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쟁적 토론의 반박행위에 나타난 체면전략 분석

        조용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獨語敎育 Vol.74 No.74

        Ziel dieser Untersuchung ist, Äußerungen in einer Debatte anhand des Gesichtpunkts von ‘Face’-Strategien, die auf dem Höflichkeitsmodell von Leech(2014) beruhen, zu analysieren. Dazu wurden transkribierte Daten der TV-Debatte verwendet. Das Ergebnis der Analyse ist wie folgt: Äußerungen in der Debatte wurden meist zur Gesichtsbedrohung des Partners gebraucht. Dies bezieht sich auf die Herabsetzung der Werte, die zum Partner gehören, d.h. der Werte von ‘Wants’, ‘Qualität’, ‘Obligation’, ‘Opinion’ oder ‘Feeling’, die der Partner beschützen will. Diese Herabsetzung dient letztendlich der eigenen Gesichtswahrung, die für die Initiative der Debatte nötig ist. Es fanden sich auch Äußerungen, die zur Gesichtswahrung des Partners verwendet wurden. Dies ist jedoch wesentlich auf die Intention zurückzuführen, dem Publikum ein gutes Image von sich selbst zu geben. Daraus lässt sich ersehen, dass hinsichtlich der ‘Face’-Strategien solche Äußerungen in der TV-Debatte auf die Gesichtsbedrohung sowie die Gesichtswahrung des Partners bezogen sind, die im Wesentlichen positiven Einfluss auf die eigene Gesichtswahrung haben.. 주지하다시피, 토론은 상대방의 입장을 반박하고 자신의 입장을 논리적으로 피력하여 상대방과의 논리적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데 주안점을 두는 대화유형이다. 특히 논쟁적 찬반토론의 경우, 의견의 첨예한 대립과 경쟁이 대화의 흐름을 주도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진다. 이로 인해 상대방의 논리를 약화시키고, 자신의 논리를 강화하는 반박행위가 토론의 핵심을 차지한다. 이러한 반박은 상대방을 설복시킬 뿐만 아니라 청중의 공감을 이끌어 내기 위해 적절하고 타당한 근거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상응하여 효과적 반박을 위한 논증구조 및 이를 위한 교육 방안이 선행하는 대부분의 토론 연구의 주제가 된다. 기존 연구들을 유형별로 간단히 소개한다면, 우선 토론에서의 논증에 집중하여 기본 개념 및 논리구조를 연구하는 유형들이 있다. 예컨대 박승억(2005), 조성민(2009)은 토론에서의 논증의 구조와 방식을 논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또 다른 연구 유형은 대화전략의 차원에서 토론에서의 반박을 연구한다. 대표적으로 박용한(2003)은 토론대화를 “대화구조 지배 전략”, “과제 목적 성취 전략”, “이미지 관리 전략”으로 나누고 각 전략에 상응하는 다양한 하위 책략들을 제시한다. 토론의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무수히 많은 연구 중에서 대표적으로 이상철 외(2006)은 대학 교양교육에 토론교육의 기본 틀을 제공했다. 하지만 논리적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에만 집중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에 대한 인식이 반영된 연구들도 활발히 나타나고 있다. 프릴리 Freeley(2005)는 토론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목표로서 기존의 논증력 배양 이외에 다양한 의사소통 능력을 제시한다. 박인기외 다수(2014)는 토론교육의 핵심적 지향점이 더불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규정하며 비판중심의 토론교육에서 탈피하여 대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토론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사한 방향에서 조용길(2012)은 대안에 중심을 둔 건설적 토론의 대화원형을 소개하고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선행연구들의 공통점은 대화구조와 그 구조를 이루는 발화들의 형식적 측면들을 다루었다는 점이다. 특징적인 것은 발화 전략의 텍스트 구조와 텍스트 표현방식의 연구에 국한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텍스트언어학의 일차적인 연구대상은 언어적으로 구현된 발화 및 발화연속체임은 자명하다. 하지만 발화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해 겉으로 나타난 외형적 현상에 매몰되지 않고 그 발화를 생산한 화자의 심리적 맥락도 함께 분석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참조 정동현 2003). 즉 심리언어학적 관점을 통해서 반박행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토론대화의 협력성 연구: '반론-재반론' 단계를 중심으로

        조용길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017 텍스트언어학 Vol.43 No.-

        이 연구에서는 대화 문법을 바탕으로 토론에서의 몇 가지 협력 원칙을 제시하고자 한다. 토론에서의 협력은 대화의 건설적 과정을 위한 상호 노력과 연관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반영하는 원칙은 세 가지 유형이 있다. 1. 핵심쟁점 확인하기2. 입장 명료화하기3. 대안 제시하기인용 된 데이터에서 위의 원칙들은 실제로 토론의 과정을 건설적으로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 의미에서 협력 원칙은 토론의 핵심적인 요인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지금까지의 토론 수업은 그 목표 설정과 방법과 관련해서 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토론 수업은 비판이 아니라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제시로 방향이 바꿔야 한다. 이것은 서로의 입장을 존중하고 보다 나은 대안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함으로써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는 교수 방법론을 통해 수행 될 수 있다. Im Rahmen der vorliegenden Arbeit sollen einige Kooperationsprinzipien in der Debatte anhand von Dialoggrammatik dargestellt werden. Kooperation in der Debatte hängt mit der gegenseitigen Bemühung um den konstruktiven Prozeß des Dialogs zusammen. Prinzipien, die dies widerspiegeln, sind in folgenden 3 Typen vorzustellen: 1. Bestätigen von zentralen Streitpunkten 2. Verdeutlichen der Selbstposition. 3. Alternativvorschlag In den quotierten Daten der Debatte spielten die obigen Prinzipien tatsächlich eine wichtige rolle, um den Prozeß der Debatte konstruktiv zu machen. In diesem Sinn sollte die Kooperationsprinzipien als zentraler Faktor der Debatte angesehen werden. Dies hat zur Folge, dass bisherige Unterrichte der Debatte angesicht von ihrer Zielsetzung und methode verändert werden müssen. Unterrichte der Debatte sollten nicht auf die Kritik, sondern auf die Alternative zur Problemlösung gerichtet werden. Dazu kann eine Unterrichtsmethode dienen, die Probleme dialogisch lösen, indem man gegenseitige Positionen respektiert und bemüht ist, um eine bessere Alternative zu erreichen.

      • KCI등재

        리치 Leech(2014)의 공손모델의 한계와 극복 가능성

        조용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20 獨語敎育 Vol.77 No.77

        Ziel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 ist es, Grenzen des Modells von Leech(2014) mittels einer neuen Sicht zur Höflichkeit aufzuzeigen und einen Ansatz, der diese Grenzen überwindet, darzulegen. Höflichkeit als ein Phänomen des Sprachgebrauchs ist nicht lediglich durch soziale Normen zu erfassen. Diese sind nur ein Teil der Höflichkeit. Höflichkeit ist im Wesentlichen ein Phänomen, das Gefühle des Gegenübers berücksichtigt. Höflichkeit ist daher auf Empathie bezogen. Je nach den jeweiligen Interessen bzw. Strategien des Sprechers ist Empathie in verschiedene Typen realisiert. Zunächst gibt es ‘die normative Höflichkeit’, die sozialen Konventionen folgt, wobei Empathie sich nur oberflächlich realisiert. Außerdem gibt es ‘die inhaltliche Höflichkeit’, die Empathie verdeutlicht, indem man die Gefühle und inneren Bedürfnisse des Gegenübers berücksichtigt. Sie sind wiederum in zwei Sub-Typen, in ‘positive Höflichkeit’ bzw. ‘negative Höflichkeit’ einzuteilen. Die erste verfolgt die Rücksichtnahme zur Intimität, die letzte hingegen die zur Autonomie des Andern. Der Verfasser dieser Arbeit ist der Meinung,, das dargelegte neue Höflichkeitskonzept und die hieraus resultierenden funktionalen Kategorien bilden einen Ansatz bzw. Orientierungspunkt, der die Grenzen des Modells von Leech überwindet. 공손은 내용적 기능적 현상인 반면, 사회적 규범준수는 적절한 언어형식의 사용과 관련된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형식이 필연적으로 어떤 의사소통의 기능과 일치하는 아니다. 공손현상을 언어형태가 아니라 그것의 기능적 다양성 속에서 설명하려는 연구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 예컨대 ‘존대법 Honorifika’을 다양한 전략적 기능의 관점에서 연구한 논문들이 있고 특정 언어행위의 기능적 복잡성을 연구한 논문도 있다. 여기에서 ‘미사어구 Floskel’의 한계가 드러난다. 언어형식은 그것이 비록 사회적 규범을 지키는 적절한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피상적 수준에서의 갈등 예방에만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규범적 언어표현을 공손과 일치시킬 수는 없는 것이다. 이러한 면에서 리치 Leech (2014)도 동일한 한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리치는 브라운/레빈슨 모델(1987)의 핵심적 개념을 계승하고 이에 대한 수정과 보완을 거쳐 괄목할만한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하지만 언어사용의 실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점이 있다. 브라운/레빈슨(1987)과 마찬가지로 ‘이상적’ 언어, ‘이상적’ 표현전략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실제보다는 이론에 치중한 모델이라는 한계점은 리치(2014)에게도 여전히 발견된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리치의 모델을 평가하고 그 개선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리치의 모델이 갖는 특징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토론에서 경청이 갖는 역할과 중요성 - 반론을 중심으로

        조용길 한국독어학회 2012 독어학 Vol.26 No.-

        In dieser Untersuchung handelt es sich darum, Rolle und Bedeutung des aktiven Zuhörens für die konstruktive Debate zu analysieren und einige wesentliche Typen des Zuhörens darzulegen. Ob eine Debate erfolgreich ist, hängt von der Art und Weise des Gegenarguments ab. Erfolgreiches Gegenargument beinhaltet das aktive Zuhören, das sich einerseits auf die Effektivität des Sprachgebrauchs richtet, andererseits die gute Beziehung mit dem Kommunikationspartner berücksichtigt. Das heißt, das Zuhören ist eine Handlung, die zwischen der Effektivität und der Höflichkeit angemessen aushandelt. Es ist daher eine wichtige Faktor für die Überzeugungskraft des Gegenarguments. Analyisert man das Zuhören sprechakttypologisch, so ist es zunächst in den ‘perlokutive Sprechakt’ und den ‘kommunikativ-strukturelle Sprechakt’ einzuteilen, wobei die beiden Typen weiterhin differenziert sind. Der perlokutive Sprechakt hat als seine Subtypen z.B. ‘Paraphrase’, ‘Zustimmen’, ‘Zitieren’, der ‘kommunikativ-strukturelle’ dagegen ‘Rückfragen’ und ‘Forderung an die konkrete Information’. Jede Typ des Zuhörens sollte in dem akademischen Unterricht angewendet werden. Dazu sind die dargelegten Handlungstypen des Zuhörens zu verfeinert und systematisiert werden. Dies sollte m.E. eine wichtige Aufgabe der nachfolgenden Untersuchung sein.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문학번역을 위한 소고

        조용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6 獨語敎育 Vol.66 No.66

        Im Rahmen der vorliegenden Arbeit sollen einige Gedanken zur Übersetzung von literarischen Texten präsentiert werden, indem die übersetzerischen Tätigkeiten einiger deutschsprachiger literarischer Werke analysiert werden. Eine Übersetzung sollte nicht auf der Analyse der Sprachstrukturen im AS-Text, sondern auf der Analyse ihrer Handlungsfunktionen basieren. Dafür muss der Übersetzer neben den sprachlichen, auch die kulturellen und pragmatischen Komponenten im AS-Text beachten. Die Aufgabe des Übersetzers ist es, Funktionen der Sprechakte im Text zu erfassen und diese möglichst vollständig durch Sprechakte im ZS-Text widerzuspiegeln. Streng genommen besteht m.E. keine Äquivalenz zwischen beiden Sprachen, sondern nur die Relation der ‘Metasprache’. In diesem Sinne sollte die Übersetzung eines literarischen Texts darauf gerichtet sein, angemessene Äußerungsformen der Metasprache, die wichtige kulturelle und pragmatische Komponenten aus dem AS-Text widerspiegeln und zugleich dem ZS-Empfänger als zugänglich erscheinen, auszumachen. 주지하다시피, 번역은 원본의 의미를 목표언어의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행위이다. 그래서 ‘좋은’ 번역은 우선 원본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을 전제한다. 번역가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원본의 의미파악만이 ‘좋은’ 번역을 결정하는 기준은 될 수 없다. 목표언어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하는 것도 중요한 기준일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좋은’ 번역은 원본의 의미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목표언어의 독자들에게 익숙한 표현형식을 지녀야 하겠다. 이런 맥락에서 필자는 기존의 논쟁점인 원어에 충실할 것인가, 아니면 목표언어에 충실한 것인가는 더 이상 논의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본다. 원어와 목표언어 그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고 둘 사이를 상황에 적절히 조율하는 것이 ‘좋은’ 번역의 토대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우선 원본의 의미에 어떻게 부합할 수 있는가? 원본의 문법적 형식과 특징을 철저히 따르는 것이 원본의 의미를 온전히 반영하는 길이라는 견해가 있다(ex. 비교문체론). 하지만 언어형식에 집중된 번역은 간접화행 등의 내포의미를 가진 화행을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언어형식이 아니라 언어사용, 즉 화행의 기능에 초점을 두어 원본을 분석하는 것이 번역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모든 화행은 기능과 언어형식으로 분석된다. 화행의 기능은 발화의 소통기능으로서 원문의 화자나 저자가 의도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실제적 의미이고, 이런 의미는 개별언어의 특정한 언어형식을 통해 실현된다. 아울러 화행의 기능인 ‘발화수반력 Illokution’은 기존처럼 큰 틀의 행위개념(ex. 부탁, 지시)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상황과 문화맥락을 반영하는 부수적인 세부기능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래서 예컨대 독일어 표현 Könnte ich vielleicht von diesem Dokument drei Kopien haben?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이 표현의 단순한 행위기능(ex. 부탁)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상황과 결부된 공손성의 기능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원본 화행의 발화수반력에 온전히 도달하는 길이다. 다음으로 원본의 의미에 상응하는 등가의 목표언어 표현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필자의 견해로는 완전한 등가의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 물론 텍스트유형에 따라 예외는 있다. 예컨대 단순하고 분명한 화행기능을 가진 실용텍스트(ex. 제품사용설명서)의 경우 등가의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몇몇 텍스트유형들, 특히 문학텍스트의 경우에는 원본의 의미에 완전히 부합하는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문학텍스트의 화행들은 대개 특정문화에서만 통용될 수 있는 복잡한 문화적 맥락들을 담고 있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3) 일례로 문학작품 ‘심청전’을 들 수 있다. 이 소설의 주제는 효이고 문화적 상황맥락은 유교와 불교, 샤머니즘이다. 그러나 독일어 번역본에서는 이런 맥락이 무시된 채 단순히 용왕과 심청의 러브스토리라는 내용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있다. 출발언어가 갖는 문화적 맥락의 결손이 낳은 결과이다(박용삼 2007, 271 재인용). 따라서 문학텍스트를 번역할 경우 완전한 등가의 목표언어가 아니라, 원본의 의미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는 목표언어를 찾는 것이 현실적인 번역방법이라고 본다. 이런 면에서 필자는 번역어를 일종의 ‘메타언어’라고 본다. 왜냐하면 번역어는 엄격한 의미에서 원본 ...

      • KCI등재

        브라운과 레빈손(Brown/Levinson) 모델의 한계와 그 극복 가능성

        조용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7 獨語敎育 Vol.40 No.-

        1. 들어가는 말 2. 브라운과 레빈손 모델의 한계 3. 공손이란? 4. 공손의 세 가지 기능적 층위 5. 실현형태 6. 요약 7. 맺는 말 In dieser Arbeit geht es darum, die Grenzen des Modells von Brown/Levinson mittels einer neuen Sicht zur Höflichkeit aufzuzeigen und einen Ansatz, der diese Grenzen überwindet, darzulegen. Höflichkeit als ein Phänomen des Sprachgbrauchs ist nicht lediglich als Respekt vor dem Anderen zu erfassen. Sie kann auch nicht allein im Rahmen der sozialen Normen beschrieben werden. Höflichkeit ist vielmehr eine Handlung, die beide Interessen, d.h. Effektivität bei der Verfolgung des eigenen Ziels und Respekt vor dem Anderen, berücksichtigt bzw. miteinander aushandelt, wobei man nicht nur den gesellschaftlichen Normen folgt, sondern auch darüber hinaus geht. So gesehen, vesteht sich Höflichkeit als ein komplexes, dynamisches Phänomen im Sprachgebrauch, das verschiedene funktionale Etappen, die nämlich ‘Effektivität’, ‘unmarkierter Respekt’ und ‘markierter Respekt’ hat. Während ‘Effektivität’ vorwiegend mit der formalen Höflichkeit zusammenhängt, sind ‘markierter bzw. unmarkierter Respekt’ auf die inhaltliche Höflichkeit bezogen. Bei unmarkiertem Respekt geht es um die Erfüllung sozialer Erwartungen, bei markiertem dagegen darum, durch das individuelle Ziel der Höflichkeitsverstärkung über solche Erwartungen hinaus zu gehen. Allen funktionalen Etappen lassen sich dann entsprechende situative Bedingungen und Ausdrucksformen zuordnen, wobei die Zuordnung nicht als fester Regelzusammenhang, sondern nur als ein Wahrscheinlichkeitsschluss zu vestehen ist. Ich meine, das bisher dargelegte neue Höflichkeitskonzept und hieraus resultierende drei funktionale Etappen der Höflichkeit und ihre Ausdrucksformen bilden einen Ansatz bzw. Orientierungspunkt, der die Grenzen des Modells von Brown/Levinson überwindet.

      • KCI등재

        유구골 관상면 골절 치료를 위한 K-강선 구멍을 이용한 나사못 고정법

        조용길,이요한,이준하,배기정,김민범,이영호 대한수부외과학회 2021 대한수부외과학회지 Vol.26 No.4

        Purpose: Hamate coronal body fracture is a rare injury and often associated with dislocation of the carpometacarpal joint. For preserving the carpometacarpal joint, open reduction and rigid internal fixation is needed to displaced frac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 of treating hamate coronal fracture with the screw fixation method through a temporary Kirschner wire (K-wire) fixation hole. Methods: From August 2016 to January 2021, eight patients who had displaced coronal hamate body fractures were enrolled. All patients were performed open reduction and multiple K-wires fixations. After that, the cortical screws were then inserted directly into the holes made by removing the K-wires one by one. The outcome measures wer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s and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was 11.5 months (range, 5–8 months) after surgery, and the bone union was observed at the 8 weeks after surgery. We confirmed that bone union had been completed for all the patients, and functional tests showed that the average DASH score was 3.95 (range, 0–8.3) and VAS score was 0.8 (range, 0–3). Conclusion: In coronal hamate body fractures, open reduction and screw fixation method through temporary K-wire fixation hole is simple and effective treatment technique. 목적: 유구골 관상면 체부 골절은 드문 손상이고 수근중수관절의 탈구를 동반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수근중수관절을 보존하기 위해 전위된 골절에 대해서는 관혈적 정복 후 단단한 내고정술을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유구골의 관상면 골절에 대해 K-강선 구멍을 통한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2016년 8월부터 2021년 1월까지, 8명의 전위된 유구골 관상면 체부 골절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환자는 관혈적 정복술 후 여러 개의 K-강선을 고정하였다. 그 후 K-강선을 하나씩 제거하면서 제거한 구멍 그대로 피질골 나사를 삽입하였다. 결과는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점수, visual analogue scale (VAS)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추시 관찰 기간은 수술 후 11.5개월(범위, 5–18개월)이었고, 골유합은 수술 8주 후 관찰되었다. 모든 환자에서 골유합 소견을 얻었고, 기능 평가상 DASH 점수는 3.95점(범위, 0–8.3점), VAS 점수는 0.8점(범위, 0–3점)을 보였다. 결론: 유구골의 관상면 체부 골절에서 관혈적 정복술 및 K-강선으로 임시 고정하였던 구멍을 통한 나사못 고정술은 간단하면서 효과적인 치료 술기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