위해 남쪽과 북쪽의 전사(戰史)에서 자유로운 이름 없는 중국 인민해방군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것이다. 곧 이 작품은 한국전쟁을 거시사의 입장에서 바라보던 종래의 태도에서 벗어나 미시사의 입장에서 접근하여 거시사의 이면에 감추어진 비극적인 역사를 복원하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이 작품은 미체험 세대 작가가 한국전쟁을 다룰 때, 체험 세대나 유년기 체험 세대가 이룩한 소설적 성과를 극복하기 위해서 취할 수 있는 새로운 창작방법과 관련해 그 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정미경의「무화과나무 아래」는 이라크 전쟁을 다루고 있다. 이 작품에서는 기존의 ‘사가’와는 달리, 정보사회의 ‘사가’는 일종의 상품 제작자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사가에 의해 미디어 이미지로 기록되는 전쟁은 돈벌이 수단, 혹은 유희용 게임, 관음증 유발 기제와 같은 것에 지나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러면서 이라크 전쟁은 강대국이 힘없는 이라크인들의 최소한의 행복을 빼앗은 전쟁으로 의미화된다. 이러한 강자에 의한 약자의 행복 빼앗기는 이라크 전쟁 같은 국가 단위의 전쟁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 곳곳의 일상에서 무한반복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반성적 성찰을 통해, ‘나’와 ‘너’가 아닌 ‘우리’라는 공동체의 행복을 추구함으로써 이라크 전쟁 식 폭력을 극복하고자 한다. 이들 작품에 나타난 전쟁에 대한 사유를 통해, 현 단계 전쟁 미체험 세대로서의 작가가 나아가야 할 전쟁 관련 소설의 방향이 무엇인지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cognition of the war in the generation unexperienced the Korean War. Bang Hyeon-seok` no vel emphasizes the need for dignity of the human and nation to over come trauma of the Iraq War and the Vietnam War. Kim Yoen-su`s novel emphasizes that the history has been making record history in books as a virtual image. His novel is exemplified not that history c ould record but that could not say. Jung Mi-kyung`s novel emphasiz es an erroneous point of view the historian of the twenty-first centur y who records to Iraq War by mass media. Her novel is exemplified how the crime after the manner of Iraq War could be rampant in the whole world. Those novel show the potential for in-depth cognition o f the War novel written by the generation unexperienced the Korean War.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두 개의 태양, 그리고 여왕봉과 미망인의 거리 : 이상의 〈날개〉를 중심으로

        주지영(Joo Ji-young) 한국현대문학회 200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7

        본 논문은 이상의 〈날개〉를 고찰함으로써 이상의 작품에 나타나는 ‘연애’와 ‘생활’의 의미를 구명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다음 세가지 점에 주목하여 이상의 〈날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하나는 〈날개〉의 에피그램과 본 서사와의 관련성을 풀어내기 위해 구조적인 측면에서 접근하는 방식이다. 이 작품의 서두에 제시된 에피그램은 크게 세부분으로 나뉜다. 작품의 중심내용과 기법, 독자에게 요구되는 독법, 작가의 의도가 그것이다. 이 세 개의 의미망에 기반을 두고 작품의 내용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보자면 여인과의 생활이 중심내용이 되고 있는 이 작품에서 작가는 위트와 아이러니, 패러독스를 기법으로 삼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이 세상을 바라보는 안목을 독자에게 보여주고자 했다고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날개〉는 ‘거울 이미지’가 두드러진다. 〈날개〉의 공간은 거울과 관련된 주체의 상황에 따라 분리된다. 거울을 보는 나(나), 거울에 비친 나(안해), 거울에 보이는 나(방 안의 나), 거울에 보이지 않는 나(방 밖의 나)로 각각의 공간이 나뉘게 된다. 이러한 가정을 통해 ‘두 개의 태양’은 태양이 거울에 비친 상황을 의미하며, 안해에 의해 길들여지는 ‘나’의 관계를 시사한다. 그렇지만 안해 역시 모방하는 자에 불과하다. 마지막으로 〈날개〉에 등장하는 ‘여인’의 의미이다. 이 작품에는 ‘여인’과 관련된 여러 기표가 등장한다. ‘여왕봉’, ‘미망인’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기표의 의미는 ‘여인과의 생활’을 설계한다고 표명한 작품 서두의 에피그램을 참고하여 유추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여왕봉’, ‘미망인’ 등은 생물학적인 여성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여왕봉은 경제적인 주도권을 쥐고 있는 가장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인간을 표상하며, 미망인은 그러한 가장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하여 다른 한 쪽을 배제하는 폭력적인 인간을 환기시킨다. 이러한 인물들은 모두 일상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생활인으로서, 20세기의 시공간 속에서 19세기적 근대를 무비판적으로 추종하는 인물들을 표상한다. 이상과 같은 논의는 이상의 다른 작품들과의 관련성을 토대로 하여 더 연구될 필요가 있다. 특히 ‘연애’와 ‘생활’의 문제가 함께 논의될 때 〈날개〉가 갖는 의미는 더욱 풍부해질 것이다. This writing analyzed Lee-Sang's The Wings. The result of this writing will be make a possibility of revealing meaning of 'love' and 'life' which appears in Lee-Sang's literature. This writing assumes the next three kind. First, the narrative is connected in epigram next parts, epigram and the narrative closely ties a relation from the text structure. The epigram divided in three parts. It is said that core contents and technique, the method reading, intention of the author. When trying to be like this, The Wings is regarded that put in the life with a woman with core contents, used a wit, irony and paradox with technique, as a result, the reader will be able to guess the view of the world of the author. Second, 'the mirror image' appears prominently. The space of the text is divided according to situation of the subject which relates with the mirror. Each space gets divided : the subject who sees the mirror (I), the subject who shines in the mirror (wife), the subject who is visible in the mirror (the hero was inside the room), the subject who is not visible in the mirror (the hero was outside the room). When assumes like this,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two suns' means the situation where the sun is visible in the mirror. The hero comes to tame in compliance with the wife. However the wife learns and imitates the method from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There is a necessity which last, we will pay attention in meaning 'woman'. In this text, some signifiant appears, for example 'queen bee', 'widow', it is relation with the woman. It does not mean the woman as the biological sex. 'Queen bee' means the head of family that has a right economic activity, so to say a patriarch or a matriarch. 'Widow' means the violent person that is faithful to the role head of a family and excludes one´s spouse from a place, activity or right. Like this people could not get out the little ordinaries. Those signifiant represent that they follow uncritically 19th century modern times, even though they are living in 20th century. There is a necessity which research magnifies the scope with the Lee-Sang's literature. If includes that subject, the meaning of The wings has become more abundantl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