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동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능력 및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본 연구는 아동의 심리적 부적응과 또래관계의 어려움, 학교부적응 등의 문제가 학교 및 상담현장에서 상담사례로 많이 급증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아동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능력이 어떠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별 관계와 더불어 자기조절능력이 매개가 되어 아동의 놀이성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들 간의 직간접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4,5,6학년 총 6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최태산, 최명선, 조미정(2010)이 제작한 초등학생의 놀이성 척도와 허정경(2003)이 개발한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척도, 사회적 능력 측정도구는 박금옥(1998)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된 자료는 SPSS 19V와 AMOS 18V를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성 하위변인 각각이 자기조절능력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력과 놀이성 하위변인과 자기조절능력의 하위변인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를 활용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놀이성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인지적 자기조절능력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진 놀이성의 하위변인은 기발성이고 동기적 자기조절능력에는 정서적 놀이성이,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에는 사회적 놀이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변인인 사교성, 대인적응성, 주도성, 인기도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는 놀이성의 하위변인은 사회적 놀이성으로 나타났고, 사회참여도에는 정서적 놀이성이 가장 큰 설명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변인인 사교성, 대인적응성, 사회참여도, 인기도, 주도성의 모든 하위변인에 가장 큰 설명력을 가지는 자기조절능력의 하위변인은 동기적 자기조절능력으로 나타났다. 넷째, 초등학생의 사회적 유능성 하위변인인 사교성, 대인적응성, 주도성,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사회적 놀이성과 동기적 자기조절능력이었고, 사회참여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보이는 변인은 정서적 놀이성과 동기적 자기조절능력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하위변인별 경로와 직간접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머감각은 사교성과 직간접적으로 모두 유의하지 않은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사교성은 놀이성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놀이성으로부터 직접적인 효과뿐만 아니라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을 통해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적응성은 놀이성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놀이성과 기발성이 직접 효과뿐만 아니라 인지적 자기조절 능력과 동기적 자기조절능력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머감각은 직접효과만 나타났다. 사회참여도는 재미탐닉에 직접효과만 나타났으며 정서적 놀이성, 기발성, 사회적 놀이성은 직접 효과뿐만 아니라 인지적, 행동적, 동기적 자기조절능력 모두를 통해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주도성은 놀이성의 하위변인인 유머감각은 직, 간접효과가 모두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서적 놀이성과 사회적 놀이성은 직접효과와 인지적 자기조절능력과 동기적 자기조절능력을 통해 간접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인기도에는 유머감각과 재미탐닉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기발성과 사회적 놀이성이 직간접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아동의 놀이성은 자기조절능력과 함께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미한 설명력 있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아동의 놀이성은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사회적 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아동의 놀이성은 사회적 유능성에 직간접효과를, 자기조절능력은 간접효과만을 미치는 변인으로 이 두 변인은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에 유의한 설명력 있는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결과는 최근 왕따나 집단 괴롭힘과 같은 또래관계에서 배척되거나 학교에서의 부적응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아동들에게 사회적 유능성을 촉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특히 아동의 놀이성과 자기조절능력이 사회적 유능성 개발의 중요한 요소가 됨을 밝힌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적 유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설정함에 있어 이론적 기초를 제시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부모교육과 현장 상담가들의 교육프로그램에도 참고자료로 활동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보타닉 가든의 기원을 찾고 변화(change)해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보타닉 가든이 주는 의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근대 과학기반으로 식물 수집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던 유럽 르네상스 시대부터 유럽의 제국주의가 팽창하던 시기까지 중심으로 보타닉 가든의 역사를 고찰하였다. 르네상스시대 대학의 의사 및 식물학자들은 의학 약초에 대한 올바른 교육과 확인이 필요하다는 인식을 가졌으며, 이는 자연철학에 대한 열정과 본초학에 대한 과학탐구로 등장하게 되었다. 대학의 식물 연구 부상은 본초학의 지식확장과 함께 교육의 연구 실습 공간으로서 보타닉 가든이 탄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18세기에는 정원과 관련된 대학교와 식물학자들이 명명법과 분류 체계를 고안했다. 약용 식물에 대한 초기 관심은 식물학이 약과의 독립성을 점차적으로 확립함에 따라 유럽 이외의 탐사에서 새로운 식물 수입에 대한 관심으로 바뀌었다. 유럽의 제국주의가 팽창하던 시대는 린네(Carl Linnaeus)의 중상주의적 이념과 유럽 국가들의 자연경제에 대한 지식의 획득이 열대의 땅과 자원을 지배하기 위한 핵심적인 국가 정책으로 인식하게 된다. 18세기 후반 에 유럽 제국주의가 급격히 증가 하면서 열대에 보타닉 가든이 세워졌다. 약용식물로 채워졌던 보타닉 가든은 다양한 사회적 지위자들의 식물 수집에 의해 경제적으로 가치가 있는 식물들로 채워졌다. 유럽의 해양무역경로 개척으로 실행된 해안식물학은 19세기까지 지속되었다. 경제 식물학은 대영제국 큐(Kew)의 왕립 보타닉 가든에 허브가 되었다. 죠셉 뱅크스(Joseph Banks) 등 수집가들은 대영제국에 사용될 수 있는 영토, 식물 및 기타 자원을 기록하면서 국가와 대륙 사이에 새로운 종을 이식함으로써 경제를 변화시켰다. 식물 수집가들이 수집한 식물들을 재배하고 보존하기 위해서 온실을 조성하였다. 유입되는 새로운 이국식물의 보관소로서 건축물인 오랑주리(온실)가 성행되었으며, 과학적 기술과 발달에 의해 판유리와 철골구조의 유리온실이 지어졌다. 온실은 목재, 석조, 판유리 등 재료에 따라 열대 식물의 환경조건에 맞는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종합적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타닉 가든은 과학적 탐구가 가능한 시대가 들어서자 식물을 기반 한 의학적인 효용적 가치를 찾았다. 둘째, 보타닉 가든은 연구와 교육을 통하여 유용한 식물의 대한 오류를 구별하고 실험하며 분류하고 합리적인 방법을 찾고자 하는 공간으로 활용하였다. 셋째, 제국주의 식물학 시대에 들어서는 수익성 있게 성장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보타닉 가든을 선택되었다. 이는 가장 경제적인 식물과 식물재배에 집중하게 되었고 식물 애호가와 수집가들에 의해 기록되고 문서화 되었다. 넷째, 온실은 새로운 세계의 발견에서 어렵게 획득해온 열대 식물을 보존하고 재배할 수 있는 보타닉 가든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보타닉 가든의 조성의 필수요건 이였다. 이러한 연구, 수집, 보존 등 행위들이 모두 갖추어졌을 때 본질적인 보타닉 가든이 형성되었다. 주요어 : 보타닉 가든, 약용식물, 약용원, 식물학, 본초학, 온실, 식물수집
조미정 경기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5 국내석사
'시선의 확장' 에 주목하는 이유는 건축공간에 있어서 다중적인 시각성이 인간에게 자유로움과 그에 따른 끝없는 상상력을 제공해 주기 때문이다. 그것은 인간이 인지할 수 있는 것들을 시각적으로 풀어가는 과정 중에 머물고 있다. '시선' 이란 '보는 자' 와 '보여지는 대상' 을 전제로 한다. 이는 시선이 개인 바깥의 세계와 관계 맺게 해주는 지각의 통로로 작용된다는 뜻이다. 이러한 틀 안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시각의) 소통과정' 들은, 신체의 '눈'이 수행하는 시지각 이상의 것으로서 그가 속한 사회의 문화적 내용들에 의해 매개되는 것이고, 사회는 이에 따라 사람들이 일상 속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보는 방식'을 규정한다. 한 번에 하나의 것을 바라보는 인간의 일률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다원적인 시각을 경험하게 해주는 실상과 허상의 관계에 대한 실험의 다중적인 시각성은 분명 인간에게는 큰 매력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을 것이다. 지금의 우린 21세기를 넘어 다양한 변화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수많은 정보와 매체들은 과거의 어떤 사회보다도 차별되는 이미지를 형성하여 다양하고 다원화된 삶을 만들어 내고자 한다. 사회가 변화하면서 공간에 대한 인식과 요구 또한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런 다양성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인간의 시지각을 다룬다는 것은 어피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재와 허구에 대한 규명, 그 시지각적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이스트반 오로스 (Istvan Orosz)의 회화를 선택, 분석하여 그 결과를 실제 건축 공간에 적용시켜보고자 하였다. 이는 그의 회화 속 공간이 보이는 그대로의 해석을 거부하고 미묘한 오브제들과의 관계성을 통해 끊임없이 새로운 해석을 유도해 내기 때문이다. 공간의 효율성과 시지각적 효과가 필수요소인 상업프로그램은 상품과 함께 이미지를 전달해야 한다. 상품을 바라보는 관찰자는 유리 파사드나 열려진 개구부를 통해 상품과 관계를 맺고 있지만 항상 같은 이미지의 보이는 그대로의 해석을 강요받고 있다. '시선의 확장'의 전략을 이용한다면 같은 위치에서 변화무방한 이미지와 공간의 새로운 해석들을 통해 풍부한 경험적 사건을 유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론은 기존의 프로그램별 실의 배치에 의존해 왔던 설계방법론과는 차별성을 가지게 된다. 공간이 제3자 이용자 (관찰자)의 시선에 의해 구조화되며 더불어 건축요소의 변형을 통해 시선의 확장을 이끌어 내는 새로운 설계 방법론이 될 것이다. The reason why the 'expansion of vision' has been gaining so much attention is because the multitude of vision in architectural spaces brings freedom and endless imagination to people. This is at the stage where people visually process what they can perceive. 'Vision' has the 'viewer' and 'viewed object' as prerequisites. This means that vision acts as a perceptional path through which the viewer can be connected to the outside world. All 'visual understanding' within this framework is something more than simply the perception done by the physical eye, and it is mediated by the contents of the society and culture that it belongs to, and society regulates the 'viewing method' of the world by people in their daily lives. Breaking from the one dimensional viewing of people that sees one object at a time, the multitude of vision in this experiment can only be appealing towards humans because of the multi-dimensional perceptions that it brings. This study aims to distinguish between reality and fiction, and its perceptional effects through the selection and analysis of pictures done by 'Istvan Orosz' and apply the results in real architectural spaces. This is because 'Orosz' refused to conventionally interpret his works, rather, he induced new answers and interpretations through endless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uch things as tiny objets. Commercial programs, in which efficiency of space and perceptional effects are vital, must convey the image along with the product. The person viewing this is connected to the product through an opening or a glass facade, however is forced to interpret the image the way it is seen. If the strategy of "expansion of vision" is used then abundant experiences can be induced by new interpretations and Protean images in the same location. This kind of methodology differs from design method theory, which relied upon its existing program seal layout. The space is structured by the vision of a third person (the viewer) and through the change in architectural factors will become a new design method theory that will bring about the expansion of vision.
조미정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실버타운 소비자의 개인요인, 사회적 지지요인, 시설의 사회적 요인이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을 완화할 수 있도록 입소시설과 시설생활을 개선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실버타운 거주 노인의 보다 나은 삶과 복지를 실천하려면, 무력감을 환화할 수 있고 실버타운 시설 환경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개인요인과 사회적 지지요인 사회적 요인의 규명과 개선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과 관련된 개인요인, 사회적 지지요인, 사회적 요인이 실버타운 소비자의 무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기 위하여 실버타운 소비자 28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한 대면적 면담을 실시하고 결과를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인 건강인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1의 검증결과는 기각되었다. 즉 객관적 건강인지수준은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주관적인 건강인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2의 검증결과는 기각되었다. 즉, 주관적인 건강인지수준은 노인의 무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노인에 대한 구조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3의 검증결과는 채택되었다. 즉, 구조적 지지는 무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에 대한 구조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다고 볼 수 있다. 넷째, 노인에 대한 기능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 4의 검증결과는 채택되었다. 즉, 기능적 지지는 무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노인에 대한 기능적 지지가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은 낮다고 볼 수 있다. 다섯째, 실버타운의 시설, 프로그램, 종사원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노인의 무력감인지수준은 낮을 것이다라는 가설 5의 검증결과는 기각되었다. 즉 실버타운의 시설만족도, 프로그램만족도, 운영자에 만족도는 모두 노인의 무력감인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여섯째, 인구통계적 요인에 따라 노인의 무력감 인식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6의 검증결과는 채택되었다. 성별과 입주거주기간에 따라 노인의 무력감인식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연령, 학력, 경제상태에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연령이 많을수록 무력감이 높았으며, 학력이 낮을수록 무력감이 높았으며, 경제적으로 중하층에서 무력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실버타운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실버타운 운영방식과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적인 평가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의 공개를 통해서 실버타운 운영적 향상을 기해야 할 것이다. In this study, about consumer's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ing factor, social factor of equipment, by grasping the influential power of silver-town consumer's helplessness, for the weakening of silver-town consumer's helplessness, for the sake of seeking for improving social welfare program on the entering facilities and facility life, it is done. For the practicing better life and welfare about the dwelling eldest in silver-town, as the weakening helplessness and for the better improving the quality of facility environment, it needs the survey of the cause of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ing factor, social factor and improving program. In this study, in the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ing factor, social factor in relation to the silver-town consumer's helplessness, for the examining of influential factors, 288 silver-town consumers are selected and by using composed questionnaire and face to face interview, the results are d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summary, are as followings. First,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1 is rejected : The higher objective health perceived level,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Namely, the objective health perceived level has no influence on the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Second,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2 is rejected : The higher subjective health perceived level,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Namely, the subjective health perceived level has no influence on helplessness of the eldest. Third,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3 is supported : The higher composed supporting level of the eldest,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Namely, as composed supporting level has negative influence on helplessness, the higher composed supporting level of the eldest,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Fourth,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4 is supported : The higher functioning supporting level of the eldest,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Namely, as the functional supporting level has negative influence on helplessness, the higher functional supporting level of the eldest, the lower helplessness of the eldest. Fifth,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5 is rejected : The higher satisfaction level about silver-town equipment, program, and staffs, the lower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Namely, the satisfaction level about equipment, program, staffs has no influence on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of the eldest. Sixth, the measuring result of hypothesis 6 is supported :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it appears the differences for the helplessness perceived level. According to sex and entering dwelling period, it appears no meaningful difference about helplessness perception.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age, education, income, it appears meaningful differences. Namely, the older, the higher helplessness level, the lower education level, the higher helplessness level, in the middle of low income, the higher relatively helplessness. Accordingly,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silver-town, about the management method of silver-town and program, professional evaluation must be done periodically, through this openness, they must do their best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silver-town.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의한 정서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조미정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최근 스마트폰의 범용적인 활용은 우리 생활에 편리함과 유용함을 제공하는 반면에 스마트폰 중독과 같은 커다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초등학교에서의 교육은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써 학생의 원만한 성장과 올바른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교육을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무분별한 사용은 학생들의 생활 습관의 형성과 성장에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본 논문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따른 정서적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을 제시한다. 먼저 학생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살펴보고, 다양한 정서적 문제 가운데 신체변화, 수면부족, 공격성문제 등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신체변화에 있어 거북목, 손목 터널 증후군, 머리아픔, 어지럼증, 구부정한 자세, 신체활동에 의욕이 없는 현상을 보인다. 수면부족으로 우울, 자살충동유발, 집중력저하, 학업의욕의 상실을, 공격성문제로는 스마트폰 사용 제한에 따른 분노, 증오, 폭행, 폭언 등의 행동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SNS를 통한 따돌림, 언어폭력, 괴롭힘, 거짓 소문 퍼뜨리기 등 중독현상으로 분석된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데이터요금제제한, 스마트폰 셧다운제 실시, 상담 프로그램 운영, 유해 컨텐츠 차단서비스 이용하기, 이용시간 규칙 만들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해서 전주지역 시외 초등학생 9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제안한 개선방안의 각 항목을 골고루 비교적 균등하고 선택하고 있으나, 이용시간 규칙 만들어 지키기 항목의 선택이 가장 많다. 따라서 초등학교 학교생활에 이용시간 규칙 만들어 지키기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교사와 학생, 학부모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확실한 계획과 지원이 요구되어진다. 제안한 개선방안에 대하여 이론에서 벗어나 앞으로 실생활에 적용하고 실질적인 개선을 이끌어낼 수 있는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독서활동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독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
이 연구의 목적은 독서활동이 다문화 가정 아동의 독해력과 읽기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독서활동은 교육과정, 우리나라의 문화적 요소, 학년, 연령을 고려하여 선정된 도서를 중심으로 활동중심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여 독해력에 대한 변화를 매회기별로 평가하여 비교하였고, 읽기 태도는 책 읽는 자세, 상황에 맞게 읽기, 책 읽는 습관, 책 읽기 전략 사용하기 등의 4개의 영역에 대하여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읽기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한지조형을 통한 현대인의 감정 표현 연구 : 본인 작품'Lotus leaf'를 중심으로
오늘날 우리 사회는 전통적 가치관 보다는 개인의 능력이 우선시 되고 자기 계발을 통한 부(富)의 축적을 추구하는 자본주의 사회를 이루었지만, 그에 따른 갈등과 지나친 경쟁 의식은 오히려 개인의 삶에 열등감과 불안감을 초래하여 삶의 가치를 지나치게 묵과하게 된다. 이처럼 현대사회는 고도의 물질 만능적 자본주의로 인하여, 공동체의 구성원들은 스트레스로 인한 내면에 부정적 감정들이 쌓여가고 있기도 하다. 연구자 역시 이런 불안한 감정들을 직접 경험하게 되면서 해소방안을 모색하게 되었고 그 방법을 시각 예술에서 찾게 되었으며 작업 과정을 기록함으로써 본 논문의 뼈대를 이루게 되었다. 현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의 감정에 대한 작품 연구로서 현대인의 사회적 관계나 상황에서 형성된 불안한 내면의 심리를 표현하고자 한 연구자의 작품 ‘Lotus leaf’ 의 연작에 담겨진 주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의 특정 소재가 부정적 감정을 치유하는데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는 연구자의 관점에서 연(蓮)의 강인한 생명력과 내재된 색채심리를 시각화하여 표현하였다. 둘째, 한지는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온 재료라 할 수 있다. 한지는 부드러움과 강함, 질김을 함께 가지고 있고, 수분에 민감한 흡수성, 부드러움, 찢어지기 쉬운 질감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한지가 현대인의 감정 연구를 위한 재료로 가장 적합한 표현재료라 생각하여 연의 순수성에 대한 감성의 표현을 전통한지를 통하여 표현하였다, 셋째, 연구의 방법으로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이형식적 측면에서는 현대인의 심리적 감정과 자연물인 연(蓮)에 대한 상징성, 감정과 색채의 관련성 등 일반적 고찰을 하였으며 내용적 측면에서는 형식적 측면에서의 연구를 바탕으로 자연물 연(蓮)을 현대적 시각으로 연구자의 내면세계를 표현하였다. 여기에는 한지캐스팅기법이 주요기법으로 사용 되었다.
조미정 영남대학교 조형대학원 2013 국내석사
최근 무선 인터넷과 다양한 이동통신기기의 발달은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다. 이로 인해 유선 인터넷을 주 기반으로 하던 e-러닝 환경이 무선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학습으로 확대되어 국내 사이버대학들도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캠퍼스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국내 사이버대학에서는 무선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높아진 상호작용성을 최적화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보다는 기존 사이버대학들이 제공하던 동영상 강의를 그대로 스마트폰에서 구현하거나 학습관리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이 가지는 교육적 잠재력이 충분히 발휘될 수 있는 학습 환경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폰의 작은 화면에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설계, 개발하여 학습의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하여 변화하고 있는 국내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고, 스마트폰을 사용하여 사이버대학 내 정보를 이용하는 데 디자인 측면에 중점을 둔 UI(User Interface) 개선 방안을 연구함으로써 국내 사이버대학의 모바일 서비스의 발전 가능성과 활성화 방안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사이버대학 중 분류별로 상위5위 안의 대학 7개(경희, 한양, 서울디지털, 서울, 한양, 영진, 영남)의 메인페이지 인터페이스에 대해 UI 구성요소인 콘텐츠 정보구조, 네비게이션(Navigation), 레이아웃(Layout), 레이블(label), 아이콘(Icon), 타이포그래피(Typography), 컬러(Color)를 분석하여 문제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사례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종합하면 모바일 웹 서비스가 활발히 이용되고 있으나 강의실, 지원서작성, 학사정보 등의 로그인이 필요한 서비스의 경우는 모바일 앱, 즉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해야 사용이 가능하다는 한계점이 나왔고 몇몇 사이버대학교의 경우는 가장 기본적이고 일방적인 콘텐츠의 구성을 갖고 있어 상대적으로 심플한 레이아웃을 지니는 등의 서비스 수준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참여를 이끌만한 기제가 부족하여 사용자 이용률이 부족할 것으로 판단되어졌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콘텐츠의 선택 빈도에 따라 사용횟수가 높은 콘텐츠를 우석적으로 배치하고, 부가적인 서비스의 노출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 네비게이션은 가장 간단하고 짧은 경로로 만들며 메인화면으로 바로가는 경로를 항상 제시할 것을 제안한다. 셋째, 레이아웃, 메뉴의 화면구성, 레이블에 있어서 각 대학별로 통일성과 일관성이 강조되며 간편한 구성일 것을 제안한다. 넷째, 아이콘은 단순화되고 알아보기 쉬운 이미지를 사용하고, 의미를 담고 있는 모든 형태의 이미지와 함께 텍스트를 적절히 혼합해서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다섯째, 타이포그래피는 가독성이 높은 서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여섯째, 웹 컬러를 기준으로 하고 Point Color는 주로 아이덴티티의 컬러를 사용하여 대학 이미지를 나타내어 타 대학과의 차별성을 갖되 강한 컬러의 사용보다는 아이콘 및 텍스트의 주목성을 살리기 위한 컬러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를 통해 기존의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의 사용상의 문제점을 규명하였고 더 발전된 모바일 서비스의 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의 제작 가이드라인 표준안을 제안한다. 이는 개선된 UI는 사용자에게 모바일 서비스의 유용성, 편리성을 만족시켜 줄 것이다. 본 연구를 기점으로 향후 사이버대학 모바일 서비스의 UI에 대한 개발 가이드라인 연구가 활성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모바일 시장규모의 발전 추세에 따라 더욱 연구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