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호문화교육에 기반한 춘향전 교수·학습 방안 연구 :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연하,박덕유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Chunhyangjeon based on intercultural education for advanced-level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apply it to the educational site to explore the possibility. To this end, the concepts and procedur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the usefulness of educational theatre as a tool for intercultural education were considered in the planning stage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cont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narratives, characters, and themes of Chunhyangjeon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is, the original elements of Korean culture were presented. Finally, in the application stage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 conducted ‘reading literature text, discussion and writing scripts for educational theatre, practicing and presenting educational theatre’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theatre class model for intercultural education and examined at specific aspects of the process. Through the step-by-step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lass model, learners were given the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own cultures and were able to interpret and understand other cultures by relativizing them from cultural stereotypes and prejudices. This means the enhancement of intercultural ability to acquire an attitude of understanding and respecting other cultures, in addition to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knowledge and values of other culture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방송보도의 객관성 심의결정 논리 연구

        조연하 언론중재위원회 2019 미디어와 인격권 Vol.5 No.2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in deliberating objectivity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fake news identification standard. This is done through an analysis of the factors in determining whether broadcasting news violates the objectivity article in the Broadcasting Deliberation Regulation and in adjusting the sanction for violations against the Korea Communications Standards Commission (KCSC). The results show the tendency for low-level sanctions, such as administrative guidance, and media and program-specific discriminative deliberation. In determining objectivity article violations, there are content factors—such as accuracy, factuality, exaggerations, and expression distortions—and behavioral factors—such as pre and post actions to maintain objectivity, data use inadequacy, and source citations. In adjusting the sanctions for violations in the final decision stage, adequate production staff action, fairness with similar deliberation cases, simple mistakes, the program’s characteristics and nature, and overall context and intent are considered. 방송보도 심의에서 고려되는 객관성 조항위반 판단기준과 위반사례에대한 최종 제재수위의 경중을 판단하는 요소를 분석함으로써, 객관성 심의결정 논리의 특징과 한계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가짜뉴스의 판단기준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객관성 조항위반 심의에서 제재유형이 대부분 행정지도로 제재수위가 낮은 경향을 보였고, 매체별, 프로그램 유형별 차별적 심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의결정에서 적용되었던 판단기준은 불명확성, 사실성, 표현의 과장과 왜곡과 같은 내용 차원과 객관성을 기하기 위한 사전 사후 조치, 자료사용의 부적절, 출처표시 등과 같은 형식차원으로 분류되었다. 또 위반사례에 대한 최종 심의결정에서 방송제작진의 적절한 조치, 위반정보 및 유사 심의사례와의 형평성, 의도성 없는 단순 실수, 프로그램의 특성이나 성격, 그리고 전반적인 맥락과 취지 등이제재수위를 조절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 KCI등재

        AI 창작물과 저작인격권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연하 언론중재위원회 2023 미디어와 인격권 Vol.9 No.2

        Most discussions about copyrigh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cus on the author’s economic rights, which enable copyright holders to derive income from others’ use of their literary or artistic works. In contrast, the relationship between AI and the author’s moral rights, which safeguard the personal connection between a creator and their work, remains relatively obscure. This study aims to address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rights in copyright and works generated by nonhuman AI entities, seeking a legislative proposal for reform by applying fundamental legal principles governing moral rights in AI-generated works. Due to the scarcity of judicial cases dealing with the overall meaning of moral rights and conflict cases on the copyright in AI-generated works, this research examines existing discussions on moral rights and relevant legislative cases. To discuss the fundamental legal doctrines of moral rights, this research analyzes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moral rights, with a specific focus on their concepts, nature, and debates concerning the validity of granting moral rights within the scope of copyright. This research also reviews the legislation cases, such as laws on moral rights in France, Germany,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Korea; the Copyright Act of 1957 of Korea; former law for the protection of computer programs of Korea, which was integrated into Copyright Act in 2009; copyright laws on computer-generated works, such as Copyright, Designs and Patents Act of 1988 in the United Kingdom. The findings indicate that granting moral rights to AI-generated words, devoid of personal rights, is not justifiable based on general legal doctrines of copyright, which solely confer rights to human beings, and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moral rights that protect the personal and spiritual interests of authors as represented in their works. AI와 저작권에 관한 기존 연구는 대부분 저작재산권에 집중되었고, AI와 저작인격권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저작인격권에 관한 기존 법리를 AI 창작물에 적용해봄으로써 AI와 같은 비인간 창작물과 저작인격권의 관계와 쟁점을 검토하고 입법상의 개선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AI 창작물에 저작인격권을 인정하는 것이 타당한지와 그 근거는 무엇인가이다. 저작인격권에 관한 전체적인 의미를 다룬 판례와 AI 창작물에 관한 저작권법적 분쟁 사례 및 명시적인 판례가 거의 부재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저작인격권에 관한 기존의 학술적 논의와 입법례를 검토하였다. 우선 저작인격권의 개념과 본질, 타당성 논쟁을 중심으로 법적 성격을 살펴보았고, 각국의 저작인격권 입법례의 특징을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저작인격권에 관한 법리를 토대로 하여 AI 창작물과 저작인격권의 관계에 대해 탐색적으로 논의하였다. 그 결과 기본적으로 인간에게만 저작권을 인정하는 저작권의 일반 법리나 저작물에 표현된 저작자의 인격적・정신적 이익을 보호하는 저작인격권의 기본 원칙에 기초할 때, 인격적 이익이 없는 AI가 만든 창작물에 대한 저작인격권 인정은 타당하지 않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