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특성에 따른 보육교사의 소진과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조유나(Cho, You Na),최윤이(Choi, Yun Yi),김현경(Kim, Hyun K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보육교사들이 보육현장에서 겪게 되는 소진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 지원에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서울 및 경기 지역 어린이집에 재직하고 있는 보육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소진 정도는 어린이집 유형와 규모 및 평가 인증 여부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으며, 소진의 하위영역인 비인간화와 개인적 성취감 상실에 있어서는‘어린이집 유형’과‘규모’‘평가인증 유무’,‘조직문화유형’등에 따라서 차이를 보이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조직 몰입 정도에 있어서도‘어린이집 유형’과‘규모’및‘평가인증’‘조직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조직몰입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몰입은 ‘어린이집 유형’과 ‘평가인증 유무’및‘조직문화유형’에 따라서, 유지·규범적 몰입은‘어린이집 유형’과‘어린이집 규모’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소진과 조직몰입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소진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고갈은 유지·규범적 몰입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비인간화는 정서적 몰입 및 유지 규범적 몰입과는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개인적 성취감 상실은 정서적 몰입과 높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나 유지·규범적 몰입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보육현장에서 인식하는 교사들의 소진이 어떠한 요인이든 조직 몰입에 방해되는 요소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소진의 구체적인 이유에 따라서 차이가 있음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gain the fundamental data on the support for the nursery teachers, targeting 214 nursery teachers who are working at the child day centers in the area of Seoul and Gyeonggi-do by researching the variables influencing exhaustion and the early commitment of the nursery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ly, in the degree of exhaustion of the nursery teachers,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size and whether assessment and certification or not. In addition, in the aspects of inhumanness and the loss of individual sense of accomplishment, the sub-realm of exhaustion, there was a subtl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ild care center,’ ‘the size of the child care center,’ ‘whether assessment and certification or not,’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nd so forth. Secondly, also in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ild care center,’ ‘the size of the child care center,’ ‘whether assessment and certification or not,’ and ‘organizational culture type.’ In the degree of emotional commitment, the sub-realm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ild care center,’ ‘whether assessment and certification or not,’ and ‘organizational culture type.’ And in the degree of commitment maintaining norms,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hild care center’ and ‘the size of the child care center.’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xhaustion of the nursery teache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emotional exhaustion, the sub-realm of exhaustion, indic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ommitment maintaining norms and inhumanness showed the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emotional commitment and commitment maintaining norms. In addition, the loss of individual sense of accomplishment indic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emotional commitment, but there was no relationship with the commitment maintaining norms. Through this study, it is easy for teacher in the field situation of nursery setting to think that any exhaustion of teachers may be discouragement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but I have discussed this matter to refer to this result that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pecific reasons.

      • KCI등재후보

        어머니의 행동유형에 따른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DISC 행동유형을 중심으로

        조유나 ( Cho You-na ),김상미 ( Kim Sang-mi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1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4 No.-

        이 연구는 만 4~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행동특성을 DISC행동유형으로 유형화하고 어머니의 행동유형에 따른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만 4, 5세가 되는 유아를 둔 어머니 26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각 변인에 대한 기술적 통계 분석을 실시한 후 일원변량분석방법(ANOVA)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행동유형에 따른 의사소통과 교육, 전반적 양육효능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즉, C형이 S형보다 의사소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D형과 I형, C형이 S형보다 교육요인 양육효능감을 높게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D형과 C형은 S형보다 전반적 양육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행동유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DISC행동유형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를 분석한 결과 S형(안정형)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DISC행동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행동유형에 따라 양육효능감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므로 양육과 관련된 변인들의 관계에서 어머니 각자의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 된 연구가 요구되며 특히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을 위해 낮은 효능감과 높은 양육스트레스를 보인 S유형을 위한 부모교육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ategorize mother's behaviour style, whose 4-5 year-old kindergartners according to DISC behaviour patten and determine whether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related to mother's behaviour styles was associated with parenting behaviors. Therefor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for the study: (a) mother's DISC behaviour styles affect parenting efficacy (b) mother's DISC behaviour styles affect parenting stress related to mother's DISC behaviour styles affect parenting behaviors. The subjects of study were 269 mothers of 4-5 year-old kindergarteners in Seoul and Gyung-gi province. The data was analyzed by ANOVA after using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on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indicated that mother's behavior style was related to factors of parenting efficac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of parenting efficacy according to mother's behaviour style. The parenting efficacy related to mother's behaviour style indicated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teaching, general parenting efficacy from mother's behaviour style. In other words, Type C indicated higher communication parenting efficacy than type S. Also type D, type I and type C indicated higher teaching parenting efficacy than type S. Type D and type C indicated higher general parenting efficacy than type S. Otherwise, type S indicated lowest factors of parenting efficacy except parenting efficacy of control factors and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types of mothers. Secondly, mother's stress were not related to variables of parenting behaviour, particularly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and rational guiding parenting stress. But Type S indicated higher level in general than other behavior styles. In conclusion, the result indicated mother's behaviour style related to parenting efficacy and parenting stress. also relationship. Therefore research and parenting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based on each mother's characters in terms of parenting-related variables. Especially for the mother's positive parenting showed lower efficacy and higher parenting stress, parent training is required for type S can be considered.

      • KCI등재후보

        유아를 위한 환경보전 생활습관형성 프로그램 효과 분석

        조유나 ( You-na Cho ),신은미 ( Eun-mi Shin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18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기본생활습관이 형성되는 유아기부터 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환경보전을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실천하는 것을 습관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환경보전 생활습관형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시 13개 어린이집 4 ,5세 유아 2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유아의 환경보전 지식과 환경친화적 태도를 검사하였다. 연구 결과 공기, 물, 흙 등 환경을 이루는 3가지 요소에 기초한 유아의 환경보전 생활습관형성 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보전 지식과 환경친화적 태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보육 및 교육 현장의 환경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이론적 근거와 실제 활동을 제공해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lifestyle formation program educat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The program is mainly developed to educate young children to make a habit of practicing environmental conservation in their everyday life by recognizing its importance from early childho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 255 children aged four and five years old from 13 daycare centers in the city of Gunpo.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children’s environmental conservation knowledge and environment - friendly attitude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Based on the three factors of air, water, and soil, the children’s environmental conservation lifestyl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romoting environment - friendly attitude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knowledge of infants. These results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provides the theoretical basis and actual activiti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the infant child care and education field.

      • KCI등재후보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인식 및 실행 실태

        조유나 ( Cho You Na ),신은미 ( Shin En Mi ) 한국영유아교육보육학회 2020 영유아교육.보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영유아 관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의 보육교사 총 24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영유아 관찰과 관련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영유아 관찰에 대한 인식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어린이집과 직장어린이집은 영유아의 요구 및 발달 수준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정어린이집은 기본생활습관 행동을, 직장어린이집은 또래 및 사회성 발달 행동을 관찰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직장어린이집 교사들은 국공립어린이집 교사들보다 관찰결과를 보육과정 계획 및 운영에 반영해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유아 관찰에 대한 실태도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일부 다르게 나타났다. 직장어린이집은 기본생활습관행동과 표준보육과정의 놀이 및 활동을 일화기록으로 관찰 기록하는 반면 가정어린이집 교사들은 기본생활습관행동을 체크리스트를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들은 관찰 결과를 가정과의 의사소통 자료 그리고 영유아의 요구와 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특히 직장어린이집에서 영유아의 요구와 발달을 이해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육과정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영유아 관찰의 활용을 강조하여야 하며 어린이집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교육을 선택하여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육이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and practices about the observation of children following the types of child care center.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goals, a total of 245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do were selected, and were made to answer a questionnaire with 49 questions, all related to observation of children.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teachers’ perception about children observation differed according to type of child care center. Home child care center and Work child care center teachers being more aware of the need to understand development level of children through observation, Home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d basic daily habits behaviors and Work child care teachers recognized that more peer and social development behavior should be observed. Regarding the use of observation results, Work child care center teachers reflected observation results in the planning and operation of child care curriculum rather than at national child care centers. The practices of the children observation showed some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child care center type. Teachers of the Work child care center observe and record activities of the basic life habits behaviors in anecdotal records, while Home child care teachers were using checklists for basic lifestyle behavior.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조유나(Cho, You-Na),송미선(Song, Mi-Su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4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 인천시에 소재하는 7개 대학 유아교육과, 아동보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5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공감능력(인지적공감, 정서적 공감), 교사효능감과 문제해결력, 그리고 공감능력과 문제해결력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문제해결력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인지적 공감능력은 문제해결력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적 공감능력이 문제해결력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부분적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제고를 위하여 문제해결력과 정서적 공감능력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지원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cated the mediating effect of empat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eacher efficacy.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51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city, Gyeonggido, and Incheon city. The subjec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perceptions of problem solving ability, teacher efficacy, and empathy.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empathy, teacher efficacy and proplem solving ability, and empathy and proplem solving ability. Second, it was shown that emotional empathy played an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eacher efficacy. But cognitive empathy didn’t. These findings offer implications for the needs of program designed to enhance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emotional empathy in the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program.

      • 성소수자 상담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 중심으로

        조유나(You Na Cho) 단국대학교 상담학연구소 2022 상담교육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국내 성소수자 상담 연구와 성소수자 관련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의 동향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미비한 점을 짚고, 추후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21년까지의 KCI 등재된 국내 학술지 총 27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 후, 발행연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소수자 상담과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는 2002년도에 국내 학술지 논문이 게재된 후로 2014년까지 간간이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후 2017년도부터 증가 추세를 보이며, 2020년에는 전년도 대비 두 배 이상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주제별로 성소수자 상담모델 및 상담역량 연구가 11편(40.7%)으로 가장 많았고, 성소수자의 상담에서의 고유한 경험에 관한 연구가 6편(22.2%),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가 5편(18.5%), 개관 연구 4편(14.8%), 기타 1편(3.7%) 순이었다. 셋째, 연구 참여자 및 대상자를 기준으로 보면, 대다수 연구(73.6%)는 상담자 외 내담자나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넷째, 연구 방법별로 분석한 경우, 질적 연구가 9편(33.3%)으로 가장 많았고, 양적연구 8편(29.6%), 이론 및 개관연구 8편(29.6%), 혼합연구 2편(7.4%) 순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성소수자 상담 연구와 성소수자 관련 척도 개발 연구의 주요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oint out the deficiencies through analyzing domestic LGBTQ counseling research and trends in LGBTQ-related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research focusing on domestic journals,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A total of 27 papers from domestic journals registered in KCI(Korea Citation Index) from 2002 to 2021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n, the papers were analyzed by the year of publication, topics, subjects, and methods. Results: First, research on counseling and scale development for LGBTQ was conducted occasionally until 2014 after the first paper in domestic academic journal was published in 2002. Since then, it has been on the rise since 2017, and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more than doubled the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2020. Secon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hich is 11, was conducted on LGBTQ counseling models and counseling competency(40.7%) followed by 6 studies on unique experiences in LGBTQ counseling(22.2%), 5 studies on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18.5%), 4 studies of overview study(14.8%), and 1 other(3.7%). Third, most of the studies(73.6%) were conducted on clients or the general public other than counselors. Fourth, qualitative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with 9(33.3%), followed by 8 quantitative studies(29.6%), 8 theoretical and overview studies(29.6%), and 2 mixed method studies(7.4%).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for research of domestic LGBTQ counseling and LGBTQ-related scale development.

      • KCI등재

        유아를 위한 지역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김성숙(Kim, Sung-Suk),조유나(Cho, You-Na),최윤이(Choe, Yun-Y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유아를 위한 지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군포시의 자연, 축제, 시장, 공공기관, 도서관 등과 같은 지역 자원을 선정한 후 이를 소재로 지역 이해하기, 지역자원 체험하기, 활용하기의 세 단계로 구성된 지역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총 12차시로 구성된 유아를 위한 지역화 프로그램을 12주간 만 4~5세 유아 197명에게 적용하였으며, 유아의 지역공동체 의식 척도와 유아의 애향심 척도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의 지역공동체 의식과 애향심 점수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역화 프로그램이 유아의 지역에 대한 지역공동체 의식과 애향심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의미 있는 사회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localiz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fter developing and applying this program in actuality. For the purpose, regional resources of the Gunpo City, the target area for the study, were selected, to compose the localization program. The program consists of total 12 classes such as understanding of local area, experience of local resource and its utilization by considering the growth and interest of infant. To verify the effect, 197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our and five from Gunpo City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change in local patriotism and local community spirit. The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local patriotism and local community spirit of the experiment group increased in a significant mann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ich proved the effect of this program. In conclusion, the localization program developed by this research increased the young children"s local patriotism and local community spirit. It implies that it is possible to apply this program at young child education centers as a meaningful social education program.

      • KCI등재후보

        유아기 간접흡연 예방을 위한 인식 개선 교육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

        오선영 ( Sun Young Oh ),조유나 ( You Na Cho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4 열린부모교육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관내 어린이집 만 4, 5세 유아를 대상으로 간접흡연 유해성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유아기 건강생활 실천을 위한 간접흡연 예방 인식개선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며, 유아의 인식변화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본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효과검증을 위해 흡연 및 간접흡연에 대한 인식과 간접흡연에 대한 대처 능력 검사 도구를 제작하여 사전 사후 검사 점수의 통계적 유의미한 변화를 통해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유아의 흡연 및 간접흡연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가족과 타인이 흡연하는 상황에서 유아의 대처 행동 또한 의미 있게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의 간접흡연 예방을 위한 인식개선 교육이 유아의 흡연 및 간접흡연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적극적이고 바른 대처 행동을 유발하는데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앞으로 많은 어린이집의 유아들이 미래의 건강한 생활인으로 자랄 수 있도록 올바른 가치관 및 습관 형성을 위해 본 교육 프로그램을 어린이집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교사 및 부모교육과 다양한 관련 교재교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with specific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hazard of passive smoking and to carry out education for recognition improvement about passive smoking, which is necessary to practice health in early childh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lso includes to confirm effectiveness of this education through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about change in recognition of children, teacher, parents· To confirm effectiveness, we made a material to inspect recognition about smoking and passive smoking, ability to react passive smoking, which helped us to study the effect through meaningful statistical change in the inspection score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we confirm meaningful change in child`s recognition about smoking and passive smoking· In addition, we confirm that coping behavior of child also is changed meaningfully in the circumstance where the family and other person smoke· We confirm that the education which was developed to prevent passive smoking in this study improves the recognition for smoking and passive smoking and it affects to stimulate active and proper coping behavior positively· To help the children in many day care centers grow into healthy adult, it is necessary to foster proper value and habit· So, it is required that continuous education for teacher and parents should be performed and various materials which is related with it should be developed to apply this education program to day car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