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칭이 자기효능감, 조직유효성 및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현장실험 연구

        조성진(Seong Jhin Joh),송계충(Kye Chung So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1 인사조직연구 Vol.19 No.2

        이 논문에서는 독립변수인 코칭이 종속변수인 자기효능감, 직무성과,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가족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유사 현장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한 지방자치단체 단기 연수과정에 등록한 43명의 공무원은 코칭을 받는 실험집단에 배정되었고, 차기 연수과정에 들어오는 42명은 코칭을 받지 않는 통제집단에 배정되었다. 실험상의 조작변수인 코칭은 조성진(2008)이 개발한 21시간 ‘파워웰빙코칭’ 교육 프로그램과 8주에 걸친 주 1회씩의 1 : 1 ‘iCAN 전략적 모형’ 코칭 대화 프로세스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코칭의 조작적 정의는 목표설정(goal setting) 이론과 자기조절(self-regulation) 개념에 근거한 Grant(2006)의 목표지향 접근법과 Cavanagh & Grant(2010)의 해법중심 접근법에 근거하였다. 실험연구를 위하여 두 집단을 대상으로 코칭 전 및 코칭 후 두 시점에서 5개의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 및 사후 측정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대한 코칭 전 종속변수의 측정에서 가족관계를 제외하고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나머지 4개의 변수는 두 집단 간 동질성을 확보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t-test 결과 5개의 종속변수 모두에서 통제집단은 두 시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실험집단은 두 시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실험집단의 사전 및 사후 시점간의 5개 종속변수의 변화는 코칭에 기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사전 측정에서 실험 및 통제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던 가족관계에 대해서는 사전 시점의 가족관계를 통제변수로 한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여 사후 시점의 가족관계의 주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실험의 과정으로 실험집단에 대한 코칭의 효과가 증명되었으며 이는 과거의 상관관계 분석에 의한 검증과 달리 실험을 통한 인과관계의 검증이라는 점에서 차별화되었다. 그리고 연구 결과의 이론적 및 연구방법론적 확장 가능성과 학습코칭, 라이프코칭, 셀프코칭, 가족코칭과 같은 실무적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field experimental study investigated the positive effect of coaching (independent variable) on self-efficacy, perceived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amily relations. In a quasi-experimental design, 43 government employee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42 government employees were assigned to a control group. A coaching training program (Joh, 2008) provided to an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21 hours structured POWER WELL-BEING. This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1st author of this paper. The POWER WELL-BEING Coaching program was based on goal-oriented approach(Grant, 2006) and solution-focused approach (Cavanagh & Grant, 2010). In addition to the POWER WELL-BEING, one-on-one coaching, known as ‘iCAN Strategical Model’(Joh, 2008) was provided once a week for 8 weeks. The POWER WELL-BEING Coaching program included both coaching training and face-to-face coaching communication. The coaching training consisted of 24 hours workshop for coaching environment, coaching philosophy, coaching core values, coaching communication process, coaching skill, diagnosis of characteristics of coachee and coach, coaching profession. The coaching communication process, called ‘iCAN strategic model’ consisted of identification, circumstance, action planning, and nurturing. Forty-three employees working in a local government participated in the ‘POWER WELL-BEING Coaching program,’ which consisted of 21 hours of coaching training workshop and 8 face-to-face coaching communication sessions for 8 weeks. We did not provide coaching to control group. Before we provided coach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two groups to measur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After two months of coaching,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again. For contro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before & after measurements for each dependent variable. Howeve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 after measurements for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the measurements of dependent variables except for family relations. For the family relations, ANCOVA was used and included before measurement of family relations as covariate, which showed the effect of coaching on family relations. This result shows that coaching causes increase in the level of self-efficacy, perceived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amily relations.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of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learning coaching, life coaching, self coaching, and family coaching.

      • An Exploratory Reflection and Research Challenges on ‘Convergence Coaching’

        조성진(Seong-Jhin Joh) 한국융합코칭학회 2023 융합코칭저널 Vol.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ome of the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before a full-scale discussion on 'convergence coaching' can take place, and to suggest research questions that we believe will be needed to further develop the discussion. To accomplish this goal, I have search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on ‘convergence coaching’. Based in part on the researcher's field coaching experience, I examined the domestic coaching market and field conditions related to 'convergence coach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 for 'convergence coaching' continues to grow due to the increasing needs of customers due to social changes and the nature of coaching itself. Second, I operationally defined ‘convergence coaching’ and, based on prior research, categorize three types of ‘convergence coaching’: convergence between key coaching topics, convergence between coaching modalities and methods, and convergence between coaching and other disciplinary. Third, as a future research question, I suggest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ow does convergence coaching work, how effective is it, when does it occur, and for whom? These include: identifying ways to expand convergence coaching to meet growing customer demand; reviewing the academic literature on convergence coaching, including the conceptualization, operationally definition, and identification of components of convergence coaching, development of measures to validate effectiveness, and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ypes of convergence coaching.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expansion of coaching research by emphasizing the need for 'convergence coaching', attempting an operational definition, categorizing types of 'convergence coaching', and presenting future research issue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However, this discussion is limited by the fact that it is based on the subjective views of the researcher. In the future, further work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may reveal new facts about the utility, diversity, and dynamics of convergence coaching. 본 연구는 ‘융합 코칭’(Convergence coaching)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몇 가지 사항들을 탐색하고, 향후 추가적인 논의 전개 과정에서 필요할 것으로 예상하는 연구과제들을 제언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융합 코칭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연구자의 현장 코칭 경험을 바탕으로 융합 코칭과 관련된 국내 코칭 시장과 현장의 상황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변화에 따른 고객의 요구 증대, 코칭(학) 자체의 특성상 융합 코칭의 필요성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둘째, 융합 코칭을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융합 코칭의 유형을 세 가지(주요 코칭 주제 간 융합, 코칭 진행 형태 및 방법 간의 융합, 코칭과 다른 영역 간의 융합)로 구분했다. 셋째, 향후 추가로 연구해야 할 과제로, 융합 코칭의 작동 기제와 효과성 검증, 융합 코칭의 발생 시기와 대상자 등의 연구과제를 제시했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선제적이고 정교한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즉, 고객 수요 증대에 부응하는 융합 코칭 확대 방안 마련, 융합 코칭과 관련된 학술적 검토 사항들, 예컨대 융합 코칭의 구성 개념, 조작적 정의, 구성요소 발견, 효과성 검증을 위한 척도 개발, 유형구분과 특성 파악 등이 그것이다. 본 연구는 융합 코칭의 필요성 강조, 조작적 정의 시도, 융합 코칭의 유형 구분 및 향후 연구과 제를 한국 최초로 제시함으로써 코칭 연구의 확장에 이바지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이런 논의는 연구자의 주관적 견해를 바탕으로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다. 향후, 본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추가 작업이 진행된다면, 융합 코칭의 유용성, 다양성과 역동성 등에 관한 새로운 사실이 추가로 밝혀질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에 관한 비판적 고찰

        조성진(Seong-Jhin Joh) 한국융합코칭학회 2022 융합코칭저널 Vol.1 No.2

        본 연구는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 현황을 파악한 후에, 해당 연구들의 의의와 한계 및 문제점들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22년 11월 말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총 125편의 코칭 리더십 관련 연구들을 분석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 편수는 2011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코칭 리더십 효과를 검증하는 논문이 가장 많았다 이때 가장 많이 활용된 결과(종속) 변수는 혁신 행동과 조직몰입이었고, 매개변수는 자기효능감과 감성 지능이었으며, 조절 변수는 직무 자율성이었다. 둘째,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에 가장 많이 인용된 것은 Stoweel(1987)의 견해였으나(88편, 70.4%). 그는 코칭 리더십을 조작적으로 정의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코칭 리더십의 구성요소를 제안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그의 견해를 그대로 인용한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의 결과는 타당성과 신뢰도에서 태생적인 한계와 오류를 포함할 수밖에 없다. 마지막으로,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자들의 잘못된 관행의 답습은 최치영(2003)과 최은정(2005)의 연구에서 비롯되었고, 그 이후부터 2022년 11월 말까지 상당수의 국내 연구자는 그들의 잘못된 견해를 객관적이고 논리적인 근거 없이 자신들의 논문에 그대로 인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코칭 리더십 연구의 의의, 한계와 문제점을 고찰했다는 점에서 코칭 연구의 진일보에 이바지했고, 향후 코칭 리더십 연구에서 지향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한계와 후추 과제도 함께 제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and to clarify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relevant research. To this end, a total of 124 articles related to coaching leadership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in Korea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on coaching leadership in Korea showed an increasing trend after 2011, and the majority of the paper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leadership. At this time, the most frequently used outcome (dependent) variables were innovation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arameters were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moderating variables were job autonomy. Second, it was Stowell's opinion(1987) that was most frequently cited coaching leadership studies in Korea. However, it turns out that Stowell neither operationally defined coaching leadership nor suggested the components of coaching leadership. Therefore, the results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which quoted his views as they are, inevitably include inherent limitations and errors in validity and reliability. Finally, the erroneous errors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ers in Korea originated from the studies of Chi-Young Choi (2003) and Eun-Jung Choi (2005). It has been confirmed that a significant number of Korean researchers directly quoted their erroneous views without objective and logical groun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have contributed to the advancement of coaching research in that it has considered the limited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in Korea, and has suggested the direction to be pursued in future coaching leadership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