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쟁적 토론의 반박행위에 나타난 체면전략 분석

        조용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9 독어교육 Vol.74 No.74

        Ziel dieser Untersuchung ist, Äußerungen in einer Debatte anhand des Gesichtpunkts von ‘Face’-Strategien, die auf dem Höflichkeitsmodell von Leech(2014) beruhen, zu analysieren. Dazu wurden transkribierte Daten der TV-Debatte verwendet. Das Ergebnis der Analyse ist wie folgt: Äußerungen in der Debatte wurden meist zur Gesichtsbedrohung des Partners gebraucht. Dies bezieht sich auf die Herabsetzung der Werte, die zum Partner gehören, d.h. der Werte von ‘Wants’, ‘Qualität’, ‘Obligation’, ‘Opinion’ oder ‘Feeling’, die der Partner beschützen will. Diese Herabsetzung dient letztendlich der eigenen Gesichtswahrung, die für die Initiative der Debatte nötig ist. Es fanden sich auch Äußerungen, die zur Gesichtswahrung des Partners verwendet wurden. Dies ist jedoch wesentlich auf die Intention zurückzuführen, dem Publikum ein gutes Image von sich selbst zu geben. Daraus lässt sich ersehen, dass hinsichtlich der ‘Face’-Strategien solche Äußerungen in der TV-Debatte auf die Gesichtsbedrohung sowie die Gesichtswahrung des Partners bezogen sind, die im Wesentlichen positiven Einfluss auf die eigene Gesichtswahrung haben.. 주지하다시피, 토론은 상대방의 입장을 반박하고 자신의 입장을 논리적으로 피력하여 상대방과의 논리적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데 주안점을 두는 대화유형이다. 특히 논쟁적 찬반토론의 경우, 의견의 첨예한 대립과 경쟁이 대화의 흐름을 주도하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은 더욱 두드러진다. 이로 인해 상대방의 논리를 약화시키고, 자신의 논리를 강화하는 반박행위가 토론의 핵심을 차지한다. 이러한 반박은 상대방을 설복시킬 뿐만 아니라 청중의 공감을 이끌어 내기 위해 적절하고 타당한 근거를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상응하여 효과적 반박을 위한 논증구조 및 이를 위한 교육 방안이 선행하는 대부분의 토론 연구의 주제가 된다. 기존 연구들을 유형별로 간단히 소개한다면, 우선 토론에서의 논증에 집중하여 기본 개념 및 논리구조를 연구하는 유형들이 있다. 예컨대 박승억(2005), 조성민(2009)은 토론에서의 논증의 구조와 방식을 논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있다. 또 다른 연구 유형은 대화전략의 차원에서 토론에서의 반박을 연구한다. 대표적으로 박용한(2003)은 토론대화를 “대화구조 지배 전략”, “과제 목적 성취 전략”, “이미지 관리 전략”으로 나누고 각 전략에 상응하는 다양한 하위 책략들을 제시한다. 토론의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무수히 많은 연구 중에서 대표적으로 이상철 외(2006)은 대학 교양교육에 토론교육의 기본 틀을 제공했다. 하지만 논리적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것에만 집중하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에 대한 인식이 반영된 연구들도 활발히 나타나고 있다. 프릴리 Freeley(2005)는 토론교육에서 추구해야 할 목표로서 기존의 논증력 배양 이외에 다양한 의사소통 능력을 제시한다. 박인기외 다수(2014)는 토론교육의 핵심적 지향점이 더불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규정하며 비판중심의 토론교육에서 탈피하여 대안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토론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유사한 방향에서 조용길(2012)은 대안에 중심을 둔 건설적 토론의 대화원형을 소개하고 있다. 이상에서 기술한 선행연구들의 공통점은 대화구조와 그 구조를 이루는 발화들의 형식적 측면들을 다루었다는 점이다. 특징적인 것은 발화 전략의 텍스트 구조와 텍스트 표현방식의 연구에 국한하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텍스트언어학의 일차적인 연구대상은 언어적으로 구현된 발화 및 발화연속체임은 자명하다. 하지만 발화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해 겉으로 나타난 외형적 현상에 매몰되지 않고 그 발화를 생산한 화자의 심리적 맥락도 함께 분석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참조 정동현 2003). 즉 심리언어학적 관점을 통해서 반박행위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얻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부부 갈등 대화의 ‘무례(Impoliteness)’ 화행 분석

        조용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24 독어교육 Vol.90 No.90

        대부분의 관계파괴적 의사소통과 관련된 학문적 연구에 있어서 무례는 상대방의 ‘체면 Face’을 위협하거나 공격하는 행위로서 이해된다. 그래서 Beebe(1995)는 무례를 체면을 위협하는 행위로 정의했고, Culpeper(2005)는 화자가 의도적으로 상대방의 체면을 공격할 때 무례가 나타난다고 했으며, Bousfield/Locher(2008)도 무례를 특정 상황 속에서 상대방의 체면을 악화하는 행위로서 규정했다. 주지하다시피, Brown/Levinson(1987)은 Goffman(1967)에 기초하여 체면을 긍정적인 ‘공적 이미지 Public Image’를 위한 ‘욕구 Wants’로 정의한다(Brown/Levinson 1987, 62). 그래서 관계지향적 행위는 이러한 욕구에 부응하는 것이고, 반대로 관계 파괴적 행위, 즉 무례는 이러한 욕구를 무시하거나 공격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몇몇 연구들은 체면 개념 이외에 추가적인 개념을 도입하여 무례를 설명한다. 대표적으로 Culpeper(2011)는 Spencer-Oatey(2002)에 기초하여 무례를 ‘체면’ 이외에 ‘사회성 권리 Sociality Rights’의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한다. 이를 통해 그는 무례를 상대방의 체면 공격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사회적 기대나 권리를 공격하는 것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한다. 체면이 인간의 보편적인 ‘이미지 욕구’라면, ‘사회성 권리’는 적절한 처신과 행동의 공동체적 규범에 대한 기대, 즉 문화 의존적 속성을 지닌 ‘권리 욕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무례를 단순히 이 두 욕구로만 제한한다면 일상에서 나타나는 개인적 차원의 무례 현상을 온전히 반영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예컨대 삶 속에서 한 개인이 지키고자 하는 특정 가치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 이런 가치가 다른 사람들부터 무시되거나 공격받을 때, 무례함을 느낄 수도 있다. 즉, 무례는 상대방이 추구하는 개인적 ‘가치 욕구’를 공격할 때도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무례는 체면 위협이라는 전통적 개념에서 탈피하여 좀 더 폭넓은 관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대부분의 의사소통 현장에서 발견되는 관계지향적 행위에 비해서, 무례는 상대적으로 훨씬 드물게, 주로 친밀한 관계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 갈등을 겪을 때 나타난다. 예컨대 부부간 서로 갈등을 갖는 대화에서 발견된다. 부부는 공동의 운명체로서 서로에 대해서 역할과 의무를 요구하게 되는데, 이것들이 충족되지 않을 때 갈등을 겪는다(조용길 2016, 275). 서로에 대한 기대가 완전히 충족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부부 사이에 갈등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문제는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는 소통방식이 폭력적이고, 자기중심적이라는 데 있다. 그래서 많은 문헌에서 부부 갈등의 주된 원인으로 부부의 의사소통 능력 부족을 지적하고 있다(정성미 2015; 공성숙 2004). 구체적으로 상대방의 욕구를 공격하고, 이에 대해 역공하는 부정적 의사소통 방식이 고착화되면서 갈등은 증폭되고 관계는 깨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부부 갈등대화에 나타나는 무례 행위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부부 갈등을 증폭하는 무례의 행위를 욕구 전략의 관점에서 몇몇 패턴과 특징을 찾아내는데 목표를 둔다. 이는 부부 갈등을 낳는 의사소통 방식의 문제를 밝혀내는데 기여할 수 있고, 결국 갈등 해결에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부부 갈등대화의 무례 전략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살펴보겠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darum, unhöfliche Handlungen in Konflikten zwischen Ehepaaren aus einer sprechakttheoretischen Sicht zu analysieren, und einige Kennzeichen hinsichtlich ihrer Realisierung zu suchen. Dafür wurde das Modell von Weigand(2006) gewählt, das eine Handlung in der Korrelation zwischen ihren kommunikativen Inhalten und Formen beschreibt. Das Resultat der Analyse ist wie folgt: bezogen auf den kommunikativen Inhalt wurden unhöfliche Handlungen meist zur Befriedigung eigener Bedürfnisse ausgeführt. Das heißt, die Befriedigung der Bedürfnisse ist das eigentliche Ziel der unhöflichen Handlung. In den analysierten Konflikten fand man ‘Image-Bedürfnis’, ‘Recht-Bedürfnis’, ‘Wert-Bedürfnis’, wobei ‘Recht-Bedürfnis’ am häufigsten auftrat. Hinsichtlich der kommunikativen Form wurden in den meisten Daten ‘herausfordernde Fragen’ und ‘Befehl’ gefunden. Die Unhöflichkeit in den Koflikten zwischen Ehepaaren fand man auch in der Ebene der Dialogstruktur bzw. der nonverbalen Elemente, so dass ‘Wiederholung der Aüßerungen’, ‘Schweigen’, ‘Seufzer’, ‘Verlassen der Gesprächsstelle’ erschienen.

      • KCI등재
      • KCI등재

        브라운/레빈슨(1987)에 기댄 관계중심적 대화기법 - 부부대화를 중심으로

        조용길 한국독어학회 2016 독어학 Vol.34 No.-

        In dieser Arbeit wurden beziehungsorientierte Kommunikationstechniken anhand des Brown/Levinson’s Modells beschrieben, und zwar in bezug auf die Dialoge von Ehepaaren. Fur den beziehungsorientierten Sprachgebrauch stellten Brown/ Levinson(1987) einige Strategien der Gesichtswahrung dar, die in folgenden zwei typen differenziert werden: die positive Gesichtswahrung, die gemeinsame Grundlagen mit dem Gegenuber behauptet, und die negative Gesichtswahrung, die die Handlungsautonomie des Gegenubers berucksichtigt. Brown/Levinson wiesen darauf hin, dass jeder Kommunikationsteilnehmer diese Typen der Gesichtswahrung beachten muss, um Konflikte von Dialogen zu vermeiden. Ich glaube, dass die Strategien der Gesichtswahrung auch zur Uberwindung von Ehepaar’s Konflikten angewendet werden konnen. Wendet man diese Strategien auf die Dialoge des Ehepaares an, dann kann man daraus einige Prinzipien der Konfliktvermeidung ableiten, die wie folgt dargestellt werden: 1. Dialoge sollten mit dem Bitten initiiert werden, wenn man sich beim Gegenuber beschwert. 2. Das Bitten sollte in indirekter und konventioneller Weise formuliert werden, und zwar kombiniert mit den emotionalen Hintergrunden des Sprechers selbst. 3. Das Ablehnen sollte mit Ausdrucken, die mit dem Wunsch des Gegenubers sympathisieren und angemessene Grunde beinhalten, realisiert werden. Auch wenn diese Prinzipien theoretisch noch nicht kraftig sind, sie konnten eine wichtige Basis fur das Modell des Sprachgebrauchs, das sich auf die Uberwindung des Ehepaar’s Konfliktes richtet, sein. 아마도 부부만큼 장기적이고 깊은 관계를 형성하며 사는 커플은 없을 것이다. 하지만 공동의 운명을 지니기 때문에 서로에 대해 역할과 의무를 요구하게 되고, 이런 요구가 충족되지 않을 때 갈등을 겪는다. 이런 이유로 특히 부부대화에서 갈등은 아마도 필연적인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런 갈등을 극복하는 방식이다. 필자는 이와 관련하여 브라운/레빈슨의 모델 (1987)이 제안한 ‘체면보호’의 전략이 갈등극복의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브라운과 레빈슨(1987)은 인간은 외부에 드러내고자 하는 긍정적 이미지 즉 ‘체면 face’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화 할 때 서로의 체면을 존중하는 것이 관계유지에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체면은 두 유형의 욕구와 관계된다. 하나는 타인으로부터 통제되거나 간섭받지 않고자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배려, 존중받고자 하는 것이다. 브라운과 레빈슨은 모든 인간은 이 두 유형의 욕구를 갖고 있어서 항상 이를 보호하고 지키고자 한다고 말한다. 이것이 타인으로부터손상 받을 때 체면의 위협을 느낀다는 것이다. 하지만 갈등을 겪는 대부분의 부부는 상대의 체면을 무시하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경도되고, 의사소통은 공격과 논쟁으로 이루어진다. 문제는 이러한 표현방식이 부부간의 부정적 의사소통 패턴을 고착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한쪽이체면 위협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면 다른 한쪽도 그렇게 되고 이는 계속해서 부정적 대화분위기를 낳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위기에서는 갈등은 지속할 수밖에없을 것이다. 따라서 갈등 해소의 실마리는 체면을 세우는 메시지와 언어습관을갖는 데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는 부부대화의 갈등을 극복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며, 이를 위해 체면보호의 대화기법을 브라운과 레빈슨모델 (1987)에 기대어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은 브라운과 레빈슨의 체면전략들을 부부대화에 적용하여 갈등완화의 몇몇 대화기법들을 제시하고 이를 사례분석을 통해서 설명하는 데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우선 브라운/ 레빈슨 모델의‘ 체면 보호 face-work’의 전략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 佛敎의 心德思想이 和成就의 護國에 끼치는 영향 연구

        조용길 진주산업대학교 2006 마음사상 Vol.4 No.-

        불교의 심덕사상은 호국사상과 호법사상과 일치한다. 이러한 사상은 중생이 일체 존재의 속성인 사법인을 깨우쳐 깨달음을 이룩하는 동시에 중도적인 실천을 통해 사성제의 이상정토를 성취시키는 현실에 기반을 둔 자비덕화의 길이기 때문이다. 중생이 깨달음을 성취하기 위한 사법인과 사성제의 연기(paticcasamuppāda)적 세계는 팔정도의 중도적 실천이다. 말하자면 번뇌·망상과 무지·무명에서 중생들로 하여금 일심삼매(samādhi, 一心三昧)의 길을 걷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것은 바로 중생의 애민섭수를 위한 자리이타의 덕성이다. 왜냐하면 잠재된 중생의 불성을 끌어내어 중생들에게 자비의 덕화실행인 사무량심(catuapparimānamamas)과 사섭법(catusangahavattu)을 두루 내어 베푸는 일을 가르쳐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에 이 논문은 이러한 의미에서 중생들이 모든 곳에서 자기 마음의 깨우침을 통해 불법의 화합을 성취하여 호법호국하며, 덕행으로써 교화되는 중생사회를 연출시키는 것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하겠다. Ⅱ장에서 일체의 중심이 존재하는 개인이므로 이것을 일깨워 주신 불타의 세계ㆍ우주관을 살펴 일체중생 실유불성의 대우주관을 직관해보고, 불교의 인간관과 불교의 실천관을 살펴 37조도품, 4무량심, 4섭법을 통해 심덕 사상이 일체 중생세계의 호법이 곧 호국이며 덕화의 성취의 세계임을 살펴보기로 한다. Ⅲ장에서는 초기경전상의 덕화의 호국관을 부처님 당시의 사례의 예를 들어 고찰해 본다. 여기에는 불교초기의 자연국가기원설과 불교의 현실·이상적인 호법호국관을 살펴 일곱 가지 국가사회가 쇠망하지 않는 진리를 살펴보고, 이러한 진리의 법을 쓰는 Ⅳ장은 전륜성왕의 심덕사상이 되는 법왕통치의 개념을 고찰한다. Ⅴ장에서는 불교의 일심삼매라는 덕성의 실천이 화목한 중생사회의 입장에서 자리이타의 현실·이상의 정토 세계가 어떻게 성취되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아함성전의 심덕의 사례로 화합의 세계를 열거할 것이다. 그리고 Ⅵ장에서는 계·정·혜 3학에 관련된 화쟁이라는 불국정토의 심덕관을 제시하여 결론을 맺고자 한다. 삼학 중에 계학은 도덕적 세계가 준수되도록 중생사회의 윤리·도덕적 덕성을 불성으로 끄집어내는 뜻을 가지고 있다. 정학은 훈련과 수련과 연습을 통한 일심삼매의 집중이며, 일체의 중심적 가치를 세우는 수행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혜학이란 이러한 계(sīla)와 율(vināya)을 세우고, 지키고, 닦는 일련의 과정이다. 또한 화합대중이라는 중생세계의 지혜와 슬기의 세계를 일컫는 것이다. 따라서 이 삼자가 조화와 균형을 이룩하는 것이 사회중생의 덕화의 길이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불교의 심덕사상이 화합성취로 나아가 국가사회를 지키는 호국이 되는 초기경전을 통한 고찰이다. 불타의 법의 가르침은 일체의 중심이 자심이므로, 이 마음을 크고 넓게 깨우치는 사법인과 사성체의 이상세계를 통해 일체중생은 본래 구족한 본성이 밝고 맑은 불성을 본유하고 있는 것이다. 이 불성을 자각시키고 그 불성의 내재된 덕성을 내어 씀으로써 중생사회의 흐트러진 세계를 덕화로 성취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는 연기적 자각관, 오온의 무아관, 불교의 심의식의 잠재 인식관과 실천관을 통해 나란 존재는 홀로가 아닌 일체만유와 동고동락적 존재임을 재인식시켜 중생세계의 일체의 주인이 자기임을 파악함으로써 호법이 호국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초기경전의 호국관을 통해 불타의 현실적 호국관과 당시 불타의 덕화를 입은 왕들의 예를 열거했다. 그리고 이상적인 지도자인 전륜성왕의 법치통치와 근본경전속의 심덕화의 사례를 언급하였다. 끝으로 이 전체의 덕화의 호국관은 지킬 것은 지키고 버릴 것은 버리는 계와 심성의 순화를 위한 훈련 기도인 정과 지혜의 슬기와 판단력인 혜 등이라는 3학의 실천으로 이룩되어야 한다고 고찰한다. Buddhist virtue philosophy can be compared to ideas about national protection (護國) and the dharma king (護法) philosophy because it counsels benevolence and moral influence based on realization of the 'four dharma seals' (私法人), which enable every being to prosper through moderate practice and so to achieve the 'ideal pure land' (理想淨土) of the 'four noble(四聖諦)truths.' A world view based on dependent arising (緣起世界觀) and the four dharma seals offers a practical means to achieve the 'eightfold novle path' (八正道). on other words, it enables people to walk in the way of 'samadhi one mind' (一心三昧), whether conditions are suffering, delight, ignorance or illusion. Moreover, it strengthens the mofal character towards altruism, (自利利他) because oit induces latent Buddha nature and teaches people how th bestow the four immeasurable minds(catuapparimanamamas, 四無量心) and the four means of salvation (catusangahavattu,四攝法), as a benevolent practice. This paper considers the potential for the realization of human society, which can enable all people to achieve the Buddhist idea of harmonious co-existence by living according to prescribed dharma king functions and thus, pursuing a moral course for national protection. In ChapterⅡ, we will take a look ath Buddhism's view of the world and universe in light of the great vision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Buddha nature.'(一切衆生 悉有佛性) And, in light if the human world and Buddhist practice, we will also consider the question as to what constitutes te center of existence on relation to Buddhist virtue and dharma king philosophies, in the context of national protection and moral influence, with reference to the 'thirty-seven branches of enlightenment' (catvari-apramana -cittani, 三十七 助道品) the four immeasurable minds and the four means of salvation. In Chapter Ⅲ, we will consider the view on national protection by moral influence in light of exemplars from Sakyamuni Buddha's own accounts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we also will reflect on the origin of nation in early Buddhism, and appraise the seven kinds of society and countries, which did not downfall by the truths, and scrutinize the ideal view according to Buddha, 'King of dharma' (法王) and 'Buddhist national protection' (護法). In Chapter IV we will further examine the concept of dharma king in its relation to Buddhist virtue philosophy. In chapter V, we will consider how realistic is the idea of a pure land, based on the altruism' and whether it is achievable from the view of human society. Here, I will describe a world of harmony, taking as an example the Agama text's ideas on virtue. The conclusion in Chapter VI, suggests a Buddhist view of virtue based on the pure land principle of reconciliation(和諍) and embracing threefold learning; moral precepts(戒), mental clarity(定) and insight (慧). Concerning the three practices, training in moral precepts means to transform the moral character of human society such that Buddha-nature informs the moral world view. Mental clarity is concentration of samadhi (三昧) through training and practice, which establishes the central view of valuing everything is equally. Wisdom is attained by a process which establishes and preserves the exercise of cultivating ethical purity and vinaya. Therefore the three things achieve harmony and balance and are ways of influencing human morality. In the above, we have considered how Buddhist virtue philosophy was developed through the early scriptures, to achieve of harmony and protect nation and society. In understanding that Buddha's dharma is the center of everything and is one mind, we recognize that all people can have bright and clean Buddha-nature through the ideal world of four dharma seals and four noble truths, and come to realize mind greatly and widely. Thus,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distracted world of human society towards morality by manifesting the moral character inherent in Buddha-nature. Through the self-consciousness of the five aggregates of dependent arising we develop the view of selflessness and Buddhist mind practice, and so recognize that we are not independent beings but that all existence is interrelated with everything. And so we understand that the master of everything is, the king of dharma which becomes national protection. Also, we considered the realistic view of Buddha's national protection and the example of king who was blessed by Buddha's moral influence through the view of national protection in early scriptures. Additionally, from the basic scriptures, we learned of the Buddhist ideal King, who is an ideal leader and exemplar of virtue. And, in conclusion, the holistic view of national protection and moral influence can be achieved by practicing the three-fold training, such as cultivation of ethical purity that protects what should be protected and abandons what should be abandoned; mental clarity to purify the mind by prayer and meditation; and wisdom and wise judgment.

      • KCI등재

        브라운과 레빈손(Brown/Levinson) 모델의 한계와 그 극복 가능성

        조용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07 독어교육 Vol.40 No.-

        1. 들어가는 말 2. 브라운과 레빈손 모델의 한계 3. 공손이란? 4. 공손의 세 가지 기능적 층위 5. 실현형태 6. 요약 7. 맺는 말 In dieser Arbeit geht es darum, die Grenzen des Modells von Brown/Levinson mittels einer neuen Sicht zur Höflichkeit aufzuzeigen und einen Ansatz, der diese Grenzen überwindet, darzulegen. Höflichkeit als ein Phänomen des Sprachgbrauchs ist nicht lediglich als Respekt vor dem Anderen zu erfassen. Sie kann auch nicht allein im Rahmen der sozialen Normen beschrieben werden. Höflichkeit ist vielmehr eine Handlung, die beide Interessen, d.h. Effektivität bei der Verfolgung des eigenen Ziels und Respekt vor dem Anderen, berücksichtigt bzw. miteinander aushandelt, wobei man nicht nur den gesellschaftlichen Normen folgt, sondern auch darüber hinaus geht. So gesehen, vesteht sich Höflichkeit als ein komplexes, dynamisches Phänomen im Sprachgebrauch, das verschiedene funktionale Etappen, die nämlich ‘Effektivität’, ‘unmarkierter Respekt’ und ‘markierter Respekt’ hat. Während ‘Effektivität’ vorwiegend mit der formalen Höflichkeit zusammenhängt, sind ‘markierter bzw. unmarkierter Respekt’ auf die inhaltliche Höflichkeit bezogen. Bei unmarkiertem Respekt geht es um die Erfüllung sozialer Erwartungen, bei markiertem dagegen darum, durch das individuelle Ziel der Höflichkeitsverstärkung über solche Erwartungen hinaus zu gehen. Allen funktionalen Etappen lassen sich dann entsprechende situative Bedingungen und Ausdrucksformen zuordnen, wobei die Zuordnung nicht als fester Regelzusammenhang, sondern nur als ein Wahrscheinlichkeitsschluss zu vestehen ist. Ich meine, das bisher dargelegte neue Höflichkeitskonzept und hieraus resultierende drei funktionale Etappen der Höflichkeit und ihre Ausdrucksformen bilden einen Ansatz bzw. Orientierungspunkt, der die Grenzen des Modells von Brown/Levinson überwindet.

      • KCI등재

        문학번역을 위한 소고

        조용길 한국독어독문학교육학회 2016 독어교육 Vol.66 No.66

        Im Rahmen der vorliegenden Arbeit sollen einige Gedanken zur Übersetzung von literarischen Texten präsentiert werden, indem die übersetzerischen Tätigkeiten einiger deutschsprachiger literarischer Werke analysiert werden. Eine Übersetzung sollte nicht auf der Analyse der Sprachstrukturen im AS-Text, sondern auf der Analyse ihrer Handlungsfunktionen basieren. Dafür muss der Übersetzer neben den sprachlichen, auch die kulturellen und pragmatischen Komponenten im AS-Text beachten. Die Aufgabe des Übersetzers ist es, Funktionen der Sprechakte im Text zu erfassen und diese möglichst vollständig durch Sprechakte im ZS-Text widerzuspiegeln. Streng genommen besteht m.E. keine Äquivalenz zwischen beiden Sprachen, sondern nur die Relation der ‘Metasprache’. In diesem Sinne sollte die Übersetzung eines literarischen Texts darauf gerichtet sein, angemessene Äußerungsformen der Metasprache, die wichtige kulturelle und pragmatische Komponenten aus dem AS-Text widerspiegeln und zugleich dem ZS-Empfänger als zugänglich erscheinen, auszumachen. 주지하다시피, 번역은 원본의 의미를 목표언어의 독자들에게 전달하는 행위이다. 그래서 ‘좋은’ 번역은 우선 원본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을 전제한다. 번역가의 역할이 중요한 이유이다. 하지만 원본의 의미파악만이 ‘좋은’ 번역을 결정하는 기준은 될 수 없다. 목표언어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하는 것도 중요한 기준일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좋은’ 번역은 원본의 의미에 부합할 뿐만 아니라 목표언어의 독자들에게 익숙한 표현형식을 지녀야 하겠다. 이런 맥락에서 필자는 기존의 논쟁점인 원어에 충실할 것인가, 아니면 목표언어에 충실한 것인가는 더 이상 논의대상이 될 수 없다고 본다. 원어와 목표언어 그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고 둘 사이를 상황에 적절히 조율하는 것이 ‘좋은’ 번역의 토대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우선 원본의 의미에 어떻게 부합할 수 있는가? 원본의 문법적 형식과 특징을 철저히 따르는 것이 원본의 의미를 온전히 반영하는 길이라는 견해가 있다(ex. 비교문체론). 하지만 언어형식에 집중된 번역은 간접화행 등의 내포의미를 가진 화행을 설명하기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언어형식이 아니라 언어사용, 즉 화행의 기능에 초점을 두어 원본을 분석하는 것이 번역의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 모든 화행은 기능과 언어형식으로 분석된다. 화행의 기능은 발화의 소통기능으로서 원문의 화자나 저자가 의도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실제적 의미이고, 이런 의미는 개별언어의 특정한 언어형식을 통해 실현된다. 아울러 화행의 기능인 ‘발화수반력 Illokution’은 기존처럼 큰 틀의 행위개념(ex. 부탁, 지시)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 상황과 문화맥락을 반영하는 부수적인 세부기능을 아우르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래서 예컨대 독일어 표현 Könnte ich vielleicht von diesem Dokument drei Kopien haben?을 한국어로 번역할 때 이 표현의 단순한 행위기능(ex. 부탁)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상황과 결부된 공손성의 기능도 함께 분석하는 것이 원본 화행의 발화수반력에 온전히 도달하는 길이다. 다음으로 원본의 의미에 상응하는 등가의 목표언어 표현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필자의 견해로는 완전한 등가의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본다. 물론 텍스트유형에 따라 예외는 있다. 예컨대 단순하고 분명한 화행기능을 가진 실용텍스트(ex. 제품사용설명서)의 경우 등가의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어렵지 않다. 하지만 몇몇 텍스트유형들, 특히 문학텍스트의 경우에는 원본의 의미에 완전히 부합하는 목표언어를 찾는 것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문학텍스트의 화행들은 대개 특정문화에서만 통용될 수 있는 복잡한 문화적 맥락들을 담고 있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3) 일례로 문학작품 ‘심청전’을 들 수 있다. 이 소설의 주제는 효이고 문화적 상황맥락은 유교와 불교, 샤머니즘이다. 그러나 독일어 번역본에서는 이런 맥락이 무시된 채 단순히 용왕과 심청의 러브스토리라는 내용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있다. 출발언어가 갖는 문화적 맥락의 결손이 낳은 결과이다(박용삼 2007, 271 재인용). 따라서 문학텍스트를 번역할 경우 완전한 등가의 목표언어가 아니라, 원본의 의미에 최대한 근접할 수 있는 목표언어를 찾는 것이 현실적인 번역방법이라고 본다. 이런 면에서 필자는 번역어를 일종의 ‘메타언어’라고 본다. 왜냐하면 번역어는 엄격한 의미에서 원본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