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조직공정성인식, 조직신뢰, 조직냉소주의와 조직몰입의 통합적 관계에 관한 연구 -일 가치감 효과에 대한 결합 분석-

        강철희,주명관,이상철,Kang, Chul-Hee,Joo, Myung-Kwan,Lee, Sang-Chul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의 연구 목적을 갖는다. 첫째, 사회복지조직의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다. 둘째,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공정성은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쳐서 조직몰입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주장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냉소주의에 영향을 미쳐서 조직몰입의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경쟁적으로 설정하여 조직신뢰와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가 과연 사회복지현장에서는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마지막으로는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직무특수성의 핵심의 하나라 할 수 있는 일가치 감이 조직공정성, 조직신뢰, 조직냉소주의, 조직몰입의 통합적 관계에서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검증 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사회복지이용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중 해당기관 경력 2년 이상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층화표집을 통해 구축하였는데, 총 564명의 응답을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는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가설1지지), 일가치감과 조직몰입의 관계 역시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가설 2지지). 그러나 조직신뢰와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에 대한 논의가 하나의 쟁점으로 부상하는 영리영역과 달리 사회복지기관은 조직공정성 그 자체 그리고 사회복지사가 지니는 일가치감에 주도적으로 영향을 받는 독특한 관계구조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This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social workers in Korea. Second, it simultaneously examines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ynic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also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perceived work value on the combined model by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profession. This study employs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on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two year work experiences in their current social service agencies that are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finally it analyzes the responses from 564 social workers by using the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results: (1) there is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social workers; (2) there is also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perceived work valu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3) i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ynicism, there are no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social workers' perceived work value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 KCI등재후보

        기부대상영역에의 기부참여행동과 기부정기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강철희(Chul-Hee Kang),주명관(Myung-Kwan Ju) 한국비영리학회 2007 한국비영리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기부의 정기성에 초점을 두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기부 정기성에 있어 기부대상 영역에의 참여행동의 영향력을 파악해 보는 것에 연구의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아름다운재단 2006년 전국민 기부 및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서베이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2005년도에 기부한 경험이 있는 68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기부 정기성의 경우,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231명(33.6%), 비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457명(66.4%)으로 비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경우가 정기적으로 참여하는 경우의 약 2배가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기부대상영역 참여경험에 대한 다중응답분석의 결과, 총 1,398개의 응답 중, 불우이웃돕기 및 사회복지시설 영역과 관련된 빈도가 935(66.9%)로 가장 많고, 친구, 이웃, 친척 영역의 빈도는 127(9.1%)이고, 부랑인 및 노숙자 영역의 빈도는 180(12.7%), 지역사회 영역의 빈도가 20(1.4%), 그리고 정당과 정치인, 교육 및 의료기관 등의 기타 영역의 빈도가 136(9.7%)인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부 정기성에 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는 5개의 기부대상영역 중 부랑인 및 노숙자 영역은 부적인 방향의 관계를 갖고 나머지 4개 영역은 정적인 방향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 영역에 기부하는 사람들은 정기적 기부의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구사회적 변수에서는 기혼인 경우(+), 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하는 경우(+), 세제혜택에 대한 인식에 기반을 두어서 기부를 하는 경우(+), 나눔가치(나눔교육)의 중요성을 보다 높게 인식하는 경우(+), 정기적 기부의 가능성은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부 문화 확산 및 사회복지 자원활성화 측면에서 연구의 의미 및 시사점을 논의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pattern of regularity in Korean’s giving behavior by using ‘2006 National Survey Data on Korean’s Giving and Volunteering‘conducted by the Beautiful Foundation. Particularly, by using only 688 respondents who participated in giving in 2005 among all the respondents,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degree of Korean’s regular giving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Korean’s regular giving.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this paper predicts factors that explain odds for regular giving in comparison with irregular giving.<BR>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pattern of Korean’s giving, irregular giving represents 66.4% and regular giving represents 33.6%. Second, in selected giving areas, giving on the area related to welfare recipients and institutions has the highest particip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selected giving areas. Third, in logistic regression, the most interesting factors tha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re giving on the selected giving areas. While the area related to welfare recipients and institutions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gular giving, the area related to homeless people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regular giving. Other areas als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regular giving. In addition, marital status(married), volunteering experience (+), philanthropic value (acceptance on importance of philanthropic education) (+) and motivation by tax incentive (+) are factors that increase odds for regular giving in comparison with irregular giving.<BR>  This paper discusses the importance of the findings with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giving behavior. This paper finally discusses implications for promoting and strengthening Korean’s giving behavior.

      • KCI등재
      • KCI등재

        사회복지사의 조직공정성인식, 조직신뢰, 조직냉소주의와 조직몰입의 통합적 관계에 관한 연구

        이상철(Lee, Sang-Chul),강철희(Kang, Chul-Hee),주명관(Joo, Myung-Kwa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의 연구 목적을 갖는다. 첫째, 사회복지조직의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조직공정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한다. 둘째,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에 있어서 조직공정성은 조직신뢰에 영향을 미쳐서 조직몰입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주장과 조직공정성이 조직냉소 주의에 영향을 미쳐서 조직몰입의 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을 경쟁적으로 설정하여 조직신뢰와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가 과연 사회복지현장에서는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마지막으로는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직무특수성의 핵심의 하나라 할 수 있는 일가치 감이 조직공정성, 조직신뢰, 조직냉소주의, 조직몰입의 통합적 관계에서 어떠한 작용을 하는지를 검증한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는 사회복지이용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중 해당기관 경력 2년 이상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층화표집을 통해 구축하였는데, 총 564명의 응답을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과의 관계는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가설1지지), 일가치감과 조직몰입의 관계 역시 정적인 방향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가설 2지지). 그러나 조직신뢰와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는 모두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공정성과 조직몰입 사이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와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에 대한 논의가 하나의 쟁점으로 부상하는 영리영역과 달리 사회복지기관은 조직공정성 그 자체 그리고 사회복지사가 지니는 일가치감에 주도적으로 영향을 받는 독특한 관계구조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This study has three objectives. First,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social workers in Korea. Second, it simultaneously examines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ynic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also examines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perceived work value on the combined model by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ocial work profession. This study employs the stratified cluster sampling method on social workers with more than two year work experiences in their current social service agencies that are located in Seoul and Kyungki province; finally it analyzes the responses from 564 social workers by using the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results: (1) there is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erceived by social workers; (2) there is also a posi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perceived work valu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3) in the medi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ynicism, there are no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fair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social workers’ perceived work value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