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珈山鄭寅準의 生涯와 漢詩

        Jo Chang Gyu(趙昌奎)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4 No.-

        이 글은 19세기 말 20세기 초 지방 중에서도 주변부로 인식되었던 한반도 동남부의 끝에 위치한 機張에서 평생을 살았던 東萊鄭氏寅準이라는 인물의 삶과 한시에 대한 管窺다. 대개 특정 인물과 문학을 연구하는 이유는 지성사적 가치나 문학사적 가치에 초점을 맞추기 마련이다. 하지만 특정 인물과 문학의 가치가 꼭 이 두 가지로 평가받아야 할 이유는 없다. 가치라고 하는 것은 어느 지점에서 어떤 이유로 접근하는가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기장이라는 주변부는 밖에서 볼 때와 안에서 볼 때 가치가 달리지고, 정인준이라는 인물은 지역민이 바라볼 때와 외부인이 바라볼 때 중요도가 달라진다. 이러한 시선의 전환을 통해 가산 정인준을 바라볼 때, 그는 벼슬을 하지도 못했고 위대한 저술을 남긴 인물이 아닐지 몰라도, 기장이라는 지역에 있어 빼 놓을 수 없이 중요한 인물이며, 이 인물을 통해 다시 기장이라는 지역은 가치 있는 지역으로 변모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시를 통해 살펴 본 그의 삶은 자신의 삶은 물론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을 사랑하며, 교유하고 있는 지역민들과 함께 지역의 문화와 예속을 진작시키기 위해 노력한 인물임을 알 수 있었다. 너무나 당연한 결론에 도달한 것처럼 보일지 모르지만 우리가 자신을 둘러싼 주변에 대해 자신과 다르거나 관련이 없다는 이유로 얼마나 그 가치를 폄하해 왔는지를 생각해 본다면 가산 정인준의 삶과 한시를 통해 반성할 지점이 없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The study relates to jeonginjun(鄭寅準). He is a person who lived in Gijang-gun(機張郡)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end of the 19th century. He is not an important figur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history. But the important figure for those who remember him. He loved the area in which he lives. So he wrote a poem about the nature and people of the area where he live. His poem was about the cultural landscape, about the people and drinking, about the order of nature. So he and his poetry is an important cultural resource of Gijang-gun.

      • KCI등재

        濂洛風 漢詩로서의 林居詩 硏究

        趙昌奎 (Jo, Chang-gyu)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中國 宋代 濂洛詩派의 漢詩는 조선조 성리학자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염락풍 한시의 창시자로 알려진 邵康節의 「首尾吟」과 그의 詩論인 觀物論은 首尾吟體와 觀物詩라는 독특한 장르화 현상을 낳았으며, 朱子의 「齋居感興」 20首와 「雲谷雜詩」12首 등도 感興詩와 登山詩라는 새로운 시의 유풍을 형성하게 하였다. 이러한 영향 아래에서 새로운 조선적 濂洛風詩의 한 유형이 탄생하게 되는데, 바로 林居時이다. 임거시는 염락풍의 意象을 채용하여 자연의 시공간 즉, 四時運行과 林居의 空間을 心性論의 측면에서 형상화하였다. 또한 林居의 삶을 통한 觀心과 存養의 修養法을 자연의 사물로 換喩하여 上達天理를 지향하는 작시자의 정신세계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시적 성취가 탁월한 염락풍 한시의 한국적 전형을 확립하였다. 이에 본 논문은 林居詩의 독법을 제시하여 唐詩風의 자연시나 산수시와는 구별되는 염락풍 한시의 특징을 조명해 보았다. Chinese poem of Yeomraksipa[濂洛詩派;Group of poets who is new confucianist who lived in Yeomrak locality] is Exercised big influence on scholars of the Choson Dynasty. Guanmulsi[觀物詩;Chinese poem that express gotten philosophical substance observing things] and sumieum[首眉吟;Form of Chinese poem that first phrase and end phrase are same] of Choson Dynasty received effect of Sogangjeol[邵康節;It is China poet's name]'s sumieum[首眉吟] and Guanmulron[觀物論;Theory that get philosophical that realize observing things]. Jaegeugamheug[齋居感興;Title of Chinese poem that Juja creates] and Ungokjapsi[雲谷雜詩;Title of Chinese poem that Juja creates] of Juja[朱子] influenced in appearance at gamheugsi[感興詩;appears to lyric of deep emotion] and duengsansi[登山詩;Chinese poem that express philosophical emotion which feel going up a mountain]. As korean Yeomrakpung[濂洛風;Atmosphere of Chinese poem that Yeomrak local new confucianists create] Chinese poem was gotten born receiving these effect, it is Imgeosi[林居詩;Chinese poem that express philosophical inner space that feel living in forest]. Because Imgeosi applies mental image of Yeomrakpung Chinese poem, Imgeosi was created. Imgeosi expressed change of seas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feel poet living in forest philosophically. Imgeosi is work that express philosophical inner space of poet literary.

      • KCI등재

        중등학교 문법 수업과 연계한 어문 규범 교육 방안

        조창규(Jo, Chang-gyu) 한국언어문학회 2015 한국언어문학 Vol.95 No.-

        The first step to manage dignified life and have required qualities as a democratic citizen is doing correct language living.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and practicing is necessary to have correct language living. As the school grammar intends practicality, it presents connected grammar and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The purpose of this paper presents detailed way to connected grammar units and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through 7th grade to 10th grade. To achieve the purpose, I examined curriculum, selected essential teaching and learning rules and presented syllabus based on the process. Teaching and learning for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that I presented is not studying only the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but connecting grammar and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in grammar units class. So, this methods helps enhance fundamental understanding to grammar teaching, since it can be a chance to have an attitude that grammar units are interesting subject connected with life. This consequently raise educational efficiency. Provided that teachers have a distant view of whole contents to grammar units and regulation of standard korean, reconstruct textbook contents. Consultation among korean language teachers is needed, too.

      • KCI등재

        『조선문단』의 상업성 연구 - 잡지 광고 측면과 지 · 분사 시스템 측면을 중심으로 -

        조창규(Jo, Chang-Gyu)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0

        본고는 『조선문단』의 상업성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출판 광고 측면에서 광고의 비중과 경향을, 출판 유통망 측면에서 지사 · 분사의 성격과 유형을 서지적으로 분석하였다. 광고는 대중성의 척도를 가장 가늠할 수 있는 상업적 요소로 잡지의 가장 큰 수입원 중 하나다. 『조선문단』의 상업 광고량은 각 호마다, 시기마다 들쑥날쑥했는데, 그 여파는 잡지의 발간, 휴간 여부에 영향을 미쳤다. 즉, 『조선문단』의 신년 특대호를 비롯한 몇몇 인기호에서는 상업 광고량이 증가하는 반면, 3차례에 걸친 휴간의 전후 시기에는 상업 광고령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조선문단』의 상업 광고 수주량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이 잡지 판매량이었다. 광고주 입장에서는 많은 판매량을 기대할 수 있는 호에 광고를 발주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본고는 『조선문단』의 상업 광고 수주량이 잡지 판매량과 잡지 휴간 시기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선문단』은 종간 때까지 총 30곳에 지 · 분사를 설립하였는데 개성의 보신서회, 고려상회, 단천의 조선일보지국, 외금강의 이화상회, 영양의 동해옥서점, 하얼빈의 고려의원, 함흥의 제혜의원에서 『조선문단』의 지분사를 겸했다. 이는 지방 서점과 상회와 의원과 제휴함으로써 독자적으로 지 · 분사를 설립 운영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한 당대의 잡지사들의 전략이었는데, 『조선문단』도 이 전략을 추구했다. 나머지 『조선문단』 지분사를 설립한 개별 지 · 분사장들은 주로 잡지사와 관계된 지인이나 개인들이었는데, 그들은 잡지 관계자들을 통해서 충분히 『조선문단』에 대해 들었고, 또한 당시에 여러 화제를 일으키며 장안에 회자되었던 『조선문단』을 자신들의 사업적 수완을 발휘할 수 있는 사업체로 여겼다. 반면, 『조선문단』의 30여 곳 지분사들 중에서 지방 서점 분매소가 2군데에 불과한 사실은 『조선문단』과 지방 서점과의 거래가 원만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조선문단』은 잡지 판매 대금을 납부하지 않는 지방 서점과 관계를 끊는다. 이처럼 본고는 『조선문단』의 광고의 비중과 경향, 지 · 분사의 유형과 성격, 주체와 설립 배경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조선문단』의 상업적 가치에 대해 평가를 내릴 수 있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commerciality of Joseonmundan(조선문단). To this end, to examine the aspect of publishing advertisements and the aspect of publishing distribution networks, respectively, the proportion and tendency of advertisements and the types of branch offices and spin-offs were analyzed bibliographically. The volume of commercial advertisements in Joseonmundan was tracked in each issue and period, and how the impact affected the publication and suspension of the magazine was analyzed. In other words, in some popular issues, including the New Year’s special issue of Joseonmundan, the amount of commercial advertisements increased, while they tended to decrease dur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three breaks. The sales volume of magazin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rder volume of commercial advertisements in Joseonmundan, because advertisers would only place orders for advertisements that could expect a large amount of sales. An analysis of the orders received for commercial advertisements of the Joseonmundan confirms a close correlation with the sales volume of the magazine. In addition, Joseonmundan established 30 branches until the cessation of the publication, and also had branches in seven places (Gaeseong Bosinseohoe, Gaeseong Golyeosanghoe, Dancheon Joseon-ilbo Branch, Oegeumgang Ihwasanghoe, Yeongyang Donghaeog Bookstore, Haeolbin Golyeo Clinic, and Hamheung Jehye Clinic). This is because local bookstores, merchants, and clinics understood the commercial value of Joseonmundan. On the other hand, the presence of only two local bookstore sales offices among the more than 30 equity companies in Joseonmundan showed that the transactions between Joseonmundan and local bookstores were not profit-based. In other words, Joseonmundan had trouble with the management of magazine companies because it did not receive magazine sales payments from the local bookstore. Thus, by looking at the Ad’s share and trends of Joseonmundan, the type, nature, and subject of Joseonmundan issues, and local and spin-off branches, were able to assess the commercial value of the Joseonmundan.

      • KCI등재

        국어 음운 변동의 교육 방법

        조창규(Jo, Chang-gyu)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pply Concept Attainment Teaching Model(CATM) and to use phonological systems in Korean phonology teaching. CATM composes with four steps, which is to present examples and non-examples, to se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and to generalize. Since this model is easier to Inquiry Learning Method, it is easy to apply to low grade students and to reach instructional objectives. And yet, CATM has similar advantages to Inquiry Learning Method; to cultivate inquiring mind, to raise abilities of finding out knowledge and to keep a resolutive and applicable capability, etc. Phonological changes or variations are needed to teach connecting with phonological systems in Korean phonology teaching. Because we can explain most phonological phenomena which are connected with consonants or vowels by phonological system. By doing so, a teacher can explain several phonological phenomena at once and students are able to know phonological order well.

      • KCI등재

        17세기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 연구

        조창규 ( Jo Chang Gyu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7 인문사회 21 Vol.8 No.5

        본고는 17세기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 필자는 『17세기 국어사전』과 『17세기 가사전집』, 17세기에 창작된 수필과 한글 편지 등으로 말뭉치를 구성하고 여기에서 의성어 5개, 의태어 99개를 추출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중세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의성어는 아직 활성화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다양하게 나타나는 의태어는 형태, 통사, 의미의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먼저 형태면에서 의태어 어근에 접미사 ‘-□-’의 결합은 생산적이었으나 ‘-거리-’는 비생산적이었으며, ‘-대-’는 아직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유음반복어도 다양하지 않았다. 통사면에서 특정의 어휘와 어울리는 의태어가 있었으며, 의태어의 서술기능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의태어가 서술어로 쓰이는 현상에 대하여 의태어는 동작성을 지니므로 그 어근은 기원적으로 용언 어간과 구분되지 않았고, 어미가 없이도 서술어로 쓰일 수 있었으나 접미사 ‘-□-’에 의해 파생된 어휘가 새롭게 쓰임에 따라 의태어 어근과 ‘-□-’에 의해 파생된 어휘가 서술어로 혼용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This paper is about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of the 17th century Korean. For this study, I composed corpus with 17th Century Korean language Dictionary, Complete Works of 17th Century Gasa, essays and hangul letters were created in the 17th century. As a result, onomatopoeia was not activated just like Middle Korean. Variously appeared mimetic words were examined for morphology, syntax and semantics. Above all, as to the morphology, in combination with the mimetic words to the ‘-□-’ suffix were productive, but to the ‘-거리-’ suffix was not productive, and to the ‘-대-’ suffix was not existed. And also the analogous re-duplicated form was not various. And to the syntax, there were mimetic words matched well with specific vocabulary. And made it sure that the mimetic words have descriptive function. And also as to the phenomena, originally mimetic words root are used for predicate without conjugated ending stems, but as to the newly used vocabulary derived from suffix -□- are presumed that mimetic words root and derived vocabulary form -□- are mingled for predicate.

      • KCI등재

        儒家 冠禮의 文化解釋

        趙昌奎(Jo Chang gyu) 대동한문학회 2007 大東漢文學 Vol.27 No.-

          관례는 유가의 성인식이다. 각기 다른 민족과 문화권 내에서 성인식은 그 민족과 문화가 개인에게 성인으로서 강제하는 사회적 조건들이 함축되어 있으며, 이러한 함축들은 특별히 성인식을 통해 형식화된 문화양식으로 표출된다. 이러한 문화양식들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를 비교 연구한다면, 그 사회가 성인에게 기대하는 바람을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아이와 어른이라는 전지구적 구분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고는 유가 의례로서의 성인식, 즉 관례가 지니는 문화적 의미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한다.<BR>  유가의 관례는 ‘사회적 관계의 획득’을 중시하는 문화적 의례방식이다. 이는 ‘성적인 성숙’이나 ‘육체의 강건함’을 위주로 하는 타 문화권의 성인식과 확연히 구분되는 점이라 하겠다. 그러므로 유가 관례의 절차에는 ‘사회적 관계의 획득’을 상징하는 상징적 절차들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三加禮에 착용하는 복장에 그것이 잘 드러나 있는데, 요약하자면 初加에 심의와 치포관을 착용하는 것은 고례를 숭상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니, 이는 곧 문화의 계승을 의미하는 것이다. 再加의 복장으로 朝服을 착용하는 것은 사회적 활동의 획득을 의미한다. 三加의 복장인 작변 이하 훈상 등의 복장은 祭服에 해당하는 것으로 조상을 계승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결국 관례의 삼가례 복식은 고대와 중세 사회에 있어 남성의 사회적 주요 역할을 의복과 관련하여 규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BR>  다음으로 삼가례의 祝辭와 醮禮의 축사에도 이러한 점이 명확히 드러난다. 이 축사들은 모두 “어린 시절과 단절을 통해 성인으로 통합되어 성인의 문화를 습득하고 혈연집단내의 역할을 수행하여 세대를 계승하고 지속하라”는 당부가 함축되어 있으니, 역시 ‘사회적 관계의 획득’과 관련된다 할 것이다.   This paper is research about Confucian coming-of-age ceremony. Is called that Confucian coming-of-age ceremony is ‘GuanRye(冠禮)’. GuanRye(冠禮) is ceremony which put Confucianism hat in top. It means that became an adult that put hat in Confucianism. Central formality of GuanRye(冠禮) is implied ‘Samkarye(三加禮)’ and ‘Chorye(醮禮)’. Samkarye(三加禮) is ceremony that put three type of hat gradually. Chorye(醮禮) is ceremony which drink. These two ceremony symbolize that became an adult. This can not find in other culture. Because Coming-of-age ceremony of other culture prides healthy body on the whole.

      • KCI등재

        문예지 『조선문단』의 상업성 전략 및 속성 연구 ― 기획 연재물 측면과 잡지 광고료·정가·구독료 측면을 중심으로

        조창규 ( Jo¸ Chang-gyu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6

        『조선문단』은 기성 유명 문인들을 기용하고, 주목받는 신인 작가들을 등용함으로써 그들의 대중성을 상품성으로 활용하고자 했다. 이에 가장 대표적인 기획물이 「문사방문기」이다. 「문사방문기」에 인터뷰이로 선정된 김기진과 박영희는 신경향 문학의 선도자적인 작가였다. 또 다른 인터뷰이인 주요한은 『조선문단』에서 첫 시집을 발간해주었던 작가였다. 그의 첫 시집 『아름다운 새벽』은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으며, 『조선문단』은 그를 또 「문사방문기」에 참여시킴으로써 상업적으로 활용했다. 또한, 당시 문단에 혜성같이 등장한 김동환을 인터뷰이로 선정한 것도 그의 대중적 인기를 이용해 잡지 판매량을 늘리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문사방문기」가 의의가 있는 것은 당시 조선의 잡지들 중에서 최초로 기획 연재했다는 점이다. 즉, 문사들을 직접 찾아가 인터뷰했던 방문기 형식의 기획물은 『조선문단』이 처음이었다. 또한, 「문사방문기」는 『조선문단』이 2차 휴간 후 발간된 19호부터 새롭게 기획 연재되었다는 점에서 그 상업적 의도를 알 수 있다. 즉, 두 차례 휴간을 겪은 『조선문단』이 본지의 판매량 증대를 위해 과월호들에서 볼 수 없었던 신선하고 대중적인 콘텐츠를 고안해냈는데 그것이 바로 「문사방문기」였다. 『조선문단』의 상업성 전략과 속성을 또, 잘 알 수 있는 것이 광고료·정가·구독료이다. 『조선문단』은 1차 휴간을 겪은 후, 광고료를 많이 인상했는데 이를 통해 재정난을 타개하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또한, 창간호에서 큰 인기를 얻었던 『조선문단』은 5호부터 정가·구독료를 약 2배 인상했는데, 이는 독자들의 열화와 같은 페이지 증가 요청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었다. 3차 휴간 후, 속간된 21호의 정가·구독료는 1개월에 30전으로 당시 거대 신문사 잡지였던 『신동아』, 『조광』과 같은 가격이었다. 이는 당시 조선인 인부의 일급 40%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비록 대공황으로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도 불구하고, 『조선문단』은 그들과 동일하게 책값을 매김으로써 상업적으로 밀리지 않고자 했던 의지를 드러내었다. 이처럼 『조선문단』은 그 문예 정체성을 살린 흥미로운 콘텐츠를 새롭게 기획하였다. 또한, 광고료·정가·구독료 등을 상업적으로 적절하게 조절하였다. 『조선문단』의 이러한 노력과 수고는 26호까지 장수할 수 있었던 원동력이 되었다. The Joseonmundan(조선문단) attempted to utilize their popularity as marketability by appointing well-known writers and new writers. Therefore, the most representative project is “A literary man interview”. Famous writers who Kijin Kim and Younghee Park, Yohan Ju, Donghwan Kim, was selected as the interviewee because Joseonmundan wanted to increase the sales of magazines by using his popularity. The significance of “A literary man interview” is that it was the first planned serialization of Joseon magazines at that time. In addition, “A literary man interview” shows its commercial intention in that the Joseonmundan was newly planned and serialized from Issue 19, which was published after the second suspension. In other words, Joseonmundan, which had been suspended twice, devised a new and popular content that was not seen in past issues to increase the sales volume of this magazine, and that was the “A literary man interview”. The commercial strategy and properties of the Joseonmundan are well understood by advertising rates, a book price, and a subscription fee. Joseonmundan increased advertising rates a lot after going through the first suspension, because it tried to overcome the financial difficulties through this. In addition, Joseonmundan, which gained great popularity in its first issue, increased a book price and a subscription fee by about twice from Issue 5, which was made in response to the readers’ deterioration and requests for page increase. After the 3rd suspension, a book price and a subscription fee for Issue 21 was 30 Jeon a month, which was the same price as 『Shindonga』 and 『Jogwang』, which were large newspaper magazines at the time. Despite the economic downturn due to the Great Depression, the Joseonmundan revealed the will not to be pushed commercially by pricing books the same as they did. As such, Joseonmundan has newly planned interesting contents utilizing its literary identity. In addition, advertising rates, a book price, and a subscription fee were appropriately adjusted commerciall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衣服의 文化的 意味와 儒家 服飾의 意味原形

        조창규(Jo Chang gyu)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7 동양한문학연구 Vol.24 No.-

          의복은 인류가 만들어낸 문화현상 중에서도 자연계의 다른 생명들과 인간을 구분 짓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기제이다. 즉 의복은 가장 인간다운 문화 중 하나인 것이다. 각 문화와 문명은 이러한 의복에 그들만의 철학, 혹은 사상을 투영하기 마련이다. 본고는 바로 유가 전통 의복에 투영된 유가만의 근본적 의미―의미원형―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유가 의복의 의미 원형을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정의할 수 있음을 밝혔다.<BR>  유가 의복의 기본적인 의미원형은 바로 ‘風化’이다. 풍화는 윗사람이 아랫사람을 덕으로 교화한다는 의미를 지닌 것으로, 유가의 문학과 정치의 기본 사상이기도 하다. 上下尊卑의 원만한 질서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조화로운 大同의 사회를 건설한다는 유가의 기본적 사상은 유가의 의복관에도 하나의 원형적 의미로 투영되어 있다.<BR>  다음으로 유가 의복의 또 다른 의미원형은 ‘時宜’이다. 시의란 현실적 합리성을 의미하는 것은 禮의 기본 이념이기도 하다. 의복이 드러내는 상징성이 상하존비의 신분과 그 질서를 표현하는 것이지만, 그것은 시대적 상황이나 현실적 여건에서 변형되고 변화되어야 한다. 유가의 의복은 이러한 현실적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매우 합리적인 의복관을 지니고 있다.<BR>  마지막으로 유가 의복의 가장 중요한 의미원형은 바로 ‘孝悌’이다. 효란자신의 부모와 윗사람을 공경하는 것이요, 悌란 아랫사람을 아끼고 사랑하는 것이다. 즉 윗세대와 아래 세대의 유기적 연관 관계를 표현한 것이 바로 효제이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일상적인 삶과 죽음의 과정을 거치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개인은 위 세대로부터 이어 받은 생명과 문화를 계승하고, 아래 세대에 그 생명과 문화를 전수해야만 한다. 그것이 사회를 유지 전승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유가의 의복에는 이러한 인류 생명의 존엄성과 문화의 가치를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is research about Confucian tradition clothes. Result of research is as following. Confucian clothes is implying fundamental meaning of only Confucian clothes. First, Confucian tradition clothes has function that educate peoples. Confucian clothes symbolizes moral authority, because moral authority is an important tool that educate people. Second, Confucian tradition clothes considers as very important meaning that is suitable in situation. Third, Confucian tradition clothes of rite of passage symbolizes filial duty about ancestor and parents. Because Confucian clothes of rite of passage is dress that wear when hold memorial service to ancestor basic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