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서평> As the Romans Did: A Sourcebook in Roman Social History (Jo-Ann Shelton, 2nd ed.,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조재천 (재)대한성서공회 성경원문연구소 2017 성경원문연구 Vol.- No.41

        Jo-Ann Shelton’s As the Romans Did is a collection of primary evidence to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lives of ordinary Roman people. It contains 473 translations of selections from texts, papyri, and inscriptions concerning fifteen broad general areas of Roman life and society. Chapters are about the structure of Roman society, families, marriage, housing and city life, domestic and personal concerns, education, occupations, slaves, freedmen and freedwomen, government and politics, Roman army, the provinces, women in Roman society, leisure and entertainment, and religion and philosophy. Each chapter consists of translations and general commentary. Shelton’s selection and treatment of the primary material is tailored for students who do not necessarily have facilities for Greek and Latin texts. The breadth, albeit shallow, of primary texts is one of the major qualities of this book. Translation is clear and easily comprehensible, maybe overly so, but the target readers of this book would appreciate it. Shelton’s commentary is generally interesting and brief, a quality both advantageous and disadvantageous. This book serves a wide readership including students of the Bible for the direct relevance of the subjects at hand to the historical milieux in which the Bible was written.

      • KCI등재

        성서학 분야 저술과 출판을 위해 유니코드를 써야 할 이유

        조재천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6 No.-

        Writers, editors, and publishers in Biblical studies in Korea often encounter various kinds of difficulties dealing with ancient characters including Greek and Hebrew. Writers have hard time typing them, while editors and publishers find the typed characters turning illegible when they try to change fonts and layouts of the manuscript. One of the major cause for this problem is the use of non-Unicode fonts, especially those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BibleWorks®. Their obvious technical defects notwithstanding, Korean biblical scholars tend to stick with them, probably caught in inertia, and possibly held by other factors—financial, cultural, and even political. With non-Unicode fonts, Biblical scholars will not be able to fully participate with the ever-growing cultural force of going digital and online. The clear alternative and solution to this problem is Unicode. Getting Unicode spread in Korean Biblical scholarship may take a fair amount of confusion and costs at its initial stage, but they will be offset more than enough by the benefits of Unicode.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attitude of biblical scholars themselves, who then can revise the submission regulation of journals and improve the editorial and publicational practices. 한국에서 성서학 분야의 연구결과를 저술하고 출판할 때 저자, 편집자, 출판 실무자들은 그리스어, 히브리어를 비롯한 고대 언어의 표기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들을 겪는다. 저자는 어떻게 표기해야 할지 몰라 당황하고, 어떻게든표기를 해서 제출된 원고를 편집하고 출판하는 실무자들은 저자가 작성한 고대어 표기가 깨지는 것을 찾아내서 고치느라 진땀을 뺀다. 문제의 직접적 원인은 크게 두 가지, 즉 고대 언어 표기를 할 때 이미 다른 매체에 되어 있는 것을복사해 붙이는 방식에 의존하는 관행과 비-유니코드 서체를 사용해서 타자하는 관행이다. 유독 한국 성서학자들이 고집하고 있는 비-유니코드 서체(그리고 한컴오피스)는 그 자체의 기술적 한계가 분명하고 저술, 출판 과정에서 오류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무엇보다 날로 가속화되고 있는 문화 전반의 디지털화, 온라인화에 어울리지 않는 소통의 매개이다. 비-유니코드 서체의 단점에 대한 명확한 대안인 유니코드는 처음 도입할 때 적응을 위한 약간의 혼란과 수고를 충분히 상쇄하는 여러 가지 이점을 가지고 있다. 유니코드 도입과확산을 위해서는 성서학자 자신들의 인식 전환이 가장 중요하고 아울러 학술지 편집위원회의 투고 규정과 편집, 출판 관행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후보

        “피 흘림이 없은즉 사함이 없다” : 히 8~10장에서 피와 속죄, 그리고 온전함의 메카니즘

        조재천 평택대학교 피어선기념성경연구원 2015 피어선 신학 논단 Vol.4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blood” language in the Epistle to the Hebrews. Furthermore, I explore the ways in which such implications are presented in relation to the Christ event on the one hand, and to the Old Testament references to the blood fora toning sacrifices. The meaning of blood in Hebrews is richer and more multivalent than is found in any other book in the New Testament. Three roles of the blood come to the fore in shaping the atoning theology of Hebrews. First, the blood of Christ confirms the validity of the new covenant ujst as the blood of oxen in Exod 24:8 was sprinkled upon the people, the partners of the covenant,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of the Sinaitic covenant. Christ is both the “better high-priest” and the “better sacrifice” in offerning himself as the central piece of the new covenant. Second, the blood of Christ cleanses the people of God of their guilt and opens to them the path to the holy place. It is the price of redemption with which the believers have been set free from the curse of the sin. Third, the blood of Christ not only purifies the conscience of the believer but also makes it perfect so that it accomplishes something that the old covenant could not accopmlish. The notion of ‘conscience’ in Heb 8-10 is unique; it is the center in which the blood of Christ consistently stimulates a desire fort he holiness. Despite these unique insights into the role and meaning of the blood in Heb 8-10, they do not constitute a self-sufficient theological argument for the entire book. Rather, the key theme in Hebrews is found in practical exhortation for perseverance, faithfulness, and communal unity for which the reflections of the blood provide a conceptual found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히브리서에서 피의 신학적 의미를 밝히고, 그것이 속죄 기능과 관련된 구약의 여러 본문들과 그리스도의 십자가, 부활, 승천 사건을 소재로하여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히브리서는 신약성서의 그 어느 책보다도 피의 신학적 함의를 가장 깊게 그리고 다의적으로 기술한다. 그 중에서 특히 세 가지가 두드러진다. 첫째, 그리스도의 피는 구원 언약, 즉 새 언약의 효력과 확실성을 보장한다. 시내산 언약 체결의 마지막 단계에서 언약 당사자인 출애굽 공동체를 향해 모세는 소의 피를 뿌림으로 그 확실성을 표현했었다(출24:8). 이것에 기초하여 “더 좋은” 제물이신 그리스도의 피는 새 언약의 확실성을구성한다. 둘째, 그리스도의 피는 하나님의 백성의 죄를 사하고 깨끗하게 하며 섬기는 자로 하여금 성소에 들어갈 수 있게 한다. 히브리서 이전의 원시 기독교 전통에서 생명의 이탈 또는 교환으로 이해되던 피흘림의 사건을 통해 신자의 생명이 담보되었다. 그리스도의 피는 속량의 대가이며 아울러 죄를 씻어내는 정결의수단과 매개로서도 기능한다. 정결케 된 제사장의 지성소 진입처럼 그리스도도천상의 성소로 들어가셨고, 그 길은 다시 신자들에게 열려졌다. 셋째, 그리스도의 피는 양심을 씻어 온전케 함으로써 옛 언약이 하지 못한 것을 성취했다. 8-10 장에서 히브리서의 저자는 매우 특수한 방식으로 ‘양심’의 의미를 정의한다. 즉 , 단순한 인식 또는 감정의 기관이 아니라 하나님을 섬기는 거룩한 삶에 대한 지향과 열망이 담기는 존재의 중심부가 바로 양심이다. 그리스도의 피가 양심에 작용할 때 지나간 과거의 죄를 사함 받을 뿐 아니라 현재와 미래의 신앙 여정에서 거룩함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도록 그리스도의 피는 양심을 이끌어 준다. 히브리서8-10장에서 감지되는 ‘피’에 대한 독특한 착상은 그 자체로 완결된 신학적 논의를 구성하는 대신 보다 중심적인 주제인 인내, 신실함, 공동체적 유대와 같은 실천적 권면의 개념적 토대를 제공한다. 신자가 왜 신실한 삶을 살아야하며 어떻게그러한 삶을 살 수 있는지를 뒷받침하는 신학적 근거가 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