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구감소 현상에 기반한 공지의 공간적 분포 예측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익산시를 대상으로

        조영우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구가 감소하여 공지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공간 정책 수립을 뒷받침할 공지의 추적 및 발생 예측과 관련된 선행연구가 부족하다는 배경에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빈집을 추적하고 공지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며, 정책과 관계없이 중복적으로 발생하는 공지를 탐색하여 환경개선을 위해 활용하고 효과를 알아보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였다. 연구에서는 먼저 전기에너지 사용량이 1년 동안 120kWh 이하거나 사용이 중단된 경우를 기준으로 빈집을 추적했으며 빈집 자료의 구축에 어려움을 가졌던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추적된 빈집들은 도시지역과 농촌 지역이 비슷한 규모를 보이지만 밀도의 측면에서 도시지역에서 발생하는 빈집들의 문제가 심각한 것을 확인했다. 도시지역은 상대적으로 인구와 시설이 밀집되어 환경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도시지역의 빈집 발생 확률을 예측하기 위해 도시지역만의 자료를 사용했다. 선행연구를 통해 선정한 14개 환경변수와 구축된 빈집 자료, MaxEnt 모형을 통해 향후 빈집의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모형을 검증했다. 예측된 확률이 높은 지역의 분포가 현재 추적된 빈집 분포와 유사한 것을 확인했다. 사용한 환경변수 중 빈집 발생에 기여도가 높은 변수는 공시지가, 사용 연한, 도시공원과의 거리이다. 모형 자체의 AUC 값을 통한 내부적인 검증과 과거 자료를 적용한 결과와의 AUC 값을 통한 외부적인 검증 방법을 사용했다. 동일한 방법을 사용했던 기존 연구보다 신뢰도가 높아진 결과를 보였다. 환경변수 중 건축물 사용 연한, 도시공원과의 거리, 공지와의 거리와 인공신경망 구조를 사용하여 행위자 기반 모형에 필요한 점수 평가 모형을 제작하였다. 행위자 기반 모형과 정부의 행동을 가정한 세 가지 시나리오를 사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책과 관련 없이 중복적으로 발생하여 환경개선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공지를 탐색했다.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시나리오와 관계없이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공지의 활용에 의한 환경개선 효과를 도출했다. 다양한 가정을 통해 남아있는 사람들에게 최대의 환경개선 효과를 줄 수 있는 공지의 활용 방안을 도출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거나 신뢰도를 개선하고 새로운 방법론을 적용했다. 공간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하면서 막대한 재정이 투자되며, 되돌리기 힘들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사결정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background that there is a lack of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tracking and prediction of the occurrence of the open space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spatial policy in a situation where the population decreases and the urban vacancies increase. In this study, a series of processes were conducted to track vacant houses, predict the possibility of vacant, and search for vacancies that occur overlapping regardless of policies, use them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find out the effects. In the study, first, vacant houses were tracked based on the case where the use of electric energy was less than 120 kWh for one year or the use was stopped, an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that had difficulty in constructing vacant house data were supplemented. The tracked vacant houses showed similar sizes in urban and rural areas,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blem of vacant houses occurring in urban areas was serious in terms of density. Since urban areas have different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due to relatively dense population and facilities, data only for urban areas were used to predict the probability of vacant homes in urban areas. The possibility of future vacant homes was predicted and the model was verified through the 14 environmental variables selected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constructed vacant homes data, and the MaxEnt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of areas with high predicted probability was similar to the currently tracked vacant home distribution. Among the environmental variables used, variables with a high contribution to the occurrence of vacant houses are the publicly announced land price, the date of use approval, and the distance to the park. Internal verification through the AUC value of the model itself and an external verification method through the AUC value with the results of applying past data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higher reliability than previous studies that used the same method. Among the environmental variables, a score evaluation model required for an agent-based model was produced using the age of use of the building, the distance to the park, the distance to the public space, and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structure. Through the simulation using the agent-based model and three scenarios assuming the government's actions, vacancie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were searched for due to overlapping occurrences regardless of policy. Genetic algorithms were used to deriv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environment through the use of known repetitively occurring regardless of the scenario. Through various households, a plan to use public vacancies that can give the greatest environmental improvement effect to the remaining people was derived. In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tudies were supplemented or the reliability was improved, and a new methodology was appli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cision-making in that enormous financial investments are invested while establishing and executing spatial policies, and it is difficult to recover them.

      • 프로축구 관람자의 플로우경험과 마케팅믹스 요인에 따른 관람만족, 충성도, 재관람의도와의 관계

        조영우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프로축구 관람자의 플로우경험과 마케팅믹스 요인이 관람만족, 충성도, 재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9 하나원큐 K리그1 경기를 관람하는 괌람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DGB대구은행파크에 대구FC경기를 관람하는 관람자를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표본추출 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273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DGB대구은행파크에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회수된 설문지 273부 중 19부의 불성실 데이터와 무응답을 제외한 254부의 유효 표본을 실제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Ver. 25.0 Window Program을 이용하였고 변인 간의 영향 관계를 검정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과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각 요인의 중요성을 검증하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축구 관람자의 플로우경험의 구성요인인 시간왜곡과 원거리 실재감은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프로축구 관람자의 플로우경험의 구성요인인 시간왜곡은 행동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났지만, 원거리 실재감은 행동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프로축구 관람자의 플로우경험의 구성요인인 시간왜곡과 원거리 실재감은 태도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프로축구 관람자의 플로우경험의 구성요인인 시간왜곡은 재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났지만, 원거리 실재감은 행동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축구 관람자의 마케팅믹스의 구성요인인 경기와 촉진요인은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났지만, 장소와 가격요인은 관람만족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프로축구 관람자의 마케팅믹스의 구성요인인 촉진요인은 행동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났지만, 경기, 장소와 가격요인은 행동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프로축구 관람자의 마케팅믹스의 구성요인인 촉진요인은 태도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났지만, 경기, 장소와 가격요인은 태도적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프로축구 관람자의 마케팅믹스의 구성요인인 경기, 가격, 촉진요인은 재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났지만, 장소요인은 재관람의도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플로우경험의 시간왜곡은 관람만족, 행동적 충성도, 태도적 충성도, 재관람의도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플로우경험의 원거리 실재감은 관람만족과 태도적 충성도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케팅믹스 요인의 경기요인은 관람만족과 재관람의도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고 가격요인은 재관람의도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촉진요인은 관람만족, 행동적 충성도, 태도적 충성도, 재관람의도를 설명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프로축구 구단의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유용한 자료 제공 및 프로축구 산업 확장을 위한 마케팅 실행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soccer spectator's flow experience and marketing mix factors on spectating satisfaction, loyalty, and revisit intention.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1) examine whether flow experience of professional soccer spectators influences spectating satisfaction, behavioral loyalty, attitudinal loyalty, revisit intention and (2) examine whether marketing mix factors of professional soccer spectators influences spectating satisfaction, behavioral loyalty, attitudinal loyalty, revisit inten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total 273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occer spectators at DGB Daegu Bank Park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mong them, nineteen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not applicable. There were 254 usabl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version. The following was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both time distortion and telepresence of flow experience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pectating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ime distor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al loyalty, However, telepresence didn't contributed to behavioral loyalty. Thir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ime distortion and telepres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inal loyalty. Four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ime distor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revisit intention. However, telepresence ha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Fif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roduct and promotion of marketing mix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pectating satisfaction. However, place and price of marketing mix factors didn't contributed to spectating satisfaction. Six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romotion of marketing mix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loyalty. However, product, place, price of marketing mix factors had no impact on behavioral loyalty. Seven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romotion of marketing mix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inal loyalty. however, product, place, price of marketing mix factors had no impact on attitudinal loyalty. Eigh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product, price, promotion of marketing mix factor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visit intention. However, product, place, price of marketing mix factors had no impact on revisit intention. Ninth, the time distortion of flow experience was shown as a predictive variables to explain spectating satisfaction, behavioral loyalty, attitudinal loyalty, and revisit intention, and the telepresence of flow experience was a predictive variables to explain spectating satisfaction and attitudinal loyalty. Lastly, the product of the marketing mix factors was predictive variables explaining the spectating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nd the price was predictive variables explaining the revisit intention. Also, the promotion was predictive variables explaining spectating satisfaction, behavioral loyalty, attitudinal loyalty, and revisit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not only to an extension of the knowledge base of spectator's flow experience to a professional soccer team in the area of sport marketing, but also to practical applications for sport-team market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several directions for future study.

      • 복합환기 장치 적용에 따른 공동주택 환기냉방성능 및 실내 쾌적성 연구

        조영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형 공동주택(전용 46㎡이하)의 발코니와 거실공간에 환기 및 냉방설비 설치공간이 협소하여 기존 열회수장치에 제습과 냉방기능을 갖춘 all-in-one제품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제품을 복합환기장치라 불리고 있으며, 이 연구에서는 제조사의 시제품에 대한 공동주택 환기냉방 성능 실증 시험 및 실내 쾌적성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환기설비는 0.5회/시간의 환기설비기준을 만족토록 하고 있지만, 미세먼지등으로 인해 외부 대기환경 문제가 국가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면서 창문걔폐를 이용한 자연환기로는 실내환경 확보가 쉽지 상황이다. 이 실험은 입주전 공동주택단지내 소형주택 3세대를 선정하여 각기 창호형 자연환기 1세대, 열회수 환기장치 1세대, 복합환기장치 1세대를 설치하여 각각의 온습도 및 미세먼지 데이터를 측정하였다. 실증 시험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복합환기장치의 환기냉방모드로 전열냉방능력 평균은 872W, 그중 현열 냉방 능력은 743W, 잠열 냉방능력 평균 128W을 나타내었다. 이 기간의 장치 소비전력의 평균값은 879W였다.이느 다만, 환기냉방모드로 작동시 세대 전실 냉방은 불가하며, 보조냉방 기능 정도의 효과가 있었다. (2) 복합환기 장치를 가동한 시간에 국한하여 실별 평균온도를 측정한 결과 창호형 환기창 세대대비 평균 온도3℃, 습도 15%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3) 열회수장치의 환기냉방시 측정한 온·습도 값을 기준으로 열쾌적성을 분석한 결과 쾌적존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다만, 창호형 환기대비 PMV 수치는 0.3~0.7의 낮은 수치를 보였다. (4) 실증기간동안 외부 초미세먼지 수치는 대부분 쾌적한 상태였고, 담배연기를 통해 초미세먼지 제거 실험을 하여 시작시 232μg/㎥에서 3,240초후 10μg/㎥에 도달함을 확인되었다. 본 실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복합환기장치를 소형 공동 주택에 적용하고자 할 때 설계 및 시공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Due to the narrow space for ventilation and cooling facilities in the balcony and living room of small apartment houses(floor area 46㎡), products with dehumidification and cooling functions in heat recovery devices are being used. This product is called a multi function ventilation system. This study is aimed at demonstrating the ventilation and cooling performance of apartment houses and studying indoor comfort with the prototype. New apartments with 30 households that have been changed should secure a clean indoor environment through smooth ventilation. Ventilation facilities satisfy the standards of ventilation facilities for 0.5 times/hour, but as external air environment problems have emerged as a national and social issue due to fine dust, it is easy to secure an indoor environment with natural ventilation u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window. Before moving in, three houses of small apartment houses were selected and installed in one house of window-type natural ventilation, one house of heat recovery ventilation, and one house of multi function ventilation system to measure each temperature and humidity and fine dust data. Based on the data, the following results could be obtained. (1) With the ventilation and cooling mode of the multi function ventilation system, the average heat transfer and cooling capacity was 872W, among which the current heat and cooling capacity were 743W and the average latent heat and cooling capacity were 128W. The average device power consumption during this period was 879 W. However, when operating in the ventilation cooling mode, it is impossible to cool the entire household, and there is an effect of the auxiliary cooling function. (2)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average temperature for each room limited to the time when the multi function ventilation device was operated, the average temperature and humidity were lowered by 3°C and 15% compared to the window-type ventilation window generation.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ermal comfort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values measured during ventilation and cooling of the heat recovery device, the comfort zone was not reached. However, the PMV level compared to window-type ventilation was low from 0.3 to 0.7. (4) During the demonstration period, the external ultrafine dust level was not bad,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ultrafine dust removal experiment was conducted through cigarette smoke and reached 10μg/㎥ after 3,240 seconds at the start.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demonstration, I hope that it will help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 multi function ventilation system when applying it to small apartment houses in the future

      • 연기와 정보 기술 융합에 대한 탐구 : 머신 러닝을 접목한 연기 행동 선택의 자동화 논의를 중심으로

        조영우 한국예술종합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that acting can be expressed and performed by computer information technology. To address this issue more specifically, it focuses on the process of acting decision making and how this process can be automated with computers. First, the process of acting decision making is simplified as func-tion of black box, where input is ‘given circumstances’ and output is ‘chosen action’. A statistical approach acquires data through sur-veys about acting choices of actors and then predict a probable outcome based on the distribution of the answers. This show that machine learning, a more sophisticated form of the simple statisti-cal model, can be also applied to the same process. In order to get involved with machine learning, it is inevitable to describe the information of acting as digital form of data. Digital acting data can be obtained from sources of real world and virtual world. Act-ing performed by human actors can be digitalized using compres-sion of information and motion recognition technology, e.g. motion capture. Digital data can be more effectively taken from another computerized form of acting, such as computer game and anima-tion. From these quantized acting data, machine learning can learn attributes and qualities of the process of acting decision-making and eventually will become able to choose an action itself. The automation of acting, though limited and raising negative concerns, will impact and reinvent the work of creating acting. 본 논문은 연기와 정보 기술이 융합될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 연기 행동 선택에 초점을 맞추어 행동 선택 과정을 컴퓨터로 자동화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한다. 먼저 간단한 자동화 방법으로 참여자들의 설문과 투표에 기반하여 연기 행동을 선출하는 통계적 모델을 제시한다. 이 단순화된 모델의 장점은 연기 행동 결정에 작용하는 연기자의 창조적 능력이라는 비정량적 요소를 자료에 반영된 형태로 간접적으로 활용한다는 점이다. 즉 참여자의 예술적 선택을 설문 결과에 반영함으로써 연기 행동 선택에 작용하는 예술성을 제한적이나마 정량화된 데이터로 변환하였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데이터로부터 컴퓨터가 자동적으로 산출하는 답안에도 마찬가지로 인간의 예술성이 반영되게 된다. 이러한 통계적, 귀납적 방식을 더욱 발전시킨 머신 러닝 기술은 대량의 데이터를 학습함으로써 데이터에 존재하는 특질을 파악하여 임의의 제시된 상황에서도 적절한 답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머신 러닝을 연기 행동 선택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연기 행동의 선택 과정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해야 하며 제시된 상황을 입력데이터로, 선택된 연기 행동을 출력데이터로 하여 각각의 요소를 수치화할 수 있도록 모델링하여야 한다. 연기를 표현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원천은 크게 현실의 연기 행동과 가상세계의 연기 행동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에는 처음부터 디지털 데이터의 형태로 생성된다는 장점이 있다. 현실의 연기 행동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가능하도록 보조하는 기술적 장치의 발전과 타 분야의 인공지능과의 교류는 연기 행동 디지털 데이터의 축적을 가속화할 것이다. 이렇게 대량으로 생산된 데이터를 학습한 머신 러닝은 연기행동을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자동화된 연기 행동 선택은 한계와 문제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연기 창조 과정을 새롭게 변화시키는 한편 게임과 애니메이션을 비롯한 다른 산업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랜덤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고주기 피로를 고려한 위상최적설계

        조영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자동차 산업의 강화된 연비 규제를 만족시키기 위해 부품의 경량화를 위한 노력이 진행됨에 따라 기계 및 구조물의 요구성능을 만족하면서 경량화하기 위한 최적설계 기법들이 발전해 왔으며, 그 중 위상 최적화 기법은 기존 설계에 의존하지 않고 최적 형상의 도출이 가능하여 기존에 없는 혁신적인 설계를 제안하는 방법으로 개념설계에 주로 적용된다. 그러나 컴플라이언스나 고유 진동수와 같은 구조물의 전체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물리량을 고려한 위상최적설계 기법의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지만, 응력이나 피로 같이 구조물 형상의 국부적인 변화에 민감한 물리량을 고려한 위상최적설계는 아직 연구 초기단계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초기단계에 있는 고주기 피로를 고려한 경량화 위상최적설계를 수행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으로 제한조건을 제안하였다. 첫 번째 방법은 피로하중에 대한 임계피로응력(critical fatigue stress)이고, 두 번째 방법으로 피로손상(fatigue damage)이다. 임계피로응력이란 피로파손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값으로 구조물에 단위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응력값과 비교하여 피로파손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임계피로응력은 최적설계를 시작하기 전 피로해석을 통해 결정되고 응력기반 위상최적설계의 제한조건으로 적용하여 피로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최적 형상을 도출한다. 최적설계 과정에서 피로해석은 더 이상 수행되지 않고, 비교적 계산이 간단한 응력에 대한 민감도를 사용하기 때문에 피로손상제한 위상최적설계 기법보다 계산량이 작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응력에 대한 설계 민감도를 통해 최적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피로파손을 발생시키는 상한 응력값을 넘지 않는 구조물을 설계하여 피로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경량화된 구조물을 설계는 가능하지만 피로파손의 특성을 반영한 설계민감도를 사용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피로손상제한 위상최적설계는 피로파손에 대한 설계 민감도를 직접 계산한 후 이를 사용하여 최적화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최적설계 과정에서 피로해석을 매번 수행해야 하며, 민감도 계산 또한 응력에 대한 민감도 계산보다 매우 복잡하다. 피로해석 과정 중 피로 파손 이론을 통해 피로강도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미분 불가능한 연산이 사용되어 설계 민감도를 계산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분 가능한 연산으로 근사하여 설계 민감도를 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록 임계피로응력제한 위상최적설계 문제에 비해 계산량이 많고, 응력값보다 설계변수의 변화에 더 비선형적인 특징을 갖는 피로손상을 고려하여 최적설계를 수행한다는 단점이 있지만, 피로해석을 바탕으로 계산한 피로손상에 대한 민감도로 최적화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에 피로의 특성을 반영한 방향으로 최적화를 진행하여 결과 형상을 도출하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두 가지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피로파손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구조물의 경량화를 위한 외팔보 설계와 MBB보의 설계를 다양한 피로하중에 대해 수행하여 최적 형상을 도출하였다.

      • 찰흙을 활용한 직립표현 경험이 갖는 교육적 의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조영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입체 표현 발달에 중요한 기준점이 되는 ‘직립표현’에 성공한 경험과 관련한 감정들, 직립을 위한 자신만의 전략 등의 인식에 관해 연구하였다. ‘직립표현’은 3차원으로 표현의 장을 확장시키는, 아동 입체 표현의 결정적인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찰흙을 활용한 직립표현 수업 프로그램을 적용 후, 직립표현을 경험한 아이들의 조형세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은 아이들의 경험을 총체적이고 긴밀하게 바라볼 수 있는 질적 연구 방법 중의 하나인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직립표현에 관한 연구 주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찰흙을 활용한 직립표현 수업 속 아이들의 작품의 양상은 각 직립 전략별로 확인 할 수 있다. 쌓기 방법의 경우, 넓은 바닥에서 시작해 위로 올라가며 쌓는 방식으로 작품이 제작되었으며 모두 직립된 작품을 표현하였다. 면적 넓히기의 경우, 대부분 아래가 넓고 위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직립 작품을 만들었다. 기대기의 경우, 물체와 작품의 형태에 따라 다른 사물과 기대기 방법을 사용해 직립표현에 도전했으며 모두 성공했다. 면적 넓히기와 기대기가 직립표현에 효과적인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비해 대칭은 작품의 직립 작품에서 나타나는 요소일 뿐 직립을 보장하지 못하므로 ‘대칭으로 만들기’는 효과적인 직립 전략이라고 보기엔 부족하다. 직립 작품의 양상을 살펴본 결과, 적절한 교수 · 학습이 직립표현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면적 넓히기와 기대기를 통해 직립표현의 성공적 경험을 한 아동은 직립작품이 가진 형태적 특징에 대해 인식하고 스스로 탐색할 수 있게 되었다. 직립표현 성공적 경험으로 형성된 의미는 아동에게 새로운 표현 주제에 대한 관심을 높여 결과적으로 활동 집중도가 높아지고 작품의 질이 향상되는 결과로 나타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직립표현에 대한 인식과 연구자의 직립표현 프로그램이 조소 영역에서 아동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에 맞춰 지도할 수 있는 사례로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제주 Scoria의 중금속 흡착특성

        조영우 濟州大學校 産業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quiry into the possibility of a scoria, which is found in large amounts in Cheju Island, as an adsorbent of heavy metal ions in an aspect of its efficient utilization. For this purpose, the scoria was sampled at five areas(Cheju-shi Bonggae-dong(A), Pukcheju-gun Hanlim-eup Sangmyong-ri Mangoreum(B), Pukcheju-gun Hanlim-eup Keumag-ri(C), Namcheju-gun Andeog-myun Dongkwang-ri(D) and Pukcheju-gun Kujwa-eup Songdang-ri(E)), representatively, the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ion with scoria species, heavy metal ion, paricle size of a scoria, scoria weight and pH in the single solution and in the mixed solution was investigated, and the parameters related to its adsorption were obtain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Heavy metal uptake by a scoria decreased in the following sequence among scoria species and it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a cationic exchange capacity(CEC) and surface area, i.e., The scoria with a higher CEC and surface area, showed a higher heavy metal uptake : A>E>D>B>C 2. Heavy metal uptake by a scoria decreased in the following sequence among heavy metal ions and this result was considered due to the complex interaction such as each ionic selectivity for the adsorption site of a scoria, the radius, hydration radius and hydration energy of each ion : Pb^(2+)>Cu^(2+), Cr^(3+)>Cd^(2+)'>Sr^(2+)>Mn^(2+)>Fe^(3+), Cs^(+). 3. With decreasing particle size of a scoria, the uptake and adsorption rate of heavy metal ion increased. 4. With increasing scoria weight, heavy metal uptake decreased but its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5. In the mixed solution, each heavy metal uptake by a scoria decreased than in the single solution but total heavy metal uptake increased, and especially, the uptakes of cesium and manganese showing a low uptake in the single solution, did not occur. 6. Each heavy metal uptake by a scoria in the mixed solution, showed the same trend in the single solution except for ferric ion, and the uptake of the latter was very high, which was considered due to the reaction of a precipitate formation of ferric hydroxide with increasing pH. 7. In the range of initial heavy metal concentration 0.1∼1.0 mmol/L, each heavy metal uptake by a scoria was described by Freundlich or Langmuir equation except for ferric ion, but it followed the former better than the latter. 8. The adsorption rate of heavy metal ion by a scoria, showed the same trend as the uptake obtained among scoria species, heavy metal ions and particle sizes of a scoria, and was supposed depending on the diffusion rate into the pore of a scoria. 9. The effective diffusion coefficient showed a higher linearity with initial concentration and equilibrium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