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Effect of pH on soil bacterial diversity

        조순자,김미희,이영옥 한국생태학회 2016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ol.40 No.1

        Background: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pH, known as a critical factor for shaping the biogeographical microbial patterns in the studies by others, on the bacterial diversity, we selected two sites in a similar geographical location (site 1; north latitude 35.3, longitude 127.8, site 2; north latitude 35.2, longitude 129.2) and compared their soil bacterial diversity between them. The mountain soil at site 1 (Jiri National Park) represented naturally acidic but almost pollution free (pH 5.2) and that at site 2 was neutral but exposed to the pollutants due to the suburban location of a big city (pH 7.7). Methods: Metagenomic DNAs from soil bacteria were extracted and amplified by PCR with 27F/518R primers and pyrosequenced using Roche 454 GS FLX Titanium. Results: Bacterial phyla retrieved from the soil at site 1 were more diverse than those at site 2, and their bacterial compositions were quite different: Almost half of the phyla at site 1 were Proteobacteria (49 %), and the remaining phyla were attributed to 10 other phyla. By contrast, in the soil at site 2, four main phyla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Proteobacteria, and Cyanobacteria) composed 94 %; the remainder was attributed to two other phyla. Furthermore, when bacterial composition was examined on the order level, only two Burkholderiales and Rhizobiales were found at both sites. So depending on pH, the bacterial community in soil at site 1 differed from that at site 2, and although the acidic soil of site 1 represented a non-optimal pH for bacterial growth, the bacterial diversity, evenness, and richness at this site were higher than those found in the neutral pH soil at site 2. Conclusions: These results and the indices regarding diversity, richness, and evenness examined in this study indicate that pH alone might not play a main role for bacterial diversity in soil.

      • KCI등재

        구술사로 본 범패승의 대중포교 전략으로서의 국악의 학습과 활용 - 제도권 밖 범패승의 구술생애사를 중심으로 -

        조순자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3 No.-

        In this thesis, I made an attempt to study the oral life history of a pǒmp’ae monk who has constructed his own art world. Through an analysis of life history of a narrator, the transition points of life experienced by the narrator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namely ‘Becoming a Buddhist monk → pǒmp’ae learning → Going about begging for alms’. In an analysis of the art world constructed by a narrator, it is appropriate to interpret ‘goseong yǒmbul’ or high-pitch chanting as ‘chanting in a loud voice’. As for ‘Muae pǒmmun-ga’ (freedom from all obstacles Buddhist song), it was confirmed to have been created in reference to the origin of ‘Muaega’ (freedom from all obstacles song) contained in “SamgukYusa”(『三國遺事』. In addition, the narrators seem to have learned si-jo and pansori while communicating with certified cultural transmitters and made them as part of their repertory in popular lectures and performances. 본 논문은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한 범패승의 구술생애사 연구를 시도하였다. 구술자의 생애사 분석을 통해 구술자 생애에서 삶의 전환점을 기준으로 ‘출가 -> 범패학습 -> 탁발수행’ 등 3단계로 구분하였다. 구술자는 고성염불을 “높은 소리로 하는 염불”로 해석하며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고음의 범패를 자신의 강점으로 피력하고 있다. 그러나 ‘고성염불 십종공덕’의 맥락에서 볼 때 ‘큰 소리로 하는 염불’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구술자가 대중포교를 위해 각설이타령에 법문내용을 사사로 붙여 만들었다는 무애법문가는 『삼국유사』에 전하는 원효의 무애가의 유래를 참고하여 창작한 노래다. 또한 구술자는 개인의 예술적 욕망과 대중포교를 위한 수단으로 시조와 판소리를 익혔는데, 전통음악 전승자들과 왕래하며 취미로 시조와 판소리를 익혀 대중 강연이나 공연에서 주요 레퍼토리로 활용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전통 양육요의 기능과 음악적 특징 -충남지역 아기재우는소리와 아기어르는소리를 중심으로-

        조순자 한국민요학회 2023 한국민요학 Vol.67 No.-

        This study examines the singing situat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ong for child rearing, focusing on the Sleeping Sounds for Baby and Soothing Sounds for Baby, and compares and analyzes two types of songs with different purpose and function to find their characteristics and meaning. There is a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singing situation of song for child rearing that have not been paid attention to so far, and in particular, raises the need for confirmation and re-recognition of prejudice against singers. The Sleeping Sounds for Baby and Soothing Sounds for Baby was handed down through family tradition through grandparents or mothers. In terms of music, Menaritori and Yukjabaegitori accounted for an average of 86.4% of song for child rearing in the Chungcheongnam-do region, showing strong colors from Eastern folk songs and Namdo folk songs. The 3 small beats and 4 beats preferred by song for child rearing singers are judged to have the Gutgeori rhythm of the region seen in folk music, and the singing speed of childcare songs is usually slow or normal fast.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ven if the same song was sung repeatedly, the Tori inherent in the singer was not affected by improvisation and maintained its own musical grammar. The Sleeping Sounds for Baby aims to induce sleep by maximizing the monotone effect through the use of perfect intervals, but the Sleeping Sounds for Baby universally utilizes the perfect 1st and perfect 4th, but seeks to change with the fluidity of the melody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is interpreted as promoting Although the subject and scope of this study are limited to the Chungcheongnam-do region, it is hop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future research on song for child rearing and Tori in the Chungcheong region. 본 연구는 아기재우는소리와 아기어르는소리를 중심으로 한국 전통 양육요의 가창상황과 음악적 특징을 고찰하고, 가창 목적과 기능이 다른 두 유형의 노래를 비교․분석하여 그 특징과 의미를 찾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주목하지 않았던 양육요의 가창 상황을 살폈으며, 특히 가창 주체에 대한 편견의 확인 및 재인식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아기재우는소리와 아기어르는소리는 조부모나 어머니를 통해 가계 전승으로 구전되었으며, 음악적으로 충남지역 양육요는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 비중이 평균 86.4%에 달해 동부민요와 남도민요 색채가 강하게 나타났다. 양육요 가창자들이 선호하는 3소박4박형은 토속음악에서 보이는 지역의 굿거리장단이 내재된 것으로 판단되며, 양육요 가창 속도는 대체로 느리거나 보통빠르기가 많다. 또한 동일곡을 반복하여 가창하더라도 가창자에게 내재된 토리는 즉흥성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고유의 음악문법을 유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아기재우는소리는 완전음정의 활용을 통한 모노톤 효과를 극대화하여 잠을 유도하는 데 목적을 두지만, 아기어르는 소리는 완전1도와 완전4도를 보편적으로 활용하면서도 선율의 유동성으로 변화를 꾀하여 신체활동을 촉진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대상과 범위가 충청남도 지역에 한정된 제한점이 있지만, 향후 양육요와 충청지역 토리 연구에 미력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소망한다.

      • KCI등재

        다양한 환경 조건의 하수처리시설 반응조 내 세균 및 고세균 군집

        조순자,하달수,이영옥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8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bacterial- and archaeal communities depending on kind of wastewater (municipal/livestock) and on treating conditions of basins, sludges were sampled from 10 basins of 3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WWTP) with A2O and a activated sludge sample from a livestock WWTP. The metagenomic DNAs of the sludge samples were extracted and amplified with primers, 27F/518R for bacteria and Arch519F/A958R for archaea, and pyrosequenced with Roche 454 GS-FLX Titanium. As results, the bacterial communities in basins of municipal WWTP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livestock WWTP, but within the same municipal WWTP their community structures were similar to each other regardless of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O2. And their archaeal communities resulted from anaerobic·anoxic basins were clustered only within communities originated from the same WWTP. Furthermore Seo-bu WWTP with high bacterial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performed better N/P-removal compared to the orther WWTPs. 하수의 종류(생활하수, 축산폐수) 및 다양한 처리 공정에 따른 미생물군집구조를 비교하기 위해 A2O공법으로 운영되는 생활하수처리시설(안심·서부·신천)의 10개 생물학적 반응조와 축산폐수처리시설의 활성슬러지를 채취해 DNA 유전체를 추출한 후 세균은 프라이머 27F/518R, 고세균의 경우, 프라이머 Arch519F/A958R를 이용해 유전체를 증폭시켰고 그 염기서열을 Roche 454 GS-FLX Titanium을 이용한 pyrosequencing 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생활하수와 축산폐수에 따른 미생물 군집구조의 차이는 컸지만 A2O공법에 따른 산소 유무 등의 환경 변화와 관련된 군집구조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혐기조 및 무산소조 반응조들에서만 분석한 고세균 군집 결과에서는 동일 하수처리시설의 반응조들의 고세군군집들끼리만 모이는 하수처리시설별 집괴현상을 나타냈다. 세균다양성 및 종 풍부도가 높은 서부처리시설이 다른 시설보다 더 높은 질소 및 인 제거율을 나타냈다.

      • KCI등재

        충청지역 ‘아이 어르는 소리’의 사설구조와 말붙임새 특징

        조순자 민족음악학회 2022 음악과 민족 Vol.- No.64

        본 연구는 충청도 지역에서 전승된 ‘아이 어르는 소리’의 사설구조와말붙임새를 고찰하였다. 본고의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핵심서사는 ‘달강달강’은 모든 개체곡이 동일하게 짜여졌으나, ‘불아불아’와 ‘덩기덩기’는 기본서사와 더불어 여타의 육아요에 있는 사설을차용하여 확장시킨 사례가 확인되었다. 말붙임새는 3소박 2박자, 3소박4박자과 1장단 8음절, 1장단 7음절 형이 주를 이루었다. ‘덩기덩기’의 사설에 판소리 <춘향가> 중 ‘사랑가’ 사설을 차용하였으며, 단일한 사설을공유하고 있는 ‘달강달강’에 비해 ‘덩기덩기’와 ‘불아불아’는 사설 혼재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추가로 발굴한 충청남도 ‘불아불아’ 자료를 통하여 가창자의 즉흥과 민요의 유동성을 확인하였다.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판소리 ‘창조’의 음악적 특성과 기능 고찰 -성우향 판소리 「춘향가」를 중심으로-

        조순자 한국음악사학회 2014 한국음악사학보 Vol.52 No.-

        P'ansori 판소리 ch'angjo 唱調 has not received the much attention by music circles for a while, for it has the interim feature of ch'ang (song) and aniri 아니리 (narration) and this feature is not easy to be classified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mus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p'ansori ch'angjo, focusing on Sŏng U-hyang’s 成又香 pansori "Ch'unhyangga 春香歌." The scope of study was limited in Sŏng U-hyang’s Kim Se-jong 金世宗 School "Ch'unhyangga 春香歌." The method of study was to write and analyze a sound source and examine literatur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a biggest musical characteristic of p'ansori ch'angjo is that it is a no-changdan song. Its kil consists of ujogil 우조길and kyemyŏn‘gil 계면길, and ujogil is sol-scale, consisting of many melismatics, whereas kyemyŏon’gil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syllabic progress and a three (mi-la-do) scale music. Second, the reason why p'ansori ch'angjo has many common musical points with sijo song, poetic song and reading seems to be in that it borrows these features and then internalizes them in its frame of performance. Third, the function of p'ansori ch'angjo can be classified into four: (1) a turning point of dramatic situations, (2) a supplementary role of helping communication, (3) providing resting time to its performer, and (4) describing characters’ emotional status. This study, which examined musical characteristics of p'ansori ch'angjo, seems to be the first step to academically research into it. The author hopes studies in the future will deal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angjo and expand its research scope to other versions of p'ansori ch'angjo, sorted out by other p'ansori performers, in addition to Seong, U-hyang’s pansori "Ch'unhyangga." 판소리 ‘창조(唱調)’는 그동안 음악학계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는데, 그 이유는 ‘창조’가 소리와 아니리의 중간적 성격을 띠고 있어 연행과정에서 쉽게 구분되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성우향 판소리 「춘향가」를 중심으로 판소리 ‘창조’의 음악적 특성과 기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범위는 성우향의 김세종제 「춘향가」를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관련 음원을 채보 및 분석하고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판소리 ‘창조’의 가장 큰 음악적 특성은 무장단(無長短)의 소리라는 점이다. 길은 우조길과 계면길로 구분되며, 우조길은 솔음계로 1자다음(一字多音, melismatic)이 많은 반면 계면길은 ‘1자1음식’(一字一音, syllabic)진행과 3음계(미-라-도)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난다. 둘째, 판소리 ‘창조’가 시조창 ‧ 시창 ‧ 송서 등과 음악적으로 공통점이 많은 이유는 각각의 음악형식을 판소리 ‘창조’에 차용함으로써 이들이 ‘창조’라는 틀 안에서 창조적으로 융합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창조’의 기능은 극적 상황의 전환점 ․ 의사소통을 돕는 보완제 역할 ․ 창자에게 휴식의 기회 제공 ․ 작중 인물의 감정상태 묘사 기능 등 네 가지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판소리 ‘창조’연구의 첫 발을 내딛으며 음악적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창조’ 역사적 전개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성우향 판소리 「춘향가」창본 이외에 다른 판소리 창자들이 정리한 다수의 창본을 함께 검토하여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