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계(蘆溪) 시가의 교육적 의의 제고를 위한 세 편의 가사 읽기 -<누항사>, <독락당>, <노계가>를 대상으로

        조하연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9 고전문학과 교육 Vol.42 No.-

        Nogye Park, In-ro is a prolific writer prominent in the history of Korean classical Poetry and has left important works that show how the realities and responses of the scholar-gentry class differed between the early and late Joseon Dynasty. Based on this status, Park's poems have been widely used in literature education, but they are also hard to empathize with learners. In this paper, I summarized the life of Nogye, focusing on <Nuhangsa>, <Doglagdang>, and <Nogyega>. <Nuhangsa> seems to reflect his efforts to adjust the coordinates of the vague life after the Imjin war. In <Doglagdang>, he is trying to escape from the memory of his short but intense office life, set new coordinates. <Nogyega> shows that he finished long journey to find his own place. Considering the fact that his work was a recognition struggle and also healing, these works can be appreciated by modern learners. 노계 박인로는 한국시가사에서 두드러진 다작의 작가로 조선 전기와 후기 사이에, 시가에 나타난 현실 인식과 대응이 어떻게 달라지는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가 되는 작품들을 남겼다. 이러한 위상에 따라 박인로의 시가 작품들은 문학교육에서도 일찍부터 널리 활용되어왔으나 학습자들의 입장에서는 쉽게 공감하기 어려운 제재들이기도 했다. 이에 본고에서는 박인로가 남긴 가사 작품 중 <누항사>, <독락당>, <노계가>를 중심으로 박인로의 삶을 정리해 보고, 그의 작품들을 오늘날의 학습자들이 공감하며 감상할 수 있는 지점이 어디인가를 탐색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본고에서 살펴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누항사>는 전쟁이라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세상으로 뛰어들었던 그가 전쟁 이후 막연해진 삶의 좌표를 정비하려는 노력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어지는 <독락당>에서 그는 짧았지만, 강렬했던 관직 생활의 기억으로부터 탈피해 새로운 좌표를 설정하고, 세상에 초연해 지고자 애쓰는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노계가>에 이르러 그는 오랜 시간 동안 자신을 누르고 있던 강박으로부터 자유로워진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렇듯 그의 작품 활동이 대사회적 인정투쟁이자 치유 행위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들 작품들이 현대의 학습자들에게 유의미한 감상의 대상으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는 것이 본고에서 강조하고 싶은 지점이다.

      • KCI등재

        존재 위백규의 <자회가>에 나타난 뉘우침에 대한 고찰

        조하연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7 No.-

        Wi Baek-gyu, who lived in Jangheung, Jeolla Province wrote Jahoega in 1787. In this work, the speaker regretted being ungrateful to his late parents, and suggesting activities to honor of one’s parents. In addition, he vividly conveyed the sorrow of old age based on his own experience.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how the author’s life is reflected in his work and how the speaker’s repentance is connected. For this purpose, attention was paid to the speaker’s attitude and how the content of the work unfolded, while comparing the author’s biographical facts with the speaker’s appearance in the work. This showed that although the author’s biographical facts and the speaker’s past behavior do not match, the author, the speaker in the work, and the implied audience are all homogeneous as members of one family. In the 18th century, Hyangchonsajok faced the collapse of their family community and tried to rebuild it through the practice of Confucial ethics, Hyo(효). Jahoega was also related to this phenomenon.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er Wi Baek-gyu, the author tried to overcome the emptiness of life through the practice of Hyo. This explains why in this work, empathy was expressed toward the family members. 조선 후기의 향촌 사족 위백규가 지은 <자회가>는 돌아가신 부모를 떠올리며 자신의 불효를 뉘우치고 부모를 욕되게 하지 않는 길을 다짐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가사 작품이다. 조선 후기 교훈가사의 하나이나, 작자의 체험을 반영한 노년의 비탄이 생생하게 드러난다는 점에서 특별한 면이 있다. 이 글은 위백규의 연보에 기록된 작품의 창작에 관한 기록과 작품의 실제 내용 사이의 공통점과 차이에 주목하여 작자의 뉘우침과 작품 속 화자의 뉘우침이 서로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화자의 태도에 주목하며 작자의 전기적 사실들과 작품 속 화자의 모습을 비교하였다. 비록 작자의 전기적 사실들과 작품 속 화자의 과거 행태가 불일치하는 것으로 보이는 부분도 있으나, 작품에 반영된 작자의 전기적 사실들이 상당하고, 화자가 자신의 젊은 시절에 대해 다소 과장적인 태도로 비판하고 있어 실제의 과오보다 더 불효한 모습으로 보이게 하는 측면이 있으며, 작자와 수용자 모두 문중의 일원으로서 동질성이 있다는 점에서 작자와 화자의 동질성이 충분히 확보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이 작품의 창작이 결속력을 잃어가는 가문 구성원들을 질책하고 교화하려는 목적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점도 논의하였다. 사상가 위백규의 일생을 고려할 때, 이 작품의 심층에는 헛된 인생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길로써 그가 선택한 윤리적 지향을 집대성하려는 의도가 자리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고전’ 과목이 시사하는 통합적 국어 활동의 지향

        조하연,주재우,김현정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8

        2012년 처음 등장한 ‘고전’ 과목은 외적으로는 교육과정에 작용하는 사회적, 정책적 요구를 반영하고, 내적으로는 기존의 국어교육에 대한 자체적인 반성과 불만을 해소해야 하는 과제에 대한 대응 과정에서 탄생하였다. 본고는 ‘고전’ 과목이 놓여 있는 이러한 맥락과 정체성에 주목하여 국어교육이 오랫동안 고민해 온 통합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국어교육에서 논의되었던 통합의 맥락과 국어 활동에 대한 인식을 점검해 보고, 국어과 내 여러 영역에서 국어 활동에 대한 인식이 여전히 다양한 함축을 갖는다는 점과 이에 따라 ‘고전’ 과목의 내용이 아직 충분히 통합적인 모습을 갖추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전을 향유하는 다양한 활동들은 과거와 현재가 중첩되어 있는 고전의 속성 상 이미 통합적인 국어 활동으로서의 성격을 갖는다. 아직까지 ‘고전’ 과목이 비록 국어 활동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시하지는 못하였지만, 역설적으로 ‘고전’ 과목은 국어 활동이 지닌 통합적인 성격이 재발견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For years, there were frequent revisions of National Curriculum and the composition of subjects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rnal and external conditions. This thesis analyzed the new subject, <Classic> which was born in 2012 Curriculum especially relation with integration. There had been long argument about the integration of scopes in Korean Education. Each scope have tried to integrate other scopes within there logics and nowadays we can find the possibility that various scopes can be integrated. To appreciate classics essentially contains of diverse activities and the most activities are language activities; reading, thinking, communicating etc. In it’s present state the Curriculum of <Classic> doesn’t reveal the definite answer to the meaning of Korean Language activities, but various activities which have been accumulated through language culture will show the way to the integration.

      • KCI등재

        문학의 속성을 활용한 창의적 사고의 교육 방안 연구 : '낯설게하기(defamiliarization)'를 중심으로

        조하연 국어교육학회 2003 國語敎育學硏究 Vol.16 No.-

        변화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와 함께 교육현장에서도 창의적 사고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최근의 교육과정은 지식을 얼마나 많이 암기하고 있느냐를 가지고 학생을 평가하던 이전의 틀에서 벗어나 학생이 가지고 있는 창의적 사고를 얼마나 발달시키고, 그것을 어떻게 구체적으로 발현시킬 것인가 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학습자 중심, 창의적 사고의 신장을 특징으로 하는 수준별 교육과정의 7차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사정은 분명히 드러난다. 이에 따르면, 국어과에서는 국어 사용 양상과 내용에 대해 정확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능력과 이를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창의적 사고가 무엇인지, 창의적 사고를 신장하기 위해 어떤 교육내용이 마련되어야 하는지, 이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국어교육 연구에서 창의적 사고라는 영역이 현실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는 것과 달리 그 구체적인 의미를 아직 충분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고는 문학의 속성과 사고력의 문제를 접목하려 했던 최근의 연구물들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세계에 대한 주체적 관찰과 발견을 통해 이루어지는 문학적 활동이 인간이 가지고 있는 창의적 사고력의 과정을 보여줄 뿐 아니라, 그 결과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문학의 속성에 기댄 사고력의 계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주된 논지로 하고 있다. 이 글 역시 이러한 전제에서 언어활동을 통한 사고력의 증진이 어떻게 가능한가, 이렇게 증진된 사고력을 통해 인간의 언어활동을 어떻게 고양시킬 수 있는가, 이러한 과정의 교육적 설계는 어떠해야 하는가를 다루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문학의 속성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이 글에서는 문학의 익숙한 원리 중의 하나인 '낯설게 하기(defamiliarization)'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자동화된 일상으로부터 탈피하여 세계의 이면을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자동화된 일상의 의미를 바탕으로 대상이 가질 수 있는 다른 측면을 발견하는 데 창의적 사고의 핵심이 있음을 밝히고, 이를 위해 '낯설게 하기'의 형식적 기제들의 활용을 통해 창의적 사고에 도달하는 모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엉뚱함'과 '창의성'의 구별이 필요해 지는데, 이는 사회 구성체에 의한 용인 가능성에 대한 지속적인 조회가 필요하다는 점을 아울러 지적하였다. Today requires more creativity to the people than the past. In this reason raising the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the student is very important t o the education today. For example current curriculum emphasizes the ability of creative thinking as well as critical thinking. But the problem is that there is not enough discussion about the various aspect of the creative thinking. We know that creative thinking is important for current student but we didn't answer the method of teaching. I gave attention to the former studies based on the attribute of literatur : literariness. We know that literature is creative activity of human beings. Because it always requires new inspection of the world with new viewpoint. I aimed at this literariness and thought this creative attribute can be used in the class. In particular I concentrated on the familiar principle of Literature - defamiliarization. I argue that defamiliarization can give student a chance to breaking the automized world and exploring the other side of the object. In doing so, I tried t o reconstruct the meaning of creative thinking and present a new model of creative thinking. But I am afraid this essay is not enough to be used in the class directly. To be used in the class room, this idea need more data for verification. In the followings I will try to give a more elaborate model.

      • KCI우수등재

        <고산구곡가>의 구조와 창작의 의미

        조하연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6

        This thesis examines the contents and the structure of the <Gosangugokga> again and aims to understand what the creation of this work meant to Yulgok Yi I. I tried to read this poetry in concern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Zhu xi and Yulgok at the time of the determination of the moving to Mui and Gosan Gugok, I have summarized it again, including the invitation to the people who will read this poetry. The main part of this poetry describes the life of study and appreciation of nature, but also reveals the intention of inviting back and forth of such introduction. In the front of the work, Moo-mi, imagined by the speaker, is not an escape of reality but rather a transitory space that can make a fundamental change in reality. It seems that Yulgok, who founded the Eunbyeong Jeongsa, intended to encourage mor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new practice space through this work. 이 논문은 <고산구곡가> 서사에 나타난 선언의 맥락과 본사의 구조와 내용을 검토하고 이 작품의 창작이 율곡에게 어떤 의미였는가를 재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무이구곡과 고산구곡에 복거를 결정하던 당시 주자와 율곡이 처한 상황을 서사에서 율곡이 추구한 새로운 실천의 실체를 확인하는 데 활용하고, 기존 연구에서 강조되었던 강학과 영월음풍이라는 요소들과 함께 동시대 선비들에 대한 동참의 권유라는 요소가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살펴보았다. 필자가 검토한 바에 따르면, 작품의 서사에서 화자가 상상한 무이는 현실의 도피가 아니라 오히려 현실에 근본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우회적이나 적극적인 공간이다. 또한 작품의 본사는 고산구곡에서의 강학과 수양을 소개하면서도, 이러한 소개의 앞뒤로 동참을 권유하는 뜻을 반복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정사라는 교육 공간을 통한 현실의 변화를 추구하며, 율곡은 이 작품이 새로운 실천에 더 많은 이들이 동참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랐던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