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Apology for a Jungian Reading of T. S. Eliot

        조병화 한국T.S.엘리엇학회 2011 T.S. 엘리엇 연구 Vol.21 No.1

        Although Jungian interpretation of T. S. Eliot has not been very active for the last half century, a number of reasons make C. G. Jung an attractive tool for reading Eliot. First of all, they were contemporaries undergoing the identical moments of history, responding to them in interestingly similar ways. Secondly, they commonly objected to the positivist trend of their times and tried to revive metaphysical and religious visions of the old. Their ultimate concerns lay in transcendental issues, not in the immediate world. Thirdly, they made their main subject matters out of their visions and other non-empirical materials while resorting heavily to mythic and anthropological studies. Resultantly, Eliot’s works are flooded with archetypal figures, especially those of the mother and the anima. Fourthly, they tried to map out the paths to the Ultimate, sharing many parallel motifs in their courses. Eliot’s literary ideas including impersonality, objective correlative, metaphysical conceit, and collage can all be viewed as a means to make possible transcendental experiences. They encourage the enlargement of cognitive power, a pre-condition for contact with the world beyond. In this sense Jung and Eliot were both shamanic figures who strove to offer remedies to the disorders and the maladies they found haunting their times by retrieving the lost connection to the source of human existence. However, despite his rational interest in the ultimate encounter between human and divine, Eliot has his works overflowing with characters, scenes, and motifs suggesting his inclination toward the mother.

      • KCI등재

        Four Quartets: Defeated Anima

        조병화 한국T.S.엘리엇학회 2009 T.S. 엘리엇 연구 Vol.19 No.2

        Eliot’s image as a highly reputable and influential literary figure does not go along with the personality as found in Four Quartets in terms of analytical psychology. What the reader is led to find there is the return to the world of his childhood, where the poet is ruled by the mother, rather than to seek for equal and harmonious terms with the anima-figures. Eliot strongly advocates the communion with the Logos, which is parallel to the psychological encounter with the Self, the God-image. However, in Four Quartets there is hardly found any feminine participation, which is a vital preliminary step for the union of the ego with the Self. The role of the feminine element, the anima, in the development of the psyche is to strengthen ego-consciousness against the overwhelming power of the unconscious. The ego-consciousness, firmly established with stability and autonomy, is then ready to experience the Encounter without the risk of self-dissolution, achieving a harmony and balance in its relationship to the Self. Four Quartets is dominated by the motif of self-abnegation and Eliot here appears to deny the value of autonomy of the human, urging giving it up altogether for an access to the Logos. Analytical psychology would not see this posture as any way leading to the goal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the individuation, but just a regression to the mother-ruled childhood.

      • KCI등재

        Ash-Wednesday: the Anima on the Scene

        조병화 한국T.S.엘리엇학회 2010 T.S. 엘리엇 연구 Vol.20 No.2

        Ash-Wednesday contrasts well with Four Quartets in the degree of feminine participation. The former has rich feminine presences while in the latter are heard only their faintly-heard voices. The richness of feminine involvement allows the reader a subtler look at the attributes and workings of feminine elements, the feminine archetypes here. Unlike most of Eliot’s poetical works where the motherly figures are dominant, Ash-Wednesday presents the anima actively functioning: the archetype shows its quality of variability, which the persona finds distasteful and struggles to escape from; it also displays its transformative and mediating nature through the Lady’s position of bridging the mundane and the transcendental; it reveals its dual nature as a helping partner and a destroyer alike by presenting itself as benign or hostile to the protagonist; it also shows its relation to the mother by presenting itself in collaboration with, or in opposition to, the other. The anima figures including invisible Vivienne of Poem I and the Lady, as a receptacle of these diverse and conflicting attributes of the anima, attract or repel the persona, depending on his different situations. She is a benign being at one time but she threatens his wellbeing at another time. Ultimately, however, the persona’s efforts to reach the world beyond seem to be limited by his propensity to gravitate toward the mother. He is consistently found regressively drawn to the mother in the poem and elsewhere.

      • KCI등재

        Feminine Conflicts in Eliot’s Early Poems

        조병화 한국T.S.엘리엇학회 2008 T.S. 엘리엇 연구 Vol.18 No.2

        Every biography of T. S. Eliot emphatically records his blissful childhood and his choice of an improbable woman as his spouse, which led to a tragic married life. This writing, prompted by the improbability, is an attempt to read the emotional swirls expressed in his early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archetypal psychology. Psychologically the mother-ruled childhood should hand over its dominance to the anima, the spouse archetype, which helps the personality become an autonomous grownup. It seems that Eliot had his mother-ruling period prolonged, which was a cause for his explosively rebellious act involved in his first marriage. However, it seems that he was dispositionally attached to the mother and that his wife was not a proper receptacle of his anima. This conflicting psychological status of Eliot’s is reflected on three different kinds of women in his works: the benign mother, who nourishes and protects the personality as kindly goddess; the terrible mother, who threatens to destroy his existence and welfare; the anima figure, who charms and attracts male characters, but easily succumbs to the power of the existing mother-ruled structure. His divorce marks his disunion from the ill-working anima and return to the mother’s world. His conversion, naturalization, and religious themes of his later works all seem to be the acts of compliance with his mother-oriented psychological propensity.

      • KCI등재

        『원로 정치인』에 드러난 엘리엇의 정치의식: 심리학적 관점

        조병화 한국T.S.엘리엇학회 2014 T.S. 엘리엇 연구 Vol.24 No.2

        이글은 기독교에 토대를 둔 엘리엇의 정치적 입장이 제3세계인들에게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라는 질문에서 비롯되었다. 시극 『원로 정치인』에는 이 같은 의문에 대한 답을 제시하는 요소들이 발견된다. 먼저 극의 등장인물들은 중미에 위치한 국가인 산마르크 공화국을 영국이나 유럽에 비해서 매우 무질서하고 타락한 곳으로 치부하며 거기에 속한 사람들에 대한 폄하를 노정하고 있다. 이처럼 세3세계의 국가는 당시 많은 문제를 노출했던 유럽인들에게 집단적인 그림자로서 작용했으며 엘리엇도 그에 동참했던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이 극의 주인공을 비롯한 남자 등장인물들은 예외 없이 여성과의 조화롭고 결실을 맺는 관계에 실패하고 있다. 엘리엇의 전기를 반영하는 듯한 이 특징은 배우자 원형, 즉 아니마가 원활하게 작동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 특징은 정치적으로는 어머니원형이 지배하는 단계, 즉 권위에 복종하고 타자의 가치에 제한을 두고자하는 보수적 성향과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원로 정치인』은 작가가 의도한 원만하고 이상적인 삶의 정리가 아닌 작가와 주인공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와 그와 관련된 제3세계인으로서 인정하기 어려운 정치적 태도를 담고 있다 하겠다.

      • KCI등재

        엘리엇의 뮤즈로서 에밀리 헤일

        조병화 한국T.S.엘리엇학회 2020 T.S. 엘리엇 연구 Vol.30 No.1

        연초에 에밀리 헤일에게 쓴 엘리엇의 편지가 공개되며 그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헤일이 엘리엇의 뮤즈였는지, 그렇다면 그 정도는 어떤 것인지, 그리고 수십 년간 이어져 온 그들의 관계가 결혼으로 이어지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지 등에 대한 의문이 편지 공개를 통해 어느 정도는 풀릴 것으로 기대된다. 간접적으로 그리고 부분적으로 공개된 편지에 의하면 헤일은 예상했던 것보다 강력한 엘리엇의 뮤즈였으며 작품에 끼친 영향 또한 상당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그들이 맺어지지 못한 것은 두 사람의 성향이나 추구하는 가치에 차이가 있었고, 엘리엇이 헤일의 역할을 문학적 영감의 원천으로만 한정한 데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헤일은 엘리엇과의 관계에 대해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결혼을 기대한 것이 드러난다. 이 글에서는 그들의 맺어지지 못한 사랑이 엘리엇의 작품에서 어떻게 원재료로 쓰이고 있는지를 추적한다. 엘리엇이 개인적 측면에서 한계를 설정했던 헤일과의 관계는 그의 문학적 상상력과 결합하여 매우 풍부한 소재로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황무지』의 히아신스 소녀, 「눈물 흘리는 소녀」의 주인공, 그리고 『재의 수요일』의 숙녀, 「번트 노튼」의 장미 정원의 소녀는 모두 헤일을 연상시키는 인물들이다. 하지만 동시에 엘리엇의 작품 속에서 헤일과 그녀와의 관계는 특유(特有)함과 구체성을 결여하여 다른 해석의 여지를 남기고 있다.

      • KCI등재

        적극적 상상과 『네 사중주』

        조병화 한국T.S.엘리엇학회 2018 T.S. 엘리엇 연구 Vol.28 No.2

        엘리엇이 『네 사중주』에서 추구하는 것은 현상계에서 육화된 신, 즉 성육신이다. 시간에 속박된 인간들은 무시간계를 직접 경험할 수 없다는 인식아래 엘리엇은 다양한 환경에서 드러나는 초월계의 모습을 찾으려고 노력하며 그 경험의 성격을 묘사하고자 노력한다. 시간과 관련해서 엘리엇이 상정하는 존재방식은 세 종류이다. 먼저 시간을 초월한 세계, 즉 시간의 흐름과 관련이 없는 무시간계, 시간의 지배를 받아 생노멸사(生老滅死)하는 현상계,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상계에 실현되지는 않았지만 실현될 수 있었던 가능계가 그들이다. 엘리엇은 이 가능계는 현상계가 가진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특성 없이, 현상계와 초월계 사이에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엘리엇은 인간들이 경험할 수 있는 초월계는 이 가능계를 통해서라고 본다. 융은 인간의 의식은 무의식에서 비롯되었고 무의식이 힘이 압도적으로 크기 때문에 의식이 무의식의 전체, 혹은 정신 전체의 원리인 ‘자기’를 인식하는 방식이 인간의 신에 대한 관계의 심리적 기초가 된다고 보았다. 하지만 무의식의 내용은 꿈, 환상, 백일몽과 같이 주로 수동적인 양태로만 의식에 전해지는 문제가 있다. 융이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한 것이 ‘적극적 상상’이다. 의식의 작동을 최소한으로 해서 무의식을 불러들이되 무의식에 의해 압도되지 않은 채로 무의식이 가진 주제를 기억하고 기록할 수 있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엘리엇과 융이 『네 사중주』와 적극적 상상에서 추구하는 것은 초월적 세계라는 공통점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