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논어(論語)」의 시(詩)에 대한 고찰

        주영아 ( Joo Young Ah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동방학 Vol.35 No.-

        본고는 『論語』에서 『詩經』과 『시경』의 詩가 갖는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으로 諸注을 살피고, 그에 따른 해석과 이해, 수용과 비판을 탐색하는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논어』는 공자와 그의 문인을 중심으로 넓고 풍부하고 깊이를 더하는 다양한 철학적 견해를 보이는 경서다. 저간의 문맥에는 철학적 의미를 담보로 하는 명리적 의미뿐만이 아니라, 삶의 일상을 통찰하는 날카로운 비판적 시각도 있으며, 사물이나 언어의 개념을 쪼개거나 포괄하는 합리적 사고를 요하는 논리도 있다. 『논어』가 보여주는 事物, 人間, 事體에 대한 전방위적인 해석과 이해는 儒者들의 고차원적인 섭렵뿐만이 아니라, 凡人까지도 分數에 따라 수용할 수 있고, 그것으로 일상에서 警戒의 범위로 삼게 한다. 이러한 이해는 언어의 철학적 의미를 일상 사물의 체득과 일치시켜 개념을 부각시키는 데에서 시작된다. 『논어』에서 仁, 義, 禮, 知, 治, 學, 樂 등의 추상적 언어는 古注, 朱子注, 諸儒者 注 등의 해석과 수용·비판을 통해 적확한 상황적 요소가 반영되어 구체적 상황으로 실현되었다. 이는 『논어』의 언어로 유추하여 폐쇄시키는 것에서 한 걸음 나아가 설명과 해석이 가능한 개념어로써 소통의 상관물이 되기에 충분하다. 『논어』의 詩 역시 문학적 언어로써의 이해와 아울러 보편적 삶의 언어와 철학적 소통을 위한 언어로 이해와 해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This study confirmed a meaning of 『Sigyeong(詩經, Book of Odes』 and of a poem, and of “Samusa(思無邪, there is no malicious intention in thinking)” as the process of exploring a meaning that a poem has in 『Noneo(論語, The Analects of Confucius』. In addition, it grasped a meaning of a poem through Jujaju(朱子注) and examined even a critical receptive attitude that Yuja(儒者) in Joseon Dynasty and a scholar of the Chinese classics(漢學者) in modern times recognize. 『Noneo(論語)』 is a Confucian classic(經書) that shows diverse philosophical opinions, which are broad, rich, and deep, focusing on Gongja(孔子, Confucius) and his literary person. In the context of the occasion, there is even a sharply critical view, which discerns daily life, as well as a meaning of the worldly honor, which has a philosophical meaning as guarantee. There is also logic that requires rational thinking of splitting or embracing a concept of a thing or a language. The omnidirectional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hing, human being, Sache(reason and honor) that 『Noneo(論語)』 shows can accept ordinary person according to own place(分數) as well as Confucianist(儒者)s`` high-dimensional reading, and comes to have it as the range of vigilance(警戒) in everyday life. This understanding begins from highlighting a concept by making a philosophical meaning of a language consistent with the realization of daily object. In 『Noneo(論語)』, the abstract languages such as In(仁), Ui(義), Ye(禮), Ji (知), Chi(治), Hak(學), and Ak(樂) were realized as a specific situation by being reflected the accurately situational element through interpreting, accepting and criticizing Jujaju(朱子注), and persons. This is enough to be a correlative of communication as a conceptual language available for description and interpretation, with going one step forward from what closes through inferring it as a language of 『Noneo(論語)』. It is clarifying that even a poem in 『Noneo(論 語)』 is available for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as a language of universal life and a language for philosophical communication along with understanding as a literary language. Accordingly, this study will explore many views such as grasping & understanding a meaning, realizing & interpreting, and accepting & criticizing a concept of “poem” in a part of mentioning a poem in 『Sigyeong(詩經, Book of Odes』 between Gongja(孔子, Confucius) and disciple. Also, when “poem” in 『 Sigyeong(詩經)』 is understood through epigram, it will be able to know, too, about how Confucian scholar(儒學者)s in future generations, especially, Confucianist(儒者)s in Joseon are understanding. This discussion doesn``t aim to distinguish between right and wrong, but aims to grasp the openly academic attitude and perspective of all decent persons who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poems that are accepted in 『Noneo(論語)』.

      • KCI등재
      • KCI등재

        17세기 조선을 바라보는 박세당의 역사인식-인조반정과 일련의 사건을 중심으로-

        주영아 ( Young Ah Jo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4 동방학 Vol.31 No.-

        본고는 17세기 인조조의 역사는 물론이거니와 조선 전반에 걸쳐 완전하게 정립되지 못했던 역사에 대한 고찰을 심화하여 박세당의 역사인식을 살폈다. 조선은 전대의 역사인 삼국과 고려에 비해 표면적으로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왕권이 안정되고 문화의 융성이 이루어졌다. 특히 왕권의 강화와 유지를 위해 초기에는 명나라의 힘을 빌리기도 하였고, 중반을 넘어서면서 정치적으로 붕당의 세력을 강화 또는 약화시키기도 하면서 역사가 이루어졌다. 단종, 세조, 선조, 광해군, 인조에 이르는 시기에는 왕권의 정통성 문제에 대한 갈등으로 조선의 왕권과 정치력이 파국을 치닫게 되었다. 쿠데타와 반정으로 옹립된 불완전한 왕위계승은 왕권의 정통성 문제와 직결되었고, 왕권의 약화에 직접적인 계기이기도 하다. 본고에서 이번 연구의 중심에 인조 집권기 일련의 사건 두고 있는 것도 이러한 문제가 극명하게 나타나는 시기가 인조조이기 때문이다. 혼란의 시기에 발생하게 되는 국내외의 문제는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상반된 경향으로 나타난다. 혼란이 극에 달했던 인조 집권기를 중심으로 국내외 정황을 파악하고 그에 관련하여 명분보다는 실리를, 과거보다는 현재를 중심에 두고자 했던 박세당의 역사인식을 살폈고, 아울러 17세기 지식인이 갖는 조선조 역사에 대해 정통성 찾기의 실체를 구명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Park Se-dang`s historical consciousness by deepening a consideration on history, which had failed to be perfectly established over the whole of Joseon as well as history in Injo Dynasty of the 17th century. Joseon was formed the stability in royal authority and the prosperity in culture superficially in the relatively short time compared to the Three States and Goryeo, which are the history of previous generation. Especially to reinforce and maintain royal authority, it ever borrowed power of Ming Dynasty in early days. The history was formed while strengthening or weakening a clique politically with getting over the middle phase. The royal authority and the political power in Joseon came to head for a ruin owing to a conflict on legitimacy of royal authority in the times of reaching king Danjong, king Sejo, king Seonjo, Gwanghaegun(Prince Gwanghae), and king Injo. The incomplete royal succession, which was enthroned by coup and anti-politics(反正), led directly to a problem about legitimacy of royal authority and is also a direct opportunity of being weakened sovereign power. Even what this study has its focus on the sequence of events during the period of seizing power in king Injo is because the period of being clearly this problem is the Injo Dynasty. Issues at home and abroad, which come to take place in the period of confusion, are shown to be contrary tendency depending on perspective of looking at history. It grasped the circumstances at home and abroad focusing on the period of seizing power in king Injo when confusion had reached its climax, figured out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ark Se-dang, who aimed to focus on profit rather than justification and on the present rather than the past with regard to it, and also closely examined the truth of seeking the legitimacy on history of Joseon Dynasty that intellects have in the 17th century.

      • KCI등재

        디아스포라에 대한 조선지식인의 문학적 수용 태도 ― 명(明)나라 유민(遺民) 강세작(康世爵)의 실상을 중심으로 ―

        주영아 ( Joo Young Ah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7 동방학 Vol.37 No.-

        16~17세기에 조선에 입국한 중국 이민자 중에는 자의에 의해 월경하였다기보다는 혼란한 동아시아의 정세 속에서 국경을 넘은 유민에 관심을 두고 그들이 이방인으로 혹은 디아스포라로 조선에서 생활터전을 마련하면서 겪게 되는 삶의 모습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강세작은 단순히 유민이 아닌 정착지인 회령은 물론이고 중앙의 관리들에게까지 그의 존재가 알려졌다. 강세작을 연구하는 연구자로서 이에 대한 답변이 필요하다는 인식이다. 실제 그의 대한 기록은 박세당의 「강세작전」처럼 사실을 기록한 부분이 있는가 하면, 그를 바라보는 시선이 담긴 시문와 묘지명도 전한다. 심지어 사후 100년에 전설이 되어 실존인물과 관련하여 남겨진 이야기도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강세작의 삶이 상황에 따라 여러 형태의 문학으로 새롭게 재해석되어 강한 생명력으로 자라고 있다는 반증이다. 본 연구는 17세기 명나라 유민을 대하는 조선지식인의 인식과 산재한 강세작의 이야기를 일갈하여 문학 속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핀다. 아울러 그가 쓴 「자술」과 역사의 기록이 차이가 있음을 인지하고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역사와 유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With paying attention to refugees of crossing a frontier amidst the chaotic situation in East Asia rather than having willfully crossed the border among Chinese immigrants who entered Joseon in the 16th~17th century, there is a need to have an interest in the image of life that they come to suffer while arranging a site of living in Joseon as an alien or Diaspora. Gang Se-jak was known his existence even to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as well as to Hoeryeong where is settlement, simply not a refugee. As a researcher into Gang Se-jak, a response to this is recognized to be necessary. As for a record on him in reality, there is a section that recorded a fact like Park Se-dang's 「Gangsejakjeon(康世爵傳)」. On the other hand, a poetry & prose(詩文) and epitaph(墓誌銘) of being contained a view of looking at him are also reported. There is even a story that was left in relation to a real person as it became a legend 100 years after his death. These records are a contrary evidence as saying that Gang Se-jak's life is growing as strong vitality with being newly reinterpreted into many forms of literature depending on a situation. This study inquires into Joseon intellectuals' perception of refugees in Ming (明) dynasty of the 17th century, and into how it is expressed in literature with thundering the scattered stories on Gang Se-jak. In addition, its significance is discussed with recognizing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Confession」 written by him and a historical recor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제물론』에 대한 인식과 대학생의 철학적 글쓰기 실제

        주영아 ( Young Ah Joo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5 동양문화연구 Vol.20 No.-

        이 연구는 강원대학교 기초교육원 교양필수 과목으로 개설된 <글쓰기와 말하기> 강의에서 과제로 제출한 『장자』 「제물론」의 글쓰기를 분석하고 분류하여 대학생의 철학적 글쓰기 양상을 고찰하였다. <글쓰기와 말하기> 강좌는 강원대학교 전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과목이지만 주로 1학년이 수업의 주체가 되어 진행되기 때문에 이 연구의 주도적인 대상도 1학년 신입생이라 할 수 있다. 그간 익숙하게 알았던 『장자』라는 책명 정도와 선행 연구자의 관점에 의해 정리된 편린의 지식을 중심으로 고전을 파악했던 학생들에게 『장자』 「제물론」을 실제로 읽고 서평을 쓰게 하는 과정에서 수용과 이해, 반발과 거부 등 철학적 관점의 변화를 발견하였다. 「제물론」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극과 극이었다. 장자의 사유체계에 대한 수용과 거부가 명백히 나누어졌다. 수용하는 쪽에서는 장자의 사상을 바탕으로 이해하려는 성향을 보였고, 거부하는 쪽에서는 이해는 하지만 기존의 일반적 관점이 옳지 않다고 보는 것은 부당하다는 입장 등을 밝혔다. 본 연구자는 그들에게 피드백을 해주는 과정에서 오탈자나 띄어쓰기, 문장 등의 기초적인 지적보다는 관점의 변화에 따른 수용과 거부에 대한 반응을 중심으로 조언하였다. 강원대학교 2014년도 신입생이 「제물론」을 읽고 쓴 철학적 글쓰기를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동양고전이 갖는 텍스트로서의 가치와 창조·창의가 강조되는 시점에서 대학 신입생들의 깊이 있는 관점 변화와 다양한 인식체계를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pects of philosophical writings of college students by analyzing the reviews that college students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who was taking a general education elective course “writing and speaking” wrote on Chuang Tzu``s book, Jemullon as an assignment. Although this course is offered for every student at that university regardless of academic year, freshmen mainly took the initiative in this course, an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consequently the freshmen at the university. Students are mostly familiar with the name of a scholar Chuang Tzu yet just rely on researchers to acquire fragmentary knowledge about classic. When the students at the university read and reviewed the scholar``s book in person, they underwent changes in their philosophical perspective such as accepting, understanding, backlash or rejecting. The way the students responded to the book was extremely contrary. Some were definitely receptive to the scholar``s thinking system, and others were obviously rejective. The former had a tendency to understand his thought, and the latter wrote that although they understood his thought, they didn``t think it``s reasonable to consider well-established views wrong. This researcher gave them advice mostly about the shift of their perspective and consequent responses rather than about basic grammatical problems such as typo, spacing or incorrect sentence. In this study, the philosophical writings of the students who entered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2014 on the book Jemullon were analyzed,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perspective shifts of the new college students and their awareness.

      • KCI등재

        일반논문 : 『기사민절록(己巳愍節錄)』의 텍스트로서 가치와 소설로의 변이 과정

        주영아 ( Young Ah Jo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6 東方學 Vol.34 No.-

        본고는 『기사민절록(己巳愍節錄)』이 텍스트로서 갖는 가치와 실기형 전기소설로 변이하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사민절록』은 1689년 조선 숙종조의 기사환국을 기점으로 일어났던 조정의 총체적 난국과 충신 박태보(朴泰輔)의 행적과 추숭(追崇)이 36편의 기사로 실려 있는 기록물이다. 『기사민절록』 36편의 기록은 훗날 『기사민절록』을 바탕을 둔 소설이 창작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이본 소설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풍부한 스토리로 재현되는 적층적 현상에 기여를 한다. 『기사민절록』은 박태보에 대한 이야기가 팩션(faction)의 형태인 실기형 전기소설 『박태보전』으로 변이하는 과정에서 지대한 역할을 한다. 박태보 사후 박태보가 친국(親鞫)을 받고 유배를 가는 도중에 죽는 과정이 대중 사이에서 회자되면서 박태보 중심의 소설이 재생산되었다. 『박태보전』이 여러 종의 이본으로 재구성되면서 『기사민절록』의 내용은 필자의 의도에 의해 취사·선택되고, 축소·확장되는 과정에서 문학적 상상력이 개입하기에 용이한 대죄(待罪) 장면이나 친국(親鞫) 장면이 부각되었다. 이는 곧 필사·적층되면서 17세기는 물론이거니와 한글필사본 『문녈공긔』와 구활자본 『박·보실긔』로 이어져 20세기 초까지 단행본으로 보급되었다. 이외에도 『인현왕후전』이나 『이조당쟁사화(李朝黨爭史話)』와 같은 소설에서도 스토리의 개연성을 위해 『기사민절록』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재구성하여 소설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lue that Gisaminjeolrok(己巳愍節錄) has as text, and the transforming process into a practical-type fictional biography. Gisaminjeolrok is a documentary that is put 36 pieces of the articles on a general crisis of the government, which had happened starting from the Kisa Uprising(己巳換局) during King Sukjong in Joseon Dynasty of 1689, and on loyal subject Park Tae-bo(朴泰輔)``s past and Chusung(追崇). It is recorded Chinguk(親鞫) of Seungjeogwon(承政院) and king Sukjong about the appeals against the dethronement of Queen Inhyun(仁顯王后), is inserted the achievements of Uigeumbu(義禁府), which belongs to a record of the secondary torture, and is put private records in many perspectives, which were written by Park Tae-bo``s acquaintances, thereby being able to see the political situation in those days and Park Tae-bo``s cutting off relationship(義絶) and fidelity(節槪). Gisaminjeolrok(己巳愍節錄) , which puts together the public and private records, is a historical-evidence piece available for observing Confucian society in Joseon of the 17th century, but can be said to be the writing with a strong biographical character on the one hand that is contained Park Tae-bo``s thought and belief. The records of 36 pieces in Gisaminjeolrok contribute to the laminating phenomenon in which diverse alternative novels are revived as a rich story even if having the same structure in the process of being created a novel based on Gisaminjeolrok in the future. Gisaminjeolrok plays a great role in the process that a story on Park Tae-bo is transformed into the practical-type fictional biography Park Tae bo-Jeon(朴泰傳傳), which is a form of fiction. Following Park Tae-bo``s death, a novel focusing on Park Tae-bo was reproduced as the process that Park Tae-bo is dead on a way to going to banishment after getting Chinguk(親鞫) is on everyone``s lips among the masses. While Park Tae bo-Jeon(朴泰傳傳) is recomposed of many kinds of different versions, the contents in Gisaminjeolrok(己巳愍節錄) were emerged a scene of a great crime(待罪) or a scene of Chinguk(親鞫) easy for being intervened by the literary imagination in the process of being chosen, selected, reduced and extended by a writer``s intention. This just led to having been supplied as a book form up until the 20th century owing to being followed by the Hangeul manuscript Munnyeolgonggisa and the old-printed version(舊活字本) Baktaebosilgi, as well as the 17th century, according to being transcribed and laminated. Even in addition to this, a novel like Inhyeonwanghujeon(仁顯王后傳) or Ijodangjaengsahwa(李朝黨爭史話) can be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Gisaminjeolrok are partially reconstructed to be fictionalized for the probability of a story.

      • KCI등재

        「기사민절록(己巳愍節錄)」고찰 Ⅱ -의미의 강조를 중심으로-

        주영아 ( Young Ah Jo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東方學 Vol.29 No.-

        본고에서는 공적 사실을 중심으로 「기사민절록(己巳愍節錄)」을 고찰하면서 <「기사민절록」고찰 Ⅰ>에서 배제했던 기사환국으로 희생된 박태보를 바라보는 친인척, 지인, 관료들의 시선은 물론이거니와 후세에 이어진 평가까지 살펴보았다. 이렴(李濂)이 쓴 <임종기언(臨終記言)>은 박태보의 임종을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으며, 박세당이 기록한 <기문(記聞)>은 철저하게 당시의 상황에 대해 객관적 사실만을 기록하면서 당시 상소를 주관했던 오두인과 이세화의 태도에 대해서 오두인의 아들 오태주의 입을 통해 전달하고 있다. <기사(記事)>에서는 백성들의 야사를 통해 박태보의 충절을 보여주고 있으며, 인현왕후의 폐출과 복위까지의 과정과 송시열?박태보?오두인에게 치제(致祭)하고 정려(旌閭)하는 과정을 본조기략(本朝紀略) 을 근거로 쓰로 있다. 그 외 시호를 받기 위해 올린 <시망>에서는 박태보의 배움, 공훈, 충성, 복종의 장점을 강조하였고, 17개의 제문(祭文)과 축문(祝文)에서는 그의 큰 절조(節操)를 높이고 있다. 이처럼 「기사민절록」은 단순히 개인적 기록이거나 당시의 사건을 전달하여 기록하는 입장을 넘어서고 있다. 사건의 중심에 있던 박태보와 그를 둘러싸고 있던 관리들과 혈육, 심지어 일반 백성들에 이르기까지 기사환국을 바라보는 적나라한 시선을 포착하고 있다. 이번의 연구가 기사환국의 역사적 사실과 박태보의 강개한 정신을 공부하는 것에서 한 걸음 나아가 역사 인물이 문화콘텐츠화가 되고, 스토리텔링화가 되는 과정의 초석이 될 수 있기를 바라본다. external conditions to performing educational practices. In the same vein, teacher

      • KCI등재

        「기사민절록(己巳愍節錄)」 고찰Ⅰ-공적 기록의 사실을 중심으로-

        주영아 ( Young Ah Joo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3 東方學 Vol.28 No.-

        이 연구는 정재 박태보의 『정재후집』 에 실린 「기사민절록(己巳愍節錄)」 상(上)을 텍스트로 당대 기록물인 공적 사적 기록의 내용을 살펴 공적 기록과 사적 기록의 가치와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1689년 붕당의 세력 다툼의 기화가 된 인현왕후와 숙원 장씨의 갈등은 기어이 인현왕후의 폐비 문제로까지 비화되었다. 이러한 혼전의 양상이 격해지자 국가의 기반이 되는 윤리와 도덕, 의리와 절개를 흔들 것임을 걱정한 나머지 산관(散官) 80명을 대표하여 숙종의 마음을 돌리고자 박태보가 <진신소>를 집필하였다. 「기사민절록」 상?하(上?下)의 기사는 총 36편인데 이 연구에서는 「기사민절록」 상의 <대유생소(代儒生疏)>, <진신소(縉紳疏)>, <정원일기(政院日記)>, <금부문안(禁府文案)>, <비망기(備忘記)>, <소차(疏箚)>, <기사록(己巳錄)> 등을 살펴 당시 실상을 파악하였다. 아울러 기사환국의 부당함을 바라보는 집필자 박태보의 시선, 승정원과 의금부의 태도, 숙종의 분기(憤氣), 관료들의 시각 등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사민절록」이라는 제목에서도 보여지듯이 박태보를 기리는 마음은 절개에서 비롯되었음을 파악하고, 그의 행실이 유교에 바탕을 둔 의리, 도덕, 윤리의 옳음에 따라 간언하는 것이었으며, 그것이 군주에 대한 충심이고 절개였음을 밝혔다. 그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던 유교 윤리인 군신 간의 신의와 부부 간의 의리에 기반을 둔 간언이었을 뿐, 그가 붕당을 위해 사사로이 목숨을 바친 것이 아니었음을 밝히는 작업이었다. 「기사민절록」에서 보여주는 여러 정황은 정치인이 나아갈 방향과 지향해야 할 지표의 시금석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