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어교육의 문학관에 대한 통시적 고찰

        조하연 한국문학교육학회 2017 문학교육학 Vol.0 No.57

        The view of literature is a key factor in determining how literature is utiliz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languag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thesis examines the curriculum and searches how these perspectives changed. In the first phase of the curriculum(the 1st to 4th), it appeared to emphasize these; art of words, reflection of life, and the cultural aspect of literature. After the first phase,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hanged drastically. While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as a language art is still influential, literature as a reflection of life was expanded to the reflection of reality, and the concept of culture was converted. Such changes have greatly influenced the contents of literature education. But in these changes, the problem of Using literature as a instrument has been intensified. Literary education should be concerned of leaner’s whole experience of literature. 문학의 본질과 효용에 대한 이해를 문학관이라 할 때, 국어교육의 문학관은 국어교육에서 문학이 활용되는 방식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소이다. 이 논문에서는 1차에서 4차까지의 교육과정을 통해 해방 이후 초기의 국어교육에 나타난 문학관을 확인하고, 이후의 지속과 변화를 살펴보았다. 1차에서 4차의 교육과정을 검토한 결과, 국어교육으로서의 정당성과 관련하여 언어 예술적 속성을, 개인의 성장과 관련하여 인생의 반영으로서의 속성을, 교육의 사회적 효용과 관련하여 문화로서의 속성을 부각시켰던 점이 확인되었다. 비록 논리적으로 정돈된 체계를 갖추지는 않았으나, 문학과 국어교육의 결합을 위한 핵심적인 요소들이 두루 활용되고 있었다. 이후의 교육과정에서는 이와 같은 초기의 문학관이 적지 않게 변화하였다. 언어 예술로서의 문학이라는 관점은 여전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인생의 반영으로서의 문학은 현실의 반영이라는 관점으로 확대되었고, 문화의 개념이 새롭게 정의 되었으며, 활동이라는 속성이 새롭게 부각되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교육의 대상으로서의 문학이 텍스트를 넘어 문학 현상으로 확대되고, 문학 능력의 신장이 문학교육 목표로 설정되는 등 문학교육의 내용적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발전이 있었으나 문학 작품의 도구화가 심화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한 적극적인 개선이 오늘의 국어교육이 맞이하고 있는 중요한 과제가 된다.

      • KCI등재
      • KCI등재

        <규원가>에 나타난 원망과 그리움의 모순에 대한 고찰

        조하연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 문학치료연구 Vol.71 No.-

        Kyuwonga is the first Gasa work written by a woman and has a high level of literary qual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speaker’s contradictory psychology: resentment and longing for her husband. This psychology was analyzed in this paper as follows. First, the strong tone of criticism against the husband stems from dissatisfaction with the lack of communication. The writer of this work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husband's temperament by using the expression of the Sonyeonhaeng. Second, there was a specificity as a work of a female writer. The speaker of this work was not completely subordinate to his husband. The speaker appearing in the work is well-educated enough to utilize the expression of the Sonyeonhaeng. Third, a series of actions of the speaker to cope with her loneliness explains why the husband is important to her. The speaker sublimated her loneliness to solitude and tried to secure her own identity, but she failed. In a Confucian society, the speaker could not abandon the husband's place in the end. <규원가>는 현전하는 최초의 여성 가사로서 높은 품격과 진솔함을 갖추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이 작품의 화자가 드러내는 임에 대한 원망과 그리움의 이중적인 태도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한 설명이 제시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그 원인과 경과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남편에 대한 강한 어조의 비난을 작가가 악부 <소년행>의 표현을 활용하여 부부로서 소통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 남편의 기질에 대한 불만을 드러낸 것으로 파악하였다. 남편을 묘사하는 데 활용된 표현들이 모두 악부<소년행> 계열의 작품들에서 흔히 등장하고, 화자를 고통스럽게 하는 문제가 남편의 소인배적인 성격보다 남편과의 불통에 있다는 점을 고려하였다. 둘째, 여성 작가의 작품으로서 작중의 화자가 보이는 특별함을 또 다른 측면에서 확인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 이 작품의 화자가 임에 온전히 종속된 존재가 아니라는 점이 밝혀졌는데, <소년행>을 비유적으로 활용하고, 만족스럽지 못한 결혼에 대한 원인으로 자기 자신의 문제를 돌아본다는 점에서 작가의 높은 문학적 소양과 자기주도적인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화자에게 남편의 자리가 중요해지는 이유를 외로움에 대처하는 일련의 행동으로 설명하였다. 화자는 외로움을 고독으로 승화시키고,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하지만 고독 속에서의 자아 성찰과 유교적 제약으로 인해 화자는 마음 속 남편의 자리를 버릴 수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고산구곡가>의 구조와 창작의 의미

        조하연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6

        This thesis examines the contents and the structure of the <Gosangugokga> again and aims to understand what the creation of this work meant to Yulgok Yi I. I tried to read this poetry in concern with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Zhu xi and Yulgok at the time of the determination of the moving to Mui and Gosan Gugok, I have summarized it again, including the invitation to the people who will read this poetry. The main part of this poetry describes the life of study and appreciation of nature, but also reveals the intention of inviting back and forth of such introduction. In the front of the work, Moo-mi, imagined by the speaker, is not an escape of reality but rather a transitory space that can make a fundamental change in reality. It seems that Yulgok, who founded the Eunbyeong Jeongsa, intended to encourage mor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new practice space through this work. 이 논문은 <고산구곡가> 서사에 나타난 선언의 맥락과 본사의 구조와 내용을 검토하고 이 작품의 창작이 율곡에게 어떤 의미였는가를 재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무이구곡과 고산구곡에 복거를 결정하던 당시 주자와 율곡이 처한 상황을 서사에서 율곡이 추구한 새로운 실천의 실체를 확인하는 데 활용하고, 기존 연구에서 강조되었던 강학과 영월음풍이라는 요소들과 함께 동시대 선비들에 대한 동참의 권유라는 요소가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살펴보았다. 필자가 검토한 바에 따르면, 작품의 서사에서 화자가 상상한 무이는 현실의 도피가 아니라 오히려 현실에 근본적인 변화를 줄 수 있는, 우회적이나 적극적인 공간이다. 또한 작품의 본사는 고산구곡에서의 강학과 수양을 소개하면서도, 이러한 소개의 앞뒤로 동참을 권유하는 뜻을 반복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정사라는 교육 공간을 통한 현실의 변화를 추구하며, 율곡은 이 작품이 새로운 실천에 더 많은 이들이 동참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랐던 것으로 보인다.

      • KCI우수등재

        영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 양육참여가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하연,이주리 한국아동학회 2022 아동학회지 Vol.43 No.3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others of infants and the participation of fathers in raising the infants as perceived by the mothers, and a mother’s satisfaction of her role as a paerent. The infant stage is a period change, and the mothers go through a lot of stress during the stage. We will explore the ways to improve the role satisfaction in parents considering that it is a major change in their lives. Methods: Participants comprised 159 mothers of infa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y answered questionnaires on parenting stress,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n parents’ ro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parent’s role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a mother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her parenting stress and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The lower the parenting stress and the higher the father’s participation in parenting, the higher was the parent’s role satisfaction.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negative interac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the life factors of fathers, had a direct effect.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s how the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infants and the participation of fathers as perceived by mothers affect the mother’s satisfaction with her role as a paren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reduce the stress of the mothers raising infants in order to increase their role satisfaction, and fathers need to take an active part in nurturing the inf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