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주학의 철학적 스펙트럼: 비판이론과 현상학

        조현리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音樂論壇 Vol.41 No.-

        이 연구는 20세기의 중요한 철학적 흐름인 비판이론, 현상학과 연주 사이의 다양한 접점을 탐구함으로써 연주 본위의 연주학을 위한 철학적 토대를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이다. 현재 음악학과 음악이론 내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연주학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아도르노의 부정변증법과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에 대한 상세한 고찰을 통해, 이 연구는 사유와 연행 사이의 문제적 관계, 연주가 활성화하는 유희와 돌파의 계기, 지향성과 불확정성의 관계, 실천과 해석 사이의 상관관계를 탐구한다. 또한 이 연구가 지향하는 연주 본위의 연주학이 어떻게 현재의 음악학과 음악이론을 위한 대안적 학문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진다. This paper investigates convergences between musical performance and the two important philosophical traditions of the 20th-century, critical theory and phenomenology, in order to concretize a performance-centered view on musical per- formance. Critiquing some of the current musicological and music-theoretical approaches to musical performance, and delving into the negative dialectics of Adorno and the genetic phenomenology of Husserl, the paper explor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hought and performance, between play and breakthrough, between intentionality and indeterminacy, and between practice and interpretation. It also seeks to answer how a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to musical performance can provide alternative perspectives for present musicology and music theory.

      • KCI등재

        음악적 거짓말: 바그너와 모차르트의 경우

        조현리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2 音樂論壇 Vol.47 No.-

        This paper explores and critiques the concept of musical lie. It focuses on the cases of two composers: Wagner, who has been regarded as the locus classicus of the musicological discourse on musical lie, and Mozart, whose music has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paragon of musical irony, a concept closely related to musical lie. The paper first investigates how the deceptive quality of Wagner’s music has been constructed, what kind of musical lie has been demonstrated through rigorous musicological interpretation, and how the notion that Wagner is a dangerous or problematic composer can be reconsidered in the present ethical context. The paper then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Mozartian irony and the dichotomy of musical veracity and falsehood, and examines what kind of truth or untruth can be manifested through Mozart’s music in this age of post-truth. Ultimately, the paper argues that by means of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e can overcome the passivity tied to our general attitude toward musical lie, and recover the active position in our intersubjective relationship with music with enormous emotional power. 이 연구는 음악적 거짓말이라는 개념에 대한 비판적 연구로서, 이 개념에 관한 음악학적 담론의 전통적인 대상인 바그너의 음악과 음악적 거짓말의 연관 개념인 음악적 아이러니의 중요한 전형을 보여주는 모차르트의 음악에 집중하여 논의를 전개한다. 논문은 먼저 바그너 음악의 기만적 이미지가 어떻게 형성되었고 엄밀한 음악학적 해석을 통해 어떤 유형의 음악적 거짓말이 성립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보고, 바그너가 위험하거나 문제적인 작곡가라는 관념이 현재의 윤리적 맥락에서 어떻게 수용되고 변화될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그 다음에 모차르트적 아이러니가 진실과 거짓이라는 이분법과 어떤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살펴보고, ‘포스트 진실’ 시대라는 새로운 맥락에서 모차르트의 음악이 우리 사회를 향해 어떤 종류의 진실과 비진실을 발산하는지를 탐구한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분석과 해석을 통해, 음악적 거짓말에 대한 우리의 수동적 태도를 극복할 수 있고, 강력한 감정적 영향력을 지닌 음악과의 상호주관적 경험에서 능동적 위치를 회복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 KCI등재

        변환들과 음악분석

        조현리 한국서양음악학회 2015 서양음악학 Vol.18 No.1

        데이빗 루인(David Lewin)이 제시한 음악적 변환(musical transformation) 개념은 엄밀한수학적 정의와 개방적 적용가능성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문제적 개념이다. 본 논문은 루인의 논문들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그의 음악변환이론이 실제로 어떻게 작용하고,적용되며, 재고되는지를 살펴보고, 변환 개념과 변환적 태도가 구체적인 음악적 경험과 어떤관계를 이루며 어떤 종류의 의미를 추구하는지를 탐구한다. 아울러 루인의 음악분석에 등장하는 변환들이 표현하고 실현하는 가치들을 이해함으로써 음악분석이라는 독특한 인간행위에 대한 좀 더 충실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For all its rigorous mathematical underpinning and immense applicability, the concept ofmusical transformation remains problematic within the practice of music analysis. Unlike othermusic-analytical concepts, musical transformation does not convey its immediate perceptualcounterpart in (notated) music, and thus disturbs predetermined relationships between thelistener and the music presumed in most theories of music analysis. Analyzing David Lewin’smusic-theoretical and music-analytical writings, this paper explores how, and in what sense, themathematical meaning of musical transformation can impinge upon the prevalent syntacticdescriptions of musical texts, and transform the notion of musical coherence presumed in suchdescriptions.

      • KCI등재

        자연과 천재: 본 윌리엄스의 〈탤리스 판타지아〉 다시 듣기

        조현리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이화음악논집 Vol.27 No.1

        This paper is about the musicological reception of Vaughan Williams’ Fantasia on a Theme by Thomas Tallis. The work acquires naturality by embracing the musical past of England and the English folk song idiom, which have historically been opposed to the notion of art music. The various features of the pastoral, together with the affinity between the work and the ideal of the picturesque that has governed English taste in landscape, concretize the naturality of the work. Naturality, as the main identity of the work, exceeds the level of its artistic achievement that has traditionally been gauged in terms of cultural lineage and emulation, which contributes to the work’s marginalization within the discourse of history of Western music. Although the rather singular combination of natural and artistic aspects of the work has prevented the work’s full inclusion in the musical canon, the work still provides critical insights into the nature of the genius concept that justifies the existence of the musical canon, and suggests an alternative way of being that responds to the significant biases of the current musicological discourse. 이 연구는 본 윌리엄스의 〈토머스 탤리스 테마에 대한 판타지아〉의 음악학적 수용에 대한 연구이다. 이 작품은 역사적으로 예술음악 개념과 대립관계를 형성해 온 과거 영국 음악과 영국 민요의 요소를 포용함으로써 자연성을 획득하고, 파스토랄 어법과 그림 같은 자연이라는 영국적 풍경 이념과의 친화력을 통해 그 자연성을 구체화한다. 이 작품의 자연성은 작품의 주된 정체성으로서 계보와 모방적 경쟁의 관점에서 판단되는 작품의 예술성을 압도하는데, 이는 예술음악 중심의 서양음악사 담론에서 이 작품이 주변화되는 데 중대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자연성과 예술성의 독특한 조합으로 인해 음악적 정전의 경계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던 이 작품은 음악적 정전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천재 개념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제공하고, 음악학의 편향을 드러내는 대안적 존재 방식을 제시한다.

      • KCI등재

        재현과 판단: 최근 음악분석 담론의 규칙과 융합성 연구

        조현리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7 이화음악논집 Vol.21 No.4

        This paper analyzes four musicological essays that reflect recent tendencies in music analysi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ules that underpin current music-analytical discourse and the ways in which it converges with other discourses. Asking how music-analytical statements are produced, excluded, and transformed, the paper draws on Michel Foucault’s method of discourse analysis which has been adapted by Gavin Kendall and Gary Wickham into a set of more pragmatic guidelines. The paper focuses on the two general elements of music analysis, representation and judgment, and delves into various strategies that today’s musicologists use in their analyses of music. Regarding the issue of representation, it discusses ways in which music analysts handle scores and performances, problems of representing gender and other differences in music, and expanding and changing objects of music analysis. Regarding judgment, it explores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music theory and music, and the traditional aesthetic question of how to mediate between form and other content of music. The ultimate goal of this study is to reconsider the values and future direction of music analysis. 이 연구는 최근의 음악분석 경향을 보여주는 네 편의 음악학 에세이를 분석하여 음악분석 담론을 지배하는 규칙과 음악분석과 다른 담론 사이의 융합 방식에 대한 엄밀한 이해를 얻기 위한 연구이다. 음악분석에서 이루어지는 진술의 생산, 배제, 변용의 양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푸코(Michel Foucault)의 담론분석 방법, 특히 캔들(Gavin Kendall)과 위컴(Gary Wickham)에 의해 실용화된 형태의 푸코식 담론분석 방법이 사용된다. 이 논문은 음악분석의 두 가지 보편적 요소인 재현과 판단의 담론적 성격을 파악하는 일에 논의의 초점을 두고, 재현과 판단을 위해 음악학자들이 선택하는 다양한 전략을 탐구한다. 재현에 관한 논의에서는 음악분석가들이 악보와 연주를 다루는 방식, 젠더를 비롯한 다양한 차이에 대한 음악적 표상, 음악분석 대상의 확대와 변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며, 판단에 대한 논의에서는 음악이론과 음악 사이의 역동적 관계와 음악분석의 오랜 미학적 문제인 형식과 내용 사이의 매개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진다. 필자는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현재의 음악분석이 지향하는 가치와 방향에 대해 재고하고자 한다.

      • KCI등재

        사이 담론으로서의 음악분석: 달하우스와 커먼의 경우

        조현리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3 音樂論壇 Vol.50 No.-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discursive nature of music analysis that has generally been considered a relatively autonomous disciplin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eideggerian idea of the ‘between.’ The paper focuses on the cases of Carl Dahlhaus and Joseph Kerman, who have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ield of musicology in Germany and in the United States. Dahlhaus’s analysis, oriented towards specificity, mediates between the particularity of an individual work of music and its difference,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work’s inner complexity and its excellence. By doing that his analysis acquires political capacity. Kerman’s analysis, which he prefers to call criticism, mediates between the critic’s value judgement and various facts in musical works, in order to place the issue of value at the center of musicology. Kerman’s analysis also participates in the dialogue between the discourse of musicology and the outside world. Music analysis exists not only between its methodology and a piece of music but also between music and value, as well as between aesthetic ideas and political projects.

      • KCI등재
      • KCI등재

        “대중음악 읽기”: 도구와 현존으로서의 음악이론

        조현리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音樂論壇 Vol.39 No.-

        This paper explores ways in which music theory can dialogue with popular music studies. Critiquing various scholars’ approaches to popular music including Theodore Adorno’s and Alison Stone’s, and examining recent orientations and values of music-theoretical discourses, the paper explicates how music theory can help to reshape the problematic concept of variety/diversity in popular music. It also analyzes recent attempts to analyze works of popular music. The paper argues that traditional music-theoretical activities such as analysis of harmony and analysis of form can become useful tools to tackle prominent issues in recent popular music research such as modernity and spontaneity. It also delves into how music theoretical concepts could be internalized in the mind of the listener, so as to act as kinds of presence accompanying her musical experiences. 이 연구는 대중음악연구를 위하여 음악이론이 어떠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아도르노와 앨리슨 스톤(Alison Stone)의 입장을 비롯한 다양한 학자들의 대중음악관을 분석하고 최근의 음악이론 담론이 지향하는 가치와 방향을 검토함으로써, 문제적 개념인 대중음악의 다양성을 긍정적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대중음악에 대한 기존의 음악분석적 접근에 대한 엄밀한 탐구와 재해석을 통해, 이 논문은 화성분석, 형식분석과 같은 전통적인 음악이론적 방법이 근대성, 자발성과 같은 대중음악연구의 중요한 이슈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한편, 이 논문은 내면화된 음악이론적 개념이 듣는 이의 음악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일종의 현존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줌으로써, 음악이론이 대중음악 듣기의 유연하고 창조적인 측면을 조명할 수 있는 역량을 지녔음을 강조한다.

      • KCI등재

        음악적 통사론을 위하여: 음악적 발화에서 나타나는 재귀적 구조와 대칭 관계 연구

        조현리 ( Cho Hyunree ) 서울대학교 서양음악연구소 2016 음악이론연구 Vol.27 No.-

        이 논문은 재귀성과 대칭성을 토대 개념으로 하는 새로운 음악적 통사론을 제안한다. 일련의 재귀적인 비대칭적 병합 작용을 통해 음악적 구조가 생성되는 방식과, 음들 사이의 비대칭성, 혹은 위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끼치는 다양하고 때로 상충하는 요인들이 논의될 것이다. 한편, 그러한 비대칭적 관계와 공존하는 대칭적 관계에 대한 탐구와 양자의 역동적 상관성에 대한 성찰도 이루어질 것이다. 필자는 최근 언어학의 최소주의 통사론과 조성음악이론 사이의 접점들에 주목하며, 특히 쉥커 이론이 제공하는 다양한 통찰들을 통사론적 시각으로 재편하는 작업을 통해 음악이론적 담론의대상이었던 음악적 관계들을 인문학적 맥락에서 새롭게 이해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영향력 있는 음악통사론 이론인 레르달과 자켄도프의 조성음악 생성이론에 대한 재고와 함께 그들의 영향을 받은 인접학문의 학자들이 제시하는 음악통사론의 문제점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질 것이다. This paper proposes a new musical syntax in which the foundational concept is recursion and symmetry. It shows how musical structures are generated through a series of recursive asymmetrical merges, and discusses diverse and sometimes mutually incompatible factors that help to determine the asymmetry or hierarchy between musical objects. It also delves into symmetrical relations that coexist with asymmetrical relations in music, and the dynamic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two kind of musical relations. The paper seizes upon the intersections between the minimalist syntax of current linguistics and tonal theory. Especially through the effort to reimagine various Schenkerian insights from the perspectives of syntax, it seeks to understand musical relationships that have been so far almost exclusively the object of music-theoretical discourses, within the broader context of the humanities. While giving a fresh look at Lerdahl and Jackendoff`s influential theory of tonal syntax, this paper also deals with problems of some recent syntactic theories of music influenced by their theory, especially of those presented by scholars outside music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