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혐오성 댓글의 제3자 효과: 댓글의 속성과 이용자의 성향을 중심으로

        조윤용,임영호,허윤철 한국언론정보학회 201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9 No.5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hird-person effect(TPE) of hate comments on online news, and analyze how the issue-relevant audience factor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message have influence on the TPE. More specifically,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hateful and logical comments regarding the issue of illegal immigration, the authors have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 that compares how the message-related features, i.e., ways of expressing the ideas, lead to the difference in TPE. Analysis was also conducted with regards to how political orientation and discriminatory predisposition to immigrants among the audiences, have different impacts on the TPE. The 479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xperimental group(exposed to hate comments) or control group(exposed to logical comment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TPE of hate comments is higher than that of logical message. The same message proved to be more effective for news users with liberal orientation and discriminatory predisposi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at it has examined the effect of online hate comments in a rigorous experimental setting. Also the research further elaborated on the audience-related variables, for which the previous studies tended to focus those on the general psychological level rather than relate them more specifically to the issues. 이 연구는 온라인 포털 뉴스에 대한 혐오성 댓글의 제3자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특히 뉴스 이용자의 성향에 따라 제3자 효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이주민의 불법체류에 관련된 뉴스 댓글을 혐오성 댓글과 이성적 논조의 댓글로 나누어 댓글 속성, 즉 표현방식에 따른 제3자 효과를 온라인 실험연구를 통해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용자의 이념적 성향과 이주민에 대한 차별적 성향에 따라 혐오성 댓글의 제3자 효과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479명이 온라인 실험에 참가하였으며, 실험참가자는 혐오성 댓글(실험집단)과 이성적 댓글(통제집단)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연구 결과, 진보적 성향의 뉴스 이용자는 혐오 표현 유무와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제3자 효과가 높게 나타났지만, 보수적 성향의 이용자는 혐오성 댓글에서만 제3자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통적으로 제3자 효과 연구는 주로 매스미디어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연구는 이러한 효과 이론을 이용자의 댓글이라는 새로운 현상에 적용하고, 이 효과가 뉴스 이용자의 이념적 성향, 다문화에 대한 차별적 태도 등 이슈와 접하게 관련된 개인적 특성에 따라 어떻게 불균등하게 발생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크라우드펀딩 기부 캠페인의 효과 : 기부 대상과의 사회적 거리와 기부 캠페인 목표 달성 가능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조윤용,허윤철,임영호 한국광고학회 2019 광고학연구 Vol.30 No.8

        최근 크라우드펀딩형 기부 캠페인은 세계 곳곳의 기부 대상자를 소개하고 실시간 모금률을제공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기부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이처럼 플랫폼 진화에 맞추어기부 캠페인의 효과 연구 역시 다차원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해석수준이론의 관점 중 사회적 거리와 기부 캠페인의 목표 달성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는 2(사회적 거리: 동아프리카 아동 vs 한국 아동) × 2(목표 달성 가능성: 높은 모금률 vs 낮은 모금률)의 혼합설계(mixed design)를 이용한 온라인 실험을 실시하였다(N=616). 연구결과, 기부 대상자와의 사회적 거리에 따른 기부 의사의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목표 달성 가능성에 따른 차이는 있었고, 사회적 거리와 목표 달성 가능성의 상호작용효과 역시 유의미하게 확인되었다. 목표 달성 가능성이 높은 경우 한국의 빈곤 아동에 대한 기부 의사가 높았고, 목표 달성 가능성이 낮은 경우동아프리카의 빈곤 아동에 대한 기부 의사가 높았다. 이 연구는 해석수준이론 중 발생 가능성 변인을 도입해 기부 캠페인의 효과를 다차원적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아울러 캠페인의 목표 달성 가능성에 따른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기부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효과적인 기준을 제시해준다. Contemporary donation campaigns often proceed in the form of crowdfunding platforms, with fundraising rates posted in real-ime. The evolution of online platform, with its unprecedented pace,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its effects on donation campaigns. Based on construal level theor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donation campaigns for both domestic and foreign beneficiaries, with emphasis on the notions of social distance and ‘probability’, or the likelihood to reach the campaign goal, that remains relatively unexplored concept in construal level theory. The authors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 with 2 × 2 mixed design (distant/close social distance × high/low fundraising rate).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ntion to donate between two groups, depending on the social distance. However, the impact of fundraising rate, as well as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distance and fundraising rate were confirm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fundraising rate was presented as high, people preferred to donate to Korean beneficiaries to African counterpart. In case the rate was low, however, their intention to donate tends to gravitate toward African children.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also discussed with regard to strategies for effective crowdfunding campaigns.

      • KCI등재

        스토리텔링형 기부 메시지의 설득 효과 : 수혜자의 명명(命名)과 화자 의 시점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조윤용 한국광고학회 2021 광고학연구 Vol.32 No.7

        스토리텔링 메시지 형식을 구현하고 있는 온라인 기부 캠페인의 수가 늘어나는 추세지만 기부 캠페인 속 스토리텔링의 세부적인 구성 요소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 연구는 기부 캠페인의 스토리텔링 효과를 진단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로써 등장 인물의 이름과 화자의 시점이 어떻게 기부 참여자의 공감을 이끌어내고 기부 참여를 유도하는지 2(수혜자의 명명: 이름有 vs 수혜자의 이름無) × 2(화자의 시점: 1인칭 vs 3인칭)의 집단 간 요인 설계를 이용하여 온라인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N = 357). 연구결과, 수혜자가 구체적인 이름으로 소개되었을 때 수혜자에 대한 공감적 이해, 기부 캠페인에 대한 태도, 그리고 기부 참 여 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1인칭 화자 시점의 메시지는 3인칭 화자 시점의 메시지에 비해 수혜 자에 대한 공감적 이해도는 높였지만 기부 캠페인에 대한 태도나 기부 참여 의도는 차이가 없었 다. 수혜자의 명명 여부와 화자의 시점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미하게 확인되었다. 수혜자가 구체 적인 이름으로 소개 된 경우에는 1인칭 화자 시점의 메시지가, 수혜자가 이름이 없이 소개된 경 우에는 3인칭 화자 시점의 메시지가 설득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스토리텔링의 구성 요소별 효과적인 기부 메시지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기부 참여를 이끌어내는 데 유효한 기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Contemporary online donation campaigns often proceed in the form of a narrative format as it can be an effective strategy for elicit donors’ participation. In the present research, we examined how two main components of narratives (characters’ identification and narrator’s point of view) may interact to elicit donor’s empathy, attitude toward the campaign, and willingness to donate the cause. An online experiment using 2 (beneficiary’s identification: identified vs unidentified) × 2 (narrative’s point of view: first vs third person) between-subject design (N = 357) was condu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beneficiary’s identification elicited donor’s sympathetic understanding, attitudes toward the campaign, and willingness to donate the cause. Narrator’s point of view, however, does not show significant main effec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beneficiary’s identification and the narrator’s point of view was significantly confirmed. Specifically, when the beneficiary was introduced with a specific name, the first-person narrators showed a higher persuasion effect than the third-person narrator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effective standards for inducing donation participation by suggesting effective donation message strategies for each component of storytelling.

      • KCI등재

        친환경 제품의 광고 메시지 지향성이 제품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공적 자기 의식 수준과 시간적 거리감의 조절 변수 효과를 중심으로

        조윤용 한국광고학회 2016 광고학연구 Vol.27 No.3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친환경 소비 행동으로이어지지 않는 소비자의 인식과 행동 간의 괴리는 여전히 존재한다. 이 연구는 소비자 집단의 친환경 제품의 구매행동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설득 메시지 유형을 찾아내기 위해, 메시지 지향성과 공적 자기 의식 수준, 그리고 시간적 거리감이 친환경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제품 소비가 개인적 혜택을 주는지 아니면 사회적 혜택을 주는지를 제시하는 메시지 방향성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제품 소비가 가져올 공적 자기 의식 수준과 제품의 구매로 인한 혜택의 시간적 거리감을 조절변수로 도입하여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친환경 제품의 광고 메시지 방향성은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주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제품 소비가 가져올 공적 자기 의식 수준과 제품 구매로 인한 혜택의 시간적 거리감과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제품의 소비를 통해 사회적 혜택을 강조한 타인 지향적 메시지는 친환경 제품의 소비가 공적 자기 의식수준을 높이는 경우 설득 효과가 높았다. 또한 개인적 혜택을 강조한 개인 지향적 메시지는 친환경제품의 구매로 인한 혜택의 시간적 거리가 가까운 하위 수준의 메시지와 함께 제시된 경우 설득 효과가 높았다. 이 연구는 친환경 제품의 광고에서 메시지의 지향성, 시간적 거리감, 그리고 제품 소비 유형에 따른 공적 자기 의식 수준이 소비자의 구매의도의 차이를 검증하고 친환경 제품의 광고 기획 단계에서 효과적인 메시지 전략의 유효한 기준을 찾고자 하였다. Known to as the environmental attitude-behavior gap implying that consumers reported themselves as very concerned about the environmental issues, but their concerns and attitudes do not necessarily translate into actual behavio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whether the environmental attitude-behavior is explainedwith message orientations, public self-awareness and temporal distance. The present studyposits that public identifiability and perceived benefit distance would presumably affect consumer's environmental message processing and following behaviors. The results revealed that prosocial message is effective when consumers in a high level of public self-awareness and when the message focuses on a future benefit. Proself message, however, is effective when it comes with a low level of public self-awareness and when themessage focuses on an immediate benefit. The study is significant to contribute research-based insights to environmental communicators and marketers that they can manipulate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messages by framing orientations, and benefit distance to promote consumers’ support for pro-environmental products.

      • KCI등재

        기부형 크라우드펀딩 캠페인 내용 분석 : 스토리텔링형 기부 메시지의 설득 효과를 중심으로

        조윤용 한국광고학회 2019 광고학연구 Vol.30 No.5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이 다양해지기 시작하면서 온라인상에서 소액이나 포인트 등으로 모금을 하는 기부 캠페인이 늘어나고 있다. 이 연구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스토리텔링형 기부캠페인을 주목하였다. 특히 스토리텔링형 기부 캠페인의 주제, 등장인물, 화자, 플롯과 이를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댓글 수와 모금률을 내용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크라우드펀딩을 통한 기부 캠페인은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캠페인의 비중이 높았으며, 이들에게 생활지원과 교육・문화지원에 관련된 캠페인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메시지 전달방식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크라우드펀딩의 기부 캠페인은 스토리텔링형식으로 이야기를 끌어간 캠페인이 67%였다. 캠페인의 효과를 살펴보았을 때, 정보전달형이나 이미지형 캠페인보다는 수혜자가 처한 문제 상황을 이야기형식으로 풀어내는 스토리텔링형 캠페인의 모금률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기부 캠페인 속 수혜자를 구체적인 대상으로 그려냈을 때, 즉 이름(가명 포함)으로 소개하였을 때, 그리고 제3자가 아닌 수혜자가 직접 본인의 이야기를 풀어나갔을 때 캠페인 모금률에 긍정적인영향을 끼쳤다. 이 연구는 기부 캠페인 기획 과정에서 캠페인의 주제, 메시지, 수혜자의 특성을고려한 맞춤형 캠페인을 전략적으로 기획하고 집행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유효한 기준을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다문화시대 외국인주민 소통권 증진을 위한 탐색 연구

        조윤용(趙允庸),이혜진(李?珍),황성욱(黃盛郁) 한국지방정부학회 2015 지방정부연구 Vol.18 No.4

        이 연구는 최근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화 되어가고 있는 한국사회의 외국인주민의 소통권을 보장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를 찾기 위한 연구이다. 다문화주의 논의와 관련하여 최근 주목받기 시작한 소통권(communication rights)은 인간이 가져야할 기본적이고도 보편적인 권리이며 소통권의 보장을 통해서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권을 누릴 수 있고, 나아가 다른 기본권을 보호하고 구현할 수 있다. 다문화시대의 소통권에 대한 학문적 논의의 필요성을 인지하면서, 이 연구는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누려야 할 소통권의 보장을 위해 어떠한 정책적 대응이 수반되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사회구성원이 마땅히 누려야할 기본권인 소통권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다문화사회에서의 외국인주민의 소통권 증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정책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부산시 외국인주민 관련 전문가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실시하고, 인터뷰를 통해 외국인주민의 소통권 증진을 위해 어떠한 정책적 전략을 수립해야 하는지에 대한 함의를 제시할 것이다. 외국인주민의 소통권 증진을 위한 학문적 논의가 드문 상황에서 이 연구는 다문화정책, 그 중에서 외국인주민의 소통과 관련해서 지방정부차원에서의 지원 정책을 추진하는데 학술적, 실무적 의의를 가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As foreign residents’ population has rapidly risen since the early 1990s, South Kora has become a post-national, multicultural society. For a better transition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efficiently coordinated public communications with foreign residents are essential. Given the importance of public communication with foreign residents, there also has been much of discussion regarding communication rights for foreign residents. Communication rights represent universal and fundamental human rights that everyone in the democratic society should be entitled. Communication rights enable individuals to strengthen human dignity and equality. Given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righ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8 experts to discuss local governments’ communicational directions to enhance communication rights for foreign residents. With the focus group interview, this study aimed to 1) analyze a current public communication system in the local government, and 2) discuss the possible solutions to strengthen foreign residents’ communication rights. Based on th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