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계학습 기반의 웹 이미지 분류

        조수선,이동우,한동원,황치정,Cho, Soo-Sun,Lee, Dong-Woo,Han, Dong-Won,Hwang, Chi-Ju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9 No.6

        Although image occupies a large part of importance on the Web documents, there have not been many researches for analyzing and understanding it. Many Web images are used for carrying important information but others are not used for it. In this paper classify the Web images from presently served Web sites to erasable or non-erasable classes. based on machine learning methods. For this research, we have detected 16 special and rich features for Web images and experimented by using the Baysian and decision tree methods. As the results, F-measures of 87.09%, 82.72% were achived for each method and particularly, from the experiments to compare the effects of feature groups, it has proved that the added features on this study are very useful for Web image classification. HTML 페이지로 대표되는 웹 문서에서 이미지는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분석 및 이해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여러 가지 웹 이미지들은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은 것들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서비스중인 인터넷 사이트의 웹 이미지들을 수집하여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에 기반한 분류(classification)론 통해 제거 가능한 이미지와 제거 불가능한 이미지의 두가지 클래스로 분석해 본다. 이를 위해 16개의 독특하고 풍부한 웹 이미지 특징들을 발굴하고 베이지안 기법과 결정 트리 기법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기법에서 87.09%, 82.72%의 F-measure 값을 얻었으며 특히, 특징 그룹의 비교 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 추가한 특징들이 매우 유용한 것임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후보

        SNS 미디어 이용자의 프라이버시 인식 및 행태에 관한 연구 : 대학생 이용집단 FGI를 통한 선험적 연구

        조수선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0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을 베이스로 하는 무수한 서비스들 중에서 SNS 미디어 이용시 발생할 수 있는 프라이버시 이슈와 관련하여 미디어 특성별 선택과 이용 동기, 프라이버시에 침해에 대한 염려, 프라이버시 보호전략, 노출범위 및 비용, 그리고 책임소재 등에 대한 패턴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NS 미디어 이용으로 인한 프라이버시 침해 사례들과 이와 관련해 진화되고 있는 프라이버시권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대학생 이용자 대상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를 토대로 하여 그들의 SNS 프라이버시에 대한 인식을 관련 변인들과 함께 분석하고 있다. 적극적 이용자 몇몇을 제외한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SNS 미디어 이용시 자신의 정보와 컨텐츠 그리고 의견 등의 노출 확률이 높아지는 것과 범위가 확대되는 것을 경계한다. 반면 자신에게 이득이 있다고 판단되면 기꺼이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포기하기도 한다. 시스템내의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에 대한 믿음, 자신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통제하고 있다는 자신감, 프라이버시를 해칠 수 있는 서비스의 설정을 자신이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은 이용자로 하여금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책임이 자신에게 있다고 인식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nd pattern among media choice/motivation, privacy concern, privacy protection strategy, and privacy responsibility attribution in the context of SNS media environment. First, this study attempted to explain several cases of privacy invasion vis SNS and theoretical concept of privacy progressed. Second, this study analysed SNS privacy issues and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 of FGI(focus group interview of university student). With the exception of active SNS users, most of SNS users demonstrated to wary of extending self-disclosure vis SNS. However, It is also observed SNS users were willing to give up their privacy when a service were offered with remarkable benefits. SNS users was likely to recognize that they have solely responsibility of privacy invation because of privacy protection function offered by a system, self-efficacy to manage and control effectively, and availability of choosing unwanted ancillary services.

      • KCI등재

        국내 언론의 성평등과 양성평등 용어 사용 분석: 언론사, 기자의 성, 기사 종류별 차이를 중심으로

        조수선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9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54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t meanings of two similar terms: ‘Sung-pyoungdeung’ and ‘Yangsung-pyoungdeung to identify both implication and discrimination of two terms in the context of our society. In English, the direct translation of both terms is ‘gender equality’; however,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religious sector and women representatives about how these two terms are appropriately used. The study identifies and analyzes the usage of these terms in two major newspaper: Chosun Ilbo, a conservative source and Hankyoreh, a liberal source. Consequently, Hankyoreh has more stories of two terms than Chosun Ilbo in a total number of news and more Sung-pyoungdeung stories than Yangsung-pyoungdeung stories.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eporter’s gender found in Chosun Ilbo. Female reporters wrote more stories with those two terms than male reporters did in Hankyoreh. Moreover, female reporters of Hankyoreh wrote more Sung-pyoungdeung stories than Yangsung-pyoungdeung stories. Compared to other subjects of coverage, Hankyoreh covered gender equality/cognition/education in Sung-pyoungdeung stories and birth/fostering/home in Yangsungpyoungdeung stories most frequently. Both newspapers do not statistically differ in terms of centeredness and tone of each story. Finally, several implications of those finding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언론의 기사 내용을 바탕으로 ‘성평등’과 ‘양성평등’의 용어 선택차이를 분석함으로서 우리 사회가 이들 용어를 어떻게 의미 구분하여 사용하는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성평등과 양성평등 용어 모두‘gender equality’라는 영어로 번역되고 있으나 현재 국내에서는 이 두 용어의사용과 관련하여 여성계와 종교계 간의 갈등이 존재한다. 이를 위해 <조선일보>와 <한겨레>에 나타난 성평등 용어와 양성평등 용어 기사에 대한 빈도 및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 기사 수에서 <한겨레>는 <조선일보>보다 각각 해당 기사의 빈도가 더 높았고 양성평등 용어 기사보다 성평등 용어기사를 더 많이 다루고 있었다. 기자 성별 차이는 <조선일보>에서는 나타나지않았고 <한겨레>에서는 두 용어 관련 기사를 전체적으로 여성기자가 남성기자 보다 더 많이 작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겨레>의 여성기자는 두 용어 기사들 중 성평등 용어 기사를 더 많이 작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 는 성평등 용어 기사들 중 성평등/인지/교육 소재를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고양성평등 용어 기사들 중 출산/육아/가정 소재를 가장 많이 다루고 있었다. 두 신문 모두 기사 중심성과 톤 관련 용어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연구함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했다.

      • KCI등재

        대학 강의평가 영향력 요인 중 학생 특성의 효과에 대한 사례 연구

        조수선 한국공학교육학회 2016 공학교육연구 Vol.19 No.6

        This paper deals with the effect of student characteristics from a case study on the different teaching evaluation scores under the same conditions of professor and course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focusing the evaluation score gabs caused by different course achievements of two classes, we can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student characteristics and interpret the meaning. This case study shows that the student characteristics can lead out a distinct difference in the teaching evaluation scores under the most factors related to professors and courses are controlled, In conclusion, this case study could be appropriately used to support the interpretation of the student characteristic hypothesis among several hypotheses about the meaning of correlations between student achievement and teaching evaluation.

      • KCI등재

        어린이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미디어 인식과 중재방식 : 전업어머니, 직장어머니, 아버지 집단의 차이를 중심으로

        조수선 제주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24 No.1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media awareness, parental mediation style, and the need for media education among these three parental types―full-time mothers, working mothers, and fathers. Media awareness was divided into negative content perception and negative influence of media, and parental mediation style was divided into technical application, parental supervision, and dialogue guidance. It was examined how those variables affect the need for media education for each parental type. Fathers were found to be the lowest in all variables, and working mothers were found to have the highest negative content perception. In all three groups, the influence of dialogue guidance on the need for media educ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use of technology had the lowest influence. For full-time mothers and working mothers, negative content percep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while fathers were found to be parental supervision. Finally, based on these differences of findings, guidelines for media education by parental types are proposed. 본 연구는 어린이의 주보호자 유형을 전업어머니, 직장어머니, 아버지로 분류하여 이들 세 집단 간 미디어 인식, 중재방식, 그리고 미디어교육 필요성의 차이를 분석한 후각 부모 유형별 미디어 인식과 중재방식이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하였다. 미디어 인식은 미디어의 부적절 콘텐츠와 부정적 효과로 구분하고중재방식은 기술적용, 부모감독, 대화지도로 나누어 측정하여 이들 변인이 각 부모 유형별 미디어교육의 필요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아버지는 모든 변인에서 최하위로 나타났고 직장어머니는 부적절 콘텐츠를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집단 모두 대화지도가 미디어교육의 필요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기술적용은 가장 낮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업어머니와 직장어머니는 부적절 콘텐츠 인식이 가장 영향력이 큰 변인으로 나타난 반면 아버지는 부모감독으로 나타났다. 직장어머니는 미디어에 대한 부정적 효과 인식이 미디어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유일한 집단이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의 차이에 근거하여 부모집단별 미디어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 있다.

      • KCI등재

        Web Image Clustering with Text Features and Measuring its Efficiency

        조수선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7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Vol.10 No.6

        This article is an approach to improving the clustering of Web images by using high-level semantic features from text information relevant to Web images as well as low-level visual features of image itself. These high-level text features can be obtained from image URLs and file names, page titles, hyperlinks, and surrounding text. As a clustering algorithm, a self-organizing map (SOM) proposed by Kohonen is used. To evaluate the clustering efficiencies of SOMs, we propose a simple but effective measure indicating the accumulativeness of same class images and the perplexities of class distributions. Our approach is to advance the existing measures through defining and using new measures accumulativeness on the most superior clustering node and concentricity to evaluate clustering efficiencies of SOM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high-level text features are more useful in SOM-based Web image clustering.

      • 중앙일간신문의 교육섹션 비교분석 : 조선, 중앙, 동아, 한겨레를 중심으로

        조수선 동서언론학회 2010 동서언론 Vol.13 No.-

        본 연구의 목적은 신문의 교육섹션 상에서 교육 기사 및 컨텐츠가 '포괄적이고 균형이 잡혀 있는가'에 의문을 갖고 교육섹션의 구성과 내용, 그리고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신문별로 기사의 종류과 내용, 기자 및 기고자의 유형, 정보원의 다양성, 홍보성 단신의 유형과 대상, 그리고 광고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공통점과 상이점을 제시하고 있다. 내용분석 결과, 국내 주요신문들이 발간하는 교육섹션의 컨텐츠는 뚜렷하게 학습, 영어, 유학, 입시 등에 치우쳐 있고 취재원이나 기고자의 경우도 학원 또는 사적관계자가 더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신문별 차이는 조선, 중앙, 동아는 영어와 유학에 한겨레는 대입에 더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이다. 컨텐츠는 학습관련 컨텐츠의 제공자, 단신에 나타나는 이벤트 주최자를 볼 때 학원/학습지, 사적기관, 출판사의 홍보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며 단순박스를 통해서는 자사의 교육관련 사업의 홍보가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ducation section of Korean newspaper in terms of constructing its contents and problem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education section of 4 nationwide newspapers, considering articles, reporters, diversity of sources, PR writings, relationship between newspaper and advertiser. Obviously, the contents of education section were skewed toward learning class, English, college, and studying overseas. Writers and sources were more the persons concerned from private institutions than school teachers. Difference among newspapers was Chosun, Chungang, and Donga have bigger portion of English and studying overseas, while Hangurae has bigger potion of college than other contents. Some overlapping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major contents providers and advertisers of education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