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선형 연결 구조를 가진 길의 공간구조 연구

        조택연(Cho, Taig-Youn) 대한건축학회 201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9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pacial structure of non-linear pathways. Compare with Gride street, non-linear pathways have more degrees of freedom of space, thus, the particle moving on the pathway has the possibility of a shorter route distance to reach destinations. Classically, the grid system has been the easiest to implement but is a confined to movement alo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axes. To reach a destination in a grid plan, the distance covered while traveling between two points is further than the direct path between them. In non-linear pathways, the distance is reduced by doing away with the grid plan and replacing it with an overlapping series of pathways that trace the linear path between points. While this reduces the distance traveled between points, this has an added benefit of allowing for shorter distances between points that are not represented by the paths. This paper offers insight as to why a non linear network offers greater efficiency of travel in a dense urban environment.

      • KCI등재

        버킷리스트를 통해 발견된 장소 호감에 관한 연구

        조택연 ( Cho Taig Youn ),김수민 ( Kim Soo Mi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장소 호감은 생존 자원과 관련된 공간 정보를 기억해 활용할 수 있도록 특수화된 인간의 기본적인 감성지능이다. 이러한 마음은 문명이 발생하고 도시가 생겨난 이후에도 여전히 장소에 대한 호감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통과 통신 수단의 발전으로 물리적 한계에 억눌려있던 요인이 해결되면서 여행 감성으로서 더욱 극대화되었다. 과거 식량을 획득하기 위해 끊임없이 서식지를 찾아다녔던 인류의 노마드 감성이 진화를 통해 현대 시대까지 이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인간이 어떤 장소에 호감을 느끼는지, 그 정서적 감성이 생성되는 구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생존의 범주로서 호감영역과 행위를 살펴볼 수 있는 버킷리스트 실험을 통해 장소에 대한 감성 지능을 발견한 것으로부터 출발하였다. 버킷리스트의 소망목록을 작성한 피험자들로부터 공간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로 이루어진 즉물적 호감이 아닌, 기억 회상을 통한 공간 호감 데이터를 얻을 수 있었다. 실험 결과, 장소 호감이 사람들의 보편적인 감성이며 경험한 공간의 기억과 새로운 공간을 탐색하려는 욕구로서 피험자들 각자의 자전적 경험기억을 토대로 기술한 다양한 소망을 엿볼 수 있었다. 즉, 장소는 특정 공간의 생존적 가치를 집단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단위인 것이다. 이는 장소 호감이 개인과 집단 기억의 장소 정보를 활용하여 공간의 의미를 이해하는 감성지능이자 중요한 생존자원임을 밝히려는 시도이다. 따라서 이러한 공간 감성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인간의 마음이 어떻게 생성되어 왔는지를 중점으로 다루는 진화심리학을 기반으로 장소호감을 해석해보고자 한다. 그 어느 때보다 장소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 만큼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지금 시점에,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진행될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로 이어져 활용되길 기대하는 바이다. Place attraction is a basic emotional intelligence specialized in handling spatial memory related to resources and survival. This quotient has been unchangingly expressed as an attraction for particular places, even after civilization progressed beyond hunter-and-gatherer days. As a matter of fact,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transportation, place attraction has found a new expressive channel in traveling. In the past, humans were forced to travel in order to obtain resources and shelter. Mankind retained that nomadic spirituality throughout evolution and the sentiment prove strong even today. This is why a study on why humans feel an attraction for which type of places, and how the emotional connection is formed, is necessary in the present era. This study started from discovering an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bucket list experiment, which can be used to analyze people``s favored spaces and behaviors as a form of survival. From study subjects who created bucket lists, place attraction data that was based on memory retrieval, as supposed to realistic attraction from direct observation, was gathered. The experiment results of this study states that place attraction is a universal emotion and a desire to remember experienced places and explore new ones. A wide range of personal hopes, based on each participant``s respective autobiographical memory, could also be glimpsed in the study results. In other words, a place is a unit of information that shows value of a particular space in relation to survival, which can be shared amongst a group. This study was an attempt to clarify place attraction as an emotional intelligence and an important survival method that helps individual and/or collective memory utilize place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space.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place attraction via evolutionary psychology approach, which focuses on how human mind was formed, to discern the structure of the sense of place. This work hopes to be a contribution to future studies in various academic disciplines that are actively researching placeness, now more than ever. This study explores Place Attra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bucket lists, a list of accomplishments or goals one strives to achieve before dying. Bucket lists often times are written by subjects as they reflect on their lives and select experiences that are associated with their interests. As a result, bucket lists are a prime resource for Place Attraction recognition as the items on the lists are chosen through won memory. Place Attraction will be further analyzed through an evolutionary psychology lens within the Pleistocene era, when human society depended on an effective use of spacial resource and cognition to survive as hunters and gatherers as individuals and groups.

      • KCI등재후보

        디지털 구매 환경에서 신뢰적 감성 구조에 관한 연구

        양슬기 ( Taig Youn Cho ),조택연 ( Seul Gi Y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9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발생한 현대의 디지털 구매공간은 제품에 대한 정보의 집중은 높지만, 감성의 교환은 결핍되었다. 그러하여 본 논문은 디지털 환경에서 구매자의 감성 구조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구매 공간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물리적공간과 비물리적 구매 공간의 구조 및 구매 구조를 분석 후, 이를 바탕으로 구매와 감성에서의 신뢰의 상관관계에대해 모색하고 신뢰 감성구조의 활성사례를 분석한다. 그리고 이러한 구매과정의 감정적 신뢰를 적용하는 디지털 구매 공간 프로세스를 중심으로제시한다. (결과) 본 연구는 구매공간의 변화에 따른 감성 구조를 분석하고 중요성을 파악하였다. 물리적 공간은 제품의 다양성은 부족하지만 정서적 감성의 형성이 높았다. 그에 비해, 비물리적 공간은 제품의 다양성과 집중도는 높은 반면 정서적 감성의 제공이 낮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감성이결핍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으로 디지털 환경에서 감정적 신뢰를 제공하는 구매공간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modern digital environment is based on digital technology. Purchas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product information are condensed, but there is a lack of emotional exchange. Therefore, this research explores how a gatherer`s structure of sensitivity applies to purchases in the digital environment. (Method) This research analyzes and organizes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elements of purchase spaces and identifies the worth of a structure of sensitivity.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in purchases and emotion in trust. And provided around the room by the process of applying the digital emotional by confidence in the purchasing process. (Result) This research found that a change in the purchasing space structure affects the buyer`s emotional states. Though physical spaces have far fewer products, they are richer as emotional spaces. Conversely, digital spaces have more products and rich product information but lack emotional space. In the future, rich emotional spaces for digital purchases should become the norm.

      • KCI우수등재SCOPUS

        아동의 유희적 발달환경에 대한 연구 - 후지유치원의 즐거움 놀이요소와 건축적 특징

        조인영(Cho, In-Young),조택연(Cho, Taig-Youn) 대한건축학회 202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40 No.3

        Childrens educational facilities play a vital role in shaping the daily environment during the critical period of brain development, ensuring the provision of suitable stimulation. This study focuses on Fuji Kindergarten as a case stud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 playful developmental environment for children. Drawing from evolutionary psychology and neuroscience, pleasure is recognized as a fundamental mechanism that drives responses to beneficial stimuli, essential for survival, the reward system and learning processes. Fuji Kindergarten exemplifies this by transforming its entire building into a playground, offering a joyful and immersive experience. Grounded in child development theory, evolutionary psychology, and neuroscience, this study explores various aspects. It investigates adventure activities that foster exploration and risk-taking, peer interactions promoting imitation and connection, observation and exploration activities nurturing curiosity, and appropriate stimulation fostering emotional attachment. Through analyzing the Fuji Kindergarten case, elements such as climbing pathways, incorporation of natural elements, strategic placement of manageable risk factors, spatial features encouraging peer collaboration, and a cyclical structure supporting emotional stability were identified. By examining the importance of enjoyment and spatial configuration methods,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insights into the spatial design direction for creating environments that encourage appropriate stimulation in childrens educational facilities.

      • KCI등재

        신경미학을 기초로 한 표상의 이해성(利害性) 가치에 대한 미의식 연구

        유욱(Liu,Xu),조택연(Cho, Taig You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인류는 생존에 유리한 신경 기제의 두뇌를 진화시켜 왔다. 맹수의 습격을 피하기 위해, 더 안전한 서식처를 찾기 위해, 먹을거리를 효과적으로 찾기 위해, 후손을 낳아 잘 키우기 위해서 섬세한 지능 활동이 필요하다. 이렇게 진화한 지능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며, 세상을 보고, 예술과 디자인을 생산하는 심미적 지능을 낳는다. 본연구의 목적은 이해성의 표상 가치를 판단하는 두뇌의 신경 활동을 디자인에 활용하는 것이다. 본연구에서는 이해성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인지신경과학의 이론을 기반으로 정리함으로써, 이해성을 나타내는 시각 정보 처리에 두뇌가 우선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시각 정보의 우선 처리 경로와 이해성의 심미적 감정의 관계를 명확히 했다. 이를 통해 표상적 공감을 얻기 위한 두뇌의 신경 기제를 사용한 디자인 방법을 탐구한다. 시각 디자인을 예시로, 공익 포스터 창작에 적용되는 8가지 유해성의 시각 요소를 요약했다. 다음으로 경관 환경설계에 적용되는 7가지 유리성으로서 공간 특징을 요약한다. 마지막으로 실내 공간 설계에 3가지 유리성 요소을 정리를 한다. 본연구는 이해가치의 판단에 대한 두뇌의 신경 활동을 탐구하고, 이를 만족하는 공간의 디자인 가치를 정리하였다, 조형을 경험 해 모방 하는 기존 디자인 방법보다, 이해를 인식한 디자인으로의 전환함으로써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사료 된다. Brain neural mechanisms of humans which are conducive to survival have evolved. Humans need careful intellectual activities to avoid the attack of beasts, to find a safer habitat, to find food effectively, for fertility and for generations. Such evolved intelligence is still used today, generating aesthetic intelligence to see the world, as well as to produce art and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the brain neural activity of interest’s characteristic value apply in design. First of all, this study elaborates the concept of interest, then based on the theory of cognitive neuroscience to find out that the brain gives priority to processing the visual information with interest. It cla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ority pathway of interest visual information and aesthetic emotion. Finally, it discusses the design method of using brain neural mechanism to obtain characteristic resonance. With visual design as an example, this paper summarizes eight disadvantageous visual elements suitable for public welfare poster creation. Next, it also concludes seven advantageous spatial features applied to landscape environmental design. Finally, it carries out three advantageous factors in interior space design. This study explores the neural activity of brain in judging the value of interest, summarizing the design value to meet such demand.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design methods like the original experiential and imitation , designing after transforming the interests into cognition can greatly improve the design efficiency.

      • KCI등재

        A Study on the Favor of Stairway Shape Based on Neuroaesthetics

        Wei, Ran Ran(위란란),Cho, Taig Youn(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1

        오랫동안 건물의 기본 구성 요소로서 단차(계단)는 공간을 연결해주는 기능뿐 아니라 미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었다. 거장들은 단차를 단순한 수직 통로로 건축에 종속시키는 것에 그치지 않고, 이를 독립적인 생명력을 지닌 조형 원소로 보았다. 형식미와 질서미를 함께 담고 있는 단차는 건축미를 강화함으로써, 사람과 건축이 ‘눈’으로 대화할 수 있게 하는 매개체이다. 과학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에 따라 단차의 기능적 가치는 점차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로 대체되고 있지만, 이로 인해 오히려 단차의 시각적 가치가 주목받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 대상은 단차의 형상이다. 관련 문현을 수집하여 관련 정보를 얻는다. 인지 과학적, 신경미학적 관점에서 단차 인지되는 시각적 구조를 해석하고 보편적인 원리를 요약한다. 단차의 가치를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이해하려고 시도한다. 연구의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 범위 및 방법을 기술한다. 2장은 신경과학적 관점으로 심미적 판단과 미의 일반적 구조로서 단차의 대칭 원리를 분석한다. 3장은 두뇌 시각 피질 작동메커니즘의 관점에서 단차가 인지되는 시각적 구조를 해석한다. 4장에서는 앞 두 장의 이론적 지식 내용을 기반으로 단차의 형상이 가지는 시각적 아름다움의 구성 요소와 단차 형상 호감의 구조를 분석한다. 단차에게 왜 호감을 느끼는지에 대하여 여러 이론적 시각으로 접근하는 것은 아주 실용적인 의미가 있다. 이런 원리를 파악하면, 미적 기준에 맞는 단차 디자인을 더 쉽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As the basic element of the building, the stairway can not only meet the needs of multi-functional space, but also meet the aesthetic needs of people. Not merely the performance of simple architectural functions, the stairway also has independent thinking and vital architectural elements,1) which can not only generate language, but also carry the beauty of form and order required by architecture. Stairway is also one of the mediums for dialogue between people and architecture with “eyes”. With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 functional value of stairway is gradually being replaced by escalators and elevators. But also because of this, the visual value of the stairway has been greatly sublimated. The object of this paper is stairway shape. Obtain information by collecting and related literature, and explain the structure of visual cogn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science and neuroaesthetics, and summarize its general principles. We try to understand the value of stairway shape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The first chapter of the paper analyzes the meaning, research content and research methods of this article. The second chapter analyzes aesthetic judg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neuroscience and the symmetry principle as a general law of beauty. Chapter 3 explains the visual cognition of the stairway for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perating mechanism of the visual cortex of the brain. The fourth chapter analyzes the elements of the visual beauty of the stairway shape and the reasons for the favorable impression of the stairway based on the theoretical knowledge content of the first two chapters. From different theoretical perspectives, it is easier to make design works that are more in line with people’s aesthetic standards by analyzing and researching the realistic meaning of people’s favor for certain stairway shapes, understanding and mastering the aesthetic rules and principles.

      • KCI등재

        An Hierarchical Explanation of the Perceptual Structure of Eyes that Appears in Primitive Artworks -From Humanities to Cognitive Neuroscience-

        Liu, Xu(유욱),Cho, Taig Youn(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4

        고고학 자료에 폭넓게 등장하는 예술적 이미지는 눈에 대한 의미를 강조하는데 이런 예술형식은 아시아, 미주, 아프리카의 전통 종교 등 인류학 재료 작품에서도 많이 발견된다. 이런 작품들은 모두 특별한 매력을 발산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디자이너는 이러한 눈 이미지를 감정 표현 방식으로 자신의 시각 디자인 작품에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포스터 디자인으로 활용하였다. 비록 이런 예술적 이미지에 담긴 주제 취향은 제각기 다르지만, 이런 과장되고 스타일 화한 눈 이미지 뒤에는 모종의 감지로 획득할 수 있는 감정 표현이 있다고 믿는다. 또한 눈빛 교감에 따른 강한 반응은 특정 뇌의 영역에 달렸다고 추측했다. 그러나 현재 눈의 형상예술에 관한 미학적 인식론과 그에 대한 미학적 원리에 대한 해석은 대부분 추상적인 개념 위주이고 섬세하고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근거가 부족하여 심미적 연구의 믿음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디자이너의 시각에서 바로 그 때문에 눈을 표현하는 예술품의 형식에 매료되고, 따라서 예술 창작은 표면적인 시각 구조만을 모방하게 된다. 이처럼 기존 인류학의 연구와 조사에 기초하여 역사적으로 나타난 대표적인 눈 형상 예술 작품을 분류하고 종합하였다. 다음 영장류의 인지 연구에서 성과를 정리하여 눈의 감지가 영장류 뇌의 특정구역 및 영장류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그리고 인지신경과학의 차원에서 앞선 연구와 문헌을 종합하여 눈을 바라보고, 눈동자를 관찰하는 행위의 심리적 메커니즘과 뇌의 원리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과학적 관점으로 예술 행위를 새롭게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미학 이론 연구에 눈의 형상을 활용하기 위한 과학적인 이해를 제공하고 미래의 예술 창작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The artistic images that appear in vast archaeological materials have showed the emphasis on the meaning of eye, the artistic form of which can also often be seen in anthropological materials such as the traditional religions in Asia, America and Africa. All of these works are of great unique charm. At the same time, these images of eyes as the expression of emotion are also been widely used by designers in their own visual design works, such as poster design. Although the connotations of these artistic images have different themes, the author believes that the exaggerated and stylized eye images have contained some certain emotions that have expressed by perceptions, and infers that the strong reaction caused by eye contact depends on certain brain regions. However, the existing aesthetic epistemology on eye image art and the analysis of its aesthetic principles are mostly based on general and abstract speculative conceptions and lack meticulous and tangible objective realities, making it less authentic and valid. From the perspective of designers, the above features can make designers to be attracted only by the form of artworks of eye images and then create artworks by just imitating its external visual structures. To sum up, this paper firstly has classified and summarized the representative artworks of eye images in history based on the existing anthropological studies and investigations. Secondly, Sorting out results in primate cognitive research and this paper concludes that the perception of ey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pecific regions of the primate brain and the primate society. Thirdly, this paper sorts out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and brain principles of eye movement behavior such as gaze and observ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gnitive neuroscience and in combination wit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aims to help people understand artistic behavior in a scientific way and provide scientific reference for the use of eye images in aesthetic theory research and in future artistic creation.

      • KCI등재

        Research on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Based on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Lyu, Xin(류신),Cho, Taig Youn(조택연)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3

        본 논문은 진화심리학과 인지신경과학 이론에 근거해서 진화론에서 미학 원리를 적용하여 시각 층위와 인지 층위의 심미 차이를 탐구하려 한다. 지금까지 대부분 심미 연구는 미의 감성과 정서, 미의 형식 등에 대한 반응이 단순한 주관적인 의식 판단으로 해석하는 단계에 머물러 있다. 그래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심미 판단의 인지 층위와 미의식 구조를 고찰하고 심미 의식의 발생 과정을 정리하며, 인지신경과학의 선행연구에 따라 심미 판단의 신경 구조를 분석하고 진화심리학 원리를 이용해 객관방면의 심미와 주관방면의 심미를 연구한다. 또한, 시각 층위와 인지 층위의 심미 판단 및 심미 차이에 대해 자연 과학적인 해석을 한다. 심미의 취향은 심리적 메커니즘이 어떠한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한 어댑터, 그리고 인류가 생존하는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중요 능력이다. 심미의 진화는 생물의 진화적 선택 작용 때문에 이루어지며, 군집 본능과 집단 심리의 공통적인 영향 하에 발전과 진화를 한다. 본 연구는 먼저 진화론과 미학 이론을 기초로 인지신경과학을 적용해 심미 판단의 진화와 심미 의식 구조를 설명하고, 진화하는 두뇌 구조가 심미 판단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한다. 다음은 감지와 인지의 신경 구조적 관계, 심미 의식과 경험의 관련성 등을 통해 시각 층위의 심미 판단과 인지 층위의 심미 판단의 구조를 찾고 두 층위의 범위와 요소들에 대해 개괄한다. 마지막에 두 층위의 심미 차이 검증적 실험을 해서 두 층위의 심미 판단 차이를 분석한다. 실험 결과가 시각 층위와 인지 층위의 심미 차이는 존재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심미 판단은 시각 층위의 심미 판단과 인지 층위의 심미 판단 두 단계로 통괄할 수 있다. 연구 결론은 심미 판단의 두 층위에서의 구조적 프레임을 총괄하였다. 본 논문의 심미 판단의 차이에 관한 연구 결과는 현대 사회에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심미 현상에 대해 합리적인 해석을 내릴 수 있으며, 예술과 디자인의 실천을 위한 이론적 도움을 제공하며, 미학 연구에 심미 판단의 인식 구조를 위한 새로운 사고의 방향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thesis based on the theory of evolutionary psychology and cognitive neuroscience, with aesthetic theory studies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in the context of biological evolution theory. Currently, most studies on aesthetic still lie on aesthetic perception, aesthetic emotion, and aesthetic form, which interpret the aesthetic response as only subjective consciousness judgment. So this research aims to clarify the cognitive and aesthetic consciousness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and analyze the process of aesthetic, and according to prior research of cognitive neuroscience analyze the neural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Use the principle of evolutionary psychology to study objectivity aesthetic judgment and subjective aesthetic judgment. And make a natural scientific explanation for the aesthetic judgment and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Aesthetic preference is an adaptive mechanism designed b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o solve specific problems. Aesthetic judgment is a crucial capability for human survival and adaptation to the environment. It develops and evolves on the choice of biological evolution, and the basis of the combined influence of social instinct and group psychology. In this study, the evolutionary and aesthetic theory is used as the basis, and cognitive neuroscience is applied to explain the evolution of aesthetic judgment and the structure of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evolutionary brain structure on the aesthetic judgment. The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eural structure of perception and cogn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aesthetic consciousness and experience, summarizes the structure of aesthetic judgment i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as well as the scope and elements of the two aspects. Finally, two aspects of aesthetic difference verification experiments a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fferences of aesthetic judgment between the two aspects. The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e aesthetic differences between visual and cognitive aspects. The final aesthetic judgment can be summarized into two aspects, namely, the aesthetic judgment of vision and the aesthetic judgment of cognition. The research conclusion summarizes the structure of the two aspects of aesthetic judgmen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on the aesthetic judgment can give a reasonable explanation for the aesthetic phenomena prevalent in modern society. Provide theoretical help for the practice of art and design, and provide a new way of thinking for the understanding structure of the aesthetic judgment in aesthetics research.

      • KCI등재

        형상 문법으로 생성된 조형에서 느끼는 미의식의 구조 연구

        위란란(Wei, Ran Ran),조택연(Cho, Taig Youn)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1

        형상 문법은 건축 조형 생성에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다. 하지만, 좋은 건축양식은 미적 가치도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형상 문법에 의해 생성된 조형의 미적 매력 정도는 일관성이 없다. 본문은 형상문법으로 생성된 조형이 왜 미적 매력의 차이를 보이는지, 미적 매력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형태 특징을 탐구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형상 문법에 의해 생성된 21가지 조형을 시각적 자극의 대상으로 한다. 331명의 피험자가 판단 과제(미적 매력 판단)와 평가 과제(미적 매력의 정도 평가)를 수행하도록 했다. 설문조사의 결과는 형태 방향의 종류, 최종 조형의 경계 수, 공간의 형태가 미적 매력의 판단과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상 문법을 이용하여 조형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지정된 형태의 특징을 구속함으로써 조형이 더욱 미적 매력적일 수 있다. Shape grammar has encouraging implications for the production of architectural forms. However, the architectural form must also have aesthetic value. But, shape grammars generate architectural forms with inconsistent degrees of aesthetic appea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why forms generated by shape grammar differ in terms of aesthetic appeal, and shape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judgments of aesthetic appeal. In this study, twenty-one forms generated by shape grammar were used as visual stimuli in a questionnaire survey. 331 participants were asked to perform a judgment task (judgment of aesthetic appeal) and an evaluation task (evaluation of the degree of aesthetic appeal).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how that shape orientation, the number of edges in the final form, and the type of space have an impact on the judgment and evaluation of a shape’s aesthetic appeal.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forms using shape grammar, by constraining shape generation to include these specified elements, the generated shape is more likely to be viewed as aesthetically appealing.

      • KCI등재

        사바나 시각 감성에 기반한 스트레스 이완 조형 구조 연구

        정유진 ( Jung Yu Jin ),조택연 ( Cho Taig Yo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도시 환경에서 시각적 요인들에 의해 과도하게 지속되는 긴장은, 신경과 생리적 병증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지적된다. 과도하게 축적된 스트레스가 적절하게 이완되지 못하면, 신체는 심리적 그리고 생리적 이상 상태에 빠진다. 인류가 진화해온 아프리카 사바나 환경 역시 포식자의 공격에 대비해야하는 것 같은 긴장 요소들을 가졌지만, 이와 동시에 다양한 자연적 이완 장치들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진화심리학적 고찰을 통해서 물리적 그리고 심리적 활동이 생존에 영향을 끼쳐, 인류 마음으로 적응되었음을 살펴보았다. 생태학자 고든 오리언스(Gordon Orians)의 서식지 선호에 관한 ‘사바나 가설’을 보면, 인류는 자연환경 중에서 낙엽 숲, 침엽수림, 열대우림, 사막보다 사바나 환경을 가장 선호한다는 실험결과가 있다.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자연의 치유 요소는 주로, 경관, 산림, 원예 등 환경적 측면에 머물렀다면, 본 연구는 자연의 형상 질서를 통해 이완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인류는 사바나 환경에서 나무를 보호의 수단으로 사용하며 진화해 왔으므로, 나무의 기호로서 조형성을 인지하는 신경 과정이 긴장을 이완시킬 수 있음을, 특히 프랙탈 구조 중 나뭇가지의 분지(Bifurcation)의 패턴이 주는 자연의 형상 질서가 이완환경을 제공할 수 있음을 제안한다. 현대 도시의 카페 내부나 주거 공간 안에 조형디자인의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스트레스 자극환경을 줄이는 사례들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연의 형상 질서의 형태인 자연 모방적(Biomimcry)인 요소가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도출하고자 한다. In city environment, excessive and continuing tension triggered by visual factor is considered as the cause of nervous and physiological disease. If excessive and accumulated stress is not properly released, body turns in to psychologically and physiologically abnormal condition. African savannah where human being survived has tension factors such as avoiding predator``s attack, however, it has a variety of natural relaxing devices at the same time. By considering evolutionary psychology, this study reviews the result that physical and psychological activities affected survival of human being and this is reflected in human mind. In theory of "Savanna hypothesis" about the Habitat preferences of the Ecologist Gordon Orians, it proved that human being preferred Savannah environment than deciduous forest, coniferous forest, tropical rain forest and desert in nature environment. Existing studies are limited to environmental aspects such as landscape, material, tone, outdoor facility, forest and horticulture for natural healing element,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tension can be eased through shape of nature. This study suggests that human being evolved using tree as protection tool in savannah and provides an idea that nervous process that recognizing tree as a symbol can release tension. Particularly, the pattern of branched tree among fractal structure can be the factor as a relaxing environment. We survey the cases of reducing stress environment by applying the structure of the plastic design in the inside of cafe of modern city and residential space. And we will study how the Biomimcry factor in shape the natural order of things has been applied in plastic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