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Poly(Methacryloyl-D-Glucosamine) (poly(MANGlc)) Prodrugs의 합성 및 항암활성
조석형 혜전대학 1997 論文集 Vol.15 No.-
5-FU-1-acetic, Glc-5-FU, MANGlc 등의 유도체를 합성하였고(MANGF-co-MANG)(Ⅳ), poly(MANGF-coMAA)(Ⅴ) 등의 poly(MANGF-co-AAm)(Ⅵ), poly(MAOGF-co-MAA)(Ⅶ) 등의 수용성 polymer prodrug을 합성하였다. polymer prodrug의 항암활성은 Sarcoma-180 담암 마우스에 대하여 복강 투여함으로써 in vivo 실험을 행하였으며 이들 poly-merprodrug과 monomer prodrug들은 약리활성의 지속성을 증대시키고 5-FU의 독성을 감소시킴으로서 비교적 높은 생체 적합성과 좋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Derivatives such as 5-FU-1-acetic acid, Glc-5-FU, and MANGlc containing D-glucosamine as a spacer were synthesized. And Water-soluble polymer prodrug such as poly(MANFG-co-MANG)(Ⅳ), Poly(MANFG-co-MAA)(Ⅴ), poly(MANFG-co-AAm)(Ⅶ) were synthesized. The antitumor activity was tested against Sarcoma-180 ascites in female mice in vivo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the polymer prodrugs. These polymer prodrugs and monomer prodrugs showed relatively high biocompatibility and good antitumor activity by increasing the drravility of drug activity and reducing the toxicity of 5-FU.
조석형,안태광,홍영호,김영준,전용진 호서대학교 반도체제조장비국산화연구센터 2000 학술대회 자료집 Vol.2000 No.1
본 연구에서는 비스페놀 A,에피크로로히드린을 반응시킨 에폭시 기본주체를 중심으로 경화제, 희석제, 충진제, 촉매 등을 배합하여 토목, 건축용 반고체형 에폭시 접착제를 개발하였다. 여기서 특히 에폭시 주제와 희석제의 종류 및 배합비율에 따른 기본 물성, 접착성능 등을 측정하였다. 상온 경화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경화시간을 측정한 결과 희석제의 종류와 관계없이 희석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경화시간이 증가하고 경화온도도 증가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으며 촉매의 양이 적을 경우가 경화시간이 빠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화 시간은 30분 내지 40분 정도로 상온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접착력 시험 결과는 촉매의 양이 적당할 때 가장 좋은 접착력을 나타내고 희석제 중에서 HDGE의 경우가 가장 좋은 접착력을 나타내었고 희석제의 양이 증가할수록 접착력은 증가하였다. 실리카와 철분을 섞어 반고체형 에폭시 접착제를 제조한 경우 기존의 제품보다 우수한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반고체형 접착제는 제조공정 코스트 등에 대한 검토와 함께 제품화하여 토목, 건축 분야의 콘쿠리투 균열 접착, 볼트와 콘크리트 접합, 목재의 접합 등에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배합물질과 비율에 따라 전기전자, 토목건축, 자동차산업 등의 산업용 접착제로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조석형 혜전대학 식품산업연구소 2001 식품산업연구지 Vol.2 No.-
분자량을 마음대로 조절할 수 있고 수율이 높으며 순수한 저분자 키토산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분해촉매를 이용하여 분해촉매의 농도, 분해온도, 분해시간 등에 따라 분자량이 다른 키토산을 제조할 수 있는 분해 조건을 규명하였다. 키토산을 분해하는데 있어서 분해촉매의 농도, 분해시간, 분해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분자량의 키토산을 얻을 수 있었으며 분해한 키토산의 점도와 분자량의관계가 직선의 관계를 나타냄으로써 점도만으로 쉽게 분자량을 예측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