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바른 어휘 쓰기

        조항범 국립국어연구원 2000 국어문화학교 Vol.- No.4

        지금까지 우리는 단어 선택의 적합성 문제를 단어의 형태, 단어의 의미, 단어의 순화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거론하고, 각 측면의 하위에 놓이는 세부 사항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단어의 오용 사례를 들어 각각의 세부 사항들이 실제 글쓰기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바른 문장을 쓰기 위해서는, 단어 선택과 관련하여 앞서 제시한 세부 사항들 말고도 검토되어야 할 사항들이 더 있다. 예를 들어, 단어 의미의 비유적 사용이라든지, 높임법과 관련된 단어의 용법이라든지, 단어의 논리적 사용이라든지, 단어의 문체론적 효용이라든지와 같은 사항들이다. 문맥에 합당한 단어를 고르려면 이들을 포함하여 단어 선택과 관련된 제반 사항들이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이처럼 엄정하게 선택된 단어라야 실제 문맥 속에서 제 기능을 다할 수 있으며, 생명력을 얻게 된다. 글쓰기에 단어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 바른 어휘 쓰기

        조항범 국립국어연구원 2000 국어문화학교 Vol.- No.2

        지금까지 우리는 단어 선택의 적합성 문제를 단어의 형태, 단어의 의미, 단어의 순화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거론하고, 각 측면의 하위에 놓이는 세부 사항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단어의 오용 사례를 들어 각각의 세부 사항들이 실제 글쓰기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바른 문장을 쓰기 위해서는, 단어 선택과 관련하여 앞서 제시한 세부 사항들 말고도 검토되어야 할 사항들이 더 있다. 예를 들어, 단어 의미의 비유적 사용이라든지, 높임법과 관련된 단어의 용법이라든지, 단어의 논리적 사용이라든지, 단어의 문체론적 효용이라든지와 같은 사항들이다. 문맥에 합당한 단어를 고르려면 이들을 포함하여 단어 선택과 관련된 제반 사항들이 종합적이고 포괄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이처럼 엄정하게 선택된 단어라야 실제 문맥 속에서 제 기능을 다할 수 있으며, 생명력을 얻게 된다. 글쓰기에 단어 선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 KCI등재

        ‘무더기’ 관련 어휘에 대한 통시적 고찰

        조항범 한글학회 2022 한글 Vol.- No.338

        Since the 15th century, “무더기 (a pile)”-related words have been found in literature as “무디,” “무둑,” “무들기,” “무들ᄀᆡ,” “무더기,” “무ᄃᆡ,” or “무ᄃᆡ미;” “무적/무작/모작” or 무저비;” and “무겁.” The first group words include “묻-,” a verb particle that means “burying” and the second group words have the particle “*뭊-.” The word in the third group is unrelated to the other two groups. The first group of words has been more strongly developed than the other. In the Middle Ages, “무디” and “무적” were commonly used, but “무적” started to disappear first followed by “무디 (>무지).” The appearance of “무더기” in the 18th century weakened “무지.” “무더기” is thought to be a combination of “*무덕,” a form of “무둑,” and the suffix “-이”. Words like “무들기,” “무저비,” and “무둑” disappeared early, likely because “무더기” became the preferred word. 15세기 이래 문헌에 ‘무더기’와 관련된 어휘로, ① ‘무디, 무둑, 무들기, 무들ᄀᆡ, 무더기, 무ᄃᆡ, 무ᄃᆡ미’, ② ‘무적/무작/모작, 무저비’, ③ ‘무겁’ 등이 나온다. ①이 동사 ‘묻-’을 포함하는 어휘라면, ②는 동사 ‘*뭊-’을 포함하는 어휘로 추정된다. ③은 ①, ②와 무관한 단어이다. ‘묻-’과 ‘*뭊-’ 계열어 중에서는 전자가 더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다. 중세국어에서 ‘무디’와 ‘무적’이 일반적으로 쓰이다가 ‘무적’이 먼저 세력을 잃고, 이어서 ‘무디(>무지)’마저 세력을 잃는다. ‘무지’의 쇠퇴는 18세기에 등장한 ‘무더기’의 득세와 무관하지 않다. ‘무더기’는 ‘무둑’에서 변한 ‘*무덕’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어형으로 추정된다. ‘무둑’을 비롯하여 ‘무들기, 무저비’ 등도 일찍이 세력을 잃고 사라졌는데, 이 또한 ‘무더기’의 득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갓[妻]' 계열 어휘의 語源과 意味

        조항범 국어학회 2003 국어학 Vol.42 No.-

        본고는 ‘갓[妻]’을 포함하는 복합어를 대상으로 그 어원과 의미, 그리고 그 변형의 문제를 다룬 것이다. ‘갓’ 계열 어휘에는 ‘곳갓’, ‘�첸朞� ‘갓시’, ‘갓어리’, ‘가??나??(갓나??, 가시내)’, ‘가�첸儲�가�첸틤踪� ‘가시버시’ 등이 있다. ‘곳갓’과 ‘�첸朞��‘갓’에 변별 요소 ‘곳[花]’과 ‘��관계가 직접적이지 않은)’가 결부된 어형으로 ‘妾’의 뜻이다. ‘가??나??’는 ‘갓’과 ‘아??’ 사이에 屬格의 ‘-??’이 개재된 어형이다. ‘가??나??’는 제2음절의 ‘ㆍ’가 탈락하여 ‘갓나??’가 된 다음 ‘간나??>간나희>간나의/간나히>간나이’로 변하기도 하고, ‘^(*)가스나??’로 변한 뒤에 ‘^(*)가스??>가스내>가시내’로 변하기도 한다. ‘가�첸儲�가�첸틤踪��‘가�찼��‘갓’에 屬格의 ‘-??’가 개재된 ‘^(*)가??’의 변화형으로 ‘아내의’라는 뜻이다. 반면 ‘가시버시’의 ‘가시’는 명사로 誤認된 것이어서 ‘아내’라는 뜻이다. ‘가시버시’는 ‘가시밧’에서 ‘가시바시’를 거쳐 나타난 어형이다. ‘가시밧’의 ‘밧(??)’은 본래 ‘外’의 뜻이나 여기서는 ‘夫’를 지시한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issue of etymology and meaning, and change, in the compound words employing ‘갓[妻]’. Among those words are ‘곳갓’, ‘�첸朞� ‘갓시’, ‘갓어리’, ‘가??나??(갓나??, 가시내)’, ‘가�첸儲�가�첸틤踪� ‘가시버시’. The words ‘곳갓’ and ‘�첸朞�mean 'a concubine(妾)', and they combine ‘갓’ with the differentiating elements ‘곳(flower)’ and ‘��without direct relation)’. The word ‘가??나??’ is a form which contains the possessive case ‘-??’ between ‘갓’ and ‘아??’. ‘가??나??’ becomes ‘갓나??’ by dropping ‘ㆍ’ in the second syllable, then it changes to ‘간나??>간나희>간나의/간나히>간나이’. The word ‘가�찼�of ‘가�첸儲�가�첸틤踪�is a form to which the possessive case ‘-??’ is added to ‘갓’, and it means ‘아내의(of wife)’, while the word ‘가시’ of ‘가시버시’ was misunderstood as a noun and it means ‘아내(wife)’. The word ‘가시버시’ comes from ‘가시바시’ which derived from ‘가시밧’. The word ‘밧(??)’ originally refers to ‘外(outdoor)’ but here it means ‘夫(husband)’.

      • KCI등재

        ‘곶[串]’ 계열 어휘의 形成과 意味에 대하여

        조항범 국어학회 2012 국어학 Vol.63 No.-

        본고는 ‘곶’ 계열 어휘를 대상으로, 그 조어 방식, 기원적 의미, 형태와 의미의 변화 및 그 변화의 원인 등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곶’ 계열 어휘에는 ‘곶감, -꽂이, 고깔, 곡괭이, 꽃게, 꼬치, 꼬챙이, 송곳’ 등이 있다. ‘곳감’은 동사 ‘곶-’과 ‘감’이 결합된 형태로 ‘꼬챙이로 꽂은 감’이라는 의미를, ‘-곶이’는 동사 ‘곶-’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곶이’가 접미사화한 것으로 ‘꽂아 두는 것’이라는 의미를 띤다. 그리고 ‘곳갈’은 명사 ‘곶’과 ‘갈’이 결합된 형태로 ‘꼬챙이처럼 뾰족한 모자’라는 의미를, ‘곳광이’는 명사 ‘곶’과 ‘광이’가 결합된 형태로 ‘꼬챙이처럼 뾰족하게 생긴 괭이’라는 의미를, ‘곳게’는 명사 ‘곶’과 ‘게’가 결합된 형태로 ‘등딱지의 양쪽 끝이 꼬챙이처럼 뾰족한 게’라는 의미를 띤다. ‘*고치’는 ‘곶’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고지’에서 변한 어형으로 추정된다. ‘곳챵이’는 명사 ‘곳치’에 접미사 ‘-앙이’가 결합된 ‘곳창이’의 異表記이다. ‘송곳’은 ‘솔-[細]’의 관형사형 ‘손’과 명사 ‘곶’이 결합된 ‘*손곶’의 변화형으로 ‘좁고 뾰족한 꼬챙이’라는 의미를 띤다. ‘송곳’과 같은 의미의 ‘솔옺’의 흔적이 식물 이름 ‘소루쟁이’에 남아 있다.

      • KCI등재

        함북 방언 ‘모고지설’, ‘아치설’, ‘한설’의 어원에 대하여

        조항범 한국방언학회 2017 방언학 Vol.0 No.25

        문익환 목사가 그의 부모와 나눈 대화록 속에 ‘모고지설’, ‘아치설’, ‘한설’이라는 독특한 설 이름이 나온다. 문 목사의 부모는 함북 출신이어서 이들 설 이름은 함북 방언이다. 본고는 이들 세 단어에 주목하여 그 어원과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모고지설’은 대화록에 처음 보인다. 이는 ‘모고지’와 ‘설’로 분석되는데, ‘모고지’는 중세국어 ‘몯지’로 소급한다. ‘몯지’는 동사 ‘몯-[會]’과 ‘-[具備]’이 결합된 ‘*몯-’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어형으로 ‘모임’의 뜻이며, 지금 ‘모꼬지’로 남아 있다. 그러므로 ‘*몯지설’, 곧 ‘모고지설’은 ‘설 이틀 전에 일가친척들이 미리 모여서 먹고 노는 날’ 정도로 해석된다. ‘아치설’ 또한 대화록에 처음 보인다. ‘아치설’에 대해서는 중세국어 ‘아설’이 ‘*아설>*아츠설’을 거쳐 나온 것으로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ㅅ’ 앞에서 ‘ㄴ’이 탈락한 이유를 설명할 수 없다면 이와 같은 주장은 성립하기 어렵다. 이보다는 형용사 어간 ‘앛-[小]’과 명사 ‘설’이 결합된 ‘*앛설’이 ‘*아츠설’을 거쳐 ‘아치설’이 된 것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앛설’은 ‘작은설’의 뜻이므로, ‘아치설’ 또한 그와 같은 의미를 띤다. ‘한설’의 전날이 바로 ‘아치설’인 것이다. ‘아치설’은 민간어원에 의해 ‘가치설’을 거쳐 ‘치설’로 어형이 변하고, ‘까치가 쇠는 설’로 재해석된다. 그러나 ‘까치설’은 ‘작은설’일 뿐이다. ‘한설’은 16세기 문헌에도 보이는 단어이다. 그런데 이 단어는 근대국어 이후 문헌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설’에 밀려 사라진 뒤 함북 방언에 잔존하게 된 것이다. ‘한설’은 ‘하-[大]’의 관형사형 ‘한’과 명사 ‘설’이 결합된 어형으로 ‘큰 설’의 뜻이다. 정식 설을 그렇게 부른 것이다. 이로써 함북 지역에는 설을 3일씩이나 쇠는 독특한 설 문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In the Conversation Records, where Moon Ik-hwan, a clergyman, made a conversation with his parents, three peculiar words, ‘모고지설, 아치설, and 한설,’ appear to refer to new year's day. As Moon's parents came from Hamgyeongbukdo province, the special names of the day are all regional dialects of Hamgyeongbukdo province. This paper studies the three words and tries to trace the etymology and meaning. The ‘모고지설’ was first seen in the Conversation Records. The word can be divided into ‘모고지’ and ‘설’, and ‘모고지’ goes back to the ‘몯지’ in the middle Korean. The ‘몯지’ is the word form, which a verb ‘몯-[會]’ combined with ‘-[具備],’ and then the ‘*몯-’ was united with a suffix ‘-이.’ The word means ‘모임’(a gathering) and it remains in the word form of ‘모꼬지’ at the present time. Therefore, ‘*몯지설’ or ‘모고지설’ can be interpreted as ‘a date 2 days before the new year, when the extended families have time to enjoy in advance.’ The ‘아치설’ was also first seen in the Conversation Records. The ‘아치설’ is commonly explained that the ‘아설’ in the middle Korean became ‘*아설>*아츠설’. However, if the phase of ‘ㄴ’ deletion in front of ‘ㅅ’ is not be explained fully, the premises would not be supported. Instead, it would be more reasonable to explain that an adjective stem ‘앛-[小]’ combined with ‘설’, and then the ‘*앛설’ became ‘*아츠설’, and remained in the form of ‘아치설’ in the final form. Since the ‘*앛설’ means ‘the day before new year’(작은설), the ‘아치설’ is same in the meaning with it. The ‘아치설’ became ‘가치설’ in the process of folk etymology, and then, took the form of ‘치설’, and again, it was interpreted as ‘new year's day for Korean magpies’(까치가 쇠는 설). Thus, the ‘까치설’ refers to the day of ‘작은설’ only. The ‘한설’ was also seen in documents in the 16th century. But, the word did not come out in documents after the modern Korean. It was constrained to be used because of ‘설,’ a standard word referring to the day, and then remained only in the dialect of Hamgyeongbukdo province. The ‘한설’ is a word form, combining a relativizer ‘한’ of ‘하-[大]’ with a noun ‘설’, that the word means ‘큰 설’(New Year's day). It refers to the New Year's day. While examining the etymology, it can be found that people had a unique culture celebrating the day for 3 days in Hamgyeongbukdo province.

      • KCI등재

        영조 어제류 한글 필사본의 어휘론적 고찰

        趙恒範(조항범) 한국학중앙연구원 2004 장서각 Vol.- No.11

        This paper, reviewing and analysing hand written materials in Hangeul published during the King Yeongjo, has two main purposes : the one is ascertaining some aspects of lexical distribution shown in them, and the other is establishing the chronology by which the lexical meanings had been changed. As for the first purpose, the author has digged out and enumerated some 'conservative words' and 'rare words', and, based upon it, he elucidated their distinctions and concrete meanings. As for the second purpose, he has put much emphasis upon their meaning changes related to metaphorical meaning, expansion of applied range of meaning, and fluctuation of meaning value, and, finally searching for the process of changes of meaning. There have been discovered not a few conservative words, including those not having reflected phonological changes, those having lost their given grammatical functions, and those never prevailing their vocabulary. For example, there are '뎌즈음긔, 새, 두립다'. In addition, there has been shown rare words which never show in another materials such as '말쌀, 말이, 술못, 이듬달'. The activated usage of synonyms is also its distinction as shown in the following pairs of synonym: '두립다/두려다', '본받다/법닫다/법하다', '어리다/졈다'. This aspect bears mute witness to the high ability of the translator's mastery over vocabulary and expressive power over sentences. There have been shown lots of words with figurative meanings such as '깊다, 늦다, 맛, 져믈다', while there have a relatively few words, reflecting the shift of meaning value and the fluctuation of applied range of meaning such as '말삼' and '얼골'.

      • KCI등재

        ‘골’, ‘山’, ‘들’에 準據하여 生成된 ‘내[川]’의 名稱에 대하여

        조항범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9 No.2

        This article aims to find and arrange the names of ‘Nae’ placed in ‘Gol, San, Deul,’ and synthetically to examine the issue of the formation, deformation, the change of meaning, the process of Sino-Koreanization, and the changed use of geographical name. The name of ‘Nae’ placed in ‘Gol’ has two subcategories; ‘Gol-Nae’ and ‘Sil-Nae.’ ‘Gol-Nae’ changed to ‘Goe-Nae’ from ‘Go Nae’, and ‘Goe-Nae’ Sino-Koreanized into ‘塊內’ or ‘塊川.’ ‘Sil Nae’ came from ‘*Sil Nae(h)’ and then became ‘Si-Nae.’ In the 15th century, ‘Si-Nae(h)’ already had the general meaning of ‘Big and small stream’ as well as ‘the stream in the valley.’The name of ‘Nae’ placed in ‘San’ has three subcategories; ‘Moe- Nae’, ‘San-Nae’ and ‘Dal-Nae.’ ‘Moe-Nae’ responds to the Sino-Korean geographical name ‘山川’, and in the case of the region, it becomes ‘Mae-Nae’, ‘Me-Nae’ or ‘Mi-Nae.’ These similar geographical name are reinterpreted as they lost the relation with ‘Moe-Nae’, they Sino Koreanizes into ‘梅川’ or ‘眉川’ and so on. When these ‘Moe-Nae, Mae-Nae, 山川’ changes from the name of stream into the name of town, new name of ‘Nae’ will be created by using them. ‘San-Nae(山-)’ is often intervened by the genetive ‘ui(의)’ to become ‘San-ui-Nae(山--).’ ‘San-ui-Nae(山--)’ changes to ‘San-i-Nae’, and ‘San-i-Nae’ turns to ‘Sa-i-Nae.’ ‘San-i-Nae’ sino-Koreanizes to ‘山伊川.’ ‘Dal-Nae’ often transforms ‘Da-Nae’ or ‘Da-rue-Nae.’ ‘Dal-Nae’ lost the relation early so it is not interpreted as ‘the stream in the mountain.’ As the result, the preposterous sino-Korean geographical name like ‘達川, 月川, 酉川’ is responded to it. If ‘Dal-Nae, 達川, 月川’ changes its use as the name of town, the new name of ‘Nae’ will be created by using it. The name of ‘Nae’ placed in ‘Deul’ has two subcategories. In the case of area, ‘Deul-Nae’ becomes to ‘Deol-Nae’, they often transforms ‘Deu-Nae’ and ‘Deo-Nae.’ In addition, ‘Deul-Nae’ changes to ‘Deu-rue-Nae.’ ‘Deo-Nae’ sino-Koreanizes as ‘加川’, this is the result that people recognized ‘Deo’ as ‘Deo’ of ‘addition.’ If ‘Deu-reu-Nae’ and ‘加川’ changes its use as the name of town, the new name of ‘Nae’ will be created by using it. ‘Beol-Nae’ often transforms ‘Beo-Nae’ and ‘Bi-Nae.’ And they can sino-Koreanize as ‘Beol-Cheon(-川), 伐川, 坪(平)川, 평내(坪(平)-).’ As well as ‘Beol-Nae’, ‘Bi-Nae, 伐川’ are used as the names of town if they are transformed, and then the new name of ‘Nae’ is created. 本考는 ‘골, 山, 들’에 準據하여 생성된 ‘내[川]’의 이름에 주목하여, 그 ‘내’ 이름을 찾아 類型化하고, ‘내’ 이름의 形成과 意味, 그 形態와 意味 變化, 漢字化 過程, 地名의 轉用 등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골’에 준거하여 생성된 ‘내’ 이름에는 ‘골내’와 ‘실내’ 系列이, ‘山’에 준거하여 만들어진 ‘내’ 이름에는 ‘뫼내’와 ‘산내’와 ‘달내’ 系列이, ‘들’에 준거하여 만들어진 ‘내’ 이름에는 ‘들내’와 ‘벌내’ 系列이 있음이 드러난다. 이들 각 계열의 地名은 ‘내’가 위치하는 自然物에 準據하여 만들어진다는 공통점을 보인다. 이들 地名은 대체로 ‘ㄴ’ 앞에서의 ‘ㄹ’ 脫落, 調音素 ‘으’의 개재 등에 따라 어형을 달리하며, 그에 따른 有緣性 상실로 말미암아 의미가 재해석되고, 그 해석에 기초한 엉뚱한 漢字 地名이 만들어진다. ‘골, 山, 들’에 위치하는 대부분의 ‘내’ 이름은 그 ‘내’가 흐르는 ‘마을’ 이름으로 轉用되어 쓰이는 뚜렷한 경향을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