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셰익스피어의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와 뮤지컬 〈클레오파트라〉(2008)의 비교 연구

        조윤경(Yoon-kyung Cho)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09 셰익스피어 비평 Vol.45 No.3

        In this paper, I compare the portrayal of Cleopatra in the musical, Kleopatra(2008) with that in Shakespeare's Antony and Cleopatra. The Egyptian queen has fascinated artists and writers as an attractive subject. While descriptions of Cleopatra in their works have shown extreme divergences, the image as which she has been understood up to now is the most celebrated stereotype of the 'goddess' and 'whore', Cleopatra has been not only a powerful strategic political leader but also a seductive femme fatal who led to historic heroes' tragic destructions, I assume that the ambivalence of the 'goddess' and 'whore' that is observed in the figure of Cleopatra originates from Shakespeare's representation of her in his play, Antony and Cleopatra. Although many artists and writers after Shakespeare have created a variety of Cleopatras, interestingly,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either the goddess or the whore from Shakespeare's ambivalent representation. In this paper, holding Shakespeare's ambivalence as a hinge, I interpret Kleopatra as a text to expand and reinforce the goddessness, contrasting it with Dryden's All for Love, Shaw's Caesar and Cleopatra and Mankiewicz's Cleopatra which I regard as texts which build up the whoreness. Through texts which curtail and remove the queen's power, the Western imperialists have formed discourses, which develop into the myth to contain Cleopatra in the name of 'whore'. However, the musical born in Eastern Europe with the advent of the new millennium presents certain possibilities to become a counter-discourse to subvert the Western myth. I demonstrate that the plot of the musical highlights Cleopatra's ambition, suffering and struggle as a queen, which ultimately strengthens her 'goddess' image. In addition, the musical represents other female characters anew who were marginalized in the history and it also includes strong denunciation on the Western imperialists by creating efficient stage devices. The findings from the comparative study suggest that the musical Kleopatra releases Cleopatra from the dishonorable title of a 'whore' and reinstates Cleopatra to her throne as it becomes a counter-discourse which frustrates the Western imperialist desire.

      • KCI등재

        『大乘玄論(대승현론)』 길장 찬술설에 대한 재고찰 -「二諦義(이체의)」를 중심으로

        조윤경 ( Yoon Kyung Ch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4 禪文化硏究 Vol.16 No.-

        『大乘玄論』은 이제껏 삼론종의 정수를 간명하게 담고 있는 길장(吉藏)의 후기 대표작으로 높이 평가되어 왔다. 하지만 여러 연구들에 의해 『大乘玄論』이 길장의 저술이 아니라는 의문이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오늘날 『大乘玄論』이 전반적으로 다른 여러 문헌들의 편집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길장이나 길장의 제자들이 길장의 문헌을 편집하여 이 저술을 완성했을지도 모른다는 가능성 때문에, 그동안 『大乘玄論』을 넓은 범위에서 길장의 저술로 간주하고 인용하는 연구들이 많았다. 『大乘玄論』 제1권 「二諦義」는 편찬과정에서 『大乘四論玄義記』 제5권 「二諦義」 의 구조를 참조하여 전체적인 틀을 세우고, 길장의 『二諦義』, 『中觀論疏』, 『淨名玄論』, 그리고 혜균의 『大乘四論玄義記』 「二諦義」, 「八不義」의 문장을 부분적으로 차용하여 편집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二諦義」의 각 장마다 기존의 길장의 사상과 모순되거나 불일치하는 부분이 군데군데 보이기 때문에, 현존하는 『大乘玄論』이 길장의 찬술일 가능성은 희박하며, 길장의 제자들의 편집이라고 보기에도 무리가 따른다. 마지막으로 『大乘玄論』의 구조와 사상 등을 통합적인 시각으로 해석하던 기존의 연구 경향에서 벗어나, 객관적이고 분석적인 시각에서 『大乘玄論』을 접근한 다면 삼론종 사상의 새로운 지평이 열릴 것이라 기대한다. Until today, Dachengxuanlun, which regarded to embody the essential thought of Sanlun tradition, has been highly evaluated by people as the most representative work of Jizang`s late years. However, whether Jizang is the real author of Dachengxuanlun has remained doubtful. Although there is no denying that substantial part of Dachengxuanlun came from other texts, it has been generally considered as Jizang`s work in a broad sense and its verses have been frequently quoted in many other studies of Sanlun tradition assuming that either Jizang or his disciples compiled this document from Jizang`s previous works. Still, it seems inappropriate to regard the work as Jizang`s. For one thing, Erdiyi, Dachengxuanlun Vol. 1 seems to have imitated the framework of Yije`ui, Daeseungsalonhyun`uigi Vol. 5 and have partially adopted the writings not only from Erdiyi, Zhongguanlunshu, Jingmingxuanlun of Jizang, but also from Yije`ui and Palbul`ui in Daeseungsalonhyun`uigi of Hyegyun. Besides, in every section of Erdiyi, Dachengxuanlun Vol. 1, some ideas contradict or discord with Jizang`s thoughts. Accordingly, the extant Dachengxuanlun is highly unlikely to be either a Jizang`s work or a his disciple`s compilation. All in all, we should interpret Dachengxuanlun in an objective and analytic way instead of taking conventional synthetic approach. I am certain that this could be a breakthrough that enables us in this field of studying Sanlun develop further

      • 원효와 혜균의 만남과 대화 ― 원효의 화쟁·회통에 보이는 혜균의 변증법적 논리를 중심으로 ―

        조윤경 ( Cho Yoon-kyung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19 불교 철학 Vol.5 No.-

        본 논문은 백제 혜균(慧均)의 변증법적 논리와 신라 원효(元曉)의 화쟁·회통의 논리 구조에 유사성이 있음을 밝히는 시론적 고찰이다. 두 인물은 지리적으로 매우 인접하고 시기적으로 상당히 가깝기 때문에, 원효는 혜균의 『대승사론현의기』를 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혜균은 소밀(疏密)과 횡수(橫竪)라는 두 시선의 교차를 통해, 현실에서 대립적으로 나타난 자타(自他)가 변증법적으로 융합해야만 비로소 궁극적인 초월, 즉 해탈이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던진다. 한편, 원효는 이러한 두 가지 대립되는 학설을 화쟁시키는 방법을 통해 진리에 한 걸음 더 다가설 수 있다고 보았는데, 그것은 두 가지 다른 법의 상호 소통과 융합을 통해 궁극적 진리에 도달하는 혜균의 변증법적 논리와 유사하다. 또한, 이제가 양변을 완전히 부정하여 완전한 평등과 무차별을 실현한 절대경지인 원효의 무이중도에서도 혜균의 변증법적 논리 구조가 보인다. 혜균의 변증법적 사유체계는 화쟁·회통의 논리적 토대를 제공하였으며, 따라서 당시 원효가 길장만이 아니라 백제 혜균을 통해 삼론학을 흡수했을 가능성도 보인다.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to reveal similarities between the dialectical logic of Baekje Hyegyun(慧均) and the logical structure of Hwajaeng of Silla Wonhyo(元曉). Since these two figures were quite close in time and space, we can easily assume that Wonhyo had encountered Daeseungsalonhyun'uigi written by Hyegyun. To be more specific, Hyegyun insisted the ultimate transcendence was possible only when the oppositional manifestations of the reality were fused dialectically. Wonhyo thought one could go one step closer to the ultimate truth through the method of harmonizing two conflicting theories. It is similar to Hyegyun's dialectical logic reaching the ultimate truth. In addition, the dialectical logical structure of Hyegyun can also be seen in Wonhyo's Middle Way of Non-duality, which is the absolute state that completely negates both sides and realizes the equality of the two truths. In conclusion, Hyegyun's dialectical thoughts provided a logical foundation for Wonhyo's Hwajaeng,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Wonhyo absorbed the thoughts of Sanlun School not only through Jizang but also through Baekje Hyegyun.

      • KCI등재

        협동조합형 공동육아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자녀 돌봄 재구성

        조윤경(Cho Yoon-Kyung)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1

        This study analyzes changes in paternal care toward a father's own child through participation in a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 or cooperative after school club. Fathers have relationships with men in such cooperatives and these male relationships usually encourage fathers to care for their children and to take pride in performing their paternal duty well. Even though fathers usually join such child care organizations passively, they perform ‘domestic work’ and ‘care-related housework’ after participation in child care cooperatives. In addition, fathers care for other children as well as their own in cooperative settings based on socially extended fatherhood. They exhibit 'reflexive care' (care-giver reflects social structures based on private care experience). Therefore paternal care for children is being reconstructed through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s and after school clubs. 본고에서는 ‘공동육아협동조합어린이집/방과후’(이하 ‘육아협동조합’)에 참여하는 아버지들이 ‘육아협동조합’ 참여 경험을 통해 돌봄 범위가 일상적 돌봄으로, 돌봄 대상이 어린이집 아이들로, 비판적 성찰 경험이 돌봄에 토대하는 것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우선 아버지들은 어떤 종류의 돌봄에 어느 정도 참여하는지를 고찰했다. 그 결과 아버지들은 돌봄 참여 범위(포괄적/제한적)와 돌봄 시간(적극적/소극적)에 따라 ‘포괄적 돌봄 적극형 아버지’, ‘포괄적 돌봄 소극형 아버지’, ‘제한적 돌봄 적극형 아버지’, ‘제한적 돌봄 소극형 아버지’로 유형화됐다. 이들 모두는 ‘돌보미’로서의 역할을 강조하는 변화의 압력을 받고 있었다. 특히 아버지들의 ‘육아협동조합’ 참여는 ‘돌보미’로서의 아버지 역할을 강화하는 동인으로 작용했다. ‘포괄적 돌봄 적극형 아버지’들은 ‘육아협동조합’에 참여하는 아버지들 간의 관계를 통해서 ‘일상적 돌봄’에 참여하도록 독려받으며 ‘돌보미’로서 정체성과 긍지를 확보해 갔다. 또한 ‘아마 활동’을 통해 ‘돌봄 소극형 아버지’들도 ‘일상적 돌봄’과 ‘가사노동과 관련한 돌봄’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어린이집 아이들을 돌보는 ‘사회적 부모됨’을 실천했다. 더불어 아버지들은 자녀 돌봄 참여를 매개로 하여 자신의 사적 돌봄 경험을 사회적 맥락에 위치시키는 ‘성찰적 돌봄’을 수행했다. 따라서 남성 돌봄 경험의 폭이 다양화되는 가운데 ‘육아협동조합’ 참여와 같은 시민사회적 실천은 남성들의 돌봄 경험을 재구성하는 동인으로 작용했다.

      • KCI등재

        삼론교학에 나타난 "방편(方便)"의 의미 -"방편(方便)"과 "권(權)"의 비교 고찰을 중심으로-

        조윤경 ( Yoon Kyung Cho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禪文化硏究 Vol.19 No.-

        불교에서 ‘방편(方便)’은 본래 산스크리트 ‘upaya’를 번역한 개념으로, 대승불교의 핵심적 사상 가운데 하나이며 특히 삼론교학에서 방편은 삼론종 중심 교설인 이제와 이지(二智)를 관통하는 핵심 개념이다. 일반적으로 통용되어 쓰이는 ‘권(權)’과 ‘방편(方便)’을 삼론종에서는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길장과 혜균의 스승인 법랑(法朗)의 육종이지(六種二智)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삼론종에서 ‘권(權)’은 방편가운데 일시적으로 가립된 특수한 작용을 가리키므로 궁극적인 깨달음과는 거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방편(方便)’은 단순히 ‘권(權)’의 도구적 의미에만 머무르지 않는다. 방편(方便)은 ‘반야의 교묘함(般若之巧)’으로서 깨달음을 성취한 불보살의 지혜가 교묘하게 드러나는 것이므로 ‘권(權)’의 의미를 포괄한다. 또한 방편(方便) 개념은 삼론종의 이치와 가르침[理敎], 어교이제(於敎二諦), 그리고 교화의 유익함까지도 모두 내포하고 있다. 이렇게 삼론종의 방편(方便)은 그 뜻이 매우 풍부할 뿐만 아니라 깨달음의 심층적인 차원에서 현현되는 작용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삼론종의 교학체계를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Fangbian(方便) in Buddhism, which originally translated from the Sanskrit word, ‘upaya’, has one of the essential meanings in Mahayana Buddhism. This key concept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e Sanlun School because it penetrates two main thoughts, the two truths and the two wisdoms. The Sanlun School differentiated between ‘quan(權)’ and ‘fangbian(方便)’ although the two notions are often used without distinction and Falang(法朗)``s three pairs of wisdoms(六種二智) show it well. Because in Sanlun School, the meaning of ‘quan(權)’ is confined to the temporary and expedient function of ‘fangbian(方便)’, the concept is obviously far from the ultimate enlightenment. However, the concept of ‘fangbian (方便)’ is more than just instrumental meanings of ‘quan(權).’ Fangbian(方便) embraces the meanings of quan(權), because fangbian(方便), the skill of Prajna, skillfully manifest the Buddha``s and the Bodhisattva``s wisdoms. Moreover, the concept of fangbian(方便) includes the thoughts of the ultimate reality and the teachings(理敎), the Yujiaoerdi(於敎二諦) and the fruitfulness of the teachings in the Sanlun School. In conclusion, fangbian(方便) occurring from in - depth enlightenment helps enhance coherence of the theoretical system of the Sanlun School with its various meanings.

      • KCI우수등재

        삼론종의 이원적 범주 연구

        조윤경(Cho, Yoon Kyung)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7 No.-

        이 논문의 목적은 혜균의 대승사론현의기(大乘四論玄義記)제1권 「초장중가의(初章中假義)」를 중심으로 삼론종의 주요 이원적 범주들인 소밀(疏密) ․횡수(橫竪)․단복(單複)․쌍척(雙隻)․통별(通別)의 근본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해보는 것이다. 삼론종 전통에서 이원적 범주들은 중도와 가명의 무애한 모습을 나타내기 위한 사유틀일 뿐 아니라, 여러 다른 중생을 깨달음으로 인도하기 위한 방편교화의 방법론이다. 구체적으로, ‘소밀’에서 소는 두 법의 관계성이 ‘성김’을 나타내고, 밀은 한 법에 한정하여 ‘긴밀함’을 나타낸다. 그리고 ‘횡수’는 각각 수평적으로 전개하는 횡론과 수직적으로 상승하는 수론의 뜻인데, 혜균은 횡을 ‘병렬적으로 전개하는[傍開] 구절’로, 수를 ‘융합하여 전변하는[合轉] 구절’로 해석하였다. ‘단복’과 ‘쌍척’도 비슷하게 보이지만 근본적인 의미는 서로 다르다. ‘단복’은 의미의 층위가 홑겹인지 혹은 여러 겹인지에 따라 구별되는 개념으로서, 단은 단층적 의미를 나타내고 복은 중층적 의미를 나타낸다. 이와 달리, ‘쌍척’은 짝개념과 홀개념을 가리키며 하나의 짝에서 양쪽 모두를 포괄하면 쌍이고, 어느 한 쪽만 지칭하면 척이다. 한편 ‘통별’은 ‘일반[通]’과 ‘특수[別]’의 관계인데, 통과 별은 각각 독립적으로 성립할 수 없고 서로 상대적으로만 성립하는 개념이다. 혜균은 이원적 범주들의 속성을 규명하면서 크게는 소-수-단-쌍-통과 밀-횡-복-척-별을 관련시켜 해석하였는데, 여기서 그의 독창적 사상이 드러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fundamental meaning of important dual-categories, including Shumi (疏密), Hengshu (橫竪), Danfu (單複), Shuangzhi(雙隻) and Tongbie (通別) in Sanlun tradition, mainly focusing on the Chojangjoungga'ui, Daeseungsalonhyun'uigi Vol. 1. In the Sanlun School, those dual-categories were used as the cognitive frames in describing unhindered forms of the Middle Way and Prajñapti, as well as the teaching methodologies in leading various kinds of people to enlightenment. To be more specific, in Shumi, Shu (疏) refers to the loose relation between two things compared to Mi (密) meaning the close internal relation bound together by one thing. In Hengshu, Heng (橫) is the horizontal and parallel argument while Shu(竪) is the vertical and transcendental integration. The fundamental meaning of Danfu distinctly differed from that of Shuangzhi despite their superficial similarity. Danfu is related to the meaning within a hierachy; Dan (單) points to the single layer of the meaning and Fu (複) points to multiple layers of the meaning. In contrast, Shuangzhi is a term which has the meaning related to a pair; Shuang (雙) covers both in the pair, and Zhi (隻) points to only one of the pair. In addition, Tongbie means the general [通] and the particular [別], relative concepts established in reliance on each other. Huijun divided the above-mentioned dual-categories into two groups, Shu-Shu-Dan-Shuang-Tong for one, Mi-Heng-Fu-Zhi-Bie for the other. This kind of systematic approach to the dual-categories is his own creative interpretation.

      • KCI우수등재

        법랑(法朗)의 ‘상즉(相卽)’ 개념

        조윤경(Cho, Yoon Kyung) 불교학연구회 2017 불교학연구 Vol.50 No.-

        이 논문의 목적은 삼론종 법랑(法朗)의 상즉 개념이 지닌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법랑은 길장(吉藏)과 혜균(慧均)의 스승으로, 오늘날 우리에게 전해진 삼론종 사상은 대부분 그의 문하에서 전해진 것들이므로 그의 사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지만, 아직 법랑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는 많지 않다. 특히 그의 상즉(相卽) 개념은 성실론사들의 ‘ 상즉’에서 후대 중국불교의 복합적인 ‘ 상즉’으로 변용되는 핵심적 사유를 제공하므로, 이에 대한 고찰은 상즉 개념의 변천사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법랑 자신이 상즉을 직접적으로 정의하고 있는 문헌은 현전하지 않지만, 길장의 이 제의와 혜균의 「초장중가의」에 법랑의 상즉에 관한 서술이 있는데, 이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법랑이 상즉의 원리를 어떻게 적용시키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론된 법랑의 상즉 개념은 크게 두 가지 층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법랑의 상즉 개념가운데 중심 의미로서, 초월적 시각에서 보면 공과 색이 인연으로 둘이 아니라 는[不二] 뜻이다. 다른 하나는 상즉의 확장된 의미로서, 깨달은 자의 지혜에서 발생한 무애(無碍)한 작용을 가리키는데, 이러한 무애용(無碍用)으로서의 상즉은 중가(中假), 상대 (相待), 설작(說作)의 의미를 모두 포섭하며 제법의 평등성으로 귀결된다. 법랑의 상즉 개념은 길장과 혜균의 상즉 사상으로 체계화되어 삼론종 이제상즉 사상의 정식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법랑을 계승한 삼론종 상즉 사상은 후대 천태종이나 화엄종에서 보이는 정교하고 복잡한 상즉 개념을 탄생시키는 밑거름이 된다. 따라서 ‘ 상즉’에 대한 법랑의 독창적 해석은 중국 및 동아시아 불교사상사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original meaning of the ‘Xiangji’ conception of Falang, who taught Jizang and Hyegyun, the well-known Sanlun Masters. Most of the texts of Sanlun School passing down until today were authored by Falang’s disciples but we have few studies on him despite his influences on Sanlun school. His conception on ‘Xiangji’ played an especially important role in the change from the early Chengshilunshi’s concept of ‘Xiangji’ to the late complicated concept of ‘Xiangji’ by providing the central meaning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Falang’s ‘Xiangji’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meaning of ‘Xiangji’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Although we can’t find any works in which Falang defined the ‘Xiangji’ concept himself, we can infer how he applied the principle of ‘Xiangji’ from the parts stating Falang’s ‘Xiangji’ in the works such as Jizang’s Erdiyi and Hyegyun’s Chojangjungga’ui. There are two meanings in the different dimensions in Falang s ‘Xiangji’. One is a fundamental meaning of ‘Xiangji’, that is, the Non-duality[不二] of Sunya and Rupa. The other is an extended meaning of ‘Xiangji’, which is the Unhindered Way of the wisdom coming out of the spiritually enlightened, and it is leading to the equality of all dharma. This Falang’s ‘Xiangji’ concept was succeeded and developed by Jizang and Hyegyun, and their ‘Xiangji’ thought of the two truths later became the standard form in Sanlun School. Subsequently, this ‘Xiangji’ concept in Sanlun School had a great influence on ‘Xiangji’ in later Buddhism in China and the East Asia.

      • KCI등재

        조선중기 재지사족 가문 아버지들의 자녀양육에 대한 검토

        조윤경 ( Yoon Kyung Cho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1 인문학연구 Vol.38 No.1

        This article exams interests and characteristics for fathers` nurturing children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Fathers advised their children of studying methods such as reading schedules, positive reading methods, skills for composition examination, manners on civil service examination(gwageoje) thoroughly. In addition, fathers showed longing and concern based on love for family without hesitation and men usually nurtured their own children. In this way, they were not strict fathers but academic teachers and mentos of sincerity. The Confucian culture motivated fathers to nurturing children. Confucian family aimed for succession and development of family. For this, fathers adopted family strategy on participating in children`s education and care for the family because successful examination determined a family`s success and failure and it were important to acquire healthy descendants for succession, Therefore Confucian scholars are an alternative for role model in the Korea of today which search for role model within the west modern fathers.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체성분분석과 혈구산정검사의 관계연구

        조윤경 ( Yoon-kyung Jo ),윤준 ( Joon Yoon ),조영국 ( Young-kuk Cho ),성현호 ( Hyun-ho Sung ) 대한임상검사과학회 2016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KJCLS) Vol.48 No.3

        국가의 공중 보건 정책을 개선하고 사회 경제적 발전을 결정하기 위하여 미래에 성인이 될 학생의 경향 연구는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은 남녀 대학생의 체중과 체질량지수 그리고 신체조성과 CBC 결과와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신체조성 중에서 신장과 체중, 체질량지수 그리고 골격근 양, 기초대사량과 적혈구 수와 혈색소 그리고 적혈구용적률 등에서 양에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모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1). 특히, 혈소판은 체지방량과 체지방률 그리고 허리와 엉덩이 비율에서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p<0.01).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건강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대학생의 건강관리와 관련된 다량의 연구는 전략적으로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건강관리는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수있으며, 지속적인 관리체계 구축과 그에 따른 제도적 마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tendency of students to become adults in the future to improve the country``s public health policy and to determine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research is very importan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hanges in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body composition, and complete blood cell count in a group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mong the body compositions, height, weight, BMI, muscle volume, basal metabolic rate, red blood cells, hemoglobin, and hematocrit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the amount shown both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 In particular, platelets showed a rather different result from fat and body fat percentage, and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waist-hip ratio points (p<0.01). This study may be useful as it provides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students of healthcare. Therefore, developing a sustainable management system of healthcare on a national level for university students is very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