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의지 표현 ‘-(으)ㄹ래요’의 문법 특성 및 교육 방안 연구

        조보람 ( Boram C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이 연구는 한국어 의지 표현 ‘-(으)ㄹ래요’의 의미와 문법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미지를 활용한 문법 지식 강화를 통해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으)ㄹ래요’는 화자의 의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1인칭 주어와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으)ㄹ래요’는 동사와만 결합이 가능하며, 과거를 나타내는 ‘-었-’, 미래·추측을 나타내는 ‘-겠-’, 높임 표현인 ‘-(으)시’와 결합할 수 없고 평서문과 의문문에 쓰인다. ‘-(으)ㄹ래요’를 효율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으로 ‘-(으)ㄹ래요’가 쓰인 담화 상황을 그림으로 이미지화해 보고 학습자간 공감하는 활동을 통해 문법 지식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공감 및 소통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으며, 이 연구 결과를 통해 다양한 문법 교육의 방법을 정립하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and grammar characteristics of ‘-eullaeyo’ expression of will in Korean and discussed ways to efficiently educate Korean language education sites by strengthening grammar knowledge using images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this study, ‘-eullaeyo’ is an expression of the speaker's will and can only be combined with a first-person subject. In addition, ‘-eullaeyo’ can only be combined with verbs, and cannot be combined with ‘-었-’ representing the past, ‘-겠-’ representing the future and guess, and ‘-(으)시’ expression ‘-eullaeyo’ representing the future, and is used in declarative and Interrogative Sentences. As a way to efficiently educate ‘-eullaeyo’, it was proposed to image the situation of the discourse in which ‘-eullaeyo’ was written in pictures and strengthen grammar knowledge through activities that sympathize among learners. Through this, we prepared ways to improve 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in real communication situations, and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has contributed a little to establishing various methods of grammar education.

      • KCI등재

        국내 대학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연구동향

        조보람(Boram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9

        목적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22년 8월부터 2023년 1월까지 이루어졌다. 2003년부터 2022년 8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77편의 학술논문을 연구시기, 연구유형, 연구내용, 전공영역, 관련변인의 동향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 사이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고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 영역별 동향은 간호학과 언어학에서 활용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가상현실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관련 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가상현실 활용 수업이, 매개변인으로는 몰입이, 종속변인으로는 학습만족도와 학업성취도의 활용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 대학 가상현실 활용 교육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o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22 to January 2023. 77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3 to August 2022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type, research content, major area, and trends in related variables. Results First, the most research on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was conducted between 2018 and 2022. Second,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type,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high,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ird, as for the trend by major area, utilization was high in nursing and linguistics. Four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education programs and studies on their effects were the most common. Fifth,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showed that classes using virtual reality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flow as mediating variables,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s dependent variable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the research trend of virtual reality utilization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학생의 인식과 요구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조보람(Cho, Bor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8

        목적 본 연구는 수업계획서에 대한 k대학 교수-학생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대상은 k대학교 교수 60명과 학생 833명이며 2021년 7월 22일부터 7월28일까지 온라인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였고 8월 24일에 소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11개 대학의 수업계획서를 분석한 결과, 교과목목표, 주차별 강의계획, 평가방법 및 기준이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지난학기 강의평가 반영사항, 선수학습내용, 공학인증설계 교육계획서가 낮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수는 수업계획서 항목에 대해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셋째, 교수는 수업계획서 항목중 주별수업계획, 성적평가항목, 세부교과목목표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넷째, 학생의 63.4%가 교과목 수강시 수업계획서를 대체적으로 활용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학생은 수업계획서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학생은 수업방식과 성적평가항목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여섯째, 교수 대상 소그룹인터뷰에서 수업계획서 항목의 구체화, 중복된 문항 삭제, 불필요한 문항 제거, 교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형태로의 전환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수업계획서에 대한 교수 및 학생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고 수업계획서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rofessors and students of K University for the syllabus.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0 professors and 833 students at K University.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online from July 22 to July 28, 2021, and a small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on August 24. Result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yllabus of 11 universities, the frequency of subject goals, lesson plans by week, evaluation methods and standards was high, and the reflections of last semester s lecture evaluation, prerequisite learning contents, and engineering certification design education plans were low frequency. Second, the professor showed above-average satisfaction with the syllabus items. Third, the professor considered the weekly lesson plan, grade evaluation items, and detailed subject goals as important among the items of the syllabus. Fourth, 63.4%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y generally use the syllabus when taking courses. Fifth, the student showed above-average satisfaction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syllabus. Sixth, the student considered the teaching method and grade evaluation items to be important. Sixth, various opinions were presented in the small group interview with professors, such as refining the syllabus items, deleting duplicated items, removing unnecessary items, and changing to a form that can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of instructor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perceptions and needs of professors and students for the syllabu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yllabus.

      • KCI등재

        자기설계전공제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조보람(Cho Bora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본 연구는 자기설계전공제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k대학교 자기설계 전공제도참여학생 80명을 대상으로 2021년 6월 17일에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및 빈도분석을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90%가 자기설계전공제도의 운영방식에 만족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의 83%가 자기설계전공제도의 교과목의 다양성에 만족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의 87%가 자기설계제도의 수업환경에만족하였다. 넷째, 연구대상의 90%가 평가방식에 만족하였다. 다섯째, 연구대상의 92%가 자기설계전공제도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였다. 여섯째, 연구대상의 94%가 자기설계전공제도 참여후 관련 역량이 향상되었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자기설계전공제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운영과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arner s perception of the self-designed major system.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June 17, 2021 for 80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self-design major system at k university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90%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operation method of the self-design major system. Second, 83%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diversity of lectures of the self-designed major system. Third, 87%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self-designed classroom environment. Fourth, 90%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atisfied with the evaluation method. Fifth, 92%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overall satisfied with the self-designed major system. Sixth, 94% of the study participants said that their competencies improv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self-designed major syst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learner s perception of the self-designed major system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effective operation and support.

      • KCI등재

        원격화상강의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 만족도 분석

        조보람(Cho bor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for remote video lectures conducted in universiti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K University professors and learners,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3 to June 7, 2020 using the developed questionnaire. SPS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showed more than average satisfaction with the lecture contents. Second, both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answered that the interaction was above average, but the instructor felt that it was insufficient to provide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and the learner and the learner. Third, the instructor showed more than average satisfaction in the evaluation and assignment, but the learner was dissatisfied with the assignment. Fourth, in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management, the instructor responded that it was above average, and the learner was dissatisfied with the quality, sound quality, and network access. Fifth, in the case of overall satisfaction, the instructor answered that it was above average, and the learner was somewhat dissatisfied.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analyzed the satisfaction of instructors and learners for remote video lectures for college students,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effective instruction design and operation through this.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실시된 원격화상강의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 만족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K대학교 교수자와 학습자이며 개발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2020년 6월 3일부터 6월 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강의내용에 대해 보통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냈다. 둘째,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 상호작용에 대해 보통이상이라고 응답했지만 교수자는 교수자-학습자, 학습자-학습자간의 의사소통수단 제공에 부족함을 느꼈다. 셋째, 교수자는 평가 및 과제에서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냈지만, 학습자는 과제에 대해 불만족 하였다. 넷째, 수업환경 및 관리에서 교수자는 보통이상이라고 응답했고 학습자는 화질, 음질, 네트워크 접속에서 불만족한 응답을 보였다. 다섯째, 전반적 만족도의 경우 교수자는 보통이상이라고 응답했고 학습자는 다소 불만족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원격화상강의에 대한 교수자 및 학습자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수업설계 및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국내 연구동향 : 2010년~2020년을 중심으로

        조보람(Cho, Bor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2

        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연구의 국내 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내 학술지 46편을 선정하여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유형, 자료수집방법, 연구내용, 관련변인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연구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2019년도에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대상별 동향은 단일대상의 경우에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조금 많았고, 혼합대상일 경우 ‘교사-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별 동향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넷째, 자료수집 방법별 동향은 질문지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다섯째, 연구내용별 동향은 의사소통에 따른 효과성 연구가 높았다. 여섯째, 관련변인별 동향은 독립변인으로는 의사소통이 종속변인으로는 수업태도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 교사-학생간 의사소통 주제로 진행된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 향후 의사소통 연구의 방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elated research by analyzing the domestic treend of research of the last 10yesrs on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ethods 46 journals from 2010 to 2020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research perid, research subject, research type, data collection method, research content, and trends of related variables. Results First, research on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is on the rise, and the most research was conducted in 2019. Second, as for the trend of each research subject, in the case of a single subject, studies targeting ‘students’ were slightly higher, and in the case of mixed subjects, there were many studies targeting ‘teacher-college students’. Third,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research was high in the trend by data collection method. Fourth,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used as the trend by data collection method. Fifth, as for the trend by research content, the effect of communication was high. sixth, as for the trend by related variable, communication was the most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class attitude was the most used as the dependent variable.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amines the trends of research of the last 10yesrs conducted on the topic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Korea and provides directions for future communication studies.

      • KCI등재

        대학의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조보람(Cho, Bora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대한 학습자 인식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대한 학습자 의견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제도에 대한 검토 및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k대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2020년 8월 20일부터 8월23일까지 모바일과 온라인을 통해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활용하였고, 기술통계, 빈도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46.88%가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의 운영방식에 만족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의 46.75%가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가 ‘학습 또는 진로준비에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의 51.13%가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전반적으로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관해 잘 몰라서가’ 가장 높은 응답을 나타냈다. 다섯째, 비교과 마일리지 분야중 가장 참여해 보고 싶은 분야는 ‘진로 및 취업’ 분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비교과 마일리지 제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고 제도에 대한 검토 및 개선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learners about the comparison of universities and the mileag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review and improvement direction for the system by identifying learners opinions on the extra curricular mileage system in detail.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through mobile and online from August 20 to August 23, 2020 targeting k-university learners. For data analysis, SPSS was used,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46.88% of the subjects were satisfied with the comparis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mileage system. Second, 46.75% of the subjects said that the comparison and mileage system were helpful in learning or career preparation. Third, 51.13% of the subjects answered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omparison and mileage system. Fourth, the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the comparison and mileage system was ‘because I did not know well about the comparison and mileage system’, the highest response was found. Fifth, among the fields of comparison and mileage, the field that I would like to participate in was the field of ‘career and employment’.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s learners perceptions of comparison and mileage system, and made efforts to review and improve th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