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서비스 돌봄 비정규직노동자의 근로환경 연구 : 아동⋅장애인⋅노인 돌봄영역 중심으로

        주경희(Kyonghee Ju),김동심(Dongsim Kim),이인재(Injae Lee)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論集 Vol.52 No.2

        돌봄노동은 사회서비스의 중요한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근로환경은 열악하다.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돌봄노동영역에서 근로하고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의 근로 실태와 근로활동의 어려움, 그들이 요구하는 방안이 무엇인지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돌봄 영역에서 종사하고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 48명(노인돌봄 30명, 아동돌봄 10명, 장애인돌봄 8명)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면담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① 열악한 근로조건, ② 노동 착취의 근로환경, ③ 차별적 근로환경, ④ 위험한 근로환경이라는 4개의 범주와 13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정규직 노동자의 노동권 보장과 돌봄 노동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Care service is an important area of social services, but most paid care workers are women, frequently working under poor conditions and for low pay.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working environment of nonstandard workers in the social care service, difficulties in their work activities, and their needs. We conducted six focus group interviews of 48 nonstandard workers (30 elder care workers, 10 children care workers, and 8 care workers for the disabled) in Gyeonggi-do. Data were analyzed using content and conversat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4 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were derived: ① poor working conditions, ② exploitative working environment, ③ discriminatory working environment, ④ dangerous work environmen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olicies were proposed to guarantee the labor rights of nonstandard worker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 service work.

      • KCI등재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소진 영향요인 검증

        주경희 ( Kyonghee Ju ),이인재 ( Injae Lee ),김동심 ( Dongsim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2020년 COVID-19 확산으로 인한 노인돌봄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최일선에서 활동하였던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생활지원사의 근로환경과 소진, 직업만족과의 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경기도 사회서비스 분야 공공성 향상을 위한 고용환경 개선방안 연구’의 설문조사자료 중 335명의 생활지원사 자료를 대상으로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위험인식과 보수인식이 직업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위험인식과 직업만족이 소진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근무환경 중 위험인식과 소진관계는 직업만족이 부분 매개로, 보수인식과 소진과의 관계는 직업만족을 완전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생활지원사의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of life support workers of the customized care services for elder. To this end, data were used from the ‘Research on improvement of employment environment for being public in the social service sector in Gyeonggi-do’ in 2020. The study was conducted on 335 life support worker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using SPSS and AMO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isk perception and salary perception effect job satisfaction. Second, risk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effect burnout. Third, job satisfaction complet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alary perception and burnou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preventing burnout of life support workers and enhancing job satisfac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주경희(Kyong Hee Ju),김희주(Hee Joo Kim),김세원(Se Won Kim),오혜인(Hye In Oh)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일상생활 경험을 시간과 공간의 맥락으로 재구성하여 이러한 일상의 맥락들이 수급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경험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1명의 수급노인을 의도적 표집으로 선정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질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시간적 맥락에서의 일상경험은 “정신적, 신체적 고통을 홀로 견뎌내는 시간 속에서 엇갈리는 복지 서비스”이라는 주제가 도출되었고, 세부주제로 ‘반복된 하루의 시작: 공적 서비스 혜택 뒤의 무료한 생활’, ‘식사시간: 억지로 치루는 일상 의식’, ‘운영 종료되는 복지 서비스와 잠 못 이루는 정신적 고통의 밤’, ‘복지서비스 중단과 혼자 보내는 휴일’, ‘수급비 감소와 생활비 부족으로 움츠러드는 추운 겨울’, ‘힘든 삶을 버틸 수 있게 하는 일상의 자원들’이 나타났다. 공간적 맥락에서의 일상경험은 “단절된 공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제한된 복지 서비스와 상호작용”으로 나타났으며, 세부주제로 ‘나를 더 아프게 하는 집’, ‘무료한 일상을 벗어나기 위한 최소한의 피난처’, ‘건강한 노인들에게만 유익한 복지기관’,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차이 속 공통된 복지서비스와 사회 관계망의 빈약함’, ‘아픈 몸, 제한적 치료만 받을 수 있는 의료서비스’, ‘높은 문턱의 행정기관’, ‘수급서비스 제도 안에서의 양가감정의 생활’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daily lives of elderly welfare recipients and their experiences with social welfare services. Researchers collected and analyzed data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11 elderly welfare recipients. A major theme in the time context was Daily lives enduring physical and mental sufferings alone and mismatches of social welfare services: Starting same tedious days: trading diligent work for basic living assistance, Forced ritual of having meals, Struggle with depressing night: not attentive welfare services at closing hours, Welfare services suspended in holidays, Mind and body withered by economic hardship in winter, Social support for enduring weary lives. In the space context, a major themes was Inadequate welfare services and social interaction in the context of social isolation: Unhygienic and unsafe living environment, Hiding places: spending tedious days in vacant lots, Community welfare centers useful only for healthy elderl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Receiving restricted medical services at hospitals, Hard-to-reach public institutions, ambivalence about living as welfare recipients. Based on the findings, the researchers proposed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to improve elderly welfare recipients quality of life.

      • KCI등재

        은둔형 독거노인 지역돌봄지지망 구축 경험

        주경희(Ju, Kyong Hee),민소영(So-Young M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2

        이 연구는 돌봄 사각지대에 방치된 은둔형 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를 확대시켜 고립감을 해소하고 독거노인 지지체계 및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한 경험을 탐색하였다. 은둔형 독거노인 발굴사업인 『별들에게 물어봐』에 참여한 발굴단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직화’, ‘네트워크 경험’, ‘은둔형 독거노인 발굴 경험’, ‘서비스 제공경험’이라는 4가지의 대분류 주제로 분류될 수 있다. ‘조직화’은 다시 하위의 소주제에서 ‘발굴단원 구성의 시행착오’과 ‘초기의 높은 중도탈락율’, ‘발굴단의 역량부족’으로 나누어질 수 있었다. ‘네트워크 경험’은 하위에 ‘네트워크에 대한 불명확한 역할’ ‘진정한 네트워크가 이루어지지 않음’, ‘유사사업기관과의 갈등’라는 3가지 소주제로 분류될 수 있었다, 은둔형 독거노인 발굴경험은 ‘다양한 발굴경로’, ‘서비스 거부에 대한 상처와 인권존중 관점 사이의 혼란‘, 지속적인 관심’으로 분류되었다. 서비스 제공경험은 ‘긍정적 변화를 보이는 노인’, ‘발굴단의 역랑강화 및 소진’, ‘서비스 제공의 한계’, ‘사업단절에 대한 염려스러움’으로 나누어질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은둔형 독거노인을 위한 지역사회 돌봄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개입 방향과 전략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stablishing experiences of a demonstration project of finding the socially withdrawn elderly person who are living alone in the community, which amis to build the community-based care systems of extending the social relationships, reducing the feeling of isolation and improving the support system and safety net of the elderly person.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ocial workers and volunteers of finding the elderly persons, and they were participating in the demonstration project "asking to stars". The study found four main themes of "organizing", "networking", "finding the socially withdrawn elderly person who are living alone", "providing services". The organizing was divided into the sub-themes of "trial and error of forming the finding volunteers", "the high quitting rate of volunteers in the early stage", "the lack of capability of the finding volunteers". The networking was divided into the sub-themes of "the ambiguous role of service organizations networked", "not-building the true network", "the conflict among the similar organizations". The theme of finding the socially withdrawn elderly person who are living alone was divided into "the various ways of finding the elderly persons", "volunteer"s hurt from the elderly persons because of their rejection of services and confusion between human rights views", "the continuous attention". The theme of providing services was divided into "the elderly persons who showed the positive changes", "capability-building and burn-out of volunteers", "the limitation of service provision", "the worry of the demonstration termination".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intervention strategies of finding the socially withdrawn elderly person who are living alone in order to build the community-based care system.

      • KCI등재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영역과 수준에 따른 삶의 질 비교연구

        주경희(Kyong Hee, Ju)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9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참여 활동영역과 수준에 따른 객관적 및 주관적 삶의 질과의 관계를 보다 정밀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수도권지역의 60세 이상 노인 58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사회참여의 5가지 활동영역 참여는 주관적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경제활동, 사교친교활동 및 자기개발활동의 3가지 영역만 객관적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회활동의 5가지 영역의 참여지수 중에서 종교활동 참여지수만 주관적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경제활동, 종교활동, 자기개발활동 참여지수가 객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객관적 삶의 질의 매개효과 검증에 있어서 경제활동, 사교친교활동, 자기개발활동 참여와 경제활동과 종교참여활동의 참여지수가 객관적 삶의 질을 통하여 주관적인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order to more precise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lder"s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is study randomly selected 586 Korean elders aged over 60. and conducted an interview surve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According to the analyzed results, participation of the five areas of social activities affected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affirmatively. while only three areas involving economic activities, social and friendly activities and self-development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objective quality of life. Only the participation in religious activities at the participation of the five areas of social activities affected positively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while economic activities, religious activities and self-development activities had an effect on the objective quality of life. Also, the quantitative level of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social and friendly activities and self-development activities was found to affect affirmatively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objective quality of life.

      • KCI등재

        사회참여노인의 활동수준과 삶의 질 -성별과 연령 차이를 중심으로-

        주경희 ( Kyong Hee Ju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1 사회복지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사회참여노인의 활동수준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살펴보고 성별 및 연령 차이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복합적이고 다양한 노인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의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활동의 양적 수준과 질적 수준을 포함한 총체적인 활동수준과 삶의 질 모형을 제시하고 분석을 통해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수도권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60대 이상 사회참여노인 총 586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다집단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각 사회참여의 활동수준과 삶의 질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에서는 경제참여활동의 몰입경험, 사교친교참여활동의 몰입경험, 자기개발참여활동의 몰입경험이 삶의 질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참여의 활동수준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 대한 성별 차이에 대한 다집단 분석 결과, 사교친교참여활동의 활동량과 삶의 질의 경로에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연령에 대한 다집단분석 결과는 경제참여활동 몰입경험과 삶의 질의 경로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rvey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their activity levels and examine the differences by their gender and 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derly aged 60 or older who are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ose reportedly participating in various social activities at the time of the survey. A total of 586 ca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Data were analyzed through multi-group analysi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MOS 7.0 was used in statistical proces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irst, the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affected by flow experiences in economic participation, social fellowship participation, and self-development participation. Second,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social participation level and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gender demonstrated that the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on the full path model, a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between the volume of social fellowship particip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between men and women. Third, a similar finding was found for the age group that the paths between flow experiences in economic participation and the quality of life significantly differed by age group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ory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경제활동 노인의 연령차별 경험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김주현(Ju Hyun Kim),주경희(Kyong Hee Ju),오혜인(Hye In Oh)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60

        본 연구는 경제활동 노인의 연령차별의 경험을 근거이론방법을 토대로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로 노동시장에서의 연령차별이 나타나는 주요 원인이 무엇이고 어떠한 과정과 구조를 통해 심화되는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연령차별을 극복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제활동 노인 18명을 대상으로 개인면접을 하여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07의 개념, 45개의 하위범주, 15개의 범주 및 연령차별 경험 패러다임이 도출되었다. 연령차별의 인과적 조건은 나이듦에 대한 인식과 노후에 대한 불안 이었으며, 맥락적 조건은 사회활동과 가족 내의 지위의 달라짐과 내적 변화를 직면하고 사회적 배제의 경험이었으며, 중심현상은 생산적인 삶으로의 추구와 고령노동자의 서러움이었다. 중재적 조건으로 가족의 지지와 근로동기의 강화 그리고 활동중지에 대한 두려움이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소극적 및 적극적 대응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삶의 질이 향상되고 노동현장에 끝까지 살아남거나 완전 은퇴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참여자들의 경제활동과정에서 나타난 연령차별의 양상과 대응분석을 함으로써 향후 고령사회를 대비하여 노인인력활성화차원의 정책에 있어서 연령차별을 줄이기 위한 실천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Using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uses, processes, and structures which are used to intensify ageism in the labor market as well as the strategies employed by older adults to overcome bias and discrimination. Through a grounded theory analysis of 18 in-depth interviews with working elderly individuals, 15 categories, 45 subcategories, and 107 concepts, and paradigms in the experience of ageism are identified. Causal conditions of ageism are negative perceptions about ageing and anxiety about old age by the working elderly. Contextual conditions are changes in older individuals` status within the family, social participation and exclusion, and psychological changes that older individuals face. The main phenomena identified are the pursuit of productive life and anxiety of the working elderly, while intervening conditions are family supports, the motivation to work, and anxiety of being laid off. In order to overcome ageism, the elderly actively and passively engage in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which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prolong their time in the workforce; many workers tend to meet the retirement age without layoff by employing such strategies. These findings have policy implications; ageism may be reduced and employment for the elderly may be facilitated by identifying conditions of ageism and analyzing older workers` reactions toward ageism and the strategies used to overcome this type of discrimination.

      • KCI등재

        취업노인의 직장 내 연령차별 경험 연구

        우국희 ( Kug Hee Woo ),주경희 ( Kyong Hee Ju ),이연순 ( Yeon Sun L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2 사회복지정책 Vol.39 No.4

        노동시장에 있어서 고용구조의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고령 취업자가 매년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사회정책적으로 고령자 취업이 지속적으로 증대될 전망 속에서 고령자 취업과 관련해서 지금까지 취업상담 및 지원에 주목해 왔을 뿐, 직장 내에서 고령자에 대한 언어폭력 등 부당한 대우에 대한 관심은 전무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노인들이 경험하는 직장 내에서의 차별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명의 취업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에게 일과 직업의 의미는 무엇인지, 노인에 대한 사회적 고정관념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직장 내에서 연령차별 및 인권침해의 경험이 어떠한지, 차별에 대해 노인들은 어떻게 대응하는지 등에 대해 질적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의 일과 능력에 대한 강한 자신감과 자긍심을 갖고 있으나 취업과정에서 다양한 연령차별을 경험하였으며, 차별에 대한 대응에 있어서 참아내는 것 이외에 별다른 대응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부분 노인인권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하거나 생각하고 있지는 않았으며 심지어 인권을 대우받자고 하는 권리만을 주장하는 개인적 차원에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현재 노인들에게 인권이란 용어가 친숙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현재 노인취업에 대한 정책에 대하여 시혜적 의미로서가 아닌 시민적 권리로서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보장하고 회복시켜주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As the aging society affects employment structure in the Korean labor market, the number of older workers are steadily increasing. However, in response to the constant rise in older workers social policies have been focusing on employment counseling and support. Relatively, little is known about verbal violence against older workers in workpla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age discrimination experienced by older workers in their work.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interviews with 12 older worker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work and occupation, social stereotypes of older people and their experiences of age discrimination and human rights infringement and perception of elderly human righ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participants had strong confidence and pride in their work and capabilities, however experienced various types of age discrimination. However, they could not actively respond to the discrimination except to endure it. Most of participants did not perceive the meaning of older workers` human rights and considered human rights as claiming only personal rights. Therefore, the results implied that older workers are not familiar with the meaning of human rights. This study suggests that employment policies for elderly employment should be approached in the perspective of civil rights rather than dispensation and protect dignity of older worker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무동기 관련 변인에 관한 연구

        김동심 ( Dongsim Kim ),주경희 ( Kyonghee J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무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분석하고, 진로무동기가 실제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자기평가, 스트레스, 진로효능감, 진로성숙, 진로무동기, 진로미결정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2019년에 조사된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1,04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평가와 스트레스는 진로효능감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평가와 스트레스는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진로효능감과 진로성숙은 진로무동기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진로미결정에 진로무동기는 영향을 미쳤다. 자기평가와 스트레스가 진로효능감과 진로성숙을 매개로 진로무동기에 끼치는 영향력을 확인한 결과, 완전 매개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교육 차원에서의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a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confirm the effect of career amotivation on the actual career undecided.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valuation, stress, career efficacy, career maturity, career amotivation, and career undecided was confirmed. Using the youth panel data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surveyed in 2019, a study was conducted with 1,049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valuation and stress affect career efficacy. Second, self-evaluation and stress affect career maturity. Third, career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ffect career amotivation. Fourth, career amotivation affects career undecided. Lastly, confirming the effects of self-evaluation and stress on career amotivation through career efficacy and career maturity, complete mediation was found. Based on these results, a support plan for university students at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was proposed.

      • KCI등재

        국제(지역)사회복지실천 사례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희주(Kim, Hee Joo),주경희(Ju, Kyong Hee),우수명(Woo, Su Myung)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6

        본 연구는 최근 국제사회복지라는 관심분야의 일환으로 필리핀에서 한국남성과 필리핀 여성 사이에서 태어난 코피노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육 및 자립지원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코피노 어린이 재단(Kopino Children’s Association)"에 대한 사례연구로 재단의 설립배경과 지금까지 진행해 왔던 프로그램들을 기록한 문서들에 대한 내용 분석, 담당자 인터뷰, 현장 참여관찰을 실시하여 얻어진 정보를 분석하여 재구성하고 개념화하였다. 코피노어린이재단은 코피노 아동의 역량강화와 자립을 목적으로 설립된 사회복지기관이다. 그러나 재단의 재정의 열악함으로 인해 조직으로서의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었다. 이 재단은 코피노 아동과 가족들의 잠재력과 자원을 개발시키기 위해 교육사업과 역량강화 그리고 한국과 유럽의 NGO기관들과의 국제협력 활동들을 추진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는 제한적인 해외 사회복지실천사례이지만, 해외의 NGO 활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이들과의 국제협력을 통해 국제사회복지실천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In response to increasing attention to international social work, this study aimed to carry out a case study of Kopino Children"s Association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social work practice. This qualitative research used various data collection methods, such as documents about program activities,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Researchers analyzed data and developed major themes. The results showed that Kopino Children"s Association had a goal to promote empowerment and self-reliance of Kopino children. Based on empowerment perspective, the foundation provides temporary shelter services, case management and education programs to rehabilitate the wounded children and develop their full potential. Kopino Children"s Association promotes to build active international networks with INGOs in Korea and Europe. Although this study examined a single organiz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tributed to expand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social work practice and provide empirical evidence to explore and develope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NGOs in foreign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