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성 발현체로서의 시조의 역동성

        조태성(Jo, Tae-Seong) 한국시조학회 2015 시조학논총 Vol.42 No.-

        시조의 역동성은 한때 그것이 ‘닫힌 성격’의 장르였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오늘날 바로 그 ‘닫힌 성격’ 덕분에 여러 분야에서 재조명되고 있다. 문학이라는 본래 영역은 물론이거니와 때로는 글쓰기 학습에도 원용되는 사례들도 있었다. 더욱 두드러지는 사례는 시조가 문학치료, 나아가 감성치유의 영역에서 곧잘 언급된다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런 재조명 과정의 하나로 감성 발현체로서의 시조의 역동성을 논의하였다. 문학 장르로서의 시조가 가지고 있는 서정성을 넘어 서정이라는 그릇으로서의 시 안에서도 감정이나 정서뿐만 아니라 이성적인 것들 또한 얼마든지 상호 공유될 수 있다는 점을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였다. 물론 서정성이라는 개념이 시조의 역동성을 스스로 제한해버리는 한계를 노출시킬 수 있다는 점도 분명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 주로 언급하는 ‘감성’이라는 키워드 역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시조가 가진 역동성을 최대한 드러내 보이려는 시도에서 사용되었다. 즉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감정 혹은 정서에 치중한 면이 강하다고 평가되었던 시조의 감성적 기질에 더해 그것이 가지고 있던 이성적 면모까지를 함께 살펴봄으로써 시조라는 장르가 인간의 감성을 가장 역동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던 것이다. 물론 이런 감성적 기질과 이성적 면모는 시조의 구조를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① 맞서게 하기, ② 역동적으로 느끼기, ③ 느낌으로 호명하기, ④ 느낌으로 느끼기’ 등으로 구조화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해보기도 하였다. Dynamics of Sijo was regarded as a genre of ‘closed nature’ once. But ironically thanks to the ‘closed nature’, today dynamics of Sijo is refocused in diverse fields. Sijo is quoted not only in its original field of literature, but also in writing study. Quite remarkably, it is often referred to in the field of literary therapy, further in emotional healing. This article discussed the dynamics of Sijo as a manifestation of emotion especially called Gamsung in the process of the refocus. It is to show effectively that as a literary genre, Sijo can interact and share what is reasonal as well as what is emotional and sentimental in a poem as an emotional container beyond the lyricism Sijo has. Of course, it is also clear that the concept of lyricism may limit the dynamics of Sijo itself. Thus, the key word ‘Gamsung’ mainly referred to in this article was used to show the dynamics which Sijo has as much as possible, overcoming the limitation. That i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e that Sijo is the genre to represent human emotion most dynamically by reviewing the reasonal aspect of Sijo in addition to its emotional disposition which has been estimated to focus on sentiment or emotion. In the process of reinterpreting the structure of Sijo, the specific analysis on such emotional disposition and reasonal aspect was conducted by structurizing that as ‘① Facing, ② Feeling dynamical, ③ Interpellating by feeling, and ④ feeling by sensation’.

      • KCI등재

        시조의 외국어 번역에 관한 시론

        조태성(Jo Tae-Seong)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1 No.-

        본고에서는 시조의 번역에 있어 의미화의 직접적 매개라고 할 수 있는 시적 감성의 정확한 전달에 필요한 번역 방식을 논구하고자 하였다. 이에는 시조의 형식적 특성과 그것 안에 함의된 감성 구조를 이해하였다는 전제 아래, 전체 율격을 고려한 시어의 배치, 套語의 활용, 장 배치의 환원 동의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먼저 율격을 고려한 시어의 배치는 시조가 가진 3ㆍ4조 내지 4ㆍ4조의 4음보라는 율격적 격식을 반영하고자 함을 말한다. 그리고 투어의 활용은 종장 첫 음보의 번역에 있어서의 활용을 의미하며, 장 배치의 환원은 의미 전달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식으로 장을 재배치해야 한다는 의미가 되겠다. 시조를 번역하는 데 있어 그 형식적 요소를 규제해야 한다는 점만은 분명한 듯 보인다. 이러한 규제가 특히 현대시조를 창작하고 비평하는 한 가지 기준이 된다면 번역은 장차 더욱 쉬운 작업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런 이유로 시조의 번역을 제안하면서 몇 가지 전제와 요건을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첫째, 시조의 종장 첫 음보에는 그 형식에서뿐만 아니라 의미상의 구조까지도 염두에 둔 용어가 활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투어를 개발하고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시조의 내적 구조를 의미의 연결이라는 측면에서 간과하지 않아야 한다. 1개의 시조는 많게는 6개, 적어도 3개의 의미 단락을 구성해야 시조의 미학적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셋째, 시조를 시조답게 번역하기 위해서 -번역된 작품이 시조임을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가곡창의 노랫말 배열 방식이었던 5행의 방식을 차용해야 할 것이다. 5행의 배열 방식은 시조의 형식적, 의미적 가치를 가장 돋보이게 하는 형식이라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I attempted to translate Si-jo into a foreign language on this essay. In this process, it is seemed to clear that we regulate the formal element in translating of Si-jo. If this regulation is to be a standard criticism on the modern Si-jo, the translation will be an easy work. According to this point, I propose this translation as follows : First, we must use a term that is considered the construction of meaning besides to its type in the first tribrach on the last of the 3 verses of a Si-jo. For this work, it is desirable for our to develope and practical use the regulated words[套語]. Second, we have to watch the intrinsic construction of Si-jo. We must compose six meaning frame or at least three meaning when we write Si-jo works. So that, Si-jo must to be recognized its aesthetic values. Third, we must arrange the verse of Si-jo as the form of 5 lines for translating, like a traditional Si-io. The form of 5 arranged lines was the form of Gagok-chang[歌曲唱].

      • KCI등재

        한국애정시 전개 논의를 위한 몇 가지 전제와 양상

        조태성 ( Tae Seong Jo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글은 사회적 감정이라고 회자되는 사랑을 이른바 ‘전근대’라는 시공간에 투사하여 한국 애정시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몇 가지 기준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현재까지 우리 애정시를 살펴보는 명확한 관점이 미약하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는 애초 ‘애정시’에서의 ‘사랑’을 어떤 객관적 기준으로 정의하지 못했던 데서부터 비롯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사랑’의 객관적 정의에서부터 비롯하여, 이런 정의를 토대로 우리 애정시의 전개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몇 가지 관점을 제시하고자 했던 것이다. 물론 이런 과정에서 사랑의 당대성과 애정시에서의 타당성에 대해 논구하는 하는 일도 가능하리라 판단하였다. 이런 관점 아래에서 결국 우리 시대 애정시의 표상감정은 ‘체념’ 혹은 ‘기다림’ 그리고 그로 인한 ‘슬픔’에 귀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이 시대의 사랑은 적어도 문학적 측면에서는 슬픔으로서만 표상되는 것이 아닐까 한다. 이런 현상으로 미루어 보면 우리 애정시의 정서적 특징은, 전근대와 근대를 막론하고 사랑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것으로 인해 파생된 복합감정을 표출하는 것에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결론은 애정시에 나타나는 사랑이 박제화된 감정으로 오인될 가능성을 안고 있다. 전근대 시기의 사랑의 의미가 문화적(혹은 사상적) 변이에 따라 영향을 받은 것은 확실해 보이지만, 결국 비극적 감정으로 표출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영향 받은 비극적 감정을 두고 사회적 감정이라고 말하기도 어려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대 애정시에서의 사랑은 사회적 감정이다.’고 말할 수 있는 까닭은 동일한 표상감정의 층위임에도 불구하고 사랑을 노래하는 행위가 지향하는 바는 확연히 달랐다고 보기 때문이다. 즉, 전근대의 그것이 개인적 감흥의 극대화를 지향했다면, 우리 시대의 그것은 사회적 공감의 극대화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대한 근거 역시 우리 시대 애정시의 주체를 보다 면밀히 추적하는 과정에서 좀 더 명확히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writing is tried to present some standard of developing aspect of korean affection poetry projecting time space called post-modern which is remembered as social emotion. because It is judged that clear viewpoint about our affection poetry is weak until now. this problem is started from reason that ‘Love’ could not be defined by any objective standard in affection poetry. thus, This writing endeavor to present objective definition of ‘Love’ and viewpoint that can research our developing aspect base on this definition. absolutely, It is possible to argue about Love’s (being one generation) and validity in affection poetry. Under this viewpoint, affection poetry’s symbol emotion in our age is concluded ‘resignation’ or ‘waiting’ and ‘sadness’ by them. so Love in this age is at least presented as sadness in literary side. our affection poetry’s emotional feature through this situation is not existed itself whatever post-modern or modern but It can say that complex feeling is expressed through it. However, these conclusion has a ability to mistake that Love presenting in affection poetry is fixed. meaning of Love seems to be affected by cultural(or ideological) in post-modern, but most of case was expressed to tragic emotion.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ragic emotion affected from them is social emotion. That is to say, If it in post-modern seek personal inspiration’s maximization, it in this age seek social sympathy’s maximization. the reason is expected to be revealed more clearly in processing to research detailedly subjects of affection love in our age.

      • KCI등재후보

        울(鬱)과 한(恨)의 접점 혹은 변주 -<아리랑>과 <가시리> 텍스트를 중심으로

        조태성 ( Jo Tae-se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6 감성연구 Vol.0 No.13

        이 글에서는 ‘울’과 ‘한’의 감성적 개념을 되짚어 보고, 이들 사이의 경계를 드러내어 감성시학의 한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먼저 이들 사이의 감성적 경계가 어느 지점에서 생겨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지점을 ‘발현 양상의 차이’와 ‘발현 상황에 대한 대처’에서 찾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차이에서 드러나는 울과 한의 접점과 변주의 양상을 텍스트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이 글에서 말하는 접점이란 구체적으로 울과 한이 겹쳐지는 지점의 노래, 즉 하나의 노래에서 울과 한의 양상을 동시적으로 해석해낼 수 있는 경우임을 살펴보았다. 두 개의 감정이 서로 습합의 단계에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일정한 경계를 이루고 있는 양상이라고 본 것이다. <아리랑>에서 이런 현상을 보다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는데, 받아들이는 수용자의 입장에 따라 ‘우울의 정서’가 될 수도 있고, ‘한의 정서’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그런 점에서 <아리랑>은 이중주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변주란 울이 시간적 측면에서 한으로 이행되지 못하고, 오히려 발현적 측면에서 분노나 혐오, 원망 등으로 전이되는 양상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즉, 한 노래를 두고서 ‘울’의 정서냐 ‘한’의 정서냐를 따지는 것이 아니라 ‘울’과 ‘한’의 접점에서 한쪽으로의 전이가 이루어졌느냐 그렇지 못했느냐를 살펴보자는 의미에서의 변주였던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가시리>에서 발현되는 정서는 상실의 상황에 처한 채 그것을 해결할 수 없는 화자의 답답함과 울굴, 우울이라고 보았다. 실제로 이러한 정서가 텍스트 내에서 원망의 정조로 발현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실 특정 텍스트를 통해 ‘울’과 ‘한’이 명확한 양상으로 드러나는 경우를 찾아보는 것도 그리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그렇더라도 추후 이들 정서에 대한 좀 더 정밀한 문학적·철학적 성찰이 비판적으로 전개된다면 우리 고전 텍스트를 읽는 또 하나의 방식을 이끌어낼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 In this article I wanted to review the emotional concept of ``Wool[鬱]`` and ``Han[恨]``. Based on this result, I tried to examine the aspect of variation and the contact point of ``Wool`` and ``Han`` through text analysis. First, the contact point is specifically mentioned in this article means to the song of the points of overlap with ``Wool`` and ``Han``. It means a case that the aspect of ``Wool`` and ``Han`` analysis to pull simultaneously in a single song. The two emotions are not biased towards any one and are the aspect that make up the regular boundaries. I could see this phenomenon in the < Arirang > more directly. Also, I thought that ``Wool`` did not spread to ``Han``, rather that it was transferred to the anger, hate, resentment was variation. In that sense, it made the < Gasiri > as the main analysis. In fact, even look up when exposed to the aspect ``Wool`` and ``Han`` clear through the specific text will not be easy. Even so, if we critically deployment the more precise literary philosophical reflection of these emotions, we would be expected to lead to another way of reading the classic tex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텍스트를 통해 본 발분 메커니즘

        조태성(Tae-seong Jo)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13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10

        이 글은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발분(發憤)’에 주목하였다. 필자는 분노의 대상이 개인적인 경우라기보다는 공공적인 것들에 대한 경우를 특히 발분이라고 가정한 까닭에 그 발현과 이후의 양상까지를 비교적 구체적으로 포착할 수 있다고 보았다. 대개 논리를 초월한 통분의 마음, 눌러도 누를 길 없는 감정이 격한 토로로까지 나가게 된 것이 텍스트를 통해 볼 수 있는 ‘발분’의 양상이다. 물론 이런 양상은 개인의 분노에도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 논리를 초월하는 정도의 고저를 감안한다면 이런 양상은 보통 개인적 분노가 아닌 ‘발분’으로 귀속된다는 점을 설명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 글에서 설정한 ‘인(因)?출(出)?소(消)?여(餘)’는 발분을 말하기 위한 일종의 흐름이자 패턴이라고 할 수 있다. 메커니즘이라고 하여도 무방하다. 이런 개념을 설정한 까닭은 개인적 분노의 대상은 가릴 수 없지만, 발분의 대상은 어느 정도 구별된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즉, 발분의 대상은 결코 개인적이지 않다는 것이 일반적인 분노의 표출과는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런 특성을 드러내기 위해 이 글에서는 특히 ‘발분은 어디에서 오는가[因], 발분은 어떤 양상으로 발현하는가[出], 그 해소의 방식이나 해소된 듯 보이는 지점은 어떠한가[消], 그 남은 지점은 또한 어떠한가[餘]’ 등에 대해 각각 텍스트를 선정하여 세밀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런 결과들이 발분 메커니즘의 한 사례로 적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해 가능성을 모색하기도 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indignation’ shown in literary texts. As the study supposes indignation especially as the public aspects of anger, it was possible to catch concretely its starting moment as well as what follows after. The aspect of ‘indignatio n’ we see through a text refers to a kind of vexation transcending logic and reason, and an expression of intense negative emotion which cannot be controlled. Of course, such aspects can be also applied to personal anger; however, the study reveals that the aspect that is usually described of ‘indignation’ rather than personal anger, considering the high probability of its transcending logic and reason. The words ‘In(因)?Chul(出)?So(消)?Yeo(餘)’ set in this study uncover a flow or a pattern expressing indignation. It also can be regarded as a mechanism. The reason of setting the schematic words is that, while the subject of private anger is difficult to analyze, public indignation can be discriminated to some extent. To show such characteristics, this study attempts at detailed analysis of some texts showing the following schematic concepts: Where does indignation rise from?[因]; What kind of form does indignation take [出]?; What is the method of solution? Or, what is the point of [seeming] abatement?[消]; How is it like when it is all over?[餘] Finally, the study reviews the feasibility whether the result can be applied as a case of indignation mechanism.

      • KCI등재

        호남의 문화공간과 풍류 그리고 공감장

        조태성 ( Jo Tae-seong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2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5

        이 글은 전통시대 호남의 대표 문화공간으로서 모정과 누정을 다루었지만, 그런 공간들의 상황을 단순히 나열하고 분석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다양한 층위의 공간으로서 그것들이 가 진 원초적 성격을 탐색하고) 어떤 양상으로 계승되어 왔으며, 또한 현대적 관점에서 어떻게 재해석될 수 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먼저 정치ㆍ문화공간으로서의 모정과 누정에 대해 그 현대적 개념과 성격을 일 별한 다음, 전통시대 모정의 양상에 대해 기록을 통해 천착하였다. 나아가 모정이 누정으로 대체되는 지점과 그 안에서의 풍류의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다층 혹은 중층공감장으로서의 모정에 대한 현대적 해석 가능성에 대해서도 제안해 보았다. 대개 추상적 개념으로 사용 되어 왔던 ‘풍류’의 어떤 지점들을 지금 무리의 삶에 투영할 수 있는지에 관한 가능성을 모정 문화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의도였다. This article has studied Mojeong[茅亭]and Pavilion[樓亭]a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spaᄑce of Honam in the traditional period. But I did not simply list or analyze the situation in such spaces. Rather, I studied the primitive character of various spaces and how they have been inherited, and how they can be reinterpreted from a modem perspective. Thus, first of all, I examined the modem concept and character as a political and cultural space. And I have learned about aspects of Mojeong[茅亭] in the traditional period Furthermore,I looked at the point where Mojeong[茅亭] is replaced by Pavilion[樓亭] and the pattern of Pungryu[風流] in it. Through this, I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modem interpretation of Mojeong as a multi-Sympathetic field[共感場]. The intention was to examine through the pavilion culture for the possibility of what points of Pungryu[風流], which has been used as an abstract concept, can now be projected into our lives.

      • KCI등재

        ‘산-바다’의 공간 기호와 욕망의 진퇴

        조태성(Jo Tae-seong) 국어국문학회 2010 국어국문학 Vol.- No.156

        This study tried to consider the process of the movement of desire for power concentrated on the spatial symbol of 'mountain-sea'. In this processing. I could find out the fact that the change of literal emotion seemed to clear. but the desire of power for all his life didn't change. Also. I could make clear that his aesthetic consciousness never stay at the self-perception. 〈Manheung〉 is a good case for this fact. I think that this work seemed to make for the beauty of nature externally. but it can be considered to the desire for power internally. Eventually. he succeed to express his political emotion to recognize his 'intentional closing'. As mentioned above. we could understand that Gosan succeed to show the difference between closing to opening by choosing the spatial symbol of 'mountain-sea' as well as to express his desire for power through his Sijo.

      • KCI등재

        고시조에 구현된 물[水]의 심상

        조태성(Jo Tae-Seong) 한국시조학회 2008 시조학논총 Vol.29 No.-

        본고는 고시조에 구현된 ‘물[水]’의 정서가 어떠한 것인지, 그리고 그것이 시조를 통해 구현되었을 때 그 심상의 표출은 어떠한 양상과 의미를 가지는지 논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물은 〈공무도하가〉를 시작으로 일차적으로 ‘경계’의 정서를 가진다. 여기에서 경계란 만남 혹은 헤어짐의 지점을 뜻한다. 그것은 곧 사랑이며, 사랑은 마음과 마음의 경계 속에서 행해지는 만남 혹은 헤어짐과의 마주침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의 경계는 순전히 ‘사적 영역’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성리학이 국가의 근간이 되었던 시점부터 물은 또 다른 정서를 대변하게 되었다. 시조의 주 향유층이었던 이들의 사상적 근원은 성리학이었다. 따라서 시조는 이러한 사상과 무관할 수 없었으며, 시조에 구현된 ‘물’의 정서 또한 이러한 사상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이때부터 물이 가진 ‘不斷’, ‘恒常’과 같은 특성은 선비들의 생각을 대변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되었다. 따라서 물은 곧 ‘修身’의 매개체가 되었고, 이는 ‘공적 영역’에서 행해질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관점 하에서 본고는 우선 우리 시가에 내재된 물의 정서는 어떠한 모습인지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경계’와 ‘수신’을 중심으로 그 심상의 표출 양상과 의미가 무엇이었는지를 논구하였다. 그것은 사적 영역에서 만남과 헤어짐의 마주침이었고, 공적 영역에서 군자의 길을 찾아가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to the emotion of Water[水] embodied on Sijo. And,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what types is an expression on its image when it is embodied on Sijo. Water has an emotion of the 'boundary'. In this point, the boundary means a spot of meeting or separating. It is love. Accordingly, we can speak this boundary belongs in the personal field. In addition, Sijo could not was unrelated with the Confucianism. In this point, Water was a mediation between the moral training to the writing, and we can speak this belongs in the public field.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in the first place, examined on the emotion of Water[水] involved in our traditional poetry. And, concentrated on the boundary and the moral training, I made a study of what is its meaning and its types of expression. That was love in the public field and the morality in the public field.

      • KCI등재

        누정원림연구의 지향과 가치 ― 차경(借景)과 풍류(風流)를 중심으로 ―

        조태성 ( Jo Tae-se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3 호남학 Vol.- No.74

        이 글은 누정원림연구가 지향해야 할 방향과 그것이 가진 의미를 천착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먼저 문헌조사를 토대로 누정원림 개념에 대해 재검토하였다. 그 결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관련 개념들이 현재적 관점으로 가공되어 매우 협소한 개념으로 변질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누정원림 조영(造營)의 초기 방식과 확산의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는 두 가지 매개에 주목하였는데, 바로 ‘차경’과 ‘풍류’였다. 차경이 어떠한 방식으로 누정원림 조영에 매개가 되었는지, 그리고 차경은 어떻게 풍류를 이끌어낼 수 있었는지에 대한 논증이었다. 그 결과 누정원림 조영의 확산은 누정이 차경을 수용함으로써 원림의 개념과 조영의 범위 또한 확산되었음을 의미하며, 그 과정에서 비롯한 예술적 지향이 강호가도의 완성에 있었음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차경이라는 행위 또한 본질적으로 예술적 지향을 품을 수밖에 없으며, 적어도 문학적으로는 시적 풍류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이 바로 누정원림이 가진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Outstanding Universal Value)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하였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rection that Nujeong-Wonlim Study should pursue and its meaning. In order to achieve this study purpose, this article first reviewed the concept of Nujeong-Wonlim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ed concepts currently in use were processed into the present point of view and transformed into very narrow concepts. Next, the initial method of the operation of Nujeong-Wonlim and the aspect of its spread were examined. In this process, two mediators were noted: ‘Borrowed landscape[借景]’ and ‘Pungryu[風流]’.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the spread of the operation of Nujeong-Wonlim meant that the concept and the scope of the operation of Wonlim also spread by Nujeong's acceptance of Borrowed landscape. In conclusion, it was intended to prove that the act of Borrowed landscape also had an artistic orientation in nature and could be realized, at least literary, through poetic Pungryu. This is because this study process was expected to be an alternative to sufficiently secure the outstanding universal value(OUV) of Nujeong-Wonli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