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의 장애유아 통합에 대한 신념과 실제 및 욕구 분석

        전한나(Jun, Han-Na),조윤경(Cho, Youn-Ky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1

        장애아에 대한 무상 교육 및 보육 정책에 따라 장애 영유아들이 점차 더 많이 일반기관에 통합되어 교육과 보육 서비스를 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합을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나 프로그램 운영 지침이 없어서 담당 교사들은 장애 영유아를 보육(교육)하는 데, 즉 통합 실행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4개 기관에서 317명의 교사(어린이집 교사 162명, 유치원 교사 155명)를 중심으로, 장애아 통합 실행에 주요 영향 요인인 통합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실제를 어린이집과 유치원 교사를 비교해 보고, 교사변인에 따른 장애아 통합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사의 통합 신념 및 실제에 주요 영향 요인인 현직 연수 욕구 종류와 형태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에 대한 일반적인 신념에는 어린이집 교사가 유치원 교사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에 대한 실제에 차이에는 유치원 교사가 어린이집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재직 연수에 있어서 어린이집 교사의 경우 재직연수가 6년 이상 되는 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고, 학력이 높을수록 장애아 통합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경험과 연수경험에 따라 장애아 통합에 대한 교사의 신념과 실제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어린이집 교사와 유치원 교사가 통합교육 및 통합보육에 대한 이해와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현직연수 내용은 장애아 진단 및 평가, 행동지도, 부모 및 전문가와 협력하기 순으로 나타났고, 연수 형태는 개별적인 지원, 소그룹 지도, 오프라인 워크숍 등의 실질적인 지원을 요구했다. Due to education policy changes, increasing number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re attending inclusive programs. Teachers in these settings need to have corresponding beliefs and skills so that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an succeed with their peers. And it is critical to the success of inclusion efforts to continue to build a knowledge base about teachers’ abilities and training needs in this area. So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ore the beliefs, skills, background causes and training needs of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and Pre-K teachers regarded as the importantaffecting factors in preschool inclusive implement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the background informations, beliefs, skills, and training needs with two group teachers. In this study, the 162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and 155 Pre-K teachers were participated in Seoul and Kyung-gi Do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d. First, in beliefs,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showed the higher than the Pre-K teachers. Second, in skills, the Pre-K teachers showed the higher than the child care and education teachers. Third, in background causes, the academic attainments, the experiences of inclusive education and the amount of inservice training yielded different results. Fourth, to provide optimal inclusive education, teachers wanted the inservice training in assessment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ehavior management, and corporation with family and other practitioners. They wished to receive the inservice training by individual support, small group guidance, and off-line workshop.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practice and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와 평가

        조윤경(Cho Youn Kyung),정지영(Jeong Ji Young),임은미(Lim Eun Mi) 한국교원교육학회 201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5 No.3

        이 연구에서는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와 평가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초등학교 담임교사에게 8개 영역의 39항목으로 구성된 전문상담교사 역할을 제시하고, 각 역할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02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기대는 5점 만점 중 4.50으로 매우 높았으며, ‘내담자 보호’, ‘위기상담’,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의 순이었다. 순회교사가 배치된 학교의 담임교사는 ‘생활지도 체제지원’, ‘학교상담 행정업무’, ‘위기상담’, ‘부모교육’, ‘아동이해 정보제공’에서 기대가 낮은데 비해, 미 배치 학교의 담임교사는 ‘생활지도 체제지원’, ‘위기상담’, ‘아동이해를 위한 정보제공’에 대한 기대가 높았다. 상담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들은 전체 하위영역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높은 기대를 보였다.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평가는 5점 만점에 3.65로 전체적으로 기대(4.50)에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은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은 ‘내담자 보호’, ‘위기상담’, ‘학교상담 행정업무’, ‘개별 및 집단상담’ 등이었다. 상주 전문상담교사가 배치된 학교에 근무하는 담임교사들은 ‘내담자 보호’, ‘학교상담 행정업무’, ‘부모교육’에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하여 높은 평가를 내렸다. 전문상담교사 미 배치 학교의 담임교사는 ‘내담자 보호’, ‘학교상담 행정업무’, ‘부모교육’에서 기대보다 유의하게 낮은 평가를 보였다. 이 연구는 전라북도 초등 상담의 현장에서 전문상담교사와 가장 긴밀한 협조를 해야 할 담임교사의 시선으로 전문상담교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와 평가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expectations and evaluation about school counselors’ role in Jeonbuk. For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s performed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39 items of 8 sub-factors for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in Jeonbuk. The role expectations of elementary school homeroom teachers about school counselors were very high(M=4.50 points out of 5.00). While the expectations of the Client Protection, the Crisis Counseling,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were high, that of guidance was low. The homeroom teachers of the schools which have visiting school counselors had low expectations in the Systemic Support for Guidance,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Crisis Counseling, the Parents Education, the Information Giving for Understanding Children, whereas the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the schools without school counselors had high expectation about the Systemic Support for Guidance, the Crisis Counseling, the Information Giving for Understanding Children. Teachers who did not receive counseling training showed high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school counselors in all sub-factors. Homeroom teachers’ evaluation about school counselors’ role performance(M=3.65 points out of 5.00) was lower than expected. School counselors’ role performances received high evaluation were the client protection , the crisis counseling ,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 and the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 Homeroom teachers who have full-time school counselors evaluated high about the roles of school counselors such as the Client Protection, the Clerical Jobs for School Counseling, the Parents Education. The homeroom teachers working in schools without school counselors evaluated significantly lower than expected about school counselor’s roles in the Client Protection, the Clerical Job of School Counseling, and the Parents Educa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nformation on the expectations and evaluation of school counselors’ roles in the view of homeroom teachers who should cooperate closely with school counselors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 KCI등재

        장애아통합보육지원센터 역할에 대한 욕구와 평가

        조윤경(Cho Youn-Kyung),김수진(Kim Soo-Jin),강지현(Kang Ji-Hyu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8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53

        본 연구는 2006년 12월 - 2007년 11월 간 시행된 장애아통합보육지원센터 사업을 통한 장애 아동 통합보육 시설에의 영향도를 평가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질적인 통합보육 환경 조성에 대한 방향 정립과 통합보육지원센터의 역할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시행되었다. 실제 시행 내용 평가를 위해서 주요 참여 집단이며 서비스 제공자인 장애아통합보육지원센터의 순회자문교사와 서비스 수혜자인 통합보육시설의 장애전담교사 각 8명, 총 16명에 대한 면담을 실시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합은 혜택 면에서 시행의 당위성을 가지며, 장애아통합보육지원센터와 순회자문교사는 통합보육시설과 장애전담교사에게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통합보육 실행의 어려운 요소와 통합보육을 지원하는 순회자문교사의 역할 정립은 할 과제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급하게 시행되어야 하는 대책들과 토론이 필요한 과제 등이 논의 되었다. "Support Center for Inclusive Child -Care" Project had been implemented between December 2006- and November 2007.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effects of "Support Center for Inclusive Child-Care" Project to the inclusive child-care setting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o give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a qualified inclusive child-care environment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building a role model. In order to assess the actual implementation process and contents, total number of 16 teachers including 8 itinerant consultant teachers and 8 teacher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o are not only the major participant group in this project but also the service providers were interviewed and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As a result, in terms of its benefit, inclusion makes a case for its implementation, and "Support Center for Inclusive Child-Care" and the itinerant consultant teachers have been generally evaluated as positive influence to the inclusive child-care institutions and their teachers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n the contrary, some difficult elements in the implementation of inclusive child-care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ole of itinerant consultant teachers appear to be challenges to be met. In order to solve these matters, some emergent countermeasures and tasks to be discussed were suggested.

      • 중도장애 학생의 성인기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계획과 실행 과정 및 과제

        조윤경(Youn-kyung Cho) 한국직업재활학회 2003 職業再活硏究 Vol.13 No.1

        특수교육을 받고 졸업한 장애학생들의 성인기 실업과 독립적인 생활 운영 능력 결여ㆍ사회적 경험의 제한성ㆍ지역사회 활동 참여의 열악성ㆍ평균 보다 높은 범죄율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학령기에서 성인기로 전환 시기에 대한 지원이 강조되었다. 취업과 관련해서 소외될 가능성이 있는 중도장애인에게 있어 취업은 재정적뿐만 아니라 권리적인 보장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전환 계획과 그 실행은 특히 더 강조되고 있다. 전반적인 영역에서 장기간 연속적인 지원을 요하는 중도장애 학생의 성인기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위한 그리고 취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전환의 구성요인과 그 절차ㆍ구체적인 교수 내용 및 방법 등 전환과 관련된 전반적 내용을 탐색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중도장애인의 전환의 성공을 위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야 할 방향을 평생 교육과 직업ㆍ주거ㆍ지역사회 내의 관계성ㆍ자기 옹호 기술면에서 제시해 보았다. The support system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as needed emergently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who showed the unemployment or underemployment of adulthood, the deficits of independent life management skills, the limitations in social experiences, the poor participation in community activities, and the above-average in criminal rates. The transiti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o solve these problems was suggested which included with a sets of comprehensive services and experiences, defined as outcome-directed process. Especially, the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need to protect the right of employment and not to exclude from the employment, because they had a lot of limitations in many areas. Based on theses transition needs of severe disabilities, the components, procedures of transition, and concrete instructional methods were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nvestigations, further act-directions of life-long education, employment, residence, relationship of neighbors in community, self-advocacy were suggested.

      • KCI등재

        사례 중심 현직 연수가 보육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미치는 영향

        조윤경 ( Cho Youn-kyu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4

        영유아기의 문제행동은 영유아의 현재 발달과 미래의 적응에 상당히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조기 개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 방안으로 최근에 그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는 긍정적 행동지원을 근간으로, 사례 중심 워크숍 형태로 보육교사 현직 연수를 4회 연속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절차는 담당하는 사례 영유아의 문제행동에 초점을 맞추어서, 긍정적 행동지원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해 보며, 적용 후 코칭 혹은 자문을 받아서 수정 보완하여 다시 적용해 보는 방법이었다. 사례 중심 보육교사 현직 연수를 통한 전문성 개발 접근이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1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측정 간차이를 통해 알아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수는 보육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사전-사후 인식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본 연수는 보육교사의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사전-사후 실행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세부적인 측면에서 2차 소집단 지원에서는 실행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사례 중심 보육교사 현직 연수는 긍정적 행동지원에 대한 인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실행의 증가에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사례 중심 긍정적 행동지원 관련 보육교사 현직 연수의 의의와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Infants and young children exhibit a variety of challenging behaviors, which has negative influences on their harmonious growth and development and thus requires early systematic interventions. Challenging behavior is the one of the difficulties in child care and education settings teachers experienced. To help this, positive behavior support(PBS) method has been suggested. Promoting positive outcomes, in-service training workshop based on case was developed which include a focus on PBS principles, an opportunity for “hands-on” practice, and follow-up coaching or consultation, with 4 successive ses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in-service training workshop based on case might affect the recogni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PBS. The outcome measured by pre and post survey on 15 teachers contained the basic elements of PBS.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in-service training workshop based on case did not occur the significant pre and post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PBS. And the in-service training made the significant pre and post difference in implementation of PBS. This training workshop did not affect the recognition but led to significant implementation increase. Concerned with the outcomes, the meanings and directions of the in-service PBS training workshop based on case were discussed.

      • KCI등재

        기업이질성에 근거한 수출 참여 예측: 딥러닝을 이용한 시계열 분류

        성봉석 ( Bongsuk Sung ),서일정 ( Il-jung Seo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20 유통경영학회지 Vol.23 No.6

        Purpose: This study is to predict firms’ export participation based on firm heterogeneity, considering the situation where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try to promote firms’ entry to export markets from the perspective of heterogeneous firm trade framework these day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We used the 13-year time series data from the business activity survey produced by the Statistics Korea. Total factor productivity, financial leverage, and R&D expenditure were used as input variables and export participation was used as an output variable for time series classification with deep learning. We have trained and compared the three deep learning models for time series classification: multi layer perceptron, fully convolutional network, and residual network. We implemented the models using the open source deep learning library Keras with the Tensorflow back-end. The models’ performance was evaluated using the mean of accuracy, precision, recall, and F1-score over the 10 runs on the testing data set.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ully convolutional network (FCN) architecture performs best for the time series classification task and the recall is higher than the precision. The accuracy of the best model is 0.86, the precision is 0.64, the recall is 0.80, and the F1-score is 0.71.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moting the understanding of deep learning approach to prediction of export participation in the context of heterogenous firm trade theory. The prediction focuses on the selection of non-exporting firm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orientation for excavating and making firms without exporting start exporting. We propose to be able to utilize the FCN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export promotion policies, in particular focused on increase in firms’ export participation, by interpreting three of the indicators being used for model evaluation, precision, recall, and F1-score, in the context of such policy.

      • KCI등재
      • KCI등재

        만 3세 미만 장애 영아 부모를 통해 본 장애 발견과 진단 및 조기개입 연계과정과 지원요구

        조윤경 ( Cho Youn Ky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1

        본 연구는 만 3세 미만 장애 영아에 대한 효과적인 서비스 전달 체계 구축을 위해서, 영아의 문제를 발견하여 의뢰하는 부모의 관점에서 조기 선별과 장애진단과정, 조기 개입 서비스 연계의 현재 상황과 일련의 연계과정 지원 구축방안 및 지원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관을 통한 설문 형식으로 38개 기관 재원 130명의 만 3세 이하 영아 부모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장애 영아 부모들은 1세 이하의 비교적 빠른 시기에 자녀의 문제를 발견하고 있었으며, 장애 의심이 드는 경우 곧바로 본인의 결정과 병원의 권유로 진단 평가를 받았다. 둘째, 장애 영아 부모들은 진단 평가 후 서비스를 받았고, 가장 최초로 받은 서비스는 재활치료가 주를 이루었으며, 이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높았다. 진단 평가 후에 정확한 서비스 안내가 없거나 부모의 장애 진단 수용 거부 등으로 일부 부모들은 진단 후에 서비스를 받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셋째, 3세 미만 장애 영아 부모들은 장애 선별-장애 진단 평가-서비스 시행의 연계 구축에 대한 강한 요구를 보였고,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가 상호 협력하여 별도의 지원체계를 구성하는 방법을 선호하였다. 넷째, 일련의 연계 진행 과정 시행에서 장애영아 부모들은 부모양육지원 강화와 현행과 같은 재활치료 바우처 제공, 법적 제도 내의 다양한 서비스 실시를 요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거하여 추후 시행되어야 하는 방안들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nective procedure of early child findings, diagnosis, early intervention services, and the supports needed from the parents` view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under 3 year old. Because of individual information protection, the surveys were distributed to institutions. The sample consisted of 38 institutions which operated early intervention programs across the country, 130 parent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under 3 years were responde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parents found out the problems of their child as early as possible before 1 year old, and referred to diagnosis with self-determination and advices of medical personnels. Second, after parents were identified the problems of their child by diagnosis, they immediately got the early intervention services. Mainly they received rehabilitation therapies, and showed the relatively high satisfactions. Without the correct guidance for the proceedings and with refusal of parents on disability of their child, some cases didn`t get the services after the diagnosis. Third, parents demanded the connective procedures of child finding-disability diagnosis-early intervention service implementation. They wante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role differentiation of connective systems run by Dept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Dept of Health and Welfare. Fourth, parents wanted the child raising support-parents empowerment, expansion of rehabilitative voucher provision, and implementation of diverse services manifested in the law.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system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시행 치료사의 주요 요소별 실행 현황과 지원 요구

        조윤경(Cho, Youn-Kyung),김수진(Kim, Soo-Jin),송영희(Song, Young-Hee)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8 특수교육 Vol.1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의 주요 요소인 가족역량강화, 자연적 환경, 팀접근에 대한 치료사의 실행 현황과 요구를 알아보고 치료사의 역할을 정립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 치료사는 5명으로 유아특수학교, 장애아전문어린이집, 장애인종합복지관의 3개 기관에서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에 참여하고 있으며 반구조화된 면담을 진행하였다. 전사 면담 자료의 연속적 내용 분석을 통해 6개 주제 하에 29개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면담 내용 분석 결과 첫째, 치료사는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부모의 직접참여와 협력 도출을 어려워하였으며 치료사 양성과정 내에 조기개입 관련 과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치료사는 인위적 치료실 환경이 아닌 자연적 환경에서의 조기개입 실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자연적 환경 내 치료 적용을 위한 평가도구의 개발, 관련 사례집을 요구하였다. 셋째, 치료사는 전문영역 간의 견해 차이로 팀접근에서의 제한적 역할방출을 보고하였고 전문가 간 멘토링 프로그램, 주 서비스 제공자 제도를 요구하였다. 결론: 이러한 현황과 요구를 토대로 발달지체 영아 조기개입 주요 요소별 치료사 역할 관련 제언이 논의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sent implementing status and support needs of early intervention participating therapists in main factors of early intervention by ‘family empowering’, ‘natural environments’ and ‘trans-disciplinary team approach’ and determine the accountability of therapists. Method: Five therapists who were working at three different types of early intervention institutions were interviewed. Constant qualitative analysis with 6 themes and 29 sub-themes under three categories was performed. Results: It was difficult to direct parental involvement and collaboration on implementing ‘family empowering". Early intervention related courses need to be included in training course for therapists. Second, therapist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information about the intervention in natural environments rather than services or institution settings. They need evaluation tool and related case guidance for early intervention in natural environments. Third, regarding ‘trans-disciplinary team approach’, therapists indicated difficulty in limited role release, requiring inter-disciplinary mentoring program and a primary provider system.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direc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therapists and main factors of early intervention a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