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월경하는 대중음악 경험과 다층적 정체성 실천

        조일동(Ildong Joe) 한국대중음악학회 2021 대중음악 Vol.- No.27

        본 논문은 사할린 출신 영구귀국자에 대한 인류학적 조사에서 드러난 냉전시기 월경하는 한국의 라디오 전파를 통해 대중음악 청취 경험이 형성한 정체성정치와 국경 밖에 대한 상상력의 의미를 분석한다. 사할린 한인 대부분은 일제강점기에 노동자와 그 가족으로 사할린에 이주하여 살기 시작했다. 1945년 일제의패망 이후, 이들은 무국적 외국인으로 분류되어 한반도로 돌아가지 못한 채 소비에트의 주민이 되었다. 냉전 시기 동안 한국과 소비에트 사이에는 어떠한 교류도이뤄지지 않았다. 1990년대 후반부터 한국으로 영구귀국을 선택한 1세대 사할린한인 동포 중 상당수는 월경하는 라디오 전파를 통해 한국의 대중음악을 들었던경험을 토로하고 있다. 냉전 시대에 한국의 라디오 방송을 청취하는 일은 사할린동포 사이의 공공연한 비밀이었고, 이 행위를 통해 소비에트 국경 밖 다른 세계인상상의 고향-한국을 상상해 볼 수 있었다. 밤에만 희미하게 청취할 수 있던 한국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전해진 노래는 언제나 부분적이었다. 사할린 한인들은 파편화 된 가사와 가락을 조합하여 곡을 기록했고, 이를 함께 부르는 과정에서 집합적인 정동을 경험했다. 당시 이들이 즐겨들었던 한국의 음악은 트로트였고, 이는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까지 사할린 한인사이에서 향유되던 음악과 닮아있었다. 냉전의 한복판에서 한국어 가사 노래를함께 부르며 형성된 민족정체성은 실체적 한국을 의미하기보다 상상의 것에 가까웠고, 따라서 소비에트 국민정체성과 상치되지 않았다. 한국으로 돌아온 이후에도 이들은 여전히 이 시절에 부르던 노래를 향유하고 있다. 이제 이 노래 실천은소비에트에서 보냈던 젊은 시절의 성취와 추억과 연결되어 있다.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identity politics and imagination outside the borders formed by the experience of listening to popular music through spillover radio propagation of South Korea during the Cold War, revealed in an anthropological research of Sakhalin-Korean permanent returnees. Most Sakhalin-Korean moved to Sakhalin as workers and their familie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e defeat of Japanese imperialism in 1945, they were classified as stateless foreigners and became Soviet residents without the chance returning to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Cold War, no exchanges took place between Korea and the Soviet Union. Many of the first-generation Sakhalin-Koreans who have chosen to return to Korea permanently are talking about their experiences of listening to Korean popular music through spillover radio waves. Listening to Korean radio during the Cold War was an open secret among Sakhalin-Koreans, and this practice led to establishment of an imaginary home-Korea, as another world outside the Soviet border. Songs delivered on Korean radio wave, which could only be heard weakly at night, had always been partial. The Sakhalin-Koreans tried to combine of fragmented lyrics and melodies. And they experienced collective affection in the process of singing them together. The Korean music they enjoyed at that time was trot, which resembled the music enjoyed by Koreans in Sakhalin until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ethnic identity formed by singing Korean lyrics together in the middle of the Cold War was more of an imagination than actual Korea, thus it did not conflict with the Soviet national identity. Even after returning to Korea, they still enjoy the songs they sang during these days. Now the practice of these songs is linked to the achievements and memories of their prime of youth in the Soviets.

      • KCI등재

        대중음악 청취, 문화자본 그리고 계급: 1980년대 한국 헤비메탈 형성의 문화정치

        조일동 ( Joe¸ Ildong ) 한양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音樂論壇 Vol.46 No.-

        한국에서 헤비메탈 음악은 주류 대중음악 시장에서 한 번도 상업적 성공을 거두지 못했음에도 지난 30여 년 간 끊임없이 실천되고 있는 장르 음악이다. 본 논문은 1980년대 한국에서 헤비메탈 문화가 형성되는 과정에 관계하고 있는 인적, 제도적, 사회·문화·역사적 맥락을 살피고 그 의미를 모색한다. 특히 노동계급 젊은 백인 남성의 하위문화였던 영국이나 미국 헤비메탈의 기원과 달리, 학력자본과 문화자본을 가진 중산층 예비 대학생 집단의 고급 취향이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기존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특정 문화가 세계 대중음악의 헤게모니를 장악하는 문화제국주의로 이해하곤 했다. 그러나 한국 헤비메탈 팬덤과 음악인들은 음악 형식에서 영미의 헤비메탈과 닮아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해 구현하고자 하는 바는 꽤나 다른 차원에서 작동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헤비메탈은 당대 한국의 주류 대중음악의 권위에 반하는 음악이었을 뿐 아니라, 앞선 세대의 한국 록 음악인들이 만들어 온 역사와 흐름에 대해서도 구별짓기를 시도했다. 한국 내부의 정치, 사회, 문화적 상황 변화에 따라 연주하는 음악의 형식이나 스타일을 바꾸길 주저하지 않았던 전세대 음악인의 행보도, 건전한 대학생이 만드는 아마추어리즘에 기반한 음악에 대한 압력도, 방송이나 음악 산업의 권력의 요구를 따르기보다 스스로 자신의 음악 문화를 개척하길 선택했다. 그렇다고 당대의 중요한 한국 대학문화의 일부였던 민중적이고 민족적인 성향도 거부했다. 1980년대 한국 헤비메탈 형성은 대중음악 장 안에서 학력자본과 문화자본을 소유한 새로운 세대가 한국 밖에서 도입한 음악 형식과 하위문화를 들고 사회적 헤게모니를 둘러싼 상징투쟁에 뛰어들었던 문화정치의 장이었다. In Korea, Heavy Metal music is a genre that has been continuously practiced for over the past 30 years, even though it has never achieved commercial success in the mainstream popular music marke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text of institutional, social, cultural, historical and human resources related to the Korean Heavy Metal culture’s formation in the 1980s and to explore its meaning. In particular, I pay attention to the unlike of the origins of Heavy Metal in the British or the United States, which were subcultures of young white men of the working class, but in Korea it was the distinctive taste of the middle-class precollege students with cultural capital. Some previous studies have understood this situation as cultural imperialism, in which a specific culture dominates the hegemony of popular music all around the world. But in here, I reveal that the Korean Heavy Metal fandom and musicians were trying to achieve a different goal from British and American ones, although the Korean’s musical forms and styles were resemble to the West things. For young Korean Heavy Metal founders, practicing of that music was not only the way that went against the authority of mainstream Korean popular music at the time, but also attempted to distinguish the history and flow of Korean rock musicians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ey wanted to carve out their own music culture by refusing to make music based on amateurism, rejecting the demand of the broadcasting system or music industry, and denying to follow the behavior of a previous generation’s rock musicians who turned over their form and style of music according to changes of the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power in Korea. They also did not follow the tendency of people’s democratic or ethnocentric nationalism which were important university culture in Korea of that time. In sum, the formation of Heavy Metal culture in Korea at the 1980s was a cultural political field, where the generation of new subculture with cultural capital participated in symbolic struggle over social hegemony in popular music scene.

      • KCI등재

        별점 평가 중심 대중음악 평론 방식 보편화에 대한 비판적 검토

        조일동(Joe, Ildong),박관익(Park, Kwan Ik),정병욱(Chung, Byungwook) 한국대중음악학회 2021 대중음악 Vol.- No.28

        이 글은 현재 예술 장르를 떠나 평론의 보편적인 방식처럼 여겨지는 별점 혹은 수치로 환산되는 평가방식에 대해 대중음악 평론의 영역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이 현상을 양적 평가를 다른 질적 평가보다 신뢰하는 현대사회의 사고방식/가치체계와 연결지어 사고해 본다. 이를 통해 역사적, 미학적, 철학적 관점에 입각한 논리적 수사의 구사를 통해 전문성을 인정받고 존재 가치를 증명해 온 평론의 역사를 일별하고, 현재의 변화가 지닌 의미를 추적한다. 글의 구성은 평론이라는 글쓰기 형식이 대두되게 만든 역사적 배경과 그로 인해 형성된 평론의 성격과 특성에 대한 모색, 최근 중요한 평가방식으로 부상한 별점 평가에 대한 고찰, 미디어 환경 변화와 평론의 현재에 대한 비판적 검토로 이뤄져있다. 평론은 문화산업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선에 존재하면서 평가 대상의 형식적 측면은 물론, 역사성, 미학, 가사, 패션 등 다양한 측면을 아우르며 해석하여, 이를 수사적으로 기술하는 작업이다. 평론은 작품에 대한 논쟁을 이끄는데, 이는 홍보의 방편이 되기도 한다. 2000년대 이후 대중음악을 둘러싼 미디어․기술 환경이 변하면서 예술장 자체가 변화하기 시작했다. 평론을 위한 미디어 역시 변화했다. 나아가 평론 글쓰기 방식도 달라졌는데, 대표적인 변화가 별점으로 대표되는 직관성을 강조하는 양적 평가의 보편화이다. 온라인 환경에서 평가 참여자의 폭도 확대되었는데, 전문 평론가와 일반 수용자의 별점이 다른 경우도 자주 발견된다. 이는 두 집단이 대중음악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어떤 측면을 어떻게 어떤 방식으로 어느 정도의 비중을 두고 평가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 자체가 매우 드물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기도 하다. 별점 평가가 불러온 여러 논란은 대중음악 평론의 기준에 대한 논의를 불러올 뿐 아니라, 글쓰기 방식 자체에 대한 성찰 또한 불러오는 계기이기도 하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evaluation methods converted into Star-classification or figures, which are considered as a universal method of criticism regardless of the current popular music criticism. Furthermore, we consider this phenomenon in connection with the modern society’s mindset/value system which trusts quantitative evaluation more than qualitative evaluations. Criticism has historically been recognized for its expertise through the logical rhetoric based on historical, aesthetic, and philosophical perspectives. We take a glimpse of the history of these criticism and find the meaning of current changes. The composition of the article includes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led to the rise of the writing style of criticism and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critique formed thereby. Subsequently we review about the Star-classification, which has emerged as an important evaluation method in these days, and check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and critical examinations of the present state of criticism. Criticism is a work that exists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interprets it in various aspects of the evaluation target, historicality, aesthetics, lyrics, and fashion, and describes it rhetorically. Criticism leads to debate about the work, which is also a means of publicity. Since the 2000s, the media and technology environment surrounding popular music has changed, and the art field itself has begun to change also. Furthermore, the method of writing criticism has changed, and the most representative change is the generalization of quantitative evaluation that emphasizes intuition represented by star-classification. The number of evaluation participants has also increased online, and in the process, it is often found that star-classification of professional critics and general audiences are different. This is partly because the two groups have different views of popular music, but also because very rare to discuss on which aspects, how, and how to evaluate them. The various controversies brought about by the star-classification make it possible to discuss the criteria for popular music criticism and reflexivity on how to write.

      • KCI등재
      • KCI등재

        결혼이주여성들의 문화차이에 따른 의료경험: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 주민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윤영 ( Yoon Young Kim ),조일동 ( Ildong Jo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평화 Vol.10 No.2

        본 논문은 결혼이주여성이 한국의 의료체계를 경험하면서 출신국가·문화별로 다르게 직면한 문화차이와 그로 인한 갈등을 이해하고자 한다. 경기도 안산시 원곡동의 중국 한족, 조선족, 일본, 캄보디아, 우즈베키스탄 등에서 온 결혼이주여성 총 9명의 초점집단연구와 안산시 보건소 행정공무원, 실무자 2명의 전문가 회의 결과를 자료화하여 내러티브 분석을 시도하였다. 결혼 이주여성이 한국의료를 경험하며 느끼는 문화이질감과 갈등은, 소통의 문제, 한국의료의 세부분야에 대한 이해부족, 종합병원 이용의 부담감, 의사와 환자의 상호작용 시 느끼는 불만족, 약물의 처방과 인식에 대한 문화적 차이, 응급처치의 문화적 차이 등이다. 궁극적으로 본 논문은 이주민의 건강 및 의료문제와 관련하여 질병과 의료에 대한 사고와 접근에 국적별, 문화별 다양성에 대한 이해력을 갖춘 의료체계구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what medical experienc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have and what cultural differences and conflicts they face in their new society,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wo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otal nin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who were from China, Uzbekistan, Cambodia and Japan. Not only interview data, the minutes of official meetings with two administrative workers at public health center in Ansan were also analyzed. As the results, first of all, they had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doctors and nurses from language barrier and had the lack of understanding the detailed departments of medical system. secondly, they felt burden to use the public general hospital because they do not have any information or get any explanation about the ways of using the public general hospital such as reserving the consultation, finding doctor``s office and paying the examination fees and so on. Thirdly, they felt dissatisfied with doctors’ medical advice because of doctors`` short advice and insincere attitudes. Furthermore, they had cultural gap from the awareness of medicines and the ways of medicine prescription. Lastly, they experienced cultural conflict between the medical treatment methods of their home and host country. Ultimately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it is very crucial to understand and respect cultural diversity of immigrants in terms of their health, diseases and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