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트너십을 통한 고교 진로집중과정의 연계 운영 방안 고찰

        조호제 ( Ho Je Cho ),김대석 ( Dae Seok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3 교육과정연구 Vol.3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파트너십을 통한 고교 진로집중과정의 연계 운영 방안을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파트너십을 통한 단위학교(고교)간 연계된 진로집중과정의 운영 방안과 파트너십을 통한 고교와 지역사회(지역사회 학습장)가 연계된 진로집중과정의 운영 방안을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분면의 메트릭스(matrix)는 고교간 다양한 진로집중과정을 위한 파트너십을 형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줬다. 둘째, 파트너십을 통한 고교와 지역사회(지역사회 학습장)간 연계된 진로집중과정의 운영은 고교와 지역사회가 상호간에 학습의 중심센터로 인식하고 지역사회 특성을 교육과정 운영의 기반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지역사회의 도움과 배경으로 성장한 학생은 재능과 역량을 지역사회에 다시 환원하는 체제를 갖추는 것이 진로집중과정을 위한 파트너십을 더욱 장기간에 걸쳐 공고히 하는 방법이 된다. 끝으로 진로집중과정을 위한 파트너십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교육청, 지역사회 유관 기관 등의 인프라를 강화시킬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design, implementation and the possibilities of a career-focused curriculum through partnership. Regarding the research questions, this article studied the design and organization of a career-focused curriculum through partnership between a high school and an other high school or between a high school and community bod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First, various methods of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of a career-focused curriculum can be used in the partnership`s quadrant. Second, to implement the career-focused curriculum through partnership between a high school and other community bodi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artners as the main learning center and to consider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when organizing and implementing the high school curriculum. Lastly, it is important to connect the high school with a government agency, community agency, or school district to organize and implement the career-focused curriculum infrastructure effectively.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실행양상

        조호제(Ho-je Cho),남궁정(Jeong Nam-G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8 열린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인 재구성, 학습자 중심, 다양화 및 특성화에 기초하여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유목적 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교사 9명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생들의 욕구와 흥미를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교육 과정 실행에 있어 학생들의 개인차와 흥미를 고려하여 수업목표, 수업내용, 수업방법, 평가 방법을 설정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how to implement the 7th nationa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terms of the three core concepts : "reconstruction", "student-centeredness" and "diversification/specialization". The participants(N=9) were recruited via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from elementary school in Seoul Metropoli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inductiv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ere teaching by considering the quantity of learning and the degree of student"s level. Also it was verified that teachers emphasized students" interests in class. Second, teachers were establishing instructional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stimating methods by considering students" demands and interests. Third, teachers were running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regional peculiarities.

      • KCI등재

        진학계 고교의 진로별 교육과정에 관한 학생 요구 조사 분석

        조호제(Cho Ho Je),임유나(Lim Yoo Na),홍후조(Hong Hoo J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4

        This study began with the concern that academic high schools fail to guarantee students opportunities for learning by care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inth grade students’ opinions on establishing a career compatible curriculum in an academic high school and their plans for an academic career. We analyzed the meaning of a career compatible curriculum and present two contrasting points of view on high school education, and we took the perspective that a career compatible curriculum in an academic high school can prepare students to pursue higher education. We analyzed the responses from 1,425 students who want to enter college and identified their desire to pursue an academic career and its diversity and the need for a career compatible curriculum in high school. We also found that they prefer to study according to 15 courses derived from 4 tracks rather than choosing between current two tracks of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Finally, we confirmed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a career compatible curriculum based on the characterization of individual schools and the diversification of curricula among various schools in the region. 본 연구는 진학계 고교가 학생들의 진로별 학습기회를 제대로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진로별 교육과정 구현의 바탕이 될 수 있는 중학생들의 진학계 고교 교육에 대한 요구와 학업진로의 방향을 파악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먼저 고교 교육에 대한 대조적 관점들과 진로별 교육과정의 의미를 탐색하였고, 진학계 고교의 진로별 교육과정은 대학교육 준비단계의 성격을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진로에 따른 고교 공부에 관하여 대학 진학을 희망한 중3 학생 1,427명의 의견을 분석한 결과, 진학계 고교에서 적성, 진로에 따른 희망공부를 집중적으로 하고자 하는 학업진로 요구와 진로 희망의 다양성 등 진로별 교육과정의 개설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재 문·이과식보다는 문·이·예·체의 4개의 계열에서 파생되는 15개의 세부 과정을 학습하기를 선호하는 경향도 확인할 수 있었다. 끝으로 진로별 학습기회를 보장하는 지역 내 여러 학교 간 교육과정의 다양화와 개별학교의 특성화를 기초로 다양한 진로별 교육과정을 구현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교수역량 인식 분석

        조호제 ( Ho Je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2 교육과정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석교사의 교수역량 인식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도구는 IBSTPI의 역량개발 모델을 적용하여 교수역량 구성 요소를 도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석교사 185명을 대상으로 얻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석교사는 성별, 경력별로 유의한 차이는 있었지만 심리적 특성, 특질, 지식, 교수설계 및 개발, 교수안내, 학습촉진, 평가 등 전 문항에서 수석교사가 갖추어야 할 교수역량으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수석교사는 심리적 특성, 특질, 학습촉진 등에서는 성공적으로 교수역량을 수행할 수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지식의 학습 및 학습 이론에 대한 지식, 교수법/ 교수전략에 대한 지식과 교수설계 및 개발에서 교수자료 개발, 평가계획 및 도구개발 그리고 교수안내의 매체, 교수자료 활용과 평가 영역 등에서는 자신의 교수역량을 부족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석교사의 원만한 역할 수행에 따른 교수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부족하다고 인식하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세부적인 교과목을 개설하여 맞춤형 연수 등을 통하여 강화시켜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erception and reinforcement way of the teaching competency of master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e purpose was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how do master teachers perceive teaching competency? Second, how do master teachers perceive their own teaching competency?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185 elementary teachers were selected and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competency development model of IBSTPI(International Board of Standards for Training, Performance and Instruction) follows: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irst, master teacher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and career, but they recognized that things such a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quality, knowledge,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and teaching guides are important teaching competencies. Second, master teachers answered that they could perform the teaching competency such a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 quality, learning promotion successfully. However, they recognized the lack of teaching competency in terms of knowledge of learning theory, knowledge of teaching method/teaching strategy, instructional design and development, utilization and evaluation of the teaching materials. To reinforce the teaching competency of master teacher`s harmonious role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open lacking components as the detailed subjects. We need to strengthen the teaching competency through customized training.

      • KCI등재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전문성의 차이 분석

        조호제(Cho, ho-je),윤근영(Youn, keun-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2

        이 연구는 교사발달단계에 따라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이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를 교직경력별로 구분하여 340명을 유층무선표집 하였다. 설문지는 교사발달단계에 따른 수업전문성을 알아보기 위해 윤홍주의 교사발달단계 측정 설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업전문성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제작한 문항을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문헌고찰과 조사연구를 병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경력별에 교사발달정도가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직경력별에 따라서 수업전문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교사발달단계에 따라 수업전문성 하위변인인 내용지식 및 내용교수법, 학생이해, 수업설계, 학습 환경 조성 및 학급운영, 수업실행, 수업반성 및 전문성 발달 수행수준은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행수준은 승진지향단계, 성숙단계의 교사 순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생존단계의 교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통하여 경력이 낮은 교사가 대부분 차지하고 있는 생존단계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교원양성 프로그램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 받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s by the developmental stage of teacher, under the supposition that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ll change and develop by the developmental stage of teacher. I used SPSSWIN(version 12.0) program to test the above study hypothesis. This study got the following results g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First, out of variables by personal background, I meaningfully analyzed the developmental level by career of teachership. Second, out of variables by personal background of teacher, I meaningfully analyzed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s by career for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Third, by the developmental stage of teacher, I meaningfully analyzed knowledge of contents, teaching method of contents, understanding of students, planning of study, make-up of good study environment and operation of class, implementation of study, reflection of study and execution level of professionalism development. This study got the following conclusions gained based on above results. First, characteristic by the developmental stage of teacher that considers teachers' various value and attitude should be reflected. Second, to increase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of teacher and takes role as excellent teacher, current study and training program by the developmental stage of teacher should be systematically organized and composed. Third, in the structure of current schoolteacher's education that should finish fixed subject related to pedagogy, subject adjustment is needed to the way which strengthens and focuses on instructional professionalism.

      • KCI등재

        Al<sup>3+</sup>와 Y<sup>3+</sup> 동시치환 SnO<sub>2</sub> 투명전극 박막의 전기적 특성

        김근우,서용준,성창훈,박근영,조호제,허시내,구본흔,Kim, Geun-Woo,Seo, Yong-Jun,Sung, Chang-Hoon,Park, Keun-Young,Cho, Ho-Je,Heo, Si-Nae,Koo, Bon-Heun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2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5 No.10

        Transparent conducting oxides (TCOs) have wide range of application areas in transparent electrode for display devices, Transparent coating for solar energy heat mirrors, and electromagnetic wave shield. $SnO_2$ is intrinsically an n-type semiconductor due to oxygen deficiencies and has a high energy-band gap more than 3.5 eV. It is known as a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because of its low resistivity of $10^{-3}{\Omega}{\cdot}cm$ and high transmittance over 90% in visible region. In this study, co-doping effects of Al and Y on the properties of $SnO_2$ were investigated. The addition of Y in $SnO_2$ was tried to create oxygen vacancies that increase the diffusivity of oxygen ions for the densification of $SnO_2$. The addition of Al was expected to increase the electron concentration. Once, we observed solubility limit of $SnO_2$ single-doped with Al and Y. $\{(x/2)Al_2O_3+(x/2)Y_2O_3\}-SnO_2$ was used for the source of Al and Y to prevent the evaporation of $Al_2O_3$ and for the charge compensation. And we observed the valence changes of aluminium oxide because generally reported of valence changes of aluminium oxide in Tin - Aluminium binary system. The electrical properties, solubility limit, densification and microstructure of $SnO_2$ co-doped with Al and Y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중요도 및 수행도 차이 분석

        민부자 ( Bu Ja Min ),조호제 ( Ho Je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연구 Vol.2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별·교육경력별·소지학위별로 수석교사가 자신의 직무에 대한 중요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또 어느 정도 수행할 수 있는지를 파악한 후 IPA 격자도로 분석, 중요도와 수행도가 일치하는 영역은 보다 적극적인 지원을, 그렇지 않은 영역은 수행도를 높이거나 과잉 투자를 줄이도록 지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중요도,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수행도, 둘 간의 격차는 어떠한가?이다. 연구 분석 결과, 수석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는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 대상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각 직무의 중요도를 조금 더 높게 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수행도 역시 다른 학교급에 비해 다소 높게 응답하였다. 교육경력이 많거나 높은 학위 소지자 일수록 수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IPA 격자도로 분석한 결과, 유지 영역과 집중 영역에 해당하는 직무들은 현재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돕고, 저순위 영역에 속하는 직무들은 보다 높은 수행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다각적인 측면에서 수석교사를 지원해줄 필요가 있다. 특히 집중 영역에 속하는 직무들은 학교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측면에서 핵심 사항에 해당되므로 수석교사가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연수 강화, 자기 연찬 기회 제공 등이 필요하다. 이에 비해 과잉 영역에 속하는 직무들은 중요도에 비해 투자가 많이 이루어지는 상황이므로 이 부분 역시 개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gap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master teacher`s job.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aster teacher`s perception gap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for the job are related to with each o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s. Elementary school master teachers have a little high view of the importance of the master teacher`s job. In accordance with this, the performance was also higher than other school teachers. The higher one`s teaching career and degree are, the higher the performance is.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IPA difference show that careers related to maintenance and concentration domains need to help master teachers to continue their contemporary position. And we need to support master teachers in various aspects of low grade domains. Because the concentration domains can be regarded as the core for efficient operation of school-based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ir training and studies for higher performance. In contrast we need to reform investment for the job related to the surplus domains.

      • KCI등재

        2000년 이후 북한 교원양성에 관한 연구 : 교원교육의 정치적 접근

        임병숙(Byong-Suk,Im),조호제(Ho-je Cho),남궁정(Jeong Nam-G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0 열린교육연구 Vol.18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heck the relation between raising teachers and teachers' speciality according to teachers'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in order to prepare for integration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innov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after re-unification. The government of North Korea reinforced its control over education as a solution to economical crisis and social changes that were threatening the North not to maintain its socialist system in the 1990. The focus of controlling education is improving quality of teachers, which is raising teachers and re-educating teachers in North Korea. There are political controls over teachers such as regular and mandatory tests for certification, enforcement of specified education principles, organizations for training teachers confined to dual system of party-government, focusing on political courses in school, censoring methods of teaching, various unification policies so called 'March of ordeals', and political organizations. All the respects in relation to quality of teachers are under control of the government. Teachers in the North are only required to function as intermediators supporting political socialization and transferring simple technology or information. It lowers speciality of teachers, only reinforcing functions as educational bureaucrats, to give teachers overburden administrative jobs and to raise teachers in party-government system of the North. 본 연구는 통일이후의 남북한 교육통합과 교육개혁을 준비하기 위하여 북한 교원교육체계에 따른 교원양성과 교원전문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한다. 북한정권은 1990년대의 경제난과 체제위협적인 사회 변화에 대한 해결책으로 교육 통제를 강화하였다. 교육통제의 핵심은 교원의질 관리이며,이는 교원양성과 교원재교육으로 나타났다.북한 교원의 질 제고와 관련된 것은 모두 정부에서 통제한다.교원통제는 정기적?의무적인 자격검정시험,규정된 교육강령의 집행, 교원양성기관의 당-국가적 이원체계,정치수업 강화, 교수안 검열, 각종 총화, 정치조직 활동으로 나타났다.국가의 통제로 교원은 단순한 기술 및 지식의 전달자,정치적 사회화를 위한 매개촉진자로서의 기능하도록 양성된다.사회주의 계획체제에서의 과도한 행정 업무와 당-국가체제의 교원양성은 교원의 전문성을 낮추고 교육관료로서의 기능만을 높인다.

      • KCI등재

        국가 수준 교육과정과 교과 교육과정 평가 방법 연계성에 관한 분석

        조은영(Eun-Young Cho),박상우(Sang-Woo Park),조호제(Ho-Je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이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을 제시하고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서 교수⋅학습과 평가에 대한 방향을 전제하고 있고 총론이 학교교육활동에 있어서 헌법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볼 때,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 ‘교수⋅학습’, ‘평가’ 등에 제시된 각 교과 교육과정의 개발과 운영 방향은 모든 교과 교육의 교수⋅학습과 평가의 방향과 밀접한 연계성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방법 이를 위하여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초등학교 국어, 수학 교과 교육과정의 평가 기준에 제한하여 연계성을 알아보는데 연구목적을 가지고 먼저 총론에 제시된 평가 기준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국어, 수학 교과 평가 기준을 탐색하여 이를 바탕으로 평가기준을 연계성의 준거에 의해 분석하여 그 실태를 살펴보았다. 결과 그 결과,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과 평가방향은 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목표-교육내용-교수⋅학습-평가의 일관성, 평가결과 활용으로 수업 개선, 서술형 평가, 논술형 평가 등은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과정 운영에서는 총론과 연계성을 강화하는 평가기준의 재구성을 통한 적용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평가기준 제시에서 동일한 의미의 평가 방법을 다른 용어로 제시하는 경우가 있었다. 결론 따라서 교육과정 개발자간의 끊임없는 논의와 대화를 통해 해석상을 차이가 없도록 교육과정은 전체적인 통일성을 갖추어 종합적으로 완결성을 갖도록 해야 한다. 교과 교육과정 기준 가운데 학생의 학업성취기준은 교육의 성과를 관리하는 목표로 기능할 수 있고, 따라서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은 보다 분명하고 명확하게 제시하여 교수⋅학습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inuity between the current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tandard and the subject-area curriculum.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standards put an emphasis on the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and presupposes the direction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i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Considering that standards plays the same role like the constitution in school education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closely connect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direction of each curriculum presented in ‘emphasis of curriculum composition’,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with all the subject-area curriculum’s direction of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tinuity between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standards and the evaluation criterion of the elementary school’s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subjects. So, the evaluation criterion presented in the standards was first analyzed, and then the evaluation criterion for Korean and mathematics subjects were reviewed. Lastly, based on these reviews, the evaluation criter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riterion of continuity and actual situation was examined.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gap between the evaluation method⋅precautions and the evaluation direction. In particular, educational goal-education content-teaching⋅learning-evaluation consistency, and the use of evaluation results showed insufficient connection with curriculum improvement, descriptive evaluation, and essay evaluatio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it through the recomposition of evaluation standards that strengthen the connection with the standards in the operation of the curriculum. Also, in the case of presenting the evaluation criterion, there were cases where the evaluation method with the same meaning was presented in different terms. Conclusions So, it is necessary to have overall unity and comprehensive completeness so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through constant discussion and conversation between curriculum developers. Among the curriculum standard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tandards can function as goals for managing educational outcomes. Therefore, the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in the curriculum should be presented more clearly so that it can play a role i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